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태학적 기능을 이용한 광미 활용 전기 생산: 철산화박테리아를 이용한 황철석 산화 속도 증진을 통한 전류 밀도 향상 가능성 평가

        주원정,조은혜,남경필,Ju, Won Jung,Jho, Eun Hea,Nam, Kyoungphile 응용생태공학회 2014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1 No.1

        본 연구는 광산 지역 토착미생물인 철산화박테리아 (Acidithiobacillus ferrooxidans)를 이용하여 산성광산배수의 원인물질인 황철석을 함유한 광미로부터 전기를 생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예비실험으로서 철산화박테리아의 존재 여부가 배양액 내 $Fe^{2+}$과 총 철의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철산화박테리아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는 초기 9,000 mg/L의 $Fe^{2+}$이 약 6,000 mg/L까지 감소하였으나, 철산화박테리아가 존재하는 조건에서는 약 400 mg/L까지 감소하였다. 이는 철산화박테리아가 $Fe^{2+}$의 산화를 촉진하기 때문으로, 황철석을 활용한 연료전지에 철산화박테리아를 적용하면 $Fe^{2+}$의 산화 과정에서 생기는 전자의 이동이 증가하여 전지의 전류 밀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광산 지역 토착미생물의 생태학적 기능을 활용해 광미로부터 전기를 생산해내는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의 바탕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The research evaluates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pyrite containing mine tailings, which are the major cause of acid mine drainage (AMD), by applying iron oxidizing bacteria (in this case, Acidithiobacillus ferrooxidans) and chemical fuel cell technology. The changes in the aqueous $Fe^{2+}$ concentration, which can represent an ionized form of pyrite, with an initial concentration of 9,000 mg/L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20 d growth period. Both the $Fe^{2+}$ and total iron (i.e., total $Fe^{2+}$)concentrations with or without A. ferrooxidans were observed. The $Fe^{2+}$ concentration decreased to about 6,000 mg/L, in the abiotic condition, while it decreased to about 400 mg/L in the biotic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d $Fe^{2+}$ oxidation in the presence of A. ferrooxidans (i.e., catalytic ability of A. ferrooxidans) can be applied to electricity generation using pyrite containing mine tailings. In the co-presence of A. ferrooxidans and pyrite containing mine tailings, $Fe^{2+}$ oxidation and hence electron production increases, which, in turn, improves current density.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utilize ecological functions of indigenous bacteria in mine areas to enhance electricity generation efficiency.

      • KCI등재

        황철산의 역사민속학연구-사학사상의 ‘역사과학으로서의 민속학’-

        주강현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8

        This studies focus on fogetten Hwang-Chul San who was the best folklorist in R.O.K. He is originally born at North Korean. He pioneered the history of folklore in the North. His research methodology was the very historical. But he was forgotten in the North. At the same time he is forgotten in Korea. So this research hopes his restoration as a outstanding academics in north korea & south korea. What’s more, he is a valuable person in historical perspective.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been disconnected. However, this one connecting South and North Korea hope through these studies. Hwang-cheol studies would be a good sample study. 황철산은 북한과 남한 모두에게 기억 속에서 사라진 역사민속학자이다. ‘역사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을 주창하는 한국역사민속학회의 입장에서도 황철산은 잘 모르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북한사회과학원 민속학연구실 실장으로서 북한민속학의 토대를 구축한 인물이다. 더욱이 그의 연구방법론은 철저하게 역사민속학의 입장에 근거하였다. 북한의 역사민속학에 대한 본질적 연구가 미진한 상태에서 북한민속학의 사학사적 궤적을 옳게 알아채리는 연구자가 오늘날에도 거의 없다는 것이 현실이다.황철산은 민속학방법론,역사과학에서의 민속학의 위상, 물질 생산민속, 종족문제 해결에서 민속학이 개입하는 위상 등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업적을 냈다. 그의 역사민속학을 통하여 남북의 통합된 역사민속학서술을 가능케할 것이다.

      • KCI등재

        북한 역사학계의 고조선 종족집단 인식의 변천과 특징

        이경섭 백산학회 2016 白山學報 Vol.- No.106

        One of important topics in the research of Old Chosun in North Korea was to investigate the ethnic group issues of Old Chosun. The early studies focused on Ye․Maek that appeared in the literature before Qin and Han in China. Lee Ji-rin and Hwang Cheol-san conducted representative researches on the Yemaek group. Lee's argument, which interpreted Yemaek as Ye and Maek groups stemmed from the same ethnic group, settled down as an established theory in the North Korean academic circles. The Ye group founded Old Chosun around Gaepyeong in Liaodong, whereas the Maek group founded Maekguk(Goriguk) north of Old Chosun. Those perceptions changed after the excavation of Dangun Tomb in 1993. A need emerged to explain the ethnic groups before the Yemaek group in order to support the argument that Dangun established Old Chosun in Pyeongyang 5,000 years ago. The issue eventually resulted in the invention of a new ethnic group called "Bakdaljok" in the process of estimating the origins of Buru, Bul, Bal, and Bak in the ancient literature of China as well as "Dan" in Dangun. It was maintained that Dangun Chosun was founded by Bakdaljok 5,000 years ago and established a "single Chosun race" in 2,000 B.C. Later terms such as Ye․Maek or Yemaek and Han were claimed to be different names for the people of ancient Chosun.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one of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the ethnic groups of Old Chosun in the history academia of North Korea is that it has changed according to needs for racism- and nationalism-based historical interpretations. 이 글은 북한 역사학계의 고조선 연구 과정에서 제기된 종족집단에 대한 인식의 변천과 그 특징을 살펴 본 글이다. 초기 북한 역사학계에서는 전통시대와 식민지시대의 고조선 종족집단 연구를 토대로 관련 연구가 전개되었다. 이 시기에는 주로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 지역에 거주하였던 것으로 생각되는 종족 이름과 거주지역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진행되었다. 대표적인 연구자는 리지린과 황철산의 연구를 들 수 있는데, 특히 리지린은 선진시대의 문헌부터 후대의 문헌들까지 섭렵하면서 향후 북한의 고조선 및 종족집단 연구의 기본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종족집단에 대한 연구는 이들 집단의 거주 양태를 증명할 수 있는 고고학 방면의 연구들에 의해 보강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 당시의 논점은 선진시대 문헌에서부터 등장하는 예맥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와 이들의 거주지역을 논리적으로 추정하는 것이었는데, 이러한 연구의 흐름에서 변화의 잠재적 요소가 등장하기 시작하는 것은 1970년대 이후 북한지역의 구석기 유적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확보된 인골 자료를 토대로 진행된 민족의 기원과 계통에 관한 정립 문제였다. 『조선전사』(1979) 단계에서는 이들 인골자료를 토대로 신석기시대에 ‘조선옛류형사람’이 형성되었다는 논리를 구축하였는데, 이들의 후손이 중국 문헌에 예․맥․한 등의 이름으로 기록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민족단혈성론에 입각한 고조선 종족집단 인식의 제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고조선 재요령설이 북한학계의 정설이었기 때문에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조선 종족집단의 해석까지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단군릉 발굴 이후 북한 역사학계는 단군조선의 건국집단으로 평양지역의 ‘박달족’을 발명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고조선력사개관』(1999)에서 체계화된다. 이후 『조선단대사』(2010)에서는 조선 옛류형사람들 가운데 가장 선진적인 박달족의 단군이 (전)조선을 건국하였으며, 기원전 2천년기 초까지는 전조선의 전체 주민이 하나의 조선민족을 이루었다고 단언하였다. 나아가 전조선 안에는 여러 후국들이 존재하였으며 이들이 부루․불․발․예․맥․한 등의 이름으로 기록되었다고 하였다. 북한의 고조선 종족집단에 대한 연구는 중국의 고대 문헌에 등장하는 종족에 대한 해석을 시작으로 전개되다가 단군릉 발굴을 경과하면서 평양 중심의 조선민족 기원 문제를 일원적으로 체계화하려는 방향으로 귀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