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청소년기 특발성 흉추 측만증에서 경추부 및 흉추부 시상면 만곡

        김성수,김진혁,임동주,정창원,박신승,석세일 대한척추외과학회 200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6 No.3

        Study Design: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analyze and compare the cervical and thoracic sagittal curves between normal adolescents and patients with thoracic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A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no reports on cervical sagittal curves and its correlation with thoracic sagittal curves in AIS. Materials and Methods: The sagittal curves were analyzed in normal adolescents (N-adol group, n=23) and patients with thoracic AIS (AIS group, n=26) who had thoracic curves ≥ 45˚. Lateral standing radiographs of the cervical spine with a elbow straight and the whole spine with the hands on the clavicles were taken. The sagittal curves and balance were measured in the following segments; C2-C7, T2-T5, T5-12, T2-12, T12-S1. Cervical lordosis (C2-C7) was measured in both cervical spine radiographs and whole spine radiographs. Results: In the N-adol group, the cervical lordosis was 9.2±14.6˚in the cervical spine radiographs and -0.6±12.9˚(‘-’ means kyphosis) in whole spine radiographs. In the AIS group, cervical lordosis was -5.0±12.9˚in the cervical radiographs and -8.1± 12.7˚in the whole radiographs. The AIS group had significantly less cervical lordosis than the N-adol group. Thoracic kyphosis of T5-12 and T2-12 was 24.1±10.6˚and 38.9±13.1˚in the N-adol group, respectively, and 17.8±9.4˚and 30.1±11.8˚in the AIS group,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s<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oracic kyphosis of T2-T5, lumbar lordosis and sagittal balance between the two groups (Ps>0.05). In the AIS group, the cervical lordosis measured in the cervical spine radiograph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oracic kyphosis of T2-5 (r=0.50, P=0.009) and T2-12 (r=0.57, P=0.003). Conclusions: AIS patients had significantly less cervical lordosis and thoracic kyphosis than normal adolescents. Decreased cervical lordosis in AI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ir relative thoracic hypokyphosis. 연구계획: 전향적 연구 연구목적: 정상 청소년과 청소년기 특발성 흉추 측만증을 가진 환자의 경추부 및 흉추부 시상면 만곡을 방사선학적 으로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 청소년 23명(정상군)과 45도 이상의 흉추 측만증을 가진 청소년기 특발성 흉추 측만증 환자 26 명(측만군)의 시상면 만곡을 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모든 대상군은 기립성 전척추 측면 사진과 경추부 측면 사진을 촬영하였는데, 전척추 측면 사진은 완관절을 굴곡하여 주먹을 쇄골에 붙인 상태에서 촬영하였고 경추부 측면 사진 은 완관절이 신전된 상태에서 촬영하였다. 전척추 측면 사진으로 경추 전만(C2-7), 흉추 후만(T2-5, T5-12, T2-12), 요 추 전만(T12-S1)과 시상면 균형을 측정하였으며, 경추부 측면 사진으로 경추 전만(C2-7)을 측정하여 두 군을 비교하 였다. 결과: 정상군의 경추 전만(C2-7)은 경추부 측면 사진에서 9.2±14.6도로, 전척추 측면 사진에서 -0.6±12.9도‘( -’는 후 만을 의미함)로 측정되었고, 측만군의 경추 전만은 경추부 측면 사진에서 -5.0±12.9도로, 전척추 측면 사진에서 -8.1 ±12.7도로 측정되었다. 두 개의 측면 사진에서 측정된 경추 전만은 정상군에 비해 측만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s<0.05). T5-12와 T2-12의 흉추 후만은 정상군에서 24.1±10.6도와 38.9±13.1도로, 측만군에서 17.8±9.4도와 30.1 ±11.8도로 각각 측정되어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s<0.05). T2-5의 흉추 후만, 요추 전만 및 시상면 균형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Ps>0.05). 측만군의 경추부 측면 사진에서 측정된 경추 전만은 T2-5의 흉추 후만(r=0.50, P=0.009) 및 T2-12의 흉추 후만(r=0.57, P=0.003)과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 청소년기 특발성 흉추 측만증 환자는 정상 청소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된 경추 전만과 흉추 후만을 가지며, 감소된 경추 전만은 그들의 상대적인 흉추 저후만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 KCI등재

        흉추 척추경 나사못 삽입 시 흉추 후궁판 영양동맥 혈관공의 유용성

        양준영(Jun-Young Yang),이준규(June-Kyu Lee),송호섭(Ho-Sup S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6

        목적: 흉추 척추경 나사못 삽입 시 흉추 후궁판 영양 동맥 혈관공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7구의 사체를 이용하여 제4흉추에서 제8흉추까지 흉추의 하단 후궁판의 일부를 절제하여 혈관공을 확인하였다. 우측은 혈관공에 수직으로 좌측은 미부 쪽으로 10도의 각도를 주어 2 ㎜ steinnman pin을 삽입한 후 단순 방사선 검사와 CT를 실시하여 삽입된 핀과 척추경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혈관공은 44 (63%, 44/70) 부위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중 우측에서 31 (70%, 31/44) 부위에서 존재하였다. 모든 핀은 척추경내에 삽입되었다. 측면 사진상 제4, 5흉추에서 우측 핀은 상부 종판을 따라 삽입되었으며, 좌측 핀은 추체 내에 삽입되었다. 제6, 7, 8흉추에서 우측 핀은 상부종판 하부에 삽입되었으며, 좌측핀은 추체의 하부에 삽입되었다. 전산단층촬영을 분석하여 본 결과, 인체에서 사용되는 척추경 나사못의 굵기를 고려한다면 제4, 5, 6, 7흉추는 최대 17도까지 내측화(medialization)가 가능하나 제8흉추는 5도 이내가 안전하다. 결론: 흉추 영양 동맥 혈관공은 척추경 나사못 삽입 시 임상적 유용성이 있는 해부학적 지표로 생각된다. Purpose : To determine the utility of the nutrient foramen on the lamina in thoracic pedicle screw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utrient foramina on the lamina from 4th to 8th thoracic vertebra after partial laminectomy of 7 cadaveric spines. A 2 ㎜ steinmann pin was inserted as follows: Vertical insertion on the right nutrient foramen and a 10 degree caudad on the left nutrient foramen. Radiographs and CT were obtaine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teinmann pin and pedicle were analyzed. Results : There were 44 nutrient foramens (63%). Among them, 31 nutrient foramens (70%, 31/44) were on the right. On the lateral radiograph, the right pins were inserted to the upper end plate and the left pins were inserted within the vertebral body in T4 and T5. In T6, 7 and 8, the right pins were inserted lower than the upper end plate, and the left pins were inser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ebral body. On the CT axial scan, medialization to 17 degrees from T4 to T7 and 5 degrees in T8 from the nutrient foramen was possible when the size of pedicle screw for humans is considered. Conclusion : The nutrient foramens on the lamina of thoracic vertebra are useful for inserting the thoracic pedicle screw.

      • KCI등재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을 이용한 한국인의 흉추 측만증 유병률

        장동균,김강언,석세일,임동주,오인택,남기열,김진혁,김영훈,하기용 대한척추외과학회 201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6 No.2

        연구 계획: 한국인에서 우연히 발견된 무증상 흉추 측만증의 연령에 따른 유병률과 특성을 단순 흉부방사선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목적: 향후 흉추 측만증의 연구와 치료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국내를 포함한 동양 인구에서의 흉추 측만증의 유병률을 조사한 논문은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8월 30일 부터 2012년 10월 31일까지 본 병원에서 단순 흉부 방사선 사진을 촬영을 시행했던 80세 미만 환자의 방사선 사진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흉추 측만증의 기준은 만곡의 첨부가 흉추부 내에 위치하고 Cobbs씨 방법에 의한 만곡각이 10° 이상으로 하였다. 촬영 당시의 연령을 기준으로 10세 미만(0-9세), 10대(10-19세), 20대(20-29세), 30대(30-39세), 40대(40-49세), 50대(50-59세), 60대(60-69세), 70대(70-79세)로 나누어연령군 간 흉추 측만증의 유병률과 만곡의 크기를 알아 보았고 남녀 및 좌우 만곡의 빈도, 주만곡 내의 척추 수, 첨부 척추의 위치, Nash & Moe 방법으로측정한 추체 회전, 그리고 골극 유무와 골극 형성 부위를 조사하였다. 또한 남녀간, 좌우 만곡간 만곡의 크기 차이를 함께 확인하였다. 결과: 총 26125명 중 흉추 측만증의 유병률은 2.4%(621명)이었고, 남성보다(1.8%, 246/13654), 여성에서(3.0%, 375/12471) 유병률이 더 높았다(p<0.001). 우측 만곡은 445명에서, 좌측 만곡은 176명에서 나타났다. 연령별 유병률 및 만곡각은 10세 미만에서 1.1%(14.2°±3.2°), 10대에서2.3%(17.4°±7.7°), 20대에서 2.5%(17.0°±8.9°), 30대에서 1.9%(15.8°±5.9°), 40대에서 1.3%(15.5°±6.6°), 50대에서 2.1%(18.0°±13.6°), 60대에서2.9%(14.3°±3.6°), 70대에서 6.1%(16.2°±4.8°)이었다. 흉추 측만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평균 만곡각은 16.0°±7.0°였고 10-19°가 533명, 20-29°가 64 명, 30-39°가 11명, 40° 이상이 13명이었다. 성별에 따른 만곡각은 남성 15.4°±7.1°, 여성 16.8°±7.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한국인의 연령별 흉추 측만증의 유병률 및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흉추 측만증의 연구와 치료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는 기초 자료로의 활용을 기대한다. 제목: 한국인의 흉추측만증 유병률 Study Design: A cross-sectional study. Objectives: To provide reference data for the study and treatment of thoracic scolio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have been no reports on the prevalence of thoracic scoliosi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From August 2011 to October 2012, radiographs of patients under 80 years of age who underwent routine chest radiograph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ased on their age when the chest radiographs were obtain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8 groups. The prevalence and angle of the curve of thoracic scoliosis were investigated in each age group, and the prevalence of thoracic scoliosis according to sex, the direction of the curve, number of vertebrae in the major curve, the location and rotation of the apical vertebrae, and osteophyte location were examined. Results: The prevalence of thoracic scoliosis was 2.4% (621 patients), and female patients (3.0%, 375 of 12471) showed a higher prevalence than male patients (1.8%, 246 of 13654) (p<0.001). Right curvature was present in 445 patients and left curvature in 176 patients. In each age group, the prevalence and degree of thoracic scoliosis were 1.1% (14.2°±3.2°), 2.3% (17.4°±7.7°), 2.5% (17.0°±8.9°), 1.9% (15.8°±5.9°), 1.3% (15.5°±6.6°), 2.1% (18.0°±13.6°), 2.9% (14.3°±3.6°), and 6.1% (16.2°±4.8°), respectively. The mean curvature in all scoliosis patients was 16.0°±7.0°. The angle of the curv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 (15.4°±7.1° for males, 16.8°±7.6° for females). The average curve angle of patients with thoracic scoliosis was 16.0°±7.0°, among whom it was 10°-20° in 533 patients, 20°- 30° in 64, 30°-40° in 11, and over 40° in 13. Conclusions: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for the study and treatment of thoracic scoliosis. Key Words: Scoliosis, Thoracic vertebrae, Prevalence

      • KCI등재

        확장형 요추부 자기 공명 영상 검사에서 발견된 동반 하부 흉추 병증

        정재윤,임지현,서형연,김하성,김도연 대한척추외과학회 2012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9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the concurrent lower thoracic lesions in patients who have a lumbar spine disease, using the extended lumbar MRI.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no studies regarding the concurrent thoracic lesions with lumbar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All the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OPD) of orthopaedic surgery in our hospital and underwent lumbar spine MRI, were studied during 1 year. Totally, 750 patients were included. The extended lumbar spine MRI contained additional extended T2-weighted sagittal images that cover the lower thoracic vertebrae with 35 centimeters long. We analyzed the highest observable level, characteristics of detected thoracic lesions. Those les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compression of the spinal cord and investigation for associated factors of patients. Also, the times for additional tests were measured. Results: Additional tests were able to observe up to the 7th thoracic vertebrae. In 257 cases (34.3%), the lower thoracic lesions were detected and increased with aging (p<0.001). A total of 48 patients (6%) had the lesion compressing the spinal cord and 28 patients needed further evaluation for the lower thoracic lesion. Further, 2 cases were treated surgically for lower thoracic lesions. Scanning extra time for additional test were 3 minutes.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lower thoracic lesions accompanied with the lumbar disease was 34% in this study. Therefore, additional extended lumbar spine MRI is needed to check possible concurrent lesions in the lower thoracic spine.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요추부 병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확장형의 요추부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하여, 동반된 하부 흉추의 유병률과 관련 인자들을 알아보고자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요추부 병증과 동반된 하부 흉추 병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보고 되지 않았다. 대상 및 방법: 1 년 동안 본원 정형외과 외래에 방문하여 요추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모든 환자 756 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확장형 요추부 자기공명 영상 검사는 하부 흉추가 포함되는 35 cm의 높이의 T2 강조 시상면 영상을 촬영하였다. 관찰 가능한 하부 흉추의 범위 확인 및 발견된 병변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척수를 압박하는 정도에 따라 분류하고 환자의 관련 요인을 조사하였다. 또한 추가 검사에 걸리는 시간을 측정 하였다. 결과: 검사 결과 평균적으로 제 7 흉추까지 관찰 가능하였다. 동반된 하부 흉추 병변이 관찰된 경우는 257 예(34.3%) 였고, 연령대에 따라 비례하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동반 병변 중에서도 척수를 압박하는 병변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48 예(6%) 였다. 그리고 발견된 하부 흉추의 동반 병변에 대하여 추가 정밀 검사를 받은 경우는 28 예, 수술적 치료를 받은 경우는 2 예였다. 추가 촬영 시간은 3 분이 더 소요되었다. 결론: 요추부 병증에 동반된 하부 흉추의 유병률은 34%였다. 따라서 확장형 요추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하여, 동반된 하부 흉추 병변을 확인하는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청년군과 고령군의 시상면상 흉추 및 흉요추 만곡의 비교

        강규복(Gyu-Bok Kang),안영준(Young-Joon Ahn),김용정(Yongjung J. Kim),김영배(Youngbae B. Kim),고영록(Young-Rok K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1

        목적: 흉추 후만은 연령 변화에 따른 시상면상 균형과 수술의 범위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이다. 그러나 이의 세부 변화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없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26명의 척추와 하지의 질환이나 수술 등의 과거력이 없는 정상 성인 남성들을 연령에 따라 1군(평균, 21.2±1.7세) 및 2군(평균, 64.1±6.4세)으로 나누고 기립 측면 촬영에서 시상면상 척추 골반 지표들을 측정하였다. 흉추 및 흉요추 후만은 A (제7경추-제5흉추), B (제5-10흉추), C (제10-12흉추) 및 D (제12흉추-제2요추)의 4개 구간으로 세분하였다. 결과: 2군에서 흉추 후만각(21.1°±7.7° vs. 30.0°±8.8°, p<0.001), B구간(15.8°±6.1° vs. 18.1°±7.9°, p=0.003) 및 C구간(5.3°±5.1° vs. 11.8°±6.5°, p<0.001) 등이 증가하였다. A구간(12.1°±6.4° vs. 9.8°±6.4°, p=0.001)에서는 1군에서 큰 값을 보였다. D구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흉추 후만의 증가는 고령군에서 중, 하부 흉추에서 증가를 보였다. 이는 청년군과 고령군의 정상 척추 해부학의 이해와 수술적 치료에 대한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Purpose: Little is known with respect to changes in the segmental thoracic and thoracolumbar kyphosis, which are major parameters influencing sagittal balance of the spine.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detailed segmental changes of those parameters by ageing.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26 normal asymptomatic males were divided into 2 groups; group 1 (mean age, 21.2±1.7; n=175) and group 2 (mean age, 64.1±6.4; n=151). After taking a standing sagittal radiograph, the sagittal spinal and pelvic parameters were measured. Thoracic and thoracolumbar kyphosi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segments A, C7 UEP (upper end vertebra)–T5 UEP; B, T5 UEP–T10 UEP; C, T10 UEP–T12 LEP (lower end vertebra); and D, (T12 LEP–L2 LEP), and analyzed between 2 groups, respectively. Results: Thoracic kyphosis (21.1°±7.7° vs. 30.0°±8.8°, p<0.001), segment B (15.8°±6.1o vs. 18.1°±7.9°, p=0.003), and segment C (5.3°±5.1° vs. 11.8o±6.5°, p<0.001) were increased in group 2. In group 2 segment A showed decreased kyphosis (12.1°±6.4° vs. 9.8°±6.4°, p=0.001). In segment 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groups. Conclusion: Increased thoracic kyphosis was observed in the middle and lower thoracic regions. The authors provided important references of sagittal parameters to determine the expected ranges of kyphosis for a normal asymptomatic male of a given age.

      • KCI등재

        고령의 퇴행성 요추 측만증 환자에서 동반된 흉추 척수증

        양준영(Jun-Young Yang),이준규(June-Kyu Lee),이준호(Jun-Ho Lee),송호섭(Ho-Sup S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4

        목적: 퇴행성 요추 측만증과 동반된 흉추 척수증의 특징적 증상과 효과적인 치료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0도 이상의 퇴행성 요추부 측만증이 있고 흉추에 수술을 시행한 7예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과 방사선 검사를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연구하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32.3개월이었다. 평균 연령은 65.3세(범위, 61-82세)였고 남자가 4예, 여자가 3예였다. 대상 환자 중 5예는 본원 내원전 요추부에 후궁판 절제술, 요추부 유합술 등을 시행 받았다. 환자의 병력, 이학적 검사, 증상의 기간, 자기공명영상, 수술 방법 등을 평가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이용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고관절 굴곡력의 감소 및 강직성 보행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으며, 다양한 정도의 방사통과 둔부 통증을 호소하였다. 모든 예에서 병적 반사는 없었으나 운동과 감각 신경의 장애가 다양한 정도로 관찰되었다.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상 제5-6 흉추(1예), 제6-7 흉추(1예), 제8-9 흉추(2예), 제9-10 흉추(1예), 제9-12 흉추(1예), 제10-12 흉추(1예)에서 추간판 돌출이 관찰되었다. 4예에서 전방 도달법을 이용한 단순감압술을 시행하였고, 3예에서는 감압술과 후방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ODI는 평균 28.6점(범위, 25-34)에서, 수술 후 최종 추시상 평균 12.3점(범위, 10-15)으로 호전되었다. 결론: 퇴행성 요추 측만증과 동반된 흉추 척수증은 매우 드문 질환이지만 보행 장애가 특징적인 증상으로 단순 퇴행성 요추 측만증의 증상과 감별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법과 치료 부위를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clinical findings and effective management of thoracic myelopathy combined with degenerative lumbar scoliosis. Material and Methods : Seven cases with degenerative lumbar scoliosis of more than 10 degrees and underwent surgery on the thoracic spine were retrospectively studied through a chart review and the radiological finding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2.3 months. The average age was 65.3 years (range, 61-82 years), and there were 4 males and 3 females. 5 cases underwent a lumbar laminectomy with or without fusion prior to admission. The patients were evaluated through their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period of symptoms, MRI findings and surgical methods. A clinical evalua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Results : All cases had decreased hip flexion and a spastic gait, along with various degrees of radiating pain and buttock pain. No case had pathological reflexes but various degrees of motor and sensory disturbances were observed. The preoperative MRI findings showed herniated discs at the level of T5-6 (1 case), T6-7 (1 case), T8-9 (2 cases), T9-10 (1 case), T9-12 (1 case) and T10-12 (1 case). Decompression through the anterior approach was carried out on 4 cases, and decompression and posterior fusion was carried out on 3 cases. The average preoperative ODI was 28.6 points (range, 25-34) and improved to 12.3 points (range, 10-15), respectively at the final follow-up. Conclusion : Although thoracic myelopathy combined with degenerative lumbar scoliosis is a rare disease, pathognomonic symptoms such as gait disturbances highlight the need for considering the appropriate management and surgical level through a differential diagnosis with simple degenerative lumbar scoliosis.

      • Surgical Considerations in Posterior Stabilization of the Cervicothoracic Junction

        Kim, Jin wook,Jeong, Ju Ho,Park, Yong Seok,Lee, Kyu Chun,Lee, Young Bae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6 東國醫學 Vol.13 No.2

        경흉추 이행부위는 유안한 경추부와 견고한 흉추부가 만나는 부위로서, 척추의 여러 부위 중에서 복합적이고 수술로 고정하기가 까다로운 부위이다. 후방 나사못 고정술을 할 때, 나사못의 크기와 고정 방향이 경추부와 흉추부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어려운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경흉추 이행부위의 척추골 손상에 대한 치료 방법과 치료결과에 대해 임상적으로 고찰하였다. 동국대학병원 신경외과에서 2004년 1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경추-흉추 이행 부위의 척추골융합술을 시행한 3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2명은 안정하게 골융합이 되었고, 1명은 후방으로 수술적 정복과 후방고정을 실시한 후 악 1개월만에 동반된 급성호흡부전증후군으로 사망하였다. 경흉추 이행부위는 360도 골융합술을 실시해야 한다. 후방 고정의 경우, 경추 3-6번은 외측괴 나사못으로 고정하고, 경 추 7번 이하는 척추경 나사못으로 고정해야 한다. 후방고정시 고정할 기구에 대한 장단점 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수술하는 경우, 예기치 못한 기구 설치의 제한과 과도한 수술시 간의 연장이 발행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경흉추 이행부위의 나사못 삽입과 금속막대의 연결에 대한 충분한 기술적 이해가 필요하다. Cervicothoracic junction is where the mobile lordotic cervical spine joins the rigid kyphotic thoracic spine. It is a complex potentially unstable anatomic site with unique biomechanical properti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posterior stabilization of the cervicothoracic junction. Three patients who underwent cervicothoracic arthrodesis were reviewed from November 2004 to July 2006. The authors have tried anterior and posterior fusion after neural decompression and reduction. Two patients have been stabilized at cervicothoracic junction but one elder patient expired only after posterior reduction and stabilization because of the complications by associated injuries. In conclusion, posterior instrumentation is difficult at the cervicothoracic junction. Lateral mass fixation can be considered for C3-C6 and pedicle screw fixation can be considered for caudal to C6. In assembling a cervicothoracic construct, one must take into account that the offset between the laterally directed lateral mass screws and the medially directed pedicle screws. Further, a full understanding of the advantage and disadvantages of the potential instrumentation systems helps in avoiding unanticipated instrumentation limitations and prolonged operative times.

      • KCI등재

        흉추부 초음파 유도하 중재술

        문상호(Sang Ho Moon),이송(Song Lee),이재일(Jae Il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2

        흉추부 통증은 실제로 요추나 경추보다는 유병률이 적으나 그래도 13%에서 15%까지 보고하고 있으며 만성 혹은 극심한 통증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이러한 환자들에게 흉추부 중재술이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으나 기흉을 만들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쉽게 시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방사선 투시기하 시술이 정확한 방법이라지만 기흉을 막을 수는 없다. 최근에는 그 대안으로서 흉추부 초음파 유도하 중재술이 시행되고 있는데, 초음파는 늑막에 싸여 있는 폐를 보면서 시술할 수 있으며 도플러를 이용하여 주요혈관 구조물들의 위치를 관찰하면서 폐와 혈관을 찌르지 않고 시행할 수 있다는 중요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방사선 투시기와 비교하여도 초음파는 금기 적응증이 없으며 방사선 피폭이 없고 신경혈관 및 연부조직을 직접 보면서 실시간으로 동영상하에서 바늘이 목표물까지 삽입되기까지의 모든 경로를 관찰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술기이다. 그리하여 저자들은 실시간 초음파 유도하라는 술기가 흉추부 중재술에서 얼마나 유용한가에 대해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Even though thoracic spinal pain may be less common than low back and neck pain, the prevalence of thoracic pain in the general population is 13% to 15% in the literature and it can be as disabling as lumbar or cervical pain. Although thoracic interventions have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t is rarely performed due to concerns of creating iatrogenic pneumothorax. Fluoroscopy-guided interventions are more accurate procedures than blind technique but still cannot prevent pneumothorax. In recent reports in the literature, use of ultrasound-guided interventions minimized the risk of pneumothorax and vascular puncture because ultrasound can visualize lung with pleura and also detect vascular structures by Doppler scan. Compared with fluoroscopy, ultrasound imaging has no known contraindications, produces no ionizing radiation, enables direct visualization of neurovascular and soft tissue structures, and provides real-time visualization of needle passage toward the intended target. We therefore conducted a review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performing thoracic interventions under real-time ultrasound guidance.

      • KCI등재

        폼롤러와 리커버링을 이용한 자가근막이완에 따른 흉추 가동성, 요통 그리고 삶의 질 변화

        이유나,최현수,이태현,이성노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3개월 이상 만성 허리통증을 겪고 있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폼롤러와 리커버링을 이용한 자가근 막이완 운동이 사무직 근로자의 통증 해소 및 흉추 유연성 및 가동성 회복과 기능향상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및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이를 위해 폼롤러 그룹(13명), 리커버링 그룹(13명)으로 나누어 VAS, ODI, 삶의 질, 흉추 가동 성(ROM), 유연성을 측정 및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VAS, ODI는 운동 기간이 증가할수록 리커버링과 폼롤러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삶의 질은 운동 기간이 증가할수록 리커버링과 폼롤러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절가동범위 측정에서 Thoracic flexion, Thoracic rotation(L, R), 유연성 은 운동 기간이 증가할수록 리커버링과 폼롤러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만성 허리 통증이 있는 사무직 근로자에게 소도구인 폼롤러와 리커버링을 이용해 자가근막이완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허리통증과 흉추 관절 가동범위 향상 및 기능적 요통 장애의 감소에 폼롤러와 리커버링 모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흉추 가동성범위 향상에는 통증유발점와 속근육을 자극⋅이완 시키는 리커버링이 폼롤러보다 유의하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 나 소도구 이용에서 리커버링의 활용을 하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exercise of self-fascia relaxation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by using foam roller and recovering to relieve pain, restore thoracic spine flexibility and mobility, and enhance the function in office workers suffering from chronic back pain for more than 3 months. We divided groups into two, one using foam roller(13 subjects), and the other using recovering(13 subjects), measured and analyzed VAS, ODI, quality of life, thoracic spine mobility(ROM), flexibility, and drew several conclusions. First, VAS, ODI all decreased meaningfully in both recovering and foam roller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exercise period. Second, quality of life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recovering and foam roller as exercise period rises. Third, on measurement in joint range of motion, as exercise period increases, Thoracic flexion, Thoraic rotation(L, R), flexibility all increased tangibly in both recovering and foam roller. To sum up our research conclusions, when we apply the self-fascia relaxation using foam roller and recovering to office working suffering chronic back pain, they all show positive effects on back pain, thoracic spine mobility improvement and decrease of functional waist pain disabilities. Also, in improving thoracic spine mobility, recovering shows better result than foam roller in stimulating and releasing trigger point and fast muscle, so it would be reasonable to use more recovering in implementation of pro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