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 달러 환율결정과정의 구조특성과 통화정책의 환율변동 효과

        김희식,장동구 한국은행 2002 經濟分析 Vol.8 No.3

        본고는 환율변동 요인으로 상대소득 등 기초경제여건과 자본규제 등 미시경제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표준VAR모형을 설정하고 이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통화정책이 원/달러 환율을 변동시키는 경로의 구조특성과 변화를 밝히는 한편 환율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환위기 이전까지의 기간에서는 총통화 확대충격이 단기에는 이론대로 환율을 상승시켰으나 상승추세가 장기에도 지속되는 등 전체적으로는 이론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외환위기 이후기간에서는 콜금리 인하충격이 5개월후까지는 환율을 상승시키다가 그 이후에는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율변동에 대한 누적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통화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효과를 경로별로 살펴보면 먼저 상품시장경로를 통한 환율변동 효과는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 모두에서 이론에 부합하게 나타나 기초경제변수를 통한 환율변동 메커니즘은 외환위기 이전에도 정상적으로 작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금융시장경로 및 주식시장경로의 환율변동 효과는 외환위기 이전에는 이론에 부합하지 않았으나 외환위기 이후에는 이론에 부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금융시장 및 주식시장을 통한 자본이동의 미시경제여건이 외환위기 이후 개선된 데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외환위기 이후 통화정책과 환율정책의 방향

        박대근,왕윤종 한국금융연구원 2002 금융연구 Vol.16 No.1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통화정책의 기본적인 운용체제가 통화량 중간목표제도로부터 물가안정목표제도로 변경되었으며, 환율제도도 관리변동환율제도에서 자유변동환율제도로 전환되었다. 이와 같은 변동환율제와 물가안정목표제의 채택은 선진국뿐만 아니라 신흥시장국가에 있어서도 하나의 추세가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통화·환율정책에서의 변화가 우리경제가 처한 새로운 환경에 적절한 것인지를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바람직한 통화·환율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개방경제체제 하에서 우리 경제의 바람직한 통화·환율정책 정립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단 도입된 물가안정목표제도의 정착을 위해 물가예측치 중간목표제와 같이 운용목표의 선정과정에 있어서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유변동환율제도 하에서 환율은 시장에 의해 결정되어져야 하며 정책당국의 인위적 외환시장개입은 균형환율수준으로부터 지속적인 이탈 등 "매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철저히 배제되어야 한다. 셋째, 통화안정증권의 발행잔고가 지나치게 늘어난 결과 통화안정증권의 이자지급 자체가 통화증발요인이 되고 있다. 정상적인 통화정책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총액한도대출, 외환시장개입, 정부의 한은 차입 등 본원통화의 증발요인을 축소시키고, 궁극적으로는 국채를 공개시장조작의 주된 수단으로 이용해야 한다.

      • KCI등재

        이승만 정부의 재정위기와 환율정책 논쟁(1953-1960) : 재정 사회학적 해석

        김미경(Kim, Mi-Kyu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9 亞細亞硏究 Vol.62 No.4

        이 연구는 재정사회학의 시각에서 이승만정부의 재정위기와 환율정책논쟁을 재해석한다. 재정사회학적 시각은 국가형성기 국가재정을 충당하는 특정한 방식이 국가의 재정능력과 국가-사회관계형성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력을 강조한다. 1953년에서 1960년까지 이승만정부는 한국전쟁 후 재정위기상황에서 국가재정을 주로 원조, 한국은행 차입금, 그리고 국채발행에 의존하였다. 이 과정에서 달러 대비 원화환율책정을 둘러싼 한미갈등이 첨예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기존 연구들은 한미의 환율정책갈등을 주로 한국의 경제성장과 산업정책의 연속성과 단절성의 관점에서 이승만정부와 박정희정부를 비교하는 것에 집중한다. 반면, 이 연구는 당시 한미의 환율정책 갈등을 전략적 지대국가(strategic rentier state)의 특성으로 인한 외생적 재정충격을 저환율과 환율고정으로 최소화하려는 이승만정부와 균형재정정책을 한국에 이식하기 위한 정책수단으로 환율 현실화를 요구했던 미국과의 ‘재정정책을 둘러싼 갈등’으로 해석한다. 이 연구는 재정정책이 국가형성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을 강조하며, 이승만정부의 원조재정의존, 농민에 대한 강제적 조세, 특혜적 원조달러배분이 취약한 국가의 재정능력을 장기 지속시키는 국가형성의 왜곡된 경로를 창출했음을 주장한다. This study reinterprets the debates of exchange rates policy under the Syngman Rhee’s government from a perspective of fiscal sociology. According to the main arguments of fiscal sociology, the state’s fiscal capacity and the state-society relations are constructed through a specific way of financing the state and a specific source of state finance in the period of state-building. Syngman Rhee’s government mainly relied on foreign aids, borrowing from the Korean central bank, and bonds issuing in the situation of fiscal crisis after the Korean war. This study focuses on the nature of the Syngman Rhee’s government as a strategic rentier state which tends to minimize the risk of external fiscal shock and to maximize the size of foreign aids. Based on the insights of fiscal sociology to explain the nature of rentier state, we can interpret that Syngman Rhee’s government had been struggled for reducing the expected risks of fiscal shock imposed by the United States in the 1950s, asking desperately the appreciation of Korean won and fixed exchange rates to the U.S. government who wanted to impose the discipline of balanced budget to the Korean government. In this regard, the exchange rate policy conflict between Syngman Rhee’s government and the U.S. government can be understood as the conflicts on fiscal policy and balanced budget norm rather than either on industrialization strategies or on economic policy orientations.

      • KCI등재

        자본시장의 글로벌화와 한국 통화정책의 독립성

        김소영,신관호,Kim, Soyoung,Shin, Kwanho 한국개발연구원 2010 韓國 開發 硏究 Vol.32 No.2

        본 논문은 한국이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변동환율제 도입과 더불어 자본자유화로 자본시장이 글로벌화된 상황에서 외부로부터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수 있었는지를 자본자유화 이전 기간과 비교하여 분석했다. 트릴레마 이론에 비추어보면, 자본자유화 이전에는 환율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을 해도 이론적으로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수 있는 여지가 있었으며, 자본자유화 이후에는 환율제도가 자유변동환율제도로 전환함에 따라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하지만 한국과 같은 소규모 개방경제의 경우 자본시장이 완전히 개방되어 국가 간 연계성이 증가하고, 막대한 양의 국제자본 유출입이 발생하여 환율과 자산 시장의 심각한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외국의 통화정책과 자본 흐름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통화정책을 집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논문의 실증분석에서는 부를 미국으로 국한하여 한국의 통화정책이 미국의 통화정책으로부터 독립적인지 블록 외생성 구조 VAR 모형을 이용하여 자세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통화정책이 자본자유화 이전과 이후 두 기간 모두에서 미국의 통화정책으로부터 완전히 독립적으로 운용되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자본자유화 이후 기간의 경우 완전한 변동환율제를 실제로 운용하기는 쉽지 않았고, 이로 인해 필연적으로 한국의 통화정책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완전히 독립적이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본자유화 이후 기간에는 포트폴리오 자본의 유출입이 자본자유화 이전 기간에 비해 매우 민감하게 변화하여 독립적인 통화정책의 운영에 어려움을 초래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자본의 글로벌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통화정책을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정책의 틀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Korean monetary policy is independent of U.S. monetary policy during the post-crisis period in which capital account is liberalized and floating exchange rate regime is adopted and during the pre-crisis period in which capital mobility is restricted and tightly managed exchange rate regime is adopted. Before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monetary autonomy can be achieved in view of the trillema, even under tightly managed exchange rate regime, as capital mobility is restricted. On the other hand, for the period after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monetary autonomy can be also achieved in view of the trillema, as exchange rate stability is given up. Securing monetary autonomy, however, may not be easy under liberalized capital account for a small open economy like Korea. Huge capital movements can generate excessive instability in foreign exchange and asset markets. Strengthened international economic linkages may also be another factor to prevent monetary policy from being independent. Using block-exogenous structural VAR model, the effects of U.S. monetary policy shocks on Korean economy are examined. Empirical results show that Korean monetary policy is not independent of U.S. monetary policy for both periods before and after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For the period after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Korea does not seem to have implemented floating exchange rate policy in practice, which may lead Korean monetary policy to be dependent on U.S. monetary policy. For the period after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portfolio flows respond dramatically to the U.S. monetary policy, which may also keep Korean monetary policy from being independent.

      • KCI등재

        외환시장 개입 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소영,김지혜 한국국제금융학회 2021 국제금융연구 Vol.11 No.2

        This study uses a structural VAR model with sign restrictions to modelize the interactions among foreign exchange market intervention policy, monetary policy, and exchange rate so we can identify the intervention shock and analyze its impact on the exchange rate.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impact of intervention policy on the exchange rat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f we do not assume the short-term effect by the policy on the exchange rate with the sign constraints. When we assume the short-term impact by the intervention on the exchange rate, a permanent intervention policy does not have more than a short-term significant effect on the exchange rate. Such a result suggests that the foreign exchange market intervention has a short-term effect on the exchange rate at best, and it can serve as a defense against the U.S. pressure on the Korea’s exchange rate policy and designation as a currency manipulator. 본 연구는 부호 제약을 부가한 구조 VAR 모형을 이용하여 외환 시장 개입정책, 통화 정책, 환율 간의 상호작용을 적절히 모형화하여 외환 시장 개입 정책 충격을 식별한 후 외환 시장 개입 정책 충격이 환율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부호 제약을 이용하여 외환 시장 개입 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단기적인 영향을 가정하지 않는 경우, 외환 시장 개입 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외환 시장 개입이 환율에 미치는 단기적인 영향을 가정하는 경우에는 영구적인 외환 시장 개입 정책이 환율에 단기 이상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외환시장개입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기껏해야 단기적이라는 것으로, 미국의 한국 환율정책에 대한 압력 행사, 환율 조작국 지정등과 관련하여 방어 논리로 역할을 할 수 있다.

      • KCI등재

        환율제도의 정치적 결정 요인

        배병인(Byoung-Inn Bai) 한국정치학회 2010 한국정치학회보 Vol.44 No.2

        브레튼 우즈 체제의 붕괴 이후 환율제도가 개별국가의 정책 선택의 대상이 되면서 이를 국내 정치적 요인으로부터 설명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개진되었다. 크게 당파성 모형(partisan model)과 제도 모형(institutional model)으로 대별되는 이러한 시도들은 신고전파 경제학에 입각하여 환율제도의 선택을 통화정책의 자율성과 신뢰성 간의 맞교환 문제로 인식하고 이를 결정하는 정치적 요인을 규명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당파성 모형이 정권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이 이 맞교환을 결정한다고 보는 반면, 제도 모형은 비토 행위자들 간의 경쟁의 정도에 따른 것이라고 인식한다. 그러나 이 두 모형에 기초한 경험적 연구들은 일관된 결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데, 그것은 이들이 전제하고 있는 통화정책의 신뢰성과 자율성간의 맞교환은 자본 통제 정책의 유무와 함수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환율제도의 선택에 대한 양 모형의 가설을 자본 통제 정책의 유무를 고려한 상태에서 경험적으로 재검토한다. OECD 20개국을 대상으로 한 회귀분석의 결과는 당파성 모형의 예측이 자본통제 정책의 유무에 크게 좌우됨을 보여 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artisan and the institutional hypotheses on the choice of exchange rate regime. Partisan hypothesis suggests that the left governments are more likely to choose fixed exchange rate regime as a means to commit credibly to monetary discipline. Institutional hypothesis, on the other hand, claims that the number of veto players and the level of competition among them play a crucial role in such a way that those countries with multiple veto players are more likely to adopt fixed exchange rate regime. Yet, empirical studies on these hypotheses are inconclusive at best. The main reason for this inconclusiveness is that most empirical studies do not consider the impact of capital control options on the purposedly disciplinary effect of fixed exchange rate regime. This problem can be addressed by allowing the simultaneous choice of both exchange rate regime and capital control options. The examination of both hypotheses using the OECD data reveals that the hypothetical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factors and exchange rate regime is conditioned by the availability of capital control options and this is more so in the case of partisan hypothesis.

      • KCI등재

        환율제도에 따른 재정정책 재고찰: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정용승,양두용 한국계량경제학회 2017 계량경제학보 Vol.28 No.2

        We empirically estimate the effects of expansionary fiscal policy in Korea to analyze the impacts of the fiscal policy with different exchange rate regime. First, we empirically estimate the Structural VAR to identify the transmission mechanism of major macroeconomic variables from government expenditure shocks in Korea. The government expenditure shocks increase consumption, investment, and GDP. At the same time net exports decrease and foreign exchange rates depreciate in the long run. Second, we set up a small open economy model with financial frictions and discuss the role of financial market frictions in generating a multiplier of government expenditure under PEG and flexible exchange regime. Extended the existing literature on fiscal policy by introducing limited asset market participation and external finance a la Bernanke et al. (1999) into the model. Shown that the multiplier can be larger than one under pegged exchange rate regime, while is smaller than one under flexible exchange rate regime. 본고는 한국의 재정정책이 서로 다른 환율제도하에서 어떻한 효과가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론적으로 상이한 환율제도가 재정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한국의 재정지출충격에 대한 transimission mechanism을 SVAR을 통해 분석한 결과 재정지출 충격은 총생산, 민간소비, 그리고 민간투자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재정지출충격에 따라 순수출은 감소한다. 한편, 국내 금리는 단기적으로 감소하였다 상승하였고, 환율은 장기적으로 절하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외환위기 이전인 고정환율제도하에서의 재정지출충격에 대한 총생산의 반응은 외환이기 이후보다 크다. 이는 자유변동환율제하에서 재정승수가 감소함을 의미한다. 신케인지언 모형을 통해 재정정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재정지출정책의 효과는 변동환율제보다 고정환율제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재정승수가 반드시 1보다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둘째, 이론적 모형에서 자산을 보유하지 않은 가계가 존재하는 비중이 클수록 재정지출확대에 따라 소비의 증가폭도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자산을 보유한 가계부문이 재정지출확대에 따른 국내금리상승으로 소비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 KCI등재

        물가안정목표제와 변동환율제도 하에서의 통화정책과 환율간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아시아 4개국을 중심으로

        현정환,박찬준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19 아태경상저널 Vol.11 No.1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terdependence between monetary policy and exchange rates in small open economies (SOEs), including South Korea, Thailand, Indonesia and the Philippines, that experienced the Asian financial crisis during the late 1990s. To do so, the paper employ structural VARs with a new identification scheme that permits real exchange rates and short-term interest rates to interact contemporaneously. We find evidence that in responding to interest rate shocks real effective exchange rates quickly rise and, in 2 months after initial shocks, start returning back to its long-run rates in all economies analyzed in the paper. This finding is supported by Dornbusch’s overshooting theory and is also consistent with earlier studies on Norway, Canada, and Sweden, all of which belong to SOEs. Also, interest rates sensitively respond to exchange rate shocks. Putting together, central banks in SOEs are recommended to take the interdependence between interest rates and exchange rates into account in their monetary policy decisions. 본 연구는 1990년대말 아시아외환위기를 겪은 후 변동환율제도와 물가안정목표제를 채택한 한국,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을 대상으로 금리와 환율간의 상호영향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본 논문은 선행 연구의 SVAR모형의 식별조건을 개선하여 분석의 현실설명력과 타당성을 제고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분석대상국가에서 금리인상충격에 따라 실질실효환율이 즉각 상승(자국통화가치 상승)한 후 2개월째부터 서서히 하락하기 시작하여 장기균형으로 수렴하는 현상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율이 국내금리변동에 따라 단기에 큰 폭의 변동을 경험한 후 장기균형으로 수렴한다는 오버슈팅 이론을 실증적으로 입증하는 결과이며, 중앙은행이 적정 환율이라는 목표를 두고 통화정책을 수행할 경우 그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환율변동에 대한 금리의 변동 방향은 국가마다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석대상국 모두에서 금리는 환율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화정책에서 환율을 감안할 수밖에 없다는 소국개방경제의 중앙은행이 당면한 과제를 보여준다. 즉, 중앙은행은 통화정책과 환율정책에 있어서 두 정책조합의 효과를 염두에 두는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의 외환시장 개입정책에 관한 연구

        박상철,김사윤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08 기업과 혁신연구 Vol.1 No.2

        본고의 연구목적은 한국의 외환시장 개입정책의 목표와 결정변수, 결정변수간의 인과관계, 그리고 환율제도의 변화에 따른 개입정책의 기조변화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의 외환시장 개입정책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는데 있다. 실증분석 기간은 1980년 1월부터 2008년 2월까지 326개월이며, 각 변수의 월별자료에 대한 ADF 단위근 검정을 통해 시계열자료의 안정성을 확인하고, 본고의 실증분석 모형에 대한 그랜져 인과분석과 GMM 회귀분석을 분석대상기간 전체에 대하여, 그리고 세 가지 상이한 환율제도하의 하위기간들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다. 전체기간의 그랜져 인과분석의 결과 환율변동이 외환시장개입을 초래할 뿐 외환시장 개입이 환율변동을 유도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GMM에 의한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복수통화바스켓제도하의 기간을 제외하고 다른 세 분석기간(전체 기간, 시장평군환율제도 기간, 자유시장환율제도 기간)에서는 정부의 외환시장개입 변수에 대한 회귀계수의 통계적 유의성이 입증되었다. 그리고 외환시장개입정책의 기조를 검증하기 위한 또 다른 실증분석 모형의 GMM 분석 결과 복수통화 바스켓 제도하의 기간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 분석대상기간에는 불태화 개입정책이 시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empirically the objective and determinant variables of the intervention policy of Korea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s,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determinant variables of the actual intervention, and the consistency of policy orientation of the intervention under different exchange rate systems of Korea. The empirical test period is for 326 months from January 1980 to February 2008. After checking the non-stationarity of our time series data by ADF unit root test, Granger Causality Test and regression analyses by GMM have been done with our structural model. By the Granger Causality Test for the whole test period we find that exchange rate changes granger-causes market intervention of the BOK, but not vise versa. In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by the GMM, we see the coefficients for an intervention variable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at 5% level in the case of the whole period, and 1% level in the case of 〈system II〉 and 〈system III〉. Another regression analysis by the GMM to test the direction of the intervention has been done, and the result tells us that sterilization oriented intervention is verified In every subperiod except under 〈system I〉.

      • KCI등재

        자본시장의 글로벌화와 한국 통화정책의 독립성

        김소영,신관호 한국개발연구원 2010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2 No.2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Korean monetary policy is independent of U.S. monetary policy during the post-crisis period in which capital account is liberalized and floating exchange rate regime is adopted and during the pre-crisis period in which capital mobility is restricted and tightly managed exchange rate regime is adopted. Before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monetary autonomy can be achieved in view of the trillema, even under tightly managed exchange rate regime, as capital mobility is restricted. On the other hand, for the period after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monetary autonomy can be also achieved in view of the trillema, as exchange rate stability is given up. Securing monetary autonomy, however, may not be easy under liberalized capital account for a small open economy like Korea. Huge capital movements can generate excessive instability in foreign exchange and asset markets. Strengthened international economic linkages may also be another factor to prevent monetary policy from being independent. Using block-exogenous structural VAR model, the effects of U.S. monetary policy shocks on Korean economy are examined. Empirical results show that Korean monetary policy is not independent of U.S. monetary policy for both periods before and after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For the period after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Korea does not seem to have implemented floating exchange rate policy in practice, which may lead Korean monetary policy to be dependent on U.S. monetary policy. For the period after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portfolio flows respond dramatically to the U.S. monetary policy, which may also keep Korean monetary policy from being independent. 본 논문은 한국이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변동환율제 도입과 더불어 자본자유화로 자본시장이 글로벌화된 상황에서 외부로부터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수 있었는지를 자본 자유화 이전 기간과 비교하여 분석했다. 트릴레마 이론에 비추어보면 자본자유화가 진행되기 전에는 환율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을 해도 이론적으로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수 있는 여지가 있었고, 자본자유화가 진행된 이후에는 자유 변동 환율 제도로 전환함에 따라 독립적인 통화 정책을 유지할 수 여지가 있었다. 하지만 한국과 같은 소규모 개방 경제의 경우 자본 시장 개방으로 막대한 양의 국제 자본 유출입으로 환율과 자산 시장의 심각한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고 국가 간 연계성 증대로 외국의 통화 정책과 자본 흐름에 완전히 자유로운 통화 정책을 집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논문의 실증분석에서는 외부를 미국으로 국한하여 한국의 통화정책이 미국의 통화정책으로부터 독립적인지 블록 외생성 구조 VAR 모형을 이용하여 보다 자세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통화정책이 자본자유화 이전과 이후 두 기간 모두에서 미국의 통화정책에 대해 완전히 독립적으로 운용되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자본자유화 이후 기간의 경우 완전한 변동환율제를 실제로 운용하기는 쉽지 않았고 이는 필연적으로 한국의 통화정책도 외부의 충격에 완전히 독립적이지 못하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포트폴리오 자본의 유출입이 자본자유화 이후 기간에 이전 기간에 비해 매우 민감하게 변화하여 독립적인 통화정책의 운영에 있어서 어려움을 초래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자본의 글로벌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통화정책을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정책의 틀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