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부 환경 변수가 지역문화축제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창희(Kim, Chang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외부 환경 변수가 지역문화축제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외부 환경 변수로 소비구조와 관련된 변수인 숙박비, 식음료비, 유흥오락비, 쇼핑비 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추가적인 외부 환경 변수로 인구 수, 개최 연차, 개최 일수를 추가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효율성 분석은 편의 추정치를 제거한 부트스트랩 자료 포락 분석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외부 환경 변수가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토빗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 수와 개최 일수는 효율성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숙박비는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이를 통해 지방기초단체에서 지역문화축제를 개최할때, 외부 관광객보다 지역 주민을 더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효율적인 축제가 될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on the efficiency of local cultural festivals. As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we used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consumption structure such as the accommodation cost, the food and beverage cost, the entertainment cost, and the shopping cost.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adding the number of the local population, the number of annual holding, and the number of days as additional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The efficiency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bootstrap data envelope analysis with the bias values removed and the Tobit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on efficien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days served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fficiency and the accommodation cos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efficiency. It is analyzed that when local cultural festivals are organized by local organizations, local residents should be consideredmore important than outside tourists. 본 연구는 외부 환경 변수가 지역문화축제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외부 환경 변수로 소비구조와 관련된 변수인 숙박비, 식음료비, 유흥오락비, 쇼핑비 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추가적인 외부 환경 변수로 인구 수, 개최 연차, 개최 일수를 추가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효율성 분석은 편의 추정치를 제거한 부트스트랩 자료 포락 분석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외부 환경 변수가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토빗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 수와 개최 일수는 효율성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숙박비는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이를 통해 지방기초단체에서 지역문화축제를 개최할때, 외부 관광객보다 지역 주민을 더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효율적인 축제가 될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on the efficiency of local cultural festivals. As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we used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consumption structure such as the accommodation cost, the food and beverage cost, the entertainment cost, and the shopping cost.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adding the number of the local population, the number of annual holding, and the number of days as additional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The efficiency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bootstrap data envelope analysis with the bias values removed and the Tobit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on efficien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days served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fficiency and the accommodation cos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efficiency. It is analyzed that when local cultural festivals are organized by local organizations, local residents should be consideredmore important than outside tourists.

      • KCI등재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강가영,장유미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3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the causal relationship of sense of community, environmental variables in the early adolescents. Using samples from Korean Youth Panel Study(KYPS), authors analyzed 2,351 of 2010 year and 2,280 of 2011 year with a based descriptive statistics, hierarchical regres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proposed by the study. The adolescents(middle school students) of 2010year and 2011year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in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and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urvey as follow; First, affect of in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on sense of community was significant, but it was negative influence. second, And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in adolescents had positive influence on sense of community. Third, multiple 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the factors related sense of community did different between 2010 and 2011 year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for adolescents welfare polic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청소년 문제 및 학교 문제들의 양상은 매우 다양해지고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이것은 청소년들을 둘러싼 급속한 환경의 변화에 따른 공동체의식의 변화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은 적절한 공동체성을 확보하지 못한 가정 및 학교,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생성되는데 그 토대가 여전히 미약하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에 적응하며 사회성을 발달시키고 자신의 삶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하는 초기 청소년에 초점을 두어, 이들의 내적 환경과 외적 환경을 살펴본 후 이러한 내적 환경 및 외적 환경이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0년, 2011년 전국 규모의 조사를 통해 수집한 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내적환경변수 즉 건강인식정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부모-또래관계와 외적환경변수 즉 학교생활적응, 종교활동, 체험활동, 동아리활동은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대하여 내적 환경변수보다 외적 환경변수가 더 높은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집단 요인분석에서는 2010년과 2011년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0년에 비해 2011년 공동체의식에 있어서 내적환경변수가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적환경변수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 KCI등재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참매의 서식지 예측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조해진 ( Hae Jin Cho ),김달호 ( Dal Ho Kim ),신만석 ( Man Seok Shin ),강태한 ( Tehan Kang ),이명우 ( Myungw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미흡한 조류 번식지 예측 모형을 이용해 참매의 서식지 예측 및 대체번식지로서 이용가능한 지역을 선정하고, 향후 참매 번식 가능지역을 대상으로 보호관리 지역을 확대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방안이다. 참매의 번식지는 현장조사에서 확인된 둥지(N=10)를 이용하였으며, 출현지점은 제3차자연환경조사를 통해 확인된 참매출현지점(N=23)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모형변수로는 지형인자 4가지, 자연환경인자(식생) 3가지, 거리인자 7가지, 기후변수 9가지를 활용하였다. 활용변수중 Random sampling을 통해 확보된 비출현 좌표와 출현좌표간 비모수 검증을 통해 최종 환경변수를 선정하였다. 유의성 검증을 통해 선택된 변수는 번식지 대상 10가지, 출현지점 대상 7가지였으며, 이 변수를 활용해 최종 서식지 예측 모형(MaxEnt)을 구축하였다. 모델 구축결과 번식에 활용된 각 변수별 모형 기여도는 온도의 계절적 변동, 혼효림과의 거리, 입목밀도, 경급의 순이었으며, 출현지점에 활용된 각 변수별 모형 기여도는 온도의 계절적 변동, 수계와의 거리, 경작지와의 거리, 경사도의 순이었다. 번식지점을 대상으로 한 모델링은 기후환경과 숲 내부에서 번식하는 참매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예상서 식지는 충청북도 중부 이북지역으로 예상되었으며, 그 면적은 189.5㎢(2.55%)였다. 충북 이남지역은 청주와 충주 등의 비교적 큰 도시가 발달되어 있는 반면 충청북도 북부지역의 경우 산림과 경작지가 고루 발달되어 있어 번식에 있어 일정한 세력권과 먹이원이 필요한 참매로서는 번식에 유리한 지역일 것으로 판단된다. 출현지점 대상으로 한 모델링은 면적이 3,071㎢(41.38%)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출현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단순 이동 관찰 및 계절적인 변동 미고려 등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번식지점을 대상으로 한 모델링보다 광범위한 서식예상지 역을 예측하였다. 결과에서 확인된 예측지점은 번식지를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정밀한 서식예측이 가능하나, 둥지의 특성상 확인되는 지점이 적고, 참매의 행동영역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출현지점을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더 광범위한 지점에 대한 결과 도출이 가능하였으나, 단순 이동이나 지속적인 이용실태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밀도에서는 다소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참매의 서식지를 예측할 수 있으며, 특히 정밀한 번식지역의 예측자료는 환경영향평가나 개발계획 수립시 서식지 모형 결과를 도입하여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identifying the goshawk’s possible and replaceable breeding ground by using the MaxEnt prediction model which has so far been insufficiently used in Korea, and providing evidence to expand possible protection areas for the goshawk’s breeding for the future. The field research identified 10 goshawk’s nests, and 23 appearance points confirmed during the 3rd round of environmental research were used for analysis. 4 geomorphic, 3 environmental, 7 distance, and 9 weather factors were used as model variables. The final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non-parametric verification between appearance and non-appearance coordinates identified by random sampling. The final predictive model (MaxEnt) was structured using 10 factors related to breeding ground and 7 factors related to appearance area selected by statistics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actor that affected breeding point structure model the most was temperature seasonality, followed by distance from mixforest, density-class on the forest map and relief energy. The factor that affected appearance point structure model the most was temperature seasonality, followed by distance from rivers and ponds, distance from agricultural land and gradient. The nature of the goshawk’s breeding environment and habit to breed inside forests were reflected in this modeling that targets breeding points. The northern central area which is about 189.5 ㎢(2.55 %) is expected to be suitable breeding ground. Large cities such as Cheongju and Chungju are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Chungcheongbuk-do whereas the northern part of Chungcheongbuk-do has evenly distributed forests and farmlands, which helps goshawks have a scope of influence and food source to breed. Appearance point modeling predicted an area of 3,071 ㎢(41.38 %) showing a wider ranging habitat than that of the breeding point modeling due to some limitations such as limited moving observation and non-consideration of seasonal changes. When targeting the breeding points, a specific predictive area can be deduced but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points of nests and it is impossible to reflect the goshawk’s behavioral area. On the other hand, when targeting appearance points, a wider ranging area can be covered but it is less accurate compared to predictive breeding point since simple movements and constant use status are not reflected. However, with these results, the goshawk’s habitat can be predicted with reasonable accurac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pply precise predictive breeding area data based on habitat modeling results when enforcing an environmental evaluation or establishing a development plan.

      • KCI등재

        대기환경 기상요인과 외식소비에 관한 연구-서울시 패밀리레스토랑과 배달음식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송흥규(Song, Heung-Gyu) 한국외식경영학회 2019 외식경영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대기환경 기상요인과 소비자의 외식소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패밀리레스토랑의 이용률과 배달업종의 주문 빅데이터를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한 해 동안의 서울특별시에서 이루어진 대기환경 기상요인 12개의 변수와 서울시 내에서 외식 소비가 이루어진 패밀리 레스토랑 이용비율, 그리고 배달업종의 주문 건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패밀리 레스토랑의 이용률에 미치는 기상요인은 날씨 변수인 풍속과 대기환경 변수인 이산화질소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배달음식에 대한 대기환경 기상요인은 평균기온과 초미세먼지의 영향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들 공통변수 외에도 배달업종 별로 미치는 변수에서 차이가 있는데, 피자배달 주문에 미치는 변수는 풍속과 오존, 이산화질소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치킨배달 주문에 미치는 대기환경 기상요인은 초미세먼지, 오존, 이산화질소 등도 영향을 미치며, 마지막으로 중국음식 배달 주문에 미치는 대기환경 기상요인은 강수량과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오존 등으로 조사되었다. 즉, 피자와 치킨은 야외 활동이 많은 시기와 간식의 개념이 함유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중국 음식은 강수량 유무와 식사대용이라는 관점이 포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ir quality weather(AQW) factors and consumers eating out consumption using public Big Data. The spatial range of eating out consumption consisted of family restaurants and food delivery restaurants(pizza, chicken, Chinese food) located in Seoul, which are used by SKT mobile communication companies. And the temporal range is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18. First of all, AQW factors affecting the usage rate of family restaurants are influenced by wind speed, which is a weather variable, and CO, which is an air quality variable. Second, the AQW of the delivery industry was affected by the average temperature and PM-2.5. Third, the delivery industry (pizza, chicken, Chinese food) showed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AQW. In conclusion, family restaurants and delivery restaurants were affected differently by AQW factors.

      • KCI우수등재

        공공서비스의 효율성 측정에 있어서 환경변수의 조정

        유금록 한국행정학회 2008 韓國行政學報 Vol.42 No.4

        본 연구에서는 확률변경분석과 토빗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환경변수가 산출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기 위한 조정방법을 제시한 후, 2006년도 전국 34개 지방의료원을 중심으로 비방사적 산출지향적 규모수익가변 자료포락분석모형을 사용하여 환경변수를 조정하기 전후의 공공서비스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비교했다. 환경변수가 산출요소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한 후 기술적 순효율성이 감소한 지방의료원은 12개로 전체의 35.29%를 차지한 반면 환경변수가 산출요소에 미치는 효과를 조정한 후 기술적 순효율성이 증가한 지방의료원은 17개로 전체의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서비스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인구와 입지, 재정자립도와 같은 환경변수를 조정하여 효율성을 측정해야 한다. 둘째, 확률변경분석을 사용하여 환경변수와 통계적 잡음이 투입요소나 산출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정하는 3단계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확률변경모형이 유의미하지 않을 경우에는 토빗회귀모형을 사용하여 환경변수가 투입요소나 산출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잔여기준효율성모형을 사용하여 투입요소나 산출요소의 방사적 및 비방사적 잔여를 반영하여 효율성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참매의 서식지 예측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조해진,김달호,신만석,강태한,이명우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미흡한 조류 번식지 예측 모형을 이용해 참매의 서식지 예측 및 대체번식지로서 이용 가능한 지역을 선정하고, 향후 참매 번식 가능지역을 대상으로 보호관리 지역을 확대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방안이다. 참매의 번식지는 현장조사에서 확인된 둥지(N=10)를 이용하였으며, 출현지점은 제3차자연환경조사를 통해 확인된 참매출현지점(N=23)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모형변수로는 지형인자 4가지, 자연환경인자(식생) 3가지, 거리인자 7가지, 기후변수 9가지를 활용하였다. 활용변수 중 Random sampling을 통해 확보된 비출현 좌표와 출현좌표간 비모수 검증을 통해 최종 환경변수를 선정하였다. 유의성 검증을 통해 선택된 변수는 번식지 대상 10가지, 출현지점 대상 7가지였으며, 이 변수를 활용해 최종 서식지 예측 모형(MaxEnt)을 구축하였다. 모델 구축결과 번식에 활용된 각 변수별 모형 기여도는 온도의 계절적 변동, 혼효림과의 거리, 입목밀도, 경급의 순이었으며, 출현지점에 활용된 각 변수별 모형 기여도는 온도의 계절적 변동, 수계와의 거리, 경작지와의 거리, 경사도의 순이었다. 번식지점을 대상으로 한 모델링은 기후환경과 숲 내부에서 번식하는 참매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예상서식지는 충청북도 중부 이북지역으로 예상되었으며, 그 면적은 189.5㎢(2.55%)였다. 충북 이남지역은 청주와 충주 등의 비교적 큰 도시가 발달되어 있는 반면 충청북도 북부지역의 경우 산림과 경작지가 고루 발달되어 있어 번식에 있어 일정한 세력권과 먹이원이 필요한 참매로서는 번식에 유리한 지역일 것으로 판단된다. 출현지점 대상으로 한 모델링은 면적이 3,071㎢(41.38%)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출현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단순 이동 관찰 및 계절적인 변동 미고려 등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번식지점을 대상으로 한 모델링보다 광범위한 서식예상지역을 예측하였다. 결과에서 확인된 예측지점은 번식지를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정밀한 서식예측이 가능하나, 둥지의 특성상 확인되는 지점이 적고, 참매의 행동영역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출현지점을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더 광범위한 지점에 대한 결과 도출이 가능하였으나, 단순 이동이나 지속적인 이용실태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밀도에서는 다소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참매의 서식지를 예측할 수 있으며, 특히 정밀한 번식지역의 예측자료는 환경영향평가나 개발계획 수립시 서식지 모형 결과를 도입하여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identifying the goshawk’s possible and replaceable breeding ground by using the MaxEnt prediction model which has so far been insufficiently used in Korea, and providing evidence to expand possible protection areas for the goshawk’s breeding for the future. The field research identified 10 goshawk’s nests, and 23 appearance points confirmed during the 3rd round of environmental research were used for analysis. 4 geomorphic, 3 environmental, 7 distance, and 9 weather factors were used as model variables. The final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non-parametric verification between appearance and non-appearance coordinates identified by random sampling. The final predictive model (MaxEnt) was structured using 10 factors related to breeding ground and 7 factors related to appearance area selected by statistics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actor that affected breeding point structure model the most was temperature seasonality, followed by distance from mixforest, density-class on the forest map and relief energy. The factor that affected appearance point structure model the most was temperature seasonality, followed by distance from rivers and ponds, distance from agricultural land and gradient. The nature of the goshawk’s breeding environment and habit to breed inside forests were reflected in this modeling that targets breeding points. The northern central area which is about 189.5 ㎢(2.55 %) is expected to be suitable breeding ground. Large cities such as Cheongju and Chungju are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Chungcheongbuk-do whereas the northern part of Chungcheongbuk-do has evenly distributed forests and farmlands, which helps goshawks have a scope of influence and food source to breed. Appearance point modeling predicted an area of 3,071 ㎢(41.38 %) showing a wider ranging habitat than that of the breeding point modeling due to some limitations such as limited moving observation and non-consideration of seasonal changes. When targeting the breeding points, a specific predictive area can be deduced but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points of nests and it is impossible to reflect the goshawk’s behavioral area. On the other hand, when targeting appearance points, a wider ranging area can be covered but it is less accurate compared to predictive breeding point since simple movements and constant use status are not reflected. However, with these results, the goshawk’s habitat can be predicted with reasonable accurac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pply precise predictive breeding area data based on habitat modeling results when enforcing an environmental evaluation or establishing a development plan.

      • KCI등재

        종단적 분석을 통한 조직후원인식과 직무/작업 환경 변수 인식 사이의 인과 관계 추정

        이재원(Lee, Jae W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09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3 No.3

        본 연구에서는 종단연구를 통해, 조직후원인식과 종업원들의 직무 및 작업 환경 변수들(고용안정, 승진기회, 절차적 공정성, 리더 임파워링 행위, 동료의 지지, 역할 갈등)에 대한 인식사이의 인과추정을 목적으로 한다. 조직후원인식과 직무/작업 환경 변수들 인식사이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조직후원이론 및 ‘장’이론에 기반하여, 직무/작업 환경 변수들에 대한 인식이 조직후원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왔다. 하지만, 이와 달리 개인들이 본래 가지고 있는 조직에 대한 인식, 태도 등이 그들 직무 및 작업 환경에 대한 인식을 형성한다는 이론적 설명도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개인의 조직후원인식 수준이 그 개인의 직무/작업 환경 변수들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반된 이론적 설명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횡단 연구방식을 취하였기 때문에, 조직후원인식과 직무/작업 환경 변수들에 대한 인식 사이의 인과추정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 중견의류업체로부터 얻은 이차 패널데이터에 대한 시차분석을 통하여, 조직후원인식과 몇 몇 직무/작업 환경 변수들 인식사이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인과추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절차적 공정성 인식은 조직후원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편, 조직후원인식은 고용안정 인식, 동료의 지지 인식, 역할갈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and perceptions of several job/work environmental variables, using a longitudinal research design. The existing research has maintained that perceptions of job/work environmental variables are antecedents of POS. However, some researchers argued that individuals' prior established attitudes/perceptions lead to their perceptions about their job/work environments. Although there are two competing perspectives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S and perceptions of job/work environmental variables, because existing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basis of cross-sectional research design, we can not make definite conclusions about the relationship. Thus,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S and perceptions of job/work environmental variables, using a two-wave panel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ption of procedural justice affected POS. However, POS affected perception of employment security, perception of co-worker support, and perception of role conflict. That is, perception of procedural justice appeared to be an antecedent of POS, while perception of employment security, perception of co-worker support, and perception of role conflict appeared to be the consequences of POS. Some relevant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가상환경에서 대(對)고객 및 고객간(間) 관계결속(Relationship Commitment)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

        이수동(Soodong Lee),최주석(Jooseok Choi) 한국유통학회 2000 流通硏究 Vol.5 No.2

        본 연구는 인터넷의 발달에 의한 가상환경에서 기존의 기업간 관계마케팅 연구보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관계마케팅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관계마케팅 연구의 대표적 변수인 관계결속을 다루고 있다. 가상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본 연구에서는 관계결속을 기업(사이트)-고객, 고객-고객의 두 가지 측면에서 다루고 있으며, 사이트에 대한 관계결속과 고객간 관계 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에 대한 검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이트에 대한 관계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이트에 대한 공유가치와 관계이익을 설정하였고, 고객간 관계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는 고객간 공유가치와 상호작용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사이트에 대한 관계결속과 고객간 관계결속 사이의 영향관계와 이들이 본 연구의 결과변수인 미래의 사이트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가설도 설정하였다. 가상환경에 친숙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중연구를 한 결과 사이트에 대한 관계결속과 고객간 관계결속의 각각의 선행 변수가 영향이 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사이트에 대한 관계결속이 고객간 관계결속에는 영향을 주나 고객간 관계결속이 사이트에 대한 관계결속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변수인 미래의 사이트 이용의도에 대해서도 사이트에 대한 관계결속은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고객간 관계결속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commitment", which is the crucial variable in the study of relationship marketing, because I pay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marketing toward consumers in virtual environment. This dissertation whose main issue is about virtual environment focuses on "commitment" from two perspectives. One is customers I relationship commitment toward enterprises or corporations through internet sites and the other is relationship commitment between customers. The main purpose is to verify antecedents and consequents which influence relationship commitment toward internet sites (corporations or enterprises) and between customers. The hypotheses are that (1) share values and relationship benefit from internet sites affect relationship commitment toward internet sites (2) share values and interactions between customers affect relationship commitment between customers (3) interactions with relationship commitments toward internet sites and between customers exist (4) these relationship commitments affect future intentions. The subjects are university students who I think get used to using internet. The results indicate that (1) antecedents of relationship commitment toward internet sites and between customers are significantly influential (2) relationship commitment toward internet sites influences relationship commitment between customers, but the effect of relationship commitment between customers on relationship commitment toward internet sites is not significant (3) relationship commitment between customers influences future intentions, but the effect of relationship commitment toward internet sites on future intentions is not significant.

      • 노인의 주거와 삶의 만족도

        박성복 ( ) 한국행정학회 2011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1 No.-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생활영역들 중 특히 주거 및 주 거관련 요인들에 대한 만족도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하여 어떠한 구조적인 영향 관계를 갖는지를 파악해 보는 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즉,주거 및 주거관련 요인들에 대한 주관적 만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문제 삼되,주거만족도 및 여타 주거관련 환경요인들에 대한 만족이 삶의 만족도와 어떠한 영향관계 구조를 갖는가 하는 것을 분석한다.이를 위해 7개로 선정한 주거환경 만족도 요인들을 독립변수 군에,주거만 족도를 매개변수로,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경로모형 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건강생활만족도,가족관계만족도,경제생활만족도,근린생활만족도,여가생 활만족도,사회관계만족도,공적보장만족도 등 주거환경 만족도의 일곱 영역 모두는 주거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리고 주거만 족도 역시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나아가 그러한 주거환경 만족도들은 주거만족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도 밝 혀졌다.따라서 주거환경 만족과 주거만족도에 관한 7개의 연구가설들과,주거환경 만족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7개의 연구가설들,주거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1개 연구가설,그리고 주거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한 주거환경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7개의 연구가설들 모두 채택되었다.

      • KCI등재

        프로그램의 운영변수와 외부환경이 프로그램 효과에 미치는 영향

        노혜련(Noh He-Len),김수영(Kim Soo-Young),김영란(Kim Young R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한국청소년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의 효과에 운영변수와 외부환경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서울 경기지역의 3개 초등학교와 13개 중학교의 총 1,039명의 학생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영변수와 관련해서는 참여자가 학년이 어릴수록, 진행자와 참여자 모두 간에 의사표현과 대화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면 질수록, 그리고 학생들이 프로그램 진행 장소와 시간이 적절하다고 인식할수록, 프로그램 실행기간이 단기일 때 프로그램의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환경과 관련해서는 교사의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학급 내 학생들 간에 폭력이 적게 일어나면 날수록, 그리고 학교교칙이 공정하고 일관성 있게 적용될수록 프로그램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이 목표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내용뿐 아니라 프로그램 운영방식과 학교환경의 개선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준다. 운영변수 중에서는 진행자와 참여자 모두 간의 자유로운 의사표현의 수준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쳐 참여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외부환경과 관련해서는 학교분위기를 측정하는 3가지 변수가 모두 프로그램의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기 위해서는 학교의 분위기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접근이 수반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039 students from 3 elementary schools and 13 middle schools who participated in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 order to elucidate the effect of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program effectivenes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with respect to management factors, the ages of the participant, the degree of free communication among program providers and participants, the appropriateness of place and duration for program implementation, and the duration of the program significantly affected program effectiveness. More specifically, the more that students thought that the place in which the program was provided and the duration of the program were appropriate, the more they thought that program was effective. As for environmental factors, all three factors i.e. teacher's attitudes, levels of violence in class, and the degree of fairness and consistency in the application of school rule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program effectiveness. Thus, the more students thought that their teachers cared about them, the fewer incidents of violence occurred within their classes, and the more fair and consistent they perceived the school rules to be applied, the more they tended to perceive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Such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for a school violence program to be effective, as much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mproving the ways in which program is provided and the school environment in general, as to the contents of the program. Of all factors, the degree of free communication among program providers and participants had the strongest effect on program effectiveness, revealing the importance of providing the program in a way that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and contribute to. In addition, the fact that all three variables measuring the school environment were found to affect program effectiveness implies that a systematic approach to changing the school atmosphere in a positive way should occur in order to maximize program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