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당연합군의 군사전략과 백제 멸망

        이상훈(Yi, Sang-hun) 역사실학회 2016 역사와실학 Vol.59 No.-

        660년 백제는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하였다. 백제의 멸망 이유로 당시 백제 의자왕의 실정이 이어졌고, 백제군의 대응이 미흡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통설이다. 이러한 백제의 멸망과정에서 백제의 대응전략에 관해서는 적지 않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나당연합군의 군사전략에 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했다. 나당연합군은 각각 진군하여 사비 남쪽에서 합류하여 백제를 멸망시켰다. 이것이 가능했던 배경에는 나당연합군의 기만전략이 주효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당시 신라와 당은 백제의 수군기지가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는 당진 일대를 먼저 공격하여, 백제의 방어전략 수립에 혼선을 초래하고 골든타임을 놓치게 만들었던 것이다. The Baekje(百濟) extincted by the Silla-Tang Allied Forces(羅唐聯合軍) in 660. A guidance layer of Baekje split and an opinion was difficult to make identical. And it was also difficult to rally local army. A deceptive strategy of the Silla-Tang Allied Forces succeeded at the same time. The Silla-Tang Allied Forces landed in Dangjin(唐津). Dangjin had a naval base in Baekje. It was difficult that Baekje makes a defense plan for this. A defense plan is divided into a master plan and an occurrence plan. A master plan is a side attack and an occurrence plan is the front attack. The Silla-Tang Allied Forces seemed to be to do the front attack. But this was something to trick Baekje. Silla army went to Tanhyun(炭峴) and Tang army went to Kumgang(錦江). Baekje couldn"t stop the offensive of the the Silla-Tang Allied Forces after all. Baekje lost prime time.

      • KCI등재

        660년 나당연합군과 백제 전쟁의 군사학적 재구성

        이승훈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7

        Shilla(新羅) was quite independent and leading in carrying out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War. In addition, Baekje(百濟) was not destroyed by the actual situation, but failed to overcome its opponent's high-level operational plan and overwhelming combat power. By analyzing this through the planning process and operational plan elements of the modern military, we will revisit the war between the Nadang Allied Force(羅唐聯合軍) and Baekje militarily. The planning process is a step separate from the operational implementation, and measures are developed through operational planning elements in addition to tactical considerations. Of the several measures, the basic plan is to specify the best measures. The foremost consideration of defensive operations planning is the enemy. Baekje established a defensive system through the Five Directions Castle system(五方城 體系). From the time the King Uija(義慈王) became aware of the initial signs of attack by the Nadang Allied Forces, it was switched to the real-time combat command stage, not the planning stage. The Nadang United Army will establish a basic offensive operation plan based on the Baekje defense operation plan. The foundation was a high- quality intelligence that Kim Yu-shin(金庾信) acquired from high-ranking officials of Baekje. In the end, the Nadang Allied Forces' basic plan for offensive operations will be drawn up as Shilla's measure. Since then, Shilla and Dang have not been able to respond to contingencies caused by Baekje's response, resulting in conflicts. However, with Kim Yu-shin's ability, the difficulty was overcome. Shilla was subordinate to the Tang Dynasty and did not carry out the war, but led the war with initiative and independence. Also, Baekje did not fall helplessly, but resisted with the utmost effort. Through this, we can draw lessons along with pride in history. 신라는 외세의 도움을 받아 굴욕적인 삼국통일을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이 시기의 역사를 세밀하게 살펴보면 초강대국이었던 당과의 연합작전 수행에 있어 주도적이고 자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의자왕의 실정으로 나라가 망했다고 평가받는 백제 역시 당시 여건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했으되, 상대의 짜임새 있는 작전계획과 중과부적에 패배하였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오늘날 많은 이들, 특히 군인들이 부끄럽게 생각하는 나당연합군과 백제와의 전쟁은 결코 부끄러운 역사가 아닌 빛나는 역사이며 사표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활용한 분석의 틀은 한국군이 현재 적용하고 있는 계획수립 절차 중 ‘작전구상 요소’이다. 이를 통해 660년 나당연합군과 백제의 전쟁이 어떻게 조직되었는지를 재구성해 보았다. 먼저 작전을 구상하기에 앞서 계획수립 단계와 작전실시 단계를 구분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전술적 고려요소(METT-TC)는 계획수립과 작전실시 모두에서 상황을 분석하는 틀이지만,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에서는 ‘작전구상 요소’를 통해 작전구상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계획수립 단계에서 적용하기에 알맞은 분석의 틀은 작전구상 요소임을 강조하였다. 방어작전 계획수립 간에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은 상대할 적이다. 백제는 전통적으로 고구려를 주적으로 하여 웅진에서 사비로 이어지는 도성을 구축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신라가 적이 되면서는 방어보다 적극적인 공격을 통해 신라군을 압도하는 것으로 방어를 대신하였고, 이러한 의식이 반영되어 북으로는 곡성천 및 안성천, 미호천, 금강을 활용한 3선의 방어선을 산성들과 어울려 구축하였고, 동으로는 갑천과 대전천, 금강 상류를 이용하여 신라 공격에 대비하였으되, 고구려를 대비한 것에 비해서 신라에 대한 대비는 다소 약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백제의 기본 방어체계를 오방성 체계와 연계하여 확인해 보았다. 추가적으로 백제 방어계획을 설명하면서 계획수립과 작전실시 간의 계획 변경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쟁 발발 시에 실시한 의자왕과 대신들의 회의는 기본계획 시행 또는 우발계획 수립을 위한 전투협조회의였고, 나당연합군이 기벌포와 탄현을 넘은 이후의 회의는 실시간 전투지휘임을 설명하였다. 백제 방어 계획을 바탕으로 나당연합군은 계획수립을 위한 방책을 구상하였는데, 당군의 전투수행방법에 비추어 화성일대에서 합군하여 충청남도를 관통하는 방책을 당군이, 기벌포와 탄현 방면으로 우회하여 사비도성 남쪽에서 합군하는 방책을 신라군이 각각 제시하였다고 주장하였고 여러 정황에 의거 신라군의 방책이 계획으로 채택됨을 확인하였다. 이후 나당연합군은 우발사태에 대한 대응이 다소 미흡했던 점과 그것을 극복한 이후, 자신감이 생긴 김유신의 주도로 결국 백제의 항복을 이끌어내는 과정을 유추해 보았다. 당군에 종속되어 대 백제전쟁을 수행한 것인양 폄하되는 신라의 삼국통일에 대해 군사학적인 측면에서 재구성해봄으로써 신라군이 약한 전투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한 것과 작전계획 수립 및 시행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등 교훈 삼을 것이 다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百濟 末 政治 勢力과 百濟의 滅亡

        장미애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3 百濟硏究 Vol.58 No.-

        This paper, the cause of the destruction and reconstruction movement of Baekje in the trend of political power by focusing on diplomatic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 was investigated. This is a time when the fall of Baekje in the differentiation of political power, not just look at the problem of viewing the Baekje that time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situation in Northeast Asia, the difference in the way one would pay attention to. Through this approach, the final destruction of Baekje 663 years, not 660 years has been estimated. Before the fall of Baekje political forces in the diplomatic recognition for Tang(唐) were showing their differences. Some of Baekje forces to overcome the crisis was to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Tang. However, other forces thought that dispatched envoys toward Tang from 652 years to break and it was the cause relationship away. They were divided into two deferent forces. The forces of side claimed should be united with Goguryeo. The other forces claimed should be united with Wai(倭).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diplomatic recognition of Baekje attacks by the Allied Forces of Shilla-Tang can not respond effectively made. However, reconstruction movement of Baekje began shortly after the King Euija yield. The forces for reconstruction movement of Baekje tried to reconstruct Baekje through united with Wai(倭) or Goguryeo. During this period, particularly in the north of Imjonseong and south of Juryuseong who seems to be built at the same time the wire in order to combat the Allied Forces of Shilla-Tang. However, because of the conflict between political forces were defeated by the Allied Forces of Shilla-Tang. And Baekje in 663 years will bedestroyed after the battle in Baekgang. 본고는 백제의 멸망 원인과 이후 전개되는 부흥 운동에서의 정치 세력의 동향을 외교 인식의 차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백제 멸망당시 정치 세력의 분화를 백제 내부의 문제만이 아니라 당시 동북아시아의정세 변화과정에 대한 대응 방법의 차이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백제는 660년이아니라 663년 최종적으로 멸망하였음을 추정하였다. 멸망 전 백제의 정치 세력은 당에 대한 외교 인식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부여융과 성충, 흥수 등을 중심으로 한 세력들은 당과의 외교적 협상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652년 이후 당에 대한 사신 파견이 중단되면서 당과 관계가 소원해지고 있다고 생각한 세력들은 당이 아닌 왜・고구려와의 관계를 통해 나당연합군에 대항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들은 다시 의직을 중심으로 고구려와의 연대를 통해 신라에 대한 공격에 중점을 두는 세력과 상영을 중심으로 하는 왜와의 연대를 통해 당군을 막는데 중점을 두는 세력으로 나뉘어 있었다. 백제 내부의 이러한 외교인식의 차이는 나당연합군의 공격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없게 만들었으며, 결국 웅진성으로 도피하였던 의자왕이 잡히면서 백제는 멸망의 길을 가게 된다. 그러나 의자왕 항복 직후 일어난 백제 부흥군은 이후 왜 혹은 고구려와의 연대를 통해 백제의 재건을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이 시기 백제 부흥군은 임존성과 주류성이라는 북부와 남부지역의 거점을 통해 북부에서는 주로 고구려와 남부에서는 왜와의 관계를 통해 남・북에서 전선을 구축함으로써 나당연합군에 대응하고자 한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남부 전선의 중심을 이루고 있었던 복신과 부여풍의 갈등과 이로 인한 부흥군 내부에서의 분열, 흑치상지 등 일부 세력이 당에 항복하면서 이루어진 이탈 등은 부흥군 자체의 운동력을 급격히 저하시켰다. 그러면서 부여풍과 왜의 연합군이 백강 전투에서 나당연합군에 패배하게 된다. 남-북 양쪽에서 전선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나당연합군에 대항하고자 했던 부흥군의 기본적인 전략이 무너지면서 북쪽에 남아 있던 임존성 지역의 지수신을 비롯한 부흥군 세력도 결국 나당연합군에 패배하게 하면서 백제는 최종적인 멸망을 맞게 된다.

      • KCI등재

        나당연합군의 백제 공격시 신라군의 공격로 재고

        장광열,황성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 Reconsideration of Silla’s Attack Maneuver RouteDuring the Na-Tang Combined Forces Attack to BaekjeKwangyeol Jang & Sunghan Hwang Abstract: The preceding research results, which were largely organized into three expected maneuver routes during the Na-Tang Allied Forces’s attack on Baekje, were intended to be supplemented and verified through military considerations and place name and to present a strong proposal.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pplement the existing research through a study that combines the military geography perspective with the existing research method. The three attack routes were analyzed through four elements: maneuver distance, maneuver space, terrain pattern, place name and oral tradition. Silla army's attack route was confirmed that the route from Okcheon to Madoryeong - Seokgogae - Gyeryong - Yeonsan - Ganggyeong was likely.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serve as a catalyst for activating insufficient related research in recent years, and should lead to research to prove Tanhyeon and Hwangsanbeol in the future. Key Words: Traffic Route Between Silla and Baekje, Situation of Natang Combined Forces, Defense System of Baekje, Terrain, Maneuver Distances 나당연합군의 백제 공격시 신라군의 공격로 재고장 광 열*ㆍ황 성 한** 연구 목적: 나당연합군의 백제 공격시 신라군의 기동로를 크게 3가지로 정리된 선행 연구결과에 군사적 고려사항과 지명분석 요소를 통해 보완 검증하고 유력한 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연구를 기초로 기존의 연구방법과 더불어 군사지리학적 관점과 군사학적 방법론을 융합한 연구를 통해 기존 연구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 위의 3개 공격로를 평가 요소인 ① 기동거리, ② 기동공간, ③ 지형양상, ④ 지명 및 구전의 4개 요소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신라군의 공격로는 옥천에서 출발하여 마도령-석고개-계룡-연산-강경에 이르는 경로가 유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본 논문이 최근에는 미진한 관련 연구를 활발하게 하는 기폭제가 되길 바라며, 추후 탄현 및 황산벌을 고증하는 연구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핵심어: 나제 교통로, 나당연합군 상황, 백제 방어체계, 지형, 기동거리 □ 접수일: 2022년 8월 31일, 수정일: 2022년 9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책임연구원(First Author, Researcher, KNDU RINSA, Email: jang8do@korea.kr)** 교신저자, 우석대학교 지역・분단문화연구소장(Corresponding Author, Researcher, Woosuk Univ., Email: jmy6397@naver.com)

      • KCI등재

        고구려 영류산의 위치와 나당연합군의 진군로

        이상훈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0 한국고대사탐구 Vol.34 No.-

        The Silla-Tang Allied forces(羅唐聯合軍) destroyed Goguryo(高句麗) in 668. At that time, the Silla-Tang Allied forces was stationed at Youngryu- san(嬰留山). Youngryu-san is considered Daesung-san(大城山) in Pyongyang (平壤). However, Youngryu-san and Daesung-san are other mountains. Daesung-san is a mountain located northeastern of Pyongyang. Youngryu-san is a mountain located north of Pyongyang. The Silla-Tang Allied forces used a line of march between Pyongyang and Anju(安州). Youngryu-san is estimated at Bongsu-san(烽燧山). There is a signal beacon on the mountain, and the legend of the general remains on the mountain. 668년 나당연합군은 고구려의 평양성을 함락했다. 당시 당군과 신라군 선발대는 안주 일대에서 합류한 후 남하하여 영류산에 주둔했다. 영류산은 일제시기 일본학자가 평양 동북쪽의 20리 지점에 위치한 대성산을 영류산으로 비정한 이후, 별다른 의심없이 학계에 수용되어 왔다. 하지만 대성산은 평양 북쪽에 위치한 영류산과 별개의 산으로 추정된다. 나당연합군은 안주-숙천-순안-평양으로 이어지는 교통로를 이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교통로와 지형을 감안할 때 평양 북쪽에 위치한 봉수산과 부산이 주목된다. 봉수산과 부산은 평양에서 북쪽으로 20~30리 거리에 있으며, 봉수산에는 전근대시기 주요 통신수단이었던 봉수대가 위치했고, 부산에는 장수가 도끼로 적을 무찔렀다는 전설이 남아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평양 북쪽 20리에 위치했던 영류산은 봉수산(부산) 일대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백제멸망기 신라 수군의 성격과 역할

        이상훈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7 No.-

        Baekje(百濟) extincted by the Silla-Tang Allied Forces(羅唐聯合軍) in 660. The Tang Navy leave the Shandong Peninsula(山東半島) and have arrived at Dukmul-do(德物島). The Silla navy joined at Dukmul-do. The Silla navy is recognized as a supplement troop(補給部隊). The military of Tang esteemed supplement. Baekje wasn't connected to China and a land route. The military of Tang, using large shipping, it was replenished. The number of the Silla navy' ships is 100. It's recorded by a warship(兵船) and a big ship(大船). A persons is recorded by a soldier(兵士). When seeing through supplement preparations of the Tang Navy and record of the Silla navy, the Silla navy was a combat troop(戰鬪部隊). 660년 나당연합군은 백제를 멸망시켰다. 당군은 산동반도에서 출발해 덕물도에 도착했고, 이때 신라의 수군 100척이 당군과 합류했다. 일반적으로 덕물도에 합류한 신라 수군 100척은 보급부대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당군의 보급 준비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에서 기인한다. 실제 당군은 장거리 원정시 보급 준비에 만전을 기했다. 행군을 편성할 때 보통 30%를 기준으로 치중병을 할당했다. 당의 입장에서 볼 때 백제는 장거리 원정에 해당하며 육로로 보급로가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더 많은 군량을 준비했을 가능성이 높다. 신라 수군은 병선, 대선, 거함 등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승선한 인원도 병사나 병으로 묘사되어 있다. 당군의 보급 준비 실태나 신라군의 기록을 통해 볼 때, 신라 수군 100척을 보급 부대로 볼 가능성은 낮다. 그렇다면 신라 수군의 성격은 기록 그대로 전투 부대로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660년 백제의 방어전략 회의와 방어전 재검토

        남정호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3

        이 논문은 660년 나당연합군의 공격에 직면하여 의자왕이 주재한 방어전략 회의에서 제시된 백제의 방어 전략을 살펴보고, 실제 전개된 황산벌 전투, 기벌포(웅진강구) 전투, 사비성 남쪽의 전투를 백제의 방어 전략에 맞추어 분석한 것이다. 먼저 백제에서는 기본적인 사비도성 방어 체제가 갖추어져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1차 방어선은 탄현과 기벌포, 2차 방어선은 진현성 등의 대전 동부 지역의 산성들과 가림성, 3차 방어선은 사비성의 나성과 부소산성으로 파악하였다. 백제의 방어 전략 회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세 단계로 나누어 보았다. 첫 번째 단계는 나당군의 진격로가 확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당군을 먼저 공격하자는 의직의 견해와 신라군과 결전하자는 상영의 견해가 대립하였다. 의자왕은 두 사람에 대한 군사적 믿음이 부족하여 어떤 선택을 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다시 좌평 흥수의 의견을 구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흥수의 견해와 대신들의 견해가 대립하였다. 여기서 최대 논쟁점은 흥수의 제안대로 중앙군을 탄현과 백강에 파견하여 신라군과 당군을 막으면서 농성을 통한 장기전으로 가느냐, 아니면 대신들의 견해처럼 중앙군을 중심으로 빠른 시일 내에 승부를 결정짓느냐의 문제였다. 당시 백제는 태자 융을 지지하던 세력이 쇠퇴하고 소왕 효를 따르는 세력이 우세해지면서 양 세력 간의 대립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 후자에 속하는 대신들이 흥수의 의견이 채택되어 전자의 세력이 확대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고, 중앙군을 탄현과 기벌포로 파견하여 장기전을 치루는 것은 정변의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선택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이런 논의가 지속되는 과정에 이미 신라군과 당군은 지방군이 방어하던 탄현과 기벌포를 통과해버렸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어쩔 수 없이 중앙군 일부를 황산벌로 파견하여 신라군의 진격을 막고 나머지 병력은 사비성을 지키면서 당군의 공격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실제 신라군과 당군을 막기 위해 펼쳐진 방어 전투를 살펴보면, 황산벌 전투는 1차 방어선인 탄현과 2차 방어선인 대전 지역마저 통과한 신라군을 저지하기 위해 중앙군인 계백의 5천 결사대를 파견하여 개태사 일대에서 막고자 한 것이었다. 기벌포(웅진강구) 전투는 해로로 공격한 나당군을 막기 위한 전투였는데, 백제군의 방어선을 교묘히 피해 웅포 일대에 상륙한 나당군이 백제군의 공격을 물리치고 강경 일대와 군산 방면의 양 쪽으로 진격한 것으로 보았다. 사비성 남쪽에서의 전투에서는 당군이 사비성 남쪽 지역에 이르자 백제군은 신라군이 합류하기 전에 중앙군과 주변 지방군을 총동원하여 당군에 대한 대공세를 펼쳤으나 1만여 명이 죽거나 사로잡히는 대패를 당하고 말았다. 이렇게 되자 사비성 방어 병력이 부족해져 의자왕은 웅진성으로 피신하였고, 결국 사비성은 쉽게 함락되고 말았다. This study shows Baekjae’s defense strategy under the attack of the Silla-Tang Allied forces in 660, and focuses on the battle of Hwangsanbeol, Gibeolpo (an estuary of Eungjin river), and southern Sabi Castle. It is thought that the essential defense system of Sabi Castle must have been well equipped with. Tanhyeon and Gibeolpo belongs to the first line of defense, mountain fortress in eastern region of Daejeon, such as Jinhyeon Castle, and Galim Castle to the second, and Na Castle, which is outer castle of Sabi Castle, and Buso mountain fortress belongs to the third line of defense. This study divided the defense strategy of Baekjae into 3 stages. The first phase was the conflict between Uijik and Sangyeong: Uijik proposed that they have to attack Tang force first because they don’t know where Tang started to attack, while Sangyeong suggested that they have to fight Silla first. King Euija’s trust in their military decision was not established, so the king asked Jwapyeong Heungsu for advice. Then comes the second phase of the defense strategy: the conflict between Heungsu’s view and other subjects’ view. Heungsu demanded that the central forces have to be dispatched to Tanhyeon and Baek river and protect Silla-Tang Allied forces, making the war delayed through the protesting. Other subjects argued ending the war quickly with the central forces. The critical problem here was whether to follow Hengsu’s or other subjects’ view. Those days, Baekjae got in trouble. the subjects who followed crown prince Jung lost their power, while the subjects who followed SoWang(小王) Hyo got their power. The latter didn’t want Hengsu’s suggestion to be adopted because it could make the former’s power extended. Also, the rebellion could occur in the absence of central forces when the extended war happened. Therefore, Heungsu’s assertion was hard to be supported. During this dispute in Baekjae, Silla-Tang force already passed Tanhyeon and Gibeolpo where the regional forces had protected. The third phase was that Baekjae couldn’t help sending some central forces to Hwangsanbeol and preventing Silla’s advance, and the rest of forces protected Sabi Castle prepared with the attack of Tang force. Looking closely at the defense war against Silla-Tang allied force, The Battle of Hwangsanbeol was sending Gyebaek’s 5000 troops to block Silla forces around Gaetae temple which advanced over Tanhyeon, the first line of defense and Daejeon, the second line of defense. The battle of Gibeolpo (an estuary of Eungjin river) was to defense Silla-Tang allied force which attacked in seaway. In the battle, Silla-Tang allied force, which skillfully avoided the defense line of Baekjae and landed in Eungpo, won Baekjae and marched around Gangyeong and Gunsan. During the war at southern Sabi Castle, the regional forces and central forces of Baekjae assembled and struggled. However, Tang force defeated Baekjae even in the absence of Silla force killing and enslaving 10000 Baekjae forces. At last, troops defending Sabi Castle were so deficient that King Euija escaped to Eungjin Castle, and Sabi Castle collapsed helplessly.

      • KCI등재

        660년 웅진강구 전투 검토

        이승훈 신라사학회 2024 新羅史學報 Vol.- No.61

        웅진강구의 위치에 대한 논의는 백강의 위치와 함께 학계의 오랜 관심사였다. 이 글에서는 이에 대한 기존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지정학적 근거를 토대로 웅진강구 일대의 지형을 당시 모습으로 복원하여 보았다. 복원된 지형 위에 당군이 어느 지점을 통해 상륙하여 백제군을 격멸하고 교두보를 확보한 이후에 전투에서 승리하여 상륙작전을 완수했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았다. 웅진강구가 지금의 금강 하구가 아닌 금강 중류라는 가정하에 이를 증명하기 위해 당항성(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당성)과 일본의 히라카타(枚方)시의 위치, 선사 및 고대 금강 남안의 유적지 위치 등을 지정학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과거의 기록과 도시 및 城의 기능 등을 고려할 때 해수면의 높이가 지금보다 7m 정도 높아졌을 때의 지형환경이 당시의 지형환경과 거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금의 논산시 은진면의 옛 이름인 덕은과 시진의 위치를 확인하고 활발한 포구였던 시진포가 지금은 내륙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근거로 시진포가 포구로서의 역할을 하려면 해안선이 역시 약 7m 정도 높아지는 수준의 지형 변화가 있어야만 가능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금의 논산시 성동면 일대부터 금강이 급격하게 넓어져서 성동면 이북의 물줄기와 이남의 물줄기가 확연하게 차이가 나 성동면 이북의 물줄기를 웅진강, 이남의 물줄기를 백강(또는 바다)라고 인식하지 않았을까 추정하였고 이러한 추정을 바탕으로 성동면 주변이 웅진강구임을 확인하였다. 즉, 웅진강구 전투는 지금의 논산시 석성면 일대에서부터 성동면, 은진면에 이르는 곳에서 발생하였다는 것으로 조수의 흐름을 활용한 당군이 만조의 조류를 따라 북상하여 선봉이 7월 9일 술시(오후 8시 내외) 어간 웅진강구에 도착하였다고 보았다. 이들은 신라군의 진군 속도를 확인하며 공격의 시기를 판단했을 것인데 백제군에 의해 진출이 막힌 신라군이 교두보 확보를 할 수 없을 것임을 확인한 소정방은 7월 10일 미시에 조수를 타고 북상하여 별동대를 활용해 지금의 부여군 석성면의 파진산을 점령, 백제 방어선의 후방을 타격함으로써 백제 방어선을 붕괴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의직으로 판단되는 백제군의 방어 사령관은 지형을 활용하여 당군의 예상 상륙지점에 방어 병력을 배치하였고 이를 통해 황산벌에서의 백제군과 같이 웅진강구를 방어하는 백제군 역시 용맹한 모습을 보여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나당연합군의 작전계획이 얼마나 치밀했는가와 그 효용성이 높았음을 확인하는 근거가 되었고 반면 나당연합군의 연합작전을 와해시킬 뻔 하였던 백제군의 대응 역시 허술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지정학적인 근거를 통해 당시의 지형을 복원하는 시도는 유의미하다고 판단된다. 이를 바탕으로 금강 중류의 지층과 물줄기의 흐름 흔적에 대해 천착하면 백강을 정확히 비정할 수 있는 근거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Setting the location of Woongjin-gang(River) has been a long-standing concern for academia, along with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Baek- gang(River). 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the existing research. Based on geopolitical grounds, the topography of the Woongjin-gang(River) area wa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hrough this, we examined the process of winning the battle after securing a bridgehead to see where the Dang(唐)army landed and defeated the Baekje(百濟) army. In order to prove that Woongjin-gang(River) is the middle stream of the Geum-gang(River), not the estuary of the Geum-gang(River) today, the topography of the time and the topography of the time when the height of the sea level increased by about 7m compared to the current inland area. Based on the fact that Sijinpo(市津浦), which was an active port at the time, is now located inland, it was confirmed through map records that in order for Sijinpo(市津浦) to play a role as a port, the coastline must be raised by about 7m. Through this, it was speculated that the Geum-gang(River) was rapidly expanded from the current Seongdong-myeon(城東面)area in Nonsan-si(論山市), and that the water stream north of Seongdong-myeon(城東面) and the water stream south of Seongdong-myeon(城東面) were clearly different, and the water stream north of Seongdong-myeon(城東面) was called Woongjin- gang(River), and the water stream south of Seongdong-myeon(城東面) was called Baek-gang(River), and based on this specul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rea around Seongdong-myeon(城東面) was Woongjin-gang(River). In other words, the battle of Woongjin-ganggu(熊津江口) took place in the current area of Seongdong-myeon(城東面), Nonsan-si(論山市), and the Dang army using the tide flow moved northward along the tide, and the leading force arrived at Woongjin-ganggu(熊津江口) on the evening of July 9. They confirmed that the Silla army's bridgehead would be impossible and reported it to So Jeong-bang(蘇定方). On the afternoon of July 10, So Jeong- bang(蘇定方) led the main force north by the tide and used a separate band to occupy Paginsan(破陣山) Mountain in Seongsan-myeon(城山面), Buyeo- gun(扶餘郡), and hit the rear of the Baekje(百濟) defense line, thereby compressing the Baekje(百濟) army back and forth and collapsing the Baekje(百濟) defense line.

      • KCI등재

        660년 당군과 신라군의 연합 작전에서의 몇 가지 문제

        남정호(Nam, Jung-ho)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7

        이 논문은 660년 백제 공격에 나선 당군과 신라군의 연합 작전이 어떤 의도를 갖고 어떻게 전개된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미 당과 신라 연합군의 기본 전략에 대해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들이 누적되어 있어 큰 줄기는 밝혀져 있지만 세부적인 면에서 언급되지 않거나 보강이 필요한 부분들을 메워 양국의 연합 작전을 구체적으로 복원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백제 공격을 결정한 당이 신라에게 덕물도에서 회합하자고한 이유는 당군이 서해 중부 횡단항로를 이용하여 덕물도에 도착하였기 때문이었다. 이 항로에 대한 정보는 신라에서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 당은 신라에 구체적인 작전 계획은 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신라군은 경기도 일대에서 당군과 합군하거나 양국 군대가 따로 진격하는 경우를 모두 염두에 두어야 했다. 그래서 신라군은 남천정까지 북상하였던 것이다. 비록 신라군이 의도한 것은 아니었지만 이와 같은 신라군의 북상은 백제의 방어 전략 수립을 혼란스럽게 만든 효과를 낳았다. 덕물도 회합에서 소정방이 제시한 전략은 수륙 양공 작전과 사비성 남쪽에서의 합군이었다. 수륙 양공 작전은 백제의 방어선을 분산시켜 병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빠른 시일 내에 전쟁을 끝내겠다는 속전속결의 전략이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해로를 이용하는 당군에 비해 육로로 백제 국경을 돌파해야 하는 신라군에게 불리한 전략이었다. 양군이 사비성 남쪽에서 합군하기로 한 것은 백제 방어선이 비교적 약한 곳으로 진격하고자 한 것이었지만, 유사시 의자왕이 남쪽의 전라도 방면으로 피신하여 전쟁이 길어지는 것을 막고자 하는 의도였다. 한편 이 당시 당군이 신라군에게 보급 부대의 역할을 맡긴 것으로 보는 견해가 널리 확산되고 있는데, 군사 전략 상의 문제점과 실제 신라군의 수송 능력 등을 고려하면 당시 신라군만이 전적으로 보급 부대의 역할을 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당군이 유인궤로 하여금 별도의 보급 부대를 담당하도록 했던 자료에 근거하면 신라군에게 보급을 전담시킨 것이 아니라 별도의 보급 부대를 운용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to find out what intention brought about the allied military operation of Tang Dynasty and Silla to attack Baekjae in 660 and how it was carried out.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are accumulated and the outline of the basic strategy of the Tang and Silla allied forces is revealed. However, I tried to restructure the united operations of the two countries in detail by filling in areas that are not mentioned or need reinforcement. First, the Tang who decided to attack Baekje decided to meet Silla in Deokmul Island because the Tang army arrived at Deokmul Island using the middle crossing route of the West Sea. Information on this route seems to have been provided by Silla. At that time, the Tang had not given a specific plan to Silla, so Silla army had to keep in mind that either the army with the Tang army in Gyeonggi-do, or the army of the two countries went apart. So the Silla army was up north to Namchenjeong. Although this was not the intention of the Silla army, the Silla army"s advance to the north led to the confusion of Baekje"s defense strategy. The strategy that Su Dingfang proposed during the talk at the Deokmul Island was simultaneous execution of both army and naval attack and to join the forces in the south of Sabi-castle. The intention of the strategy to use both army and naval troops was to distribute defense of Baekjae forces to minimize loss of soldiers and to end the battle soon. However, it was disadvantageous for Silla, which had to break through the Baekje border on land, compared to Tang which was to go from the sea. The reason that the two armies decided to join in the south of Sabi Fortress was to advance to the area where Baekjae’s defense was relatively weak but also,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for King Uija to escape to the south in order to prevent the war from lasting long. On the other hand, the opinion that the main role of Silla at that time was taking charge of distributing supplies for the Tang army is spreading wide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ckon that the army of Silla took the role considering its actual transportation ability and the issue of military strategy. In particular, the fact Yu Ingye of Tang was running separate ship for supply signifies that they did not made the troops of Silla to take responsibility of distributing supplies.

      • KCI등재

        ‘羅ㆍ唐연합군’ 용어와 고구려의 천하관

        정효운(鄭孝雲)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3 No.-

        본고에서는 고대한ㆍ일 양국의 국명관련 사료를 분석하면서, ‘나ㆍ당연합군’ 용어의 유래와 거기에 포함되어 있는 사상적인 의미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삼국사기』 에는 국명을 자칭하는 기술법과 축약하여 타칭하는 기술법이 있는 것을 알았다. 전자의 경우, 자국의 우월성이 내포되어 있는 반면, 후자와 같이 뒤의 글자를 축약하여 타징하는 표기법에는 적대적이고 비하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고대의 삼국시기에는 자국을 약칭하는 용례를 발견될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표기법은 『삼국사기』를 편찬한 시기인 고려시대의 기술법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상대 국명의 뒤 글자를 추출하여 타칭하는 처음 용례는 광개토왕비문에서 찾을 수 있다. 그 사상적인 배경에는 4ㆍ5 세기대의 고구려의 주면 국가에 대한 천하관이 내포되고 있다는 것이다. 7세기대에 이르러 신라가 이를 계승해 고구려와 백제를 ‘려’와 ‘제’로서 약칭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현행 한국의 『국사』 교과서에서 아무런 의문이나 의심도 없이 타국을 비하하는 의미를 가진 역사교육용어를 가르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 어떤지에 대한 역사적인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지금까지 ‘나ㆍ당연합군’ 이라고 하는 용어가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역사적인 근거를 가진 용어라는 생각에서 그리고 이 용어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인 의미의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사용되어 왔다. 그 결과, 이 문제는 고대사에 한정하여 사용하였던 것이 아니고 중세ㆍ근세ㆍ근대ㆍ현대에 이르기까지 확대, 재생산되어 왔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이러한 문제점을 간과함으로서 국명에 관한 역사용어가 ‘나말려초’, ‘여몽’, ‘여말선초’, ‘일선’, ‘만선’ 등과 같이 축약된 ‘중화식민용어’가 한국사의 학술ㆍ역사교육용어로서 사용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