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흥해평의 치수와 관개

        홍금수(Keumsoo, H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1 문화 역사 지리 Vol.33 No.4

        포항 북부에는 곡강이 관류하는 선상지성 분지지형이 자리한다. 옛 흥해군의 터전으로서 내부에는 광활한 평야가 펼쳐진다. 흥해평야는 신생대 제3기 미고결 해성층을 모암으로 하는 두터운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토양은 비옥한 편이나, 과우지인데다 수원인 하천 대부분이 건천인 한편으로 우기에는 역으로 범람이 잦았다. 영농에 가해지는 이 같은 제약에도 흥해가 연해지방으로서는 보기 드문 곡창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체계적인 치수사업과 신라 이래 확충해온 지역 특유의 수리시설이 있었다. 집중호우시 다량의 토사를 경지에 쏟아 부은 다음 읍내로 치닫던 곡강 중류구간 북천의 예봉을 꺾기 위한 준 항구적 고안은 1802년에 송림의 형태로 구현된다. 군수 이득강이 북천 남안에 조성한 자연친화형 치수방책으로서 현지에서는 북천수라 불린다. 관개에서는 선단에 산재한 천연의 용천이 고대 흥해의 농업을 견인하였으며, 수전농업이 안착하면서 제언을 필두로 마른 하상의 복류수를 경지로 인수하던 봇도랑, 둠벙 등 지하수 활용 설비가 확충된다. 1952년 설립된 흥해수리조합은 용연지를 정점에 둔 용수로, 배수로, 수문, 배수장의 근대 수리관개체계를 등장시키고, 전기보급 이후 대수층의 용수를 끌어 올리는 관정, 집수암거, 지하댐, 집수정이 추가됨으로써 전통과 근대가 공존하는 흥해평의 복합 관개경관이 형성된다. The Heunghae Plains in Pohang City comprise peculiar topographies of alluvial fans and wetlands within the basin. The land with fertile soils from the sedimentary rocks of the Neogene, however, have been plagued by overflowing Gokgang River and a chronic deficit of rainfalls. Against these hydrological and climatic limits, the Heunghae people have made the plains a representative granary in the Eastern Seaboard by dint of the systematic flood control and irrigation. County officer Yi Deukgang planted impressive Bukcheon grove in 1802 to contain the brunt of flooding waters. Along with this remarkable achievement in mitigating inundations, the natives have come up with various irrigation tactics to shape up a sustainable agrarian economy featuring a complexity of gushing springs, reservoirs, well-and-ditches on the bed of dry streams, and ground water-fed ponds. The establishment of Heunghae Irrigation Association in 1952 introduced the modern irrigation systems consisting of Yongyeon reservoir, sluice gates, canals, and pumping and drainage stations, which was followed by tube wells, infiltration gallery and subsurface dams to pump out subsurface waters.

      • KCI등재

        포항중성리신라비의 발견경위와 고대의 포항과 흥해

        배용일(Bae Yong-Il)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6

        2009년 5월 11일 흥해읍 중성리에서 ‘포항 중성리신라비’가 김헌도에 의해 발견되었다. 냉수리신라비보다 연대가 앞서는 중성리신라비는 신라의 형성ㆍ발전에 대한 영일만 흥해지역의 역사적 역할을 구명할 수 있는 귀중한 사료로 판명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비의 발견경위를 살핀 후 고대 포항의 흥해지역이 신라에서 갖는 역사적 위치를 통일신라기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실증적인 역사여건을 통해 고대로 소급 유추하는 연구방법으로 시고하였다. 진한시대 포항지역 남쪽에는 근기국(勤耆國)이 있었으나 북쪽의 소국 형성지역으로 추단되는 흥해에는 국명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흥해지역은 청동기시대의 지석묘와 암각화의 밀집분포지역이라는 사실, 신라 국가 祭場인 中祀 海祭와 독제(瀆祭)를 지낸 고대국가 형성의 중추적인 직할 배후지역의 관방요해처(關防要害處)로서 지증왕 때 彌實城(미실성 또는 미질부성)을 쌓아 근기국의 고현성(古縣城)과 함께 포항 最古의 성이 된 사실, 통일신라시대에 육현(六縣)을 관할했던 큰 고을 義昌郡(구 흥해고을 명칭)의 郡勢 그리고 曲江川을 중심으로 한 비옥한 넓은 농토와 인구가 많은 고을로 성장하여 국가의 조세(租稅)ㆍ공납(貢納)ㆍ역역(力役)을 공급한 최대의 접경 배후지역이 되었던 사실 등으로 小國 형성의 실마리를 유추할 수 있게 된다. 이 점은 비록 후대이지만 고대 흥해 고을세의 전통이 조선초기 『慶尙道地理志』에도 이어져 흥해의 인구가 포항지역에서 가장 많았고, 농토는 『慶尙道續撰地理誌』에서 경주와 포항지역에서 가장 넓은 농지를 보유하고 있었던 사실(현재도 같음) 등의 역사환경을 통해서도 추정할 수 있다. The Joongsung-ri Shilla tombstone(中城里新羅碑) was found by Kim Hun-do at the small village of Joongsung-ri in pohang(浦項) on May 11th, 2009. It turned out that this tombstone which antedates the Youngil Naengsu-ri Shilla tombstone(迎日冷水里新羅碑) is a very precious historical artifact for the role played by the Heunghae(興海) community and the Youngil Bay area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hilla Dynasty. This treatise has tried to ascertain the way that this tombstone was found and then analogize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the Heunghae community in the ancient pohang area from the unified Shilla period until today through the factual history. In the southern part of the pohang area during the Jinhan(辰韓) period there was a ‘Keunki’(勤耆) tribal state. On its northern part of Heunghae there was an untold tribal state too. However, the following facts prove that actually there existed a tribal state: First, the Heunghae district was the area where a lot of dolmens and petroglyphs were heavily dispersed. Second, the fact that ‘Mishil’(彌實) castle together with ‘Kohyun’(古縣) castle is the oldest castle as the key military fortress during the King Jijeung(智證) period where important national religious services were performed. Third, the name and puissance of the county which dominated six ‘hyuns’(縣) during the unified Shilla period. Last, the fact that this was the area which had a vast fertile rice field with a large population and therefore became the biggest tax provider for the country. The Heunghae community was the community whose population and whose size of rice field was the largest in the early period of Chosun(朝鮮) Dynasty among the neighboring communities. This was written in ‘the Kyungsangdo Geography Book’( 『慶尙道地理志』) and its attachment book.

      • KCI등재

        흥해평의 치수와 관개

        홍금수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1 문화 역사 지리 Vol.33 No.3

        The Heunghae Plains in Pohang City comprise peculiar topographies of alluvial fans and wetlands within the basin. The land with fertile soils from the sedimentary rocks of the Neogene, however, have been plagued by overflowing Gokgang River and a chronic deficit of rainfalls. Against these hydrological and climatic limits, the Heunghae people have made the plains a representative granary in the Eastern Seaboard by dint of the systematic flood control and irrigation. County officer Yi Deukgang planted impressive Bukcheon grove in 1802 to contain the brunt of flooding waters. Along with this remarkable achievement in mitigating inundations, the natives have come up with various irrigation tactics to shape up a sustainable agrarian economy featuring a complexity of gushing springs, reservoirs, well-and-ditches on the bed of dry streams, and ground water-fed ponds. The establishment of Heunghae Irrigation Association in 1952 introduced the modern irrigation systems consisting of Yongyeon reservoir, sluice gates, canals, and pumping and drainage stations, which was followed by tube wells, infiltration gallery and subsurface dams to pump out subsurface waters. 포항 북부에는 곡강이 관류하는 선상지성 분지지형이 자리한다. 옛 흥해군의 터전으로서 내부에는 광활한평야가 펼쳐진다. 흥해평야는 신생대 제3기 미고결 해성층을 모암으로 하는 두터운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토양은비옥한 편이나, 과우지인데다 수원인 하천 대부분이 건천인 한편으로 우기에는 역으로 범람이 잦았다. 영농에 가해지는 이 같은 제약에도 흥해가 연해지방으로서는 보기 드문 곡창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체계적인 치수사업과 신라 이래 확충해온 지역 특유의 수리시설이 있었다. 집중호우시 다량의 토사를 경지에 쏟아 부은 다음읍내로 치닫던 곡강 중류구간 북천의 예봉을 꺾기 위한 준 항구적 고안은 1802년에 송림의 형태로 구현된다. 군수이득강이 북천 남안에 조성한 자연친화형 치수방책으로서 현지에서는 북천수라 불린다. 관개에서는 선단에 산재한 천연의 용천이 고대 흥해의 농업을 견인하였으며, 수전농업이 안착하면서 제언을 필두로 마른 하상의 복류수를 경지로 인수하던 봇도랑, 둠벙 등 지하수 활용 설비가 확충된다. 1952년 설립된 흥해수리조합은 용연지를 정점에 둔 용수로, 배수로, 수문, 배수장의 근대 수리관개체계를 등장시키고, 전기보급 이후 대수층의 용수를 끌어올리는 관정, 집수암거, 지하댐, 집수정이 추가됨으로써 전통과 근대가 공존하는 흥해평의 복합 관개경관이 형성된다.

      • KCI등재

        興海地域과 浦項中城里新羅碑

        李泳鎬(Lee Young-ho)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6

        포항중성리신라비는 영일냉수리신라비에 이어 포항 지역에서 20년 만에 발견된 신라 비석이다. 이들은 발견 당시 각기 신라 최고의 비석으로 알려져 세인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여기서는 연대 추정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제1행의 ‘△折盧’를 지절로갈문왕으로, 제2행의 ‘斯德智’를 냉수리비의 사덕지와 같은 인물로 보아, 건립 연대를 501년으로 파악하였다. 포항중성리신라비가 건립된 고대의 흥해지역은 2세기경 신라의 판도 속에 들어갔다. 이후 이 지역은 왜의 잦은 침입을 받게 되었고, 북으로 동해안 일대에 생활 근거지를 갖고 있던 말갈의 침입을 받게 되면서 군사상 중시되었다. 왜는 왕경인 금성을 포위 공격하기도 하였는데, 신라는 이를 신광면에 있는 獨山에서 물리친 일도 있다. 이처럼 흥해지역은 왜나 예, 고구려가 왕경을 침략할 때 거쳐야 할 교통로서 크게 이용되었다. 포항중성리신라비의 내용은 5단락으로 나누어졌다. 이를 통해 왕경의 4부 사람들간에 다툼이 있었고, 왕경 6부명에는 모두 喙이란 접미사가 붙어 있었으며, 왕경과 지방이 후대처럼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 訟事의 대상이 된 宮은 집으로 해석하더라도, 실체는 토지로 파악하였다. 지절로갈문왕의 집권 초 평결을 통해 문제의 토지는 모량부의 경작민들에게 반환되었는데, 모량부는 지도로갈문왕의 비의 출신부였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포항중성리신라비와 영일냉수리신라비가 포항시 흥해읍과 신광면의 인접 지역에서 발견된 이유를 살폈다. 이곳은 왕경과 가까운 지역으로, 왕실이나 귀족들의 토지가 많이 분포하였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그러나 세월의 흐름에 따라 이에 대한 소유권이나 경작권을 둘러싸고 분쟁이 일어났고, 이를 평결한 후 널리 알리기 위해 비를 세웠다고 이해하였다. 그러나 거의 같은 곳에서 연이어 두 비석이 발견된 것은, 이 지역에 왕족이나 귀족들에게 지급된 토지가 집중되어 있었던 결과로 파악하였다. The Silla stele, found at Chungsong-ni (village), Hunghae-up (town), was excavated in twenty years in the P’ohang area, after another stone monument had be enunearthed at Naengsu-ri, Sin’gwang-myon(township), Yongil-gun(county). At the time when these two were found, each of them attracted public attention as the oldest Silla stele. Inferred from the personages, Kalmunwang Chijollo and Sadokji, appeared on the monument, this study surmises that the Chungsong-ni stele might be erected in 501. About the second century A.D., the Hunghae region came to be under jurisdiction of the Silla kingdom. Thereafter, as Silla was invaded by theWae Japanese andMalgal people, the kingdom attached importance to the area for its national defense. In particular, the Japanese, the Ye people, and the Koguryo kingdom made great use of this region as a passage leading to the Silla capital of Kyongju. The stone monument records a judicial case among several pu(district) in the capital. The object of the lawsuit, kung, was farmland, and the verdict rendered on the case decided that the farmland should be returned to cultivators of the Moryang-bu that produced the consort of Kalmunwang Chidoro, then a potentate of the Silla kingdom.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reason why the two Silla monuments were excavated in the adjacent locales. It surmises that the region was close to the capital and therefore included a lot of farmlands belonging to the royalty and the aristocracy. As time passed on, disputes arose over the rights of ownership and cultivation of the lands. The stele was erected to make clear the results of the verdict of the suit.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wo stone monuments were consecutively found in the neighboring area, this study concludes that land allocated to the royalty and the aristocracy was unusually concentrated in this region.

      • KCI우수등재

        포항 흥해지역에서 포항분지의 변형작용사와 2017 포항지진(Mw 5.4) 동시성 지표변형 특성 고찰

        강지훈 한국광물학회 2022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5 No.4

        2017년 11월 15일 Mw 5.4의 포항지진은 흥해지역 지하 약 4 km의 진원 깊이에서 발생하여 포항시에 막대한 피해를 끼쳤다. 포항분지의 중부에 해당하는 흥해지역은 백악기 경상누층군과 백악기 말~고신생기 초 불국사 화성암류를 기반암으로 하여 포항분지 충전물인 신신생기 연일층군이 분포한다. 이 논문에서는 포항분지에서 지각변형물(습곡, 단층, 절리)과 포항지진 동시성 지표변형물(모래화산, 지표균열, 팝업구조)에 대한 구조지질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포항분지의 변형작용사와 포항지진 동시성 지표변형의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연구지역의 지각변형물은 제4기 단층운동 이전까지 적어도 5회의 변형단계를 거쳐 형성되었다: (북)북동 주향에 고각 경사하는 정이동(곡강단층) 단층 형성단계, 연일층군에 광역적으로 인지되는 동-서 방향의 고각 절리와 이에 (준)평행한 단층 형성단계, 동-서 주향에 중각 내지 저각 경사하는 공액상 정이동 단층(흥해단층과 형산단층)과 이에 수반된 동-서 계열의 습곡 형성단계, (역이동성) 좌수향 주향이동의 (북)북서 방향 단층조와 우수향 주향이동의 동-서(북동) 방향 단층조가 고각으로 경사하는 공액상 주향이동 단층 형성단계, 북북동과 북북서 주향에 중각 경사하는 공액상 역이동 단층과 이에 수반된 남-북 계열의 습곡 형성단계. 포항지진 동시성 지표변형물에서 모래화산은 종종 지표균열과 (준)평행한 선상배열을 보인다. 남-북 내지 (북)북동 방향의 팝업구조와 지표균열, 동-서 내지 서북서 방향의 지표균열 등은 포항지진 발생 응력원의 최대수평응력에 의한 지진원 단층의 역이동성 운동과 이에 수반된 상반지괴의 좌굴습곡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러한 구조적 활동은 지진원 단층의 상반지괴에 해당하는 포항시 흥해읍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발생하여 이곳에 막대한 재산 피해를 끼쳤다.

      • KCI등재

        포항中城里新羅碑의 발견과 그 의의

        李文基(Lee Moon-key)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6

        이 논문은 신발견 중성리비의 해석을 시도하고, 내용 및 성격과 건립 연대 문제, 그리고 발견이 가진 의의에 대하여 살펴 본 것이다. 파악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본비는 12행 200여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사를 기준으로 삼으면 5단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둘째, 본비를 통해 사건의 발생에서 비석이 건립되는 진행과정을 재구성해 볼 수 있다. ① 과거에 豆智 沙干支宅[宮]과 日夫智宅[宮]이 흥해지역에 위치한 居伐, 古利村, 那音支村, 珍伐에 사는 주민들을 빼앗은 바가 있었다. ②신사년 무렵에 喙ㆍ沙喙ㆍ牟旦伐喙ㆍ本波喙의 4개 부와 관련을 가진 인물(지방민)들이 4개 촌락의 주민들을 서로 차지하려고 분쟁을 일으켰다. ③이 사실이 중앙에 보고되어 아간지 2명 등 중앙 고위층이 辛巳年 某月에 이 사건을 평결하고, 2명의 나마에게 ‘敎’를 내렸다. ④‘敎’를 받은 2명의 나마는 2명의 奈蘇毒只道使를 使人으로 삼아 평결한 내용을 집행하도록 하였다. ⑤2명의 使人은 그 해(辛巳年)에 居伐, 古利村, 那音支村, 珍伐 등 흥해지역 4개 촌락의 7명의 유력자들에게 ‘령’을 내렸는데, 그 내용은 과거 豆智 沙干支宅과 日夫智宅에서 빼앗았던, 그리고 4개 部가 귀속을 둘러싸고 분쟁을 일으켰던, 흥해지역 4개 촌락에 살고 있는 주민들을 모단벌탁에 귀속시켜 백성으로 만들도록 한 것이었다. ⑥이에 豆智 沙干支의 使人인 果西牟里가 이제 주민들을 다시 돌려주었으므로 차후 異說을 제기하는 자에게는 重罪를 주기를 건의하였다. ⑦이상의 과정을 典書인 ?牟豆가 비에 기록하고, 沙喙의 心刀?가 비를 세우는 일을 마쳤다. 셋째, 중성리비는 흥해지역의 4개 촌락의 주민을 둘러싸고 약탈과 분쟁이 발생하자, ‘敎’와 ‘令’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고, 그 사실을 사건 관련자와 흥해지역 지방민에게 알리기 위해 세워진 것이다. 따라서 본비는 분쟁에 대해 평결ㆍ집행한 내용을 알리기 위한 일종의 ‘布告文’의 성격을 갖는다. 넷째, 중성리비의 건립시기에 대해서는 501년설을 지지하는 견해가 많지만, 그보다 60년 빠른 441년일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이에 건립 연대를 성급하게 501년으로 단정하기보다, 양자의 가능성을 모두 열어 둔 채 차후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다섯째, 중성리비 발견의 의의로는 육부 문제를 비롯한 신라사 연구상의 획기적인 신자료가 될 수 있는 점, 성격이 비슷한 냉수리비와의 공통성을 통해 5~6세기 포항지역과 왕경 사회의 긴밀한 관계를 확인하는 자료가 된다는 점 등을 지적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on the contents and the excavated meanings of the Jungsung-ri's Fundamental Monument at Pohang.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 First, the contents of the Jungsung-ri's Fundamental Monument are recorded the results, after settling a dispute that who have the ownership of people who live in 4 villages in Heonghae district. Second, its character is an official notice that let many people know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events that have been concluded. Third, A.D.441 that the period of construction is more possible than A.D.501. Fourth, the Fundamental Monument would be very important data for the study of the Silla 6-bu as well as the study of the affinity between the capital of the Silla and Heonghae district.

      • KCI등재

        포항 흥해읍 김선이 가창자의 생애와 민요 전승의 역할 연구

        정서은 한국민요학회 2023 한국민요학 Vol.69 No.-

        민요의 현장이 이미 사라져버린 현재,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노력은 직접 소리를 하며 살아왔던 민요 소리꾼들을 만나서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민요에 대한 입체적인 기록을 남기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을 가지고 본고에서는 포항 흥해읍 김선이 가창자의 생애를 살펴보고 가창자로서의 특징과 현대적 역할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김선이 가창자는 구룡포에서 태어나고 흥해읍에서 성장해 생활하면서 매시기마다 자신의 삶에 적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민요를 습득하고 향유한 인물이다. 유년기에는 동요를 부르고 육아요를 어깨 넘어 들으며 자랐고, 10대 때는 직접 어린 여성들이 놀이를 하며 부르는 노래를 온몸으로 체득하며 즐겼다. 성인이 될 무렵에는 때마침 좋은 소리꾼을 만나 주요 노동의 현장에서 직접 소리 주체가 되어 주도적인 가창을 할 수 있었고, 지속적인 유희의 상황에서 민요를 반복 구연하여 기억을 유지하였다. 60대가 될 때까지 다양한 종류의 민요가 그의 생활에서 떠나지 않고 살아있었던 것이다. 전 생애에 걸쳐 민요를 습득하는 과정이 매우 온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녀의 삶에서 민요는 생활의 기능, 정서 순화의 기능, 사회적 인정과 자아 존중의 기능을 했고, 현재에 이르러서는 지역 전통문화 전승자의 기능까지 더해져 민요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풍요로운 삶을 살았다. 더욱 주목할 것은 현장을 경험한 가창자가 현재에도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미치며 민요 전승에 기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김선이 가창자는 집단적 전승력을 가지는 동시에 개인적 창조력을 지닌 인물이며 민요 전달자이면서 60여 년의 북송리 역사를 담아내는 산 증인으로, 보존회의 중심을 잡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며 현재도 자신의 소리 인생을 지속하고 있다. Now that the scene of folk songs has already disappeared, the best effort we can make is to meet and continuously investigate folk singers who have lived in direct sound and record three-dimensional records of folk songs. With that purpose,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life of Kim Seon-i, Heunghae-eup, Pohang, and discuss his characteristics and modern roles as a singer. Kim Sun-i is a singer who was born in Guryongpo, grew up in Heunghae-eup, and learned and enjoyed various kinds of folk songs applied to his life every time. In childhood, he grew up singing children's songs and listening to parenting songs over his shoulders, and in his teens, he enjoyed the songs that young women sang while playing. By the time he became an adult, he was able to meet a good singer and sing a leading song directly in the field of major labor, and he kept his memory by repeatedly narrating folk songs in the situation of continuous play. Until his 60s, various kinds of folk songs were alive without leaving his lif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acquiring folk songs throughout life was very complete. In her life, folk songs served as a function of life, emotional purification, social recognition, and self-respect, and now, they have lived a prosperous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folk songs by adding the function of local traditional culture transmitters. More noteworthy is the fact that singers who have experienced the field still influence the local community and contribute to the transmission of folk songs. In other words, Kim Sun-yi's singer is a person with collective transmission and individual creativity, a folk song messenger, and a living witness who captures the history of Buksong-ri for over 60 years, and plays a big role in taking the center of the preservation society and continues his sound life.

      • KCI등재

        농수 최천익의 詩에 나타난 交遊 양상

        조해훈 대동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1 No.-

        18세기에 경상도 興海지역에서 鄕吏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詩才가 뛰어난 農叟崔天翼(1712∼1779)은 진사시에 합격한 후 고향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시를 지었다. 바다와 가까운 궁벽한 시골에서 생활하였지만 그는 교유에 아주 적극적이었는데, 이는 자신이 창작하는 시의 지평을 넓히고 詩作에 도움을 받기 위함이었다. 가까운 경주지역만 하여도 문사들이 여럿 있었으나, 흥해에서는 유일하다시피 한 시인이었으므로 향리에 묻혀서 시를 짓기만 하면 그야말로 拙詩만 양산하지 않을까라는 우려가 컸던 것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이유는 비록 자신의 신분이 중인이지만 아무나 합격할 수 없는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시까지 잘 짓는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자부심도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자신이 살고 있는 고을 및 인근지역에 부임해온 관리들과 경주와 울산 등지의 문사들, 그리고 내연산 보경사의 암자에 기거하는 승려 등 많은 사람들과 시와 편지 등을 주고받으며 교유를 하였다. 그의 일생은 이러한 교유 관계 속에 씨줄과 날줄처럼 얽혀 있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그의 시가 더욱 융숭할 수 있었던 것이다. Heunghae(興海) in the region is Nong-Su(農叟) Choi, Cheon Ik(崔天翼, 1712∼1779) from local officials he was the son of the talent to write a poem is excellent. He passed the Jinsha(進士)-examination after teaching the students in her hometown and built a poetry. Nong-Su lived in an out-of-the-way place, but he was very active in social intercourse. It is helping to write a poem and broaden the horizons to create their own strategy for receiving, or devices. Heunghae area where he write poems only brimming, so poets buried in his hometown in the poetry with a lower level of concern they can build what was big. Another reason is pride was huge progress. It is his Jinsha-examination pass and to write the poetry well. He was appointed officials to come to town and nearby areas and race and living in Ulsan(울산) and other places, poets, and Naeyeonsan(내연산) of sheltering at a temple priests and many others and played his poetry and social intercourse and send and receive letters. His life was full of these intertwined with that, like a line of latitude and longitude on the association can be seen. Through this, his poetry more deep.

      • KCI등재

        심도변화에 따른 흥해지역 지하수의 수리 지화학적 특성

        윤욱 ( Uk Yun ),조병욱 ( Byong Wook Cho ) 대한지질공학회 2005 지질공학 Vol.15 No.4

        포항시 흥해읍 일대 지하수의 수리지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표수, 천부지하수 및 중간심도 와 심부 지하수를 대상으로 수질 및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심도별 수질 유형은 지표수 및 천부지하수는 Ca-Cl, 중간 심도는 Na-HCO3, 심부지하수는 Na-Cl형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HCO3- 및 SiO2의 기원은 천부 지하수의 경우 규산염광물의 풍화에서, 심부 지하수는 탄산염 광물의 풍화에서 생성되었다. Ca 및 Mg 이온은 천부 및 심부 모두 석회석 및 백운석에서 기인한다. 천부 지하수의 SO42- 기원은 황철석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심도의 증가에 따라 pH 및 TDS는 증가하나, Eh 및 DO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알카리 금속(K, Na, Li)은 심부로 갈수록 농도가 증가하나, 알카리 토금속(Mg, Ca) 및 Al은 천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음이온인 할로겐 원소(F, Cl, Br) 및 HCO3-의 농도도 심부로 갈수록 증가함을 보인다. 산소 및 수소 안정동위원소 평균값은 심부 지하수는 평균값:δ18O=-10.1 ‰, δD=-65.8 ‰, 중간심도는 평균값:δ18O=-8.9 ‰, δD=-59.6 ‰, 천부 지하수는 평균값:δ18O=-8.0 ‰, δD=-53.6 ‰, 지표수는 평균값:δ18O=-7.9 ‰, δD=-53.3 ‰의 값을 각각 보인다. Chemical and isotopic analysis for stream water, shallow groundwater, intermediate groundwater and deep groundwater was carried out to grasp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the Heunghae area, Pohang city. Water type of stream water and shallow groundwaters is typified as Ca-Cl type, intermediate groundwater is Na-HCO3, and deep groundwater is prominent in Na-Cl type. HCO3- and SiO2 in shallow groundwater are originated from weathering of silicate minerals, whereas those of deep groundwaters are resulted from weathering of carbonate minerals. Ca and Mg ions in both shallow and deep groundwaters are resulted from weathering of calcite and dolomite. SO42- in shallow groundwater is originated mainly from pyrite oxidation. As well depth increases, pH and TDS increase, but Eh and DO decrease. Alkali metal contents(K, Na, Li) increases as well depth increases, but alkali earth metal(Mg, Ca) and Al concentrations increase as well depth decreases. Anions, halogen elements(F, Cl, Br), and HCO3 contents increase as well depth increases. The average stable isotope value of the groundwater of each depth is as follows; deep groundwater:δ18O=-10.1 ‰, δD=-65.8 ‰, intermediate groundwater:δ18O=-8.9 ‰, δD=-59.6 ‰, shallow groundwater:δ18O=-8.0 ‰, δD=-53.6 ‰, surface water:δ18O=-7.9 ‰, δD=-53.3 ‰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