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국내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운영현황 분석: ‘e청소년’ 사이트를 중심으로

        박수현,고유주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2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8 No.3

        배경: 데이터 기반행정과 공공데이터 융합은 수요자인 청소년들과 공급자인 청소년활동 운영주체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장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공급자 간 협업과 정보 공유는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오늘날 청소년 학계와 현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청소년활동을 독려할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코로나19라는 급격한 환경변화에 청소년활동 운영주체들이 그간 어떻게 대응했는지, 어떤 지역이 어떤 활동을 전개했는지 등에 대한 비교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국내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운영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청소년활동정보서비스 ‘e청소년’ 사이트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청소년에게 관심을 가진 다양한 주체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의 방법은 웹 크롤링과 텍스트 마이닝 분석이다. 연구 도구로는 Python 3.10.5과 TEXTOM을 활용했으며 분석자료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의 코로나19 상황에서 ‘e청소년’에 등록된 8,575건의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운영방식, 활동영역, 기관명(기관유형), 지역, 프로그램명, 활동일(활동연도)다. 결과: 첫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운영된 국내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현황을 활동영역별, 기관유형별, 단위지역별로 분석했을 때 각 영역에서 확인되는 특징과 개선할 부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운영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명을 텍스트 마이닝 분석했을 때 현재 청소년활동 운영주체들이 등록하는 청소년활동 프로그램명에서 일관된 방식과 개선할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시각화 결과를 분석했을 때 연도별로 각기 다른 특징과 변화양상이 포착되었다. 시사점: 이 연구의 시사점은 청소년활동 운영주체를 위한 정보공유의 장을 확대하고 이들의 협업을 활성화 및 독려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 데 있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상황에서 운영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3가지의 실천적 제언을 제시했다.

      • KCI등재

        청소년활동 참여 경험이 중학생의 갈등해결역량에 미치는 영향

        황여정(Hwang Yeo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 참여 경험이 중학생의 갈등해결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의 다양한 양상을 반영하기 위해 체험활동뿐만 아니라 교내·외 동아리 활동을 포함하였다. 또한 참여 경험을 포착하는 데 있어, 참여여부, 참여수준 등 양적 측면과 더불어 참여만족도 등 질적 측면을 반영하는 데도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패널 2018」중1패널 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데이터의 위계적 구조를 고려해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배경과 개인적 특성 등 다양한 변인들의 효과를 통제한 이후에도 체험활동과 교외 동아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이 참여 경험이 없는 청소년에 비해 갈등해결역량이 더 높게 파악되었다. 또한 활동 참여수준 및 만족도의 경우, 교내·외 동아리 참여에 따른 효과는 뚜렷하지 않은 데 비해, 체험활동의 효과는 비교적 분명하게 나타났다. 그리하여 보다 다양한 체험활동에 참여하고 만족도 높은 양질의 체험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일수록 갈등해결역량도 제고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주요 역량 중 하나인 갈등해결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청소년들에게 양질의 청소년활동에 참여할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youth activities on conflict resolution cap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tudy 2018」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Especially, this study tried to reflect various aspects of youth activities, such a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level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activities.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for accurate analysis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dat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youth activities has an independent effect on enhancing the conflict resolution cap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the higher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experiential activities, the more positive effects it has on conflict resolution cap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intra-school and out of-school circles was not clear.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rgued that many youths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high-quality youth activities in order to effectively develop conflict resolution capabilities.

      • KCI등재후보

        해외교육봉사활동을 통한 예비교사의 전문성 신장

        한재영(Han, JaeYoung),홍준의(Hong, Juneuy),서혜애(Seo, Hae-Ae),신세인(Shin, Sein),임성민(Im, Sungmin),차정호(Cha, Jeongho)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0 교육발전 Vol.40 No.2

        해외봉사활동을 나가면 주는 것보다 받는 것이 더 많다고 흔히 말한다. 특히 해외교육봉사활동에서는 현지 학생과 봉사단원이 직접 상호작용을 하므로 이러한 주고받음이 활발하게 나타난다. 이 연구에서는 해외교육봉사활동을 수행한 예비교사들이 무엇을 주고받으며 성장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국립국제교육원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방학 중 4주 이상 해외에 나가 교육봉사활동을 하는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 사업을 수행한 4개 대학의 교수들이 봉사활동 결과 보고서, 예비교사들의 최종 보고서, 일지, 포트폴리오, 평가회 기록물 등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가 경험하며 배운 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틀로 ‘교육’, ‘봉사’, ‘해외’의 3개 범주를 설정하였다. ‘교육’ 범주에는 ‘수업 준비’, ‘수업 진행’, ‘수업 반성 및 개선’, ‘코티칭 경험’, ‘교사관 및 학생관’의 소범주가 있으며, ‘봉사’ 범주에는 ‘봉사관’, ‘단체 활동’, ‘정리’의 소범주가, ‘해외’ 범주에는 ‘언어/비언어’, ‘문화’, ‘촬영’, ‘여행’의 소범주가 있다. 각 소범주에 따라 예비교사가 자신의 전문성을 신장해 나간 내용을 기술하였다. 또한 해외교육봉사활동이 예비교사에게 미친 영향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문화역사활동이론에서 활동체계를 구성하는 6가지 하위 요소(주체, 객체, 도구, 규칙, 커뮤니티, 역할분담)와 예비교사의 전문성 신장 내용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해외교육봉사활동이 예비교사 교육에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 해외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Normally, the person doing an overseas voluntary activity gets more than he gives. In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the volunteer communicates with students abroad a lot in the lesson.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developed their professional capabilities while doing the overseas educational voluntary activity,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has supported the project that helps pre-service teachers to go abroad more than four weeks for the overseas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y. The authors are the professors from the university that carried out this project. We analyzed the final report by a leading professor, and pre-service teachers’ report, the journal, the portfolio, and the record of reflection etc. The analysis framework consists of the categories of ‘education’, ‘voluntary activity’, and ‘abroad’. The education category includes ‘preparation of the lesson’, ‘progression of the lesson’, ‘reflection and improvement of the lesson’, ‘experiencing the coteaching’, ‘views o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as the subcategories. The voluntary activity category includes ‘view on the voluntary activity’, ‘group activity’, and ‘reporting’, and the abroad category includes ‘verbal and nonverbal language’, ‘culture’, ‘recording’, and ‘trip’, We described how the pre-service teachers have developed their professional ability in each subcategory. In addition, to overview the influence of the overseas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y to the pre-service teachers, we analyzed the link between the six elements of activity system according to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subject, object, tool, rule, community, and division of labor) and the professional ability developed. We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overseas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derived the necessity of the continuous support for this project.

      • KCI등재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Youth Activities for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 Lee Hae Gyoung ),( Son Jin Hee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4

        목적: 청소년활동현장을 탐색하여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추진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방법론/접근: 이를 위해 청소년시설에서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자와 청소년관련학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청소년지도자 300명에게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청소년활동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확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PA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결론: 첫째, 청소년활동현장이 고교학점제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전문지도자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다음으로는 “다양한 활동개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 “효율적 활동환경구축”, “타 기관 연계형 공동교육과정 운영”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해 청소년활동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는 것은 “전문지도자 활용”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진로활동 내실화”, “청소년활동 중심으로 수업 개선”, “효율적 활동환경 구축”,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운영”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IPA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요도가 높지만 실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중점개선 영역에는 “다양한 활동개설”, “타 기관 연계형 공동교육과정 운영”이 포함되었다. 고교학점제를 위해 중요한 요소이면서 청소년활동현장에서 충분히 실행되고 있는 유지강화영역에는 “다양한 활동개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 “지역 기관 및 단체를 활용한 수업 운영”, “전문지도자 활용”, “효율적 활동환경 구축”이 있었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은 점진개선영역에는 “희망 활동 수요에 대한 사전 조사”, “과정중심평가 활성화”가 포함되었다.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가 높은 지속유지 영역에는 “개설 활동에 대해 청소년이 직접 신청”, “청소년활동 중심으로의 수업 개선”이 있었다. Purpose: We propose a promotion plan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exploring youth activities. Methodology: To this e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ere confirmed to 300 youth leaders and prospective youth leaders majoring in youth-related stud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IPA technique. Findings: First, it is most important to use professional youth workers to successfully prepar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youth activity field. Next, various activities, online joint curriculum operation, efficient activity environment establishment, and joint curriculum operation linked to other institutions were considered important. Second,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what is being implemented in the youth activity field to introdu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the use of professional lead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areer activities were internalized, classes were improved, efficient activity environment was established, and online joint curriculum was operated, focusing on youth activities. Third, looking at the IPA analysis results, opening various activities and operating other institutions-linked joint curriculum were included in the areas of key improvement that were important but not implemented. Areas of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which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re fully implemented in youth activities, included opening various activities, operating classes using loc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using professional youth workers, and building an efficient activity environment. The areas of gradual improvement, where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are low, included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the demand for desired activities and activation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 In the areas of maintenance, which are low in importance but high in performance, there were Youth directly apply for opening activities and Improvement of classes centered on youth activities.

      •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 연구 Ⅳ

        임희진,문호영,조남억,김평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청소년의 활동 참여 실태를 파악하고 근거 중심의 청소년활동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전문가 자문, 설문조사, 전문가 간담회 및 워크숍, 정책실무협의회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태조사 결과, 활동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확보되었다. 최근 1년간 청소년활동의 참여율은 97.5%로 조사되었으며, 참여형태는 '학교에서 단체로 참여' 가, 참여경로는 '학교 선생님의 권유로' 가 가장 많아 청소년활동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교와 청소년관련시설 간의 연계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변인이 정의적 특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청소년활동 만족도, 참여정도, 성취기대수준의 제고를 위해 청소년의 요구를 반영한 활동프로그램 개발, 지도자 역량개발, 시설·장비 개선, 청소년활동에 대한 다양한 정보제공, 프로그램의 사전교육 진행 등 종합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실태조사의 결과는 청소년활동정책 분야의 성과 지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조사데이터 공개를 통해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 등 다양한 청소년활동과 관련된 학문적 논의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청소년활동 관련 정책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개선', '청소년활동 시설 및 단체의 기능 강화', '청소년활동 홍보 및 정보제공 시스템 구축'의 3개 영역에 대해 정책과제를 9개 추진과제와 27개 세부과제로 구체화하고, 각 세부과제에 대해 추진 단계별 로드맵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current state of youth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provide the evidence-based data needed for policy development. Literary research, expert consultation, a survey, workshop, seminar, and policy council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used to devise a policy-making plan to promot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mong the youth. We obtained the necessary baseline data by means of a survey. It was found that in the past year, 97.5% of youth participated in at least one extracurricular activity. The most prevalent extracurricular activities were those provided by schools and conducted in groups, and a teacher’s recommendation was the most common motivator for participating in an activity. Respondents chose time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ir ability to participat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Collaborative efforts between schools and youth-related organizations were also highlighted as important in promot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Variables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ffective characteristics, suggesting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plan to manage participants’ level of satisfaction, extent of engagement, program development that reflects the needs of youths, leadership training, facilities and equipment,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resources, and preliminary education. The results of our survey can serve as a performance index for extracurricular development efforts, facilitate academic discussion on the positive development of the youth through its public disclosure, and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governance of related policies. Based on our findings, we identified 9 projects and 27 tasks that need to be performed in 3 target areas, namely “enhancement of youth extracurricular programs,” “improvement of extracurricular facilities and organizations,” and “establishment of a resource and information center.” Furthermore, we constructed a road map for each task with step-by-step procedures.

      • KCI등재

        생산 활동과 관리활동의 활동기준원가에 의한 이익예측모형개발

        박정근,박면애 한국상업교육학회 2006 상업교육연구 Vol.12 No.-

        이 연구의 목적은 급식산업에 종사하는 관리 활동과 생산 활동의 인건비와 경비를 중심으로 원가를 발생시키는 관리 활동과 생산 활동을 파악하고, 정확한 활동원가계산에 의한 기업 활동시스템을 분석하고, 경영전략을 수립하여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그리고 급식산업체의 생산 활동과 관리활동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이익그룹을 예측해보고자 한 것에 착안하여, 그룹예측모델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Neural Networks Model과 C5.0 Rule Induction Model을 개발하여 분석한 결과, Neural Networks Model은 대체적으로 76.22%대의 예측률을 나타내고, C5.0 Rule Induction Model은 94.51%대의 예측률을 나타태고 있음을 볼 때 C5.0 Rule Induction Model에 의한 이익그룹예측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이러한 연구는 대부분의 회사에서 ERP를 도입함과 더불어 활동별로 세부적인 데이터가 축적하는 경우 ABC에 의한 원가계산시스템이 활성화 될 것이고 더 나아가 ERP, BPR, SCM, BSC, EVA경영관리기법과 함께 ABC시스템은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On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profit-forecasting model by ABC(Activity-Based Costing) of product and management activity in the provide meals business. And the other purpose is to analyze a critical variables of labor costs and expenses in the product and management activity. The analyzed results of Neural Networks Model and C5.0 Rule Induction Model, showed a 76.22% forecasting ratio in the Neural Networks Model, but it also showed a 94.51% forecasting ratio in the C5.0 Rule Induction Model. Therefore, we concluded that a C5.0 Rule Induction Model is the more effective than a Neural Networks Model in forecasts. ABC system will vitalize the ERP, BPR, SCM, BSC, EVA management techniques.

      • 초등학교 학생의 신체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

        유상석 湖西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10 기초과학연구 논문집 Vol.18 No.1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신체적 그리고 정신적 측면의 건강 증진을 통해 삶의 질을 제고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들이 발표됨에도 불구하고 규칙적으로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아이들의 인구는 줄어들고 있다. 아이들의 신체활동 부족은 비만과 과체중 인구 증가의 주요 원인이 되며, 더욱 심각한 것은 아동기의 비만이 성인기까지 지속됨으로서 성인기의 건강에 치명적인 위협이 된다는 것이다. 학교체육 프로그램의 강화는 아동기의 비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안이다. 아동의 체육활동 참여 여부 및 수준은 아동의 단기적 그리고 장기적 건강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 아동기부터 성인기까지 신체활동에 대한 장기적 연구는 아동기에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과 비교할 때 성인기에 신체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보고하며, 아동기의 신체활동은 성인기의 신체활동 참여를 예측 할 수 있는 중요한 지시자 (indicator) 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아동기의 신체활동은 아동의 비만 문제의 예방뿐만 아니라 성인기의 신체활동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서 건강한 삶의 영위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신체활동에 대한 습관 및 태도가 형성되는 시기의 신체활동을 담당하는 초둥학교 체육수업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아동기와 성인기 비만과 아동기와 성인기의 신체 활동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아이들의 신체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

      • KCI등재

        "활동" 중심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방법 탐색

        임정훈 ( Jung Hoon Leem ),임병노 ( Byung Ro Lim ),김세리 ( Se Ri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디지털교과서 활용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하여, 교사와 학생의 교수·학습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방법을 탐색하고 현장 교사들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 명세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교수·학습 모형, 절차, 방법들을 분석하여 분류기준을 도출하였으며, 그 기준을 토대로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활동 유형을 추출한 뒤 주요 활동들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활동들은 현장 교사들로부터 용어의 명칭과 활동 타당성을 검토받고 현행 디지털교과서가 갖고 있는 주요 기능들을 추출함으로써, 교수·학습 활동과 디지털교과서의 기능들이 결합된 `활동` 중심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활동 49가지를 확정·개발하였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활동 명세서는 각 교수·학습 활동 유형별로 1) 활동 명칭, 2) 활동 개념 정의, 3) 활용 수업 단계, 4) 디지털교과서 활용 기능, 5) 활동 절차, 6) 활용시 유의사항 등의 요소들을 포함시켜 현장 활용이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각각의 활동 유형들과 교수·학습 활동명세서는 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 교장, 교감, 교사 35명으로부터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제안된 교수·학습 방법의 현장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과제로서 1)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수·학습 활동의 사전교육, 2) 학습자들에게 디지털교과서 기반 다양한 정보처리 활동 연습 및 경험 제공, 3) 부가적인 ICT 도구나 학습자원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의 설계와 적용, 4) 수준별 교수·학습 자원이나 전략의 고안, 5) 세부 교과별 교수학습 활동 명세서의 개발, 6) 실제 학교교육 현장 적용을 통한 문제점 개선 등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using digital textbooks and to develop their specifications in order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actual course management using digital textbook. First of all, we found the methods of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eveloped a framework to classify these methods using valid and reliable criteria. At the same time, we analyzed type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hen selected activities appropriate in elementary schools. Next, the study focused on 49 type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ith digital textbook. The second step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activity statement for each of the 49 activities mentioned above. The specification includes six items; 1) the name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2) the definition of their concept, 3) the procedure for using it in class, 4) the multiple functions of digital textbooks, 5) the process of the activities, and 6) the notices. Finally, The validation result of the specification, which was drawn out from survey to elementary teachers, showed that most of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scored higher than 3.0 out of 5.0 across six validation criteria. The aforementioned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supply and the disseminat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ith digital textbooks are as follows: 1) in-service teachers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2)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for learners, 3) supplementary ICT materials and tools for more affluent learning resources, 4) individualized learning resources and strategies for all kinds of learners, 5) further development of specifications for every critical subject matters in the field, and 6) supplement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fter actual field test.

      • 종교활동 참여가 노년기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기독교인 중심으로

        유향숙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 2012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지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종교활동(개신교)참여가 정신건강 특히,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지역, 충남지역에 소재한 개신교회를 선정하여 각 교회의 출석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220명을 각 교회의 교인에게 조사내용을 설명하고 조사를 의뢰하여 우편으로 212부를 회수 하였고, 그 가운데 내용이 누락되었거나 일관성이 없는 응답을 제외한 202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 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전반적인 종교활동 수준을 분석한 결과 조직적 종교활 동, 비조직적 종교활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종교활동은 평균 3.64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통계 학적 특성에 따른 종교 활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의 경우 남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종교 활동 및 조직적 종교활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에 따라서는 65세 미만에 비해 65세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비조직적 종교활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종교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조직적 종교활동이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종교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조직적 종교 활동 비조직적 종교활동이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노인의 종교활동참여가 자 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지역사회와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상담 전문 인력을 확장시켜 노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전문 인력을 통한 지역사회와 지역노인들의 밀접한 관계를 통해 여가프로그램 및 교회활동참여 증진 등의 서비스 연결 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일 특별활동 신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하경표 한국일본교육학회 2010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5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의 새로운 특별활동 교육과정과 우리나라의 특별활동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에 시사점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의 내용뿐만 아니라 배경, 목표, 운영방법, 평가 등의 준거를 기초로 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돌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와 교과 외 활동의 연계 부분을 분명히 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은 재량학습과 특별활동의 연계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교과와 내용에 포괄적으로 연계 가능한 활동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운영면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서는 단위학교와 지도교사의 자율권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인적·물적자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단위학교와 지도교사는 형식에서 벗어나 실질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이 본래의 취지와 목적에 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셋째, 평가방법의 변화에 의하여 많은 혼란이 예상되지만 이러한 혼란을 최소화 하기위해서는 지속적인 홍보와 함께 학생·학부모·학교현장의 인식변화가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특별활동에 대한 인식은 많이 바뀌어 왔고, 상당부분 개선이 되어 왔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경제수준의 향상 등으로 학생들의 관심 및 흥미도 많이 변화하여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 외 영역의 재량학습과 특별활동이 통합되어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개정되었고 평가의 방법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학생· 학부모·학교현장에서는 많은 혼란이 예상되지만 창의적 체험활동이 본래의 취지를 살리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자체에서도 목표를 보다 구체화하고 각 단위학교와 담임교사가 이러한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을 다양하게 시도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자율권을 주고 시설 및 자원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며 학교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