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회계법인별 감사보수 수준과 감사품질

        박선영,선우혜정 한국회계학회 2022 회계학연구 Vol.47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small and medium auditors’ (audit firms’) audit pricing policy and audit quality.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uditors that charge high audit fees on average are likely to provide high- or low-quality audit service to their clients, compared with other auditors that do not charge high audit fees on average. If high audit fees enable the auditors to retain enough resources, such as recruiting and retaining high-quality personnel, it is likely that the auditors provide high-quality audit service. In contrast, if clients pay high audit fees in return for impaired auditor independence, the audit quality is expected to be lower. Empirical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uditors with high pricing policy tends to provide low-quality audit services, compared with auditors with low pricing policy. Second, for auditors with high pricing policy, we find that the auditors provide equally low-quality services to clients that pay relatively low audit fees, compared with other clients that pay relatively high audit fees. Third, for auditors with low pricing policy, we find that the auditors provide equally high-quality services to clients that pay relatively high audit fees, compared with other clients that pay relatively low audit fees. In su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mall and medium auditors maintain a similar level of audit quality at the auditor-level, regardless of the level of audit fees of individual audit clients. Considering that prior studies rarely look into audit quality at the auditor-level, these finding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into the determinants of audit quality. 본 연구에서는 중소형 회계법인(즉 non-Big4)들을 대상으로 회계법인별 감사보수 수준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감사보수의 결정요인을 고려할 때, 피감기업으로부터 평균적으로 높(낮)은 감사보수를 지급받는 고(저)가격정책을 가진 회계법인의 감사품질이 그렇지 않은 회계법인들과 다른지를 살펴본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전반적으로 고가격정책을 가진 회계법인이 감사한 피감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이 저가격정책을 가진 회계법인이 감사한 피감기업의 재량적 발생액보다 높았다. 즉 고가격정책을 가진 회계법인들이 감사한 피감기업들이 이익의 상향조정 수준을 늘리거나 하향조정 수준을 낮추는 현상이 발견되었는데, 고가격정책을 가진 회계법인이 이를 용인한다는 의미에서 감사품질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상대적으로 고(저)가격정책을 가진 회계법인은 특정 피감기업의 감사보수가 평균적인 수준보다 낮(높)은 경우에도 해당 피감기업의 이익조정 수준은 다른 피감기업들과 차이가 없었다. 이런 결과를 종합하면, 평균적으로 피감기업들로부터 매우 높은 보수를 받는 회계법인은 감사품질을 희생한 대가로 높은 보수를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회계법인은 감사보수가 낮은 다른 피감기업을 감사할 때도 유사한 낮은 품질의 감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감사품질이 회계법인별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피감기업별 감사품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는 것을 고려하면, 본 연구의 발견은 회계실무계 및 규제기관 등에 여러 시사점을 준다.

      • KCI등재

        감사파트너경험이 개별감사업무 차원 및 회계법인 차원 감사품질관리와 결합하여 감사품질에 미친 영향

        정도삼,이재은 한국공인회계사회 2019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1 No.3

        Recent regulatory changes mandating partner name disclosure are assuming that audit quality is systematically related to individual audit partner's characteristics, such as audit experience. The audit standards mandating partner name disclosure for public company audits include the revised International Audit Standard 700 (IAASB 2015b) as published in January 2015 and applied to financial statements for annual periods ending on or after December 15, 2016, and the consequential amendments to the Korean audit standards (Korean Audit Standards Boards 2017) in 2017 (paragraph 700.45 of the revised audit standards) and reporting standards implemented by U.S. Public Company Accounting Oversight Board (PCAOB 2015b). The revised standards requiring to disclose the names of partners who audit listed companies are based on the logic that "partner characteristics and audit quality are systematically related(IAASB 2015a). In the same context, we can find that PCAOB (2015a) proposed the development of audit quality indicators, and proposed the use of 28 audit quality indicators, among which audit partner experience was included. Also,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Securities Commissions (IOSCO) presents the professional judgment of auditors as a key input to the quality of audit, and explained that “specialized judgment is the application of specialized training, knowledge and experience to the practice of audit.” As such, audit experience is one of the key factors in determining the professional capability of auditors to influence audit quality. DeAngello (1981) explained that the audit quality is "the probability of combining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errors with the reporting of errors found." Here, the auditor's ability to detect errors and report on errors found are expressed as professional competence and independence, respectively. Audit partners' experience affects auditor’s competence to determine the quality of audit. The previous studies report that audit experience (van Buureen 2009; Bae et al. 2014) or industrial expertise (Choi et al. 2014; Kwon et al. 2015) are related to audit quality and such audit quality varies systematically depending on individual partners (Sundgren and Svanström 2014; Choi et al. 2015). This study focuses on individual partner’s experience among various audit partner characteristics. The audit standards classified audit quality controls (QC) into two dimensional level of audit firm and individual audit engagements. Regarding the QC efforts at the level of individual audit engagements, abnormal audit hours would improve audit qulaity (Mah et al. 2012). Also, audit firm-level QC improve audit quality(Rye et al. 2015) and such firm-level QC efforts vary depending audit risks (Bae et al. 2015). In sum, the experience of audit partners can affect audit quality, and the QC efforts at the individual audit engagement levels and audit firm levels can also affect audit qualit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ombination of two dimensional audit QC efforts and audit partner’s experiences are associated with audit quality. As specified by ISA 220, two audit QC levels are considered: audit firm- and engagement-levels. Percentage of total audit fee-to-total fees earned by the partner, and number of audit engagements in that year are used as proxies of audit partner experiences. PCAOB (2015a) explains that when using auditors' experience as an indicator of audit quali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much audit work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because of the “potential damage to professional doubts as a result of familiarization” over a long period of experience. In this regards, we focus on the size of audit partner experiences. In addition, we use the abnormal audit hours (AbnHour) and quality review hour ratio (QR) as proxies for the level of individual audit engagement- and audit firm-level QC efforts. As audit quality proxies, the performance-matched discretionary accruals and the m... 개정 회계감사기준 700과 미국 PCAOB는 상장회사 감사파트너 이름의 공개를 의무화하였다. 이러한 제도는 감사파트너 개인특성이 감사품질과 체계적으로 관련된다는 논리에 근거한다. 실제로 선행연구는 감사인 경험과 감사품질 관련성을 보고하였으며, 감사파트너 개인별로 체계적인 감사품질 차이를 보고하기도 하였다. 또한, 회계감사기준은 감사품질관리를 회계법인 차원과 개별감사업무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내용을 결합하여, 감사파트너경험과 두 가지 유형 감사품질관리가 결합하여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감사파트너경험 변수에는 해당 파트너가 달성한 감사보수수익비율과 감사고객회사 개수(비상장 포함)를 사용하였고, 회계법인과 개별감사업무 차원 감사품질관리수준 측정변수로는 품질검토시간비율과 비정상감사시간을 각각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감사파트너 업무경험과 품질관리 시간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두 가지 유형의 감사품질관리 수준에 따라 다르다. 개별감사업무 차원의 감사투입시간(비정상감사시간)이 증가하면 감사파트너 업무경험이 많을수록 재량발생액이 감소한다. 반면에 회계법인 차원의 품질검토시간비율이 증가하면 감사업무 경험이 적은 감사파트너 담당 회사의 재량발생액 감소 효과가 더 크다. 이 조사결과는 감사파트너경험이 품질관리 차원의 두 유형에 따라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향후 회계감독 차원에서 감사인의 개별적・전사적 품질관리시스템 운영에 감사파트너 특성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위 실증결과는 회계법인의 입장에서는 감사파트너 개인적 감사품질 영향요소에 대해서 별도의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과 피감사기업 입장에서는 회계법인 전체가 아닌 감사파트너 개인의 특성에 대해서도 추가로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 KCI등재

        출자・출연기관 외부회계감사의 필요성 및 감사범위 결정에 대한 연구

        송승아 한국정부회계학회 2020 정부회계연구 Vol.18 No.3

        출자・출연기관의 공공성을 고려하여 회계투명성과 수탁책임관점에서 외부회계감사의 필요성을 살 펴보았으며, 국내 및 해외 회계감사 기준에 대한 검토 및 비교분석을 통한 감사대상 범위 확대의 필요 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2014~2017년 재무자료(지방재정 365)에 근거하여 자산, 수익, 부채, 종업원 수 기준으로 시뮬레 이션 수행 분석 결과, 선진국의 기준에 준하면서 국내 시장의 여건을 감안하여 기관의 부담을 최소화하 는 수준으로 상속세법 및 외감법과 더욱 유사한 형태로 ‘수익 50억 이상인 기관’ 혹은 ‘자산120억 미 만, 수익50억 미만, 부채70억 미만, 종업원 수 50명 미만 중 3개 이상에 해당되지 않는 기관’은 의무적 으로 외부회계감사대상이 되는 안을 최종적으로 제시하였고 약 39%의 기관들이 선정되었다. 출자・출연기관의 외부감사 의무대상의 범위를 확대해 회계투명성과 부패와 비리 예방가능성을 높임 으로써 사회적비용은 오히려 감소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출자・출연기관의 형태나 목적에 따라 외 부회계감사가 필요한지는 더 연구해보아야 할 일이지만 단순히 규모가 작고 영세하다는 이유로 회계투 명성 이슈를 비켜가도록 허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출자・출연기관의 외부회계감사 범위확대는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consideration of the publicity of the government funded agency, the need for external accounting audit was raised in order to increase the accounting transparency of the institution. Research on the need for external audit by government funded agency was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ccounting transparency and consignment responsibility along with external audit standards under related laws of current government funded agency.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non-profit audit standards and overseas non-profit corporations was performed. Utilizing 2014-2017 financial data (local finance 365), simulation results based on assets, revenues, liabilities, and number of employees (Institutions that do not fall under 3 or more of ‘assets less than 12 billion’, ‘profits less than 5 billion’, ‘debts less than 7 billion’, and ‘fewer than 50 employees‘) show that about 39% of institution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roposals that are subject to mandatory external accounting audit. It can be expected that social costs will rather decrease by increasing accounting transparency and the possibility of preventing corruption and corruption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 external audit obligations of government funded agenc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ot desirable to allow the issue of accounting transparency to be dismissed simply because of its small size,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external accounting audits by government funded agency was a task that should not be delayed any longer.

      • KCI등재

        연결재무제표 회계처리 보수성의 결정요인: 주감사인의 규모와 감사비율

        이명곤,최상태,장석진 한국회계정보학회 2011 회계정보연구 Vol.29 No.1

        In relation to the full adoption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IFRS), one of significant changes for Korean listed companies would be using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rather than individual financial statements as the primary financial statements.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future accounting related studies will be conducted more often based on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nd capital market participants in Korea will pay more attention to consolidated financial data in their investment decisions. Considering these changes,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role of auditors in the context of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in advance to the full adoption of IFRS. Specifically, this study plan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ize of principal auditors and their audit coverage on the accounting conservatism reflected in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show that a posi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the size of principal auditors and the accounting conservatism and between the audit coverage by principal auditors and the accounting conservatism as measured using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udit coverage by the principal auditors and the accounting conservatism is further strengthened by the size of the principal auditor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by analyzing determinants of the accounting conservatism in relation to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prior to the full adoption of IFRS, which is known as a "principles based" set of accounting standards and often requires professional judgments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It is common to find divisions of responsibilities between the principal auditors and other auditors in an audit opinion on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improve the system of auditor appointment for a group of consolidated companies. 국제회계기준의 도입으로 우리나라에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는 상장회사의 주재무제표가 개별재무제표에서 연결재무제표로 변경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회계 관련연구 및 자본시장 참여자들의 투자의사결정에서 연결재무제표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국제회계기준의 도입에 앞서 연결재무제표 회계처리에 있어 감사인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연결재무제표의 주감사인과 주감사인의 감사비율이 연결재무제표 회계처리 보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주감사인의 규모가 크고 감사비율이 높을수록 연결재무제표가 보수적으로 회계처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감사인의 감사비율과 연결재무제표 회계처리 보수성간의 관련성은 주감사인의 규모가 클수록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국제회계기준은 회계이론과 합리적 판단에 충실한 원칙만을 제시하고 이를 적용하는데 있어 전문적인 판단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회계기준이 도입되는 시점에서 연결재무제표 회계처리 보수성의 결정요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기존의 국내 연구들은 정보 유용성 측면에서 연결재무제표를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는 회계감사 측면에서 연결재무제표를 분석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현행 감사제도 하에서 연결실체 단위가 아닌 개별기업 단위로 감사인 선임이 이루어진 결과 연결재무제표 감사인이 분산되고, 감사보고서상 주감사인과 타감사인의 책임구분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연결재무제표의 감사인 선임제도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회계감사에 대한 감사의 역할과 책임

        이총희 한국경영법률학회 2021 經營法律 Vol.31 No.3

        The Commercial Act prescribes the duty of accounting audits on auditors for proper accounting of corporations and obliges corporation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to undergo accounting audits from external auditors as well according to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As such, the duties on accounting audits imposed on various institutions under different laws are causing the authorities and obligations on accounting audits to be ambiguous. Because accounting audits by external auditors start from defects in internal audits, many perceive auditing by auditors as unnecessary or redundant. However, even today with developed capital markets,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such perception. This is because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audits disappears if accounting audit overlaps with external auditors and business audit coincides with the board of directors. Even today, 40 year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on External Audit, audits by auditors are not properly conducted. In this regard, a realism exists that it is not efficient that auditors conduct redundant auditing with external auditors. However, the law maintains the auditing authority of auditors. Additionally, if accounting information is important, duplicate auditing may be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view that internal and external auditors perform audits in distinctive roles. In the past, corporations were small in size, and the work was not complicated. Thus, it was possible to eradicate false accounting only with external auditors. However, in the modern society where companies have grown in size and become more complex, using only external auditors who are outsiders of corporations has limits. Therefore, not only the perception but also the system must be improved for auditors to play an active role. First, laws on audit must be improved. in terms of supervision of financial information, the role of an internal monitoring body of a company is lacking. According to the Commercial Code, auditors have the duty to supervise financial information, which is absent under the Capital Markets Act. The legal provisions that apply to auditors are ambiguous. The Commercial Act prescribes the liability of auditors, but it is difficult for victims to receive compensation because the burden of proof is not shifted. Although the burden of proof is switched under the Capital Markets Act and the Act on External Audit, the provisions of auditor liability are unclear. Thus, amendment of current laws is necessary to ensure the liability of auditors. Also, concerning the operation of the audit system, most corporations operate a one-person part-time audit system. Improving such problems must be implemented by legislation unless corporations autonomously solve the issues. In the case of listing corporations, ensuring actual roles performed by auditors will enable eradicating recurring accounting frauds, including making full-time auditors mandatory or differentiating the number of auditors depending on the corporate size. 기업의 회계를 적절히 하기 위해 상법은 감사에게 회계감사 의무를 두고 있으며, 일정규모 이상의 법인에 대해서는 외부감사법에 따라 외부감사인에게도 회계감사를 받도록 한다. 이렇게 각기 다른 법에서, 각기 다른 기관에게 회계감사의 의무를 두다보니 회계감사의 권한과 책임이 모호해진다. 외부감사인에 의한 회계감사는, 내부감사의 부실에서 출발하다보니 감사의 회계감사는 불필요하거나 중복된다는 인식이 많다. 하지만 자본시장이 발달한 현 시점에서도 이러한 인식이 적절한지 재평가가 필요하다. 회계감사는 외부감사인과 겹치고, 업무감사는 이사회와 중복된다면 감사의 존재의미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외부감사법이 시행 된 후 40년이 지난 지금도, 감사의 감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감사가 외부감사인과 중복감사를 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현실론이 있으나, 법률은 감사의 회계감사권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회계정보가 중요하다면 중복감사의 필요성이 있을 수 있으며, 내부/외부감사가 각기 다른 역할로 감사를 수행한다는 견해도 있다. 과거에는 기업의 규모가 작고 업무가 복잡하지 않았기 때문에 외부감사인만으로도 회계부정을 근절할 수 있었지만 기업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진 현대 사회에서는 기업의 외부자인 외부감사인 만으로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감사가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인식 뿐 아니라 제도가 개선되어야 한다. 우선 감사에 관한 법률이 정비되어야 한다. 현행 법률은 재무정보의 감독 측면에서 감사의 역할이 부재하다. 상법에 따라 감사는 재무정보 감독의 의무가 있지만 자본시장법에서 감사의 역할은 보이지 않는다. 책임 측면에서도 자본시장법은 감사에게 적용되는 법조문이 모호하다. 상법은 감사의 책임을 정하고 있으나 입증책임이 전환되지 않아 피해자들이 배상을 받기 어렵다. 자본시장법과 외부감사법은 입증책임이 전환되어 있으나 감사에 대한 책임조항이 불분명하다. 따라서 감사의 책임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현행 법률을 개정해야 한다. 또한 감사제도의 운영과 관련해서 대부분의 기업들이 1인의 비상근 감사 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지 않는다면 입법을 통해 개선할 수밖에 없다. 상장회사의 경우 상근감사를 의무화 하거나 규모에 따라 감사의 숫자를 차등화 하는 방안을 통해 감사가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지만, 반복되는 회계부정을 근절해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독일 연방회계검사원과의 비교를 통해 본 감사원의 회계검사 강화방안

        류지웅(RYU Ji Woong) 유럽헌법학회 2016 유럽헌법연구 Vol.21 No.-

        본 논문은 헌법기관으로서 감사원이 가지는 회계검사권의 기능과 목적의 재정립을 통해서 현재 회계검사의 범위와 한계를 검토하여 감사원의 헌법기관으로의 위상과 역할을 강화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즉 헌법과 감사원법의 각 규정이 지금의 현실을 충분히 규율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헌법과 감사원법의 각 규정이 제헌자 또는 입법자의 의도를 반영하고 실현하는데 있어서 충분하지 못하다는 내용의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헌법의 ‘감사원 관련 조항’의 입헌취지와 감사원법의 제정취지, 개정과정에서의 입법자의 의도를 검토하였다. 현행 감사원제도의 본질, 감사원 회계검사의 의미와 내용을 살피고, 국가감사체계근본법인 감사원법의 제정 및 개정 등 연혁, 현행 감사원법의 체계·구조 및 내용을 살폈다. 감사원의 회계검사의 제한 또는 한계상황은 감사원법의 체계와 내용의 순서에 맞춰 ‘회계검사대상기관의 제한’, ‘회계검사권한의 결정에 있어서 제한’, 등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에서 감사원의 감사가 필요한 핵심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회계검사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부분에 대하여는 독일연방회계검사원의 회계검사의 범위와 그 권한에 대한 재량권의 인정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구체적으로 독일의 경우 회계검사에 대한 재량권을 통하여 주와 연방의 재무, 회계에 대한 전반적인 사안에 대한회계검사 권한이 인정되고 이에 대한 사후 보고 절차 등에 대하여 정비가 되어있다. 즉 재량을 넓게 인정하더라도 그에 대한 절차와 내용에 대한 입법이 규정되어 있는 상황이다. 우리 감사원의 헌법상 지위와 역할을 감안해 본다면 독일의 연방회계검사원과 동등하게 그 지위와 역할이 인정되고 있지만 실제 회계검사의 범위에는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독일의 연방회계검사원의 회계검사의 범위와 한계에 대한 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우리나라의 경우도 국가의 재무·회계 등과 관련된 전반적인 영역에 있어서 각 기관의 자체적인 내부감사가 이루어 진 후 그 회계의 규모와 내용에 따라서 감사원이 회계검사를 할 수 있는 입법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독일의 회계검사의 범위와 한계를 우리나라에 적용하는 것이 그 개선방안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이러한 내용에 기초하여 독일의 연방회계감사원의 회계검사의 기능과 대상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성을 연구해 보고 최종적으로 본 논문은 감사원의 회계검사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입법론을 제시하였다.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is the only institution that can test the accounting and job inspector, a constitutional institution. These auditors are putting the legal basis of the Constitution and the law.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Act(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BAI Act ) of 1963(Law No. 1495) had been enacted to stipulate the organization and the scope of official duties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BAI ), the qualifications for Commissioners, the scope of agencies and public officials subject to audit and inspection, and other necessary matters. From the 1963 until now, BAI Act has been amended several times. Even so, BAI Act did not respond to the changes appropriately. Consequentially, national audit power based on BAI Act has been extenuated gradually. In other words, There is a gap between law and reality. The loopholes of BAI Act has been exposed recently. For example, the scope and limits of the audit for audit Office and Audit power, restriction of Audit power to the prosecution and so on. so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 of Audit power s restriction. To achieve this, reviewing constitutional implication of BAI Act, the purpose and the contents of BAI Act. This study propose that BAI Act should be amended to realize the independency of audit function(based on the constitution). concretely, adopting the principle of disclosure to BAI Act, highpowering the audit power, and arranging the compulsory measures. Review about the capa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German Federal Fiscal inspectors. study on the scope and limits of the examination of the German Federal Fiscal accounting inspectors to check whether to apply them to our country. Finally, and to finish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urrent problems in the financial inspectors and auditors improvement of our country.

      • KCI등재

        IFRS 도입 전후 Big4 감사인의 재무제표 비교가능성 변화

        윤선주(Yoon Seon-Ju),고재민(Goh Jaimi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7 국제회계연구 Vol.0 No.74

        본 연구는 IFRS 도입 이후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비교 대상 기업 모두 Big4 회계법인인 경우의 비교가능성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비교가능성은 비교 대상이 되는 두 기업 사이의 관계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본 연구는 기업-연도 자료 대신 기업 쌍-연도 자료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기업 간 비교가능성은 IFRS 도입 이후 상승하였다. 둘째, 비교 대상 기업의 감사인이 모두 Big4인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IFRS 도입 이후 비교가능성의 상승 폭이 낮았다. 구체적으로 감사인이 모두 Big4인 경우 IFRS 이전에는 비교가능성이 더 높았으나, 이후에는 오히려 낮아졌다. 이와 같이 Big4 회계법인의 비교가능성 상승 폭이 작은 이유는 두 가지로 추론할 수 있다. 첫째, 회계기준이 원칙 중심(principle-based)의 IFRS로 변경되어 경영자 및 감사인의 재량이 확대되었고, 이로 인해 Big4 회계법인별로 회계기준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차이가 커진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Big4 회계법인은 상대적으로 감사인력이 많기 때문에 개인별로 차이가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두 가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Big4 회계법인에 감사 받은 표본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Big4 회계법인별로 비교가능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둘째, 동일 감사인에게 감사 받은 표본만을 대상으로 동일 Big4 회계법인이 감사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한 결과, IFRS 도입 이전에는 동일 Big4 회계법인의 비교가능성이 더 높았으나 이후에는 비교가능성에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일반적으로 Big4 감사인은 다른 감사인에 비해 재량적발생액이나 발생액의 질 등 회계정보의 질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본 연구에서는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은 IFRS 도입 이후 Big4 감사인이 오히려 더 낮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IFRS의 원칙중심 특성으로 인해 Big4 감사인별로 회계기준에 대한 해석과 적용이 다르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간접적인 증거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financial reporting comparability of Big4 auditors after adopting IFR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of Big4 auditors would be better as well, because audit quality of Big4 auditors is higher. However, from another perspective, given principle-based accounting environment from IFRS, Big4 translate accounting standards in their own different way and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may be lowe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increases after IFRS is adopted. Second, on the contrary, increase in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of firms audited by Big4 is smaller than that of other cases. Specifically, while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of firms audited by Big4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cases in pre-IFRS period, it becomes lower than that of other cases in post-IFRS period. We can infer two reasons from Big4 auditors’ small increase in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after adopting IFRS. First, Big4 have their own system of translating and educating principle-based IFRS. Second, Big4 have more auditors compared to other accounting firms and the variation among individual auditors would be remarkable. We verify these inferences using two analyses. First, we find that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of each Big4 is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iling data only audited by Big4. Second, whereas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of firms audited by Big4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cases in pre-IFRS period, it is not different between these two in post-IFRS period, when analyzing data only audited by the same auditors. In General, it is known that Big4 auditors provide higher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such as discretionary accruals and accruals quality. However, interestingly, we find that comparability of financial statement audited by Big4 auditors is lower than that of other cases in post-IFRS period. This finding implies that Big4 auditors vary more than other ones in their interpretations and applications of principlebased accounting standards, IFRS.

      • KCI등재

        무형자산이 외부감사에 미치는 영향

        정기위,채수준 한국공인회계사회 2016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8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angible asset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of evaluating company’s value and audit hour and audit fee which represents audit effort by auditor. Intangible asset has a high level of audit risk compared to other asset because intangible asset is invisible and satisfy strict definitions to be recognized in the financial stat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Intangible asset increases audit hour and audit fee compared to PPE. This results means that auditor increases audit risk of intangible asset because of invisibility of intangible asset and judging of identifiability. Furthermore, intangible asset is more related to audit effort after the adoption of K-IFRS. It is because K-IFRS requires the different accounting treatment of intangible asset such as no depreciation but testing impairment of goodwill while K-GAAP requires depreciation under 20 years. Finally, big accounting firm who has a more interest in reputation effect than local accounting firm put more effort in auditing intangible asset. This study finds the auditor’s respond to the audit risk by employing intangible asset. This results contributes that audit risk related to intangible asset is offset by auditor’s effort that auditor’s due care increases the reliability of the financial statement.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에서 기업가치 창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무형자산이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로 측정한 감사노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무형자산은 육안으로 식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가치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아 다른 자산에 비해 보다 엄격한 자산 인식기준을 적용한다. 이에 가설 1에서는 무형자산이 감사위험을 높힐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검증하였는데 실증 분석 결과 총 자산 대비 무형자산의 비중이 높아질수록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가 증가하였다. 가설 2에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라 무형자산의 감사위험이 높아졌는지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이후에 무형자산의 비중이 높아질수록 감사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행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과거 K-GAAP에서 인식하지 않았던 고객목록 등의 무형자산이 별도로 인식되고, 무형자산에 대한 재평가모형도 원가모형에 추가하여 허용하고 있으며 영업권을 비상각자산으로 규정하여 순이익이 증가하는 등 이익의 변동성이 초래되어 감사위험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감사인 규모에 따라 무형자산에 대한 감사시간과 감사보수가 차별적으로 나타났는지 검증하였는데 상대적으로 감사품질이 높고 자본시장 내에서 평판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높은 대형회계법인이 감사위험이 높은 무형자산에 대해 더 많은 감사노력을 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공헌점으로는 타 자산에 비해 감사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무형자산에 대한 감사인의 반응정도를 살펴봄으로써 감사인이 재무제표의 위험을 낮추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데에 있다. 뿐만 아니라 새로 도입된 무형자산 관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도입 또한 감사위험을 증가시키고 있었지만 감사인은 적절한 노력을 투입하여 감사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검증되어 무형자산에 대한 외부감사는 효과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 KCI우수등재

        피감대상기업은 감사인 선정 시회계법인 별 품질차이를 고려하는가?

        손성규(제1저자) ( Sung Kyu Sohn ),강민정(교신저자) ( Min Jung Kang ),박현영(공동저자) ( Hyun-young Park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학연구 Vol.40 No.6

        정책적으로 감사서비스 공급자 입장에서 회계법인 품질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것에 반해 감사시장에서 서비스 수요자가 감사인의 품질관리수준을 얼마나 고려하는가에 대한 검토는 부족하다. 실무상 회계감사에 대한 비판 중 하나는 회계정보 이용자가 어떠한 회계법인이 감사를 수행하였는지에 대해서 신경을 쓰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감사 서비스가 차별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회계정보 이용자가 감사품질을 차별적으로 인식하지 않는다면, 감사인 선임 시 감사수임료만이 의사결정 변수로 남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감사시장에 대해 저가수임 경쟁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이러한 구조적 문제가 궁극적으로 감사품질을 저하시킨다는 일반적인 합의가 이루어졌으나, 감사시장 측면의 연구는 거의 이루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감리제도의 변화와 더불어 점차 중요성이 강조되는 회계법인의 품질이 감사시장에서 차별적으로 인식되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품질과 연계하여 회계법인의 재무적 안정성에 대해서도 감사인 선임에 고려되는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품질수준에 대해 감리지적과 소송 피소된 경우를 살펴보고 재무적 안정성으로는 회계법인의 공인회계사수 변동 및 매출액 성장률이 감사인 선임 결정에 고려되어, 회계법인 감사고객 수의 변동에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위와 같은 실무상 비판에도 불구하고 양질의 감사인이 시장에서 더욱 선호됨을 확인하였고, 재무적 안정성이 높은 회계법인이 감사인으로 선임될 가능성이 증가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내부 품질관리 시스템이 체계화된 외국제휴법인과 아닌 경우를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선임 결정요소의 선호 정도가 제휴 여부에 따라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제휴법인의 경우에는 성장률이 더욱 고려되고, 제휴법인이 아닌경우 소송피소 및 공인회계사수의 변동이 감사인 선임에 더욱 중요하게 고려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공헌도를 기대한다. 첫째, 회계법인의 품질수준이 감사인 선택의 주요 결정요소로서, 회계법인의 매출 확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실증결과가 회계법인의 품질관리 제고를 위한 자발적 동기부여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제휴회계법인인 경우와 아닌 경우 감사인 선임 시 고려요소가 상이함을 발견하였다. 셋째, 국내의 감사선임 연구는 기업 수준에서의 분석이 이루어졌는데, 처음으로 회계법인 수준에서 분석함으로써 감사시장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Upon enactment of Sarbanes-Oxley Acts in 2002, U. S. Public Company Accounting Oversight Board (PCAOB) was established and began its investigations on the public accounting firms to evaluate their audit quality control system. In Korea,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the Korean regulatory authority, implemented its quality control review program on Korean accounting firms auditing public companies listed in the Korean stock exchanges in 2007. These changes are based on the assumptions that regulatory authority``s investigation on the quality controls of the auditors would eventually improve audit quality. Despite the increasing focus on the auditor``s quality control system, there is little existing empirical research on whether accounting firms`` quality influences on auditor appointment decisions. To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accounting firms`` quality control in audit market, this paper tests whether accounting firms`` quality affects appointments and dismissals of audit firms. If audit clients perceive quality differences between accounting firms and considered these for auditor appointment decisions, we expect that clients appoint accounting firms whose quality are perceived high. As the proxies of accounting firms`` quality, we use the number of weaknesses identified by statutory quality control review and litigation amounts related to the audit work. We expect that audit clients are less likely to appoint accounting firms that have been identified more weaknesses as weaknesses identified by statutory quality control review impair assurance value and reputations of audit firms. Also, we posit that audit clients are less likely to appoint accounting firms that are subject to greater litigation amounts related to the audit work as those accounting firms are expected to be exposed to higher litigation risk. In contrast, a firm that is experiencing poor or deteriorating financial performance may prefer an auditor who permits the client to increase or inflate earnings. Given the potential differential effects, we believe it is an empirical question whether accounting firms`` quality is associated with auditor dismissal or appointment decisions. Accounting firms`` audit quality control efforts should be grounded in the financial stability of the accounting firms. Financially distressed accounting firms are likely to engage in audit contracts at low cost or accept high risk audit clients, which consequently leads to audit failure. Since financial status of accounting firms affect audit quality, as the proxies of financial status of accounting firms, we use the number of CPA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that is measured by change rate in CPA working for accounting firms and sales growth. Using 482 accounting firm-year data,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number of deficiencie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ubsequent change in the number of audit clients held by accounting firm. Also, we find accounting firm on average gains clients as the number of CPA increases. This demonstrates that the results of statutory quality control review and the number of CPA increases of accounting firms on average affect the dismissals and appointments of accounting firms. The litigation amounts and growth rate in sales of the accounting firm, however, a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sequent change in the number of audit clients held by accounting firm. On the other hand, in the subsample analysis, when accounting firm is a member firm of global accounting networks or associations, sales growth rate in addition to the number of deficiencies negatively influences the subsequent changes in the number of audit clients. In contrast, in case of non-member firms, litigation amounts and the number of CPA increases as well as the number of deficiencies affect clients`` audit firm choice.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in three ways. First, we provide initial evidence on whether public companies consider accounting firms`` quality for choice of auditors. We expect that our findings lead to positive influence on accounting firms`` motivation for enhancing quality control in order to increase their market shares. Second, we document that different accounting firms`` quality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auditor appointment decisions according to the auditor type .member firms vs. non-member firms. Finally, our analysis are conducted at the level of the audit firm while prior studies regarding auditor selection were conducted at the level of the client. Focusing on audit firms rather than their clients as the unit of analysis provides a fairly unique perspective in audit market research.

      • 내부회계관리제도 인적자원특성이 감사시간과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김동영(Kim, Dong-Young) 글로벌경영학회 2017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2

        감사인은 재무제표감사를 할 때 기업의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통제위험을 평가한다. 통제위 험의 평가는 내부통제시스템의 인적자원이 주요한 요소가 된다. 내부통제시스템의 인적자원이 우수하면 통제위험이 낮아지므로 감사시간이 짧아지고 감사보수도 낮아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계정보의 신뢰성 차원에서 내부회계담당인력의 특성에 따라 감사시간과 감사보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내부관리회계제도와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에 대한 이론적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는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실증연구는 통계처리방법을 활용하여 기초 통계량,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 중 2011-2015년 5년간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내부 회계담당인력의 경력월수, 내부회계담당인력 수, 내부회계담당인력중 공인회계사 보유수를 입수할 수 있는 기업을 표본기업으로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시간인 경우, 상관관계분석결과는 관심변수인 ① 내부회계 담당인력경력월수, ② 내부회계 담당인력 수, ③ 공인회계사 보유수는 모두 음(-)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연구결과 [가설1-1]을 살펴보면, 내부회계담당인력 경력월수의 회귀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내부회계 담당인력 경력월 수가 많을수록 감사시간과는 미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이다. [가설1-2]을 살펴보면, 내부회계 담당인력 수의 회귀계수는 5%수준에서 유의한 (-)의 값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내부회계 담당인력 수가 많을수록 감사시간은 줄어든다는 결과이다. [가설1-3]을 살펴보면, 내부회계 담당인력 공인회계사 보유수의 회귀계수는 1%수준에서 유의한 (-)의 값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내부회계 담당인력 중 공인회계사 보유수가 많을수록 감사시간은 줄어든다는 결과이다. 둘째, 감사보수인 경우, 상관관계분석결과는 관심변수인 ① 내부회계 담당인력경력월수, ② 내부 회계 담당인력 수, ③ 공인회계사 보유 수는 모두 음(-)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연 구결과 [가설2-1]을 살펴보면, 내부회계담당인력 경력월수의 회귀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내부회계 담당인력 경력월수가 많을수록 감사보수와는 미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이다. [가설2-2]을 살펴보면, 내부회계 담당인력 수의 회귀계수는 1%수준에서 유의한 (-)의 값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내부회계 담당인력 수가 많을수록 감사보수는 줄어든다는 결과 이다. [가설2-3]을 살펴보면, 내부회계 담당인력 공인회계사 보유수의 회귀계수는 1%수준에서 유의한 (-)의 값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내부회계 담당인력 중 공인회계사 보유수가 많을수록 감사 보수는 줄어든다는 결과이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기업들은 내부회계관리제도 도입취지를 잘 살펴 운영하고 있다고 본다. 기업회계정책상 내부회계관리제도의 각 부서에 회계담당경력자, 공인회계사 등 실력 있는 인력을 충분히 확보하면 내부회계관리제도가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이 추정된다. If the human resources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are excellent, the control risk is lowered, which shortens the audit time and reduces the audit f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 accounting personnel on audit time and audit fees in terms of credi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Hypothesis 1-1] The longer the average number of months of work experience in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the greater the negative effect of audit time. [Hypothesis 1-2] As the number of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personnel increases, the audit time will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Hypothesis 1-3] Audit time will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number of CPA holders in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Hypothesis 2-1] The longer the average number of months of work experience in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the greater the negative effect of audit fees. [Hypothesis 2-2] The higher the number of internal accounting personnel, the more significant the negative effect of audit fees. [Hypothesis 2-3] The greater the number of CPAs in the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the more significant the audit fees will have a negative impact.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audit time,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egative variables ① the number of average month of work experience, ② the number of internal accounting personnel, ③ the number of CPA holders, It looked.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number of months of experience in internal accounting in the [Hypothesis 1]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ypothesis 1-2]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number of internal accounting personnel showed a significant (-) value at the level of 5%. [Hypothesis 1-3]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number of CPAs held by internal accounting personnel showed a significant (-) value at 1% level. In the case of audit fees,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udit fees and ① the number of average month of work experience, ② the number of internal accounting personnel, and ③ the number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are significant negative (-). It looked.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number of months of experience in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ypothesis 2-1]. [Hypothesis 2-2]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number of internal accounting personnel showed a significant (-) value at 1% level. [Hypothesis 2-3]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number of CPAs held by internal accounting personnel showed a significant (-) value at 1%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Korean companies are well aware of the intention of introducing the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It is presumed that the internal accounting management system can achieve good results if it has enough qualified personnel such as experienced accountants and CP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