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예분야 학점은행제 표준교과과정과 교육기관 현황분석

        김지연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3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9 No.-

        Education in the field of floral art and design began with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various forms and methods by institutions, schools, associations, academics, and individuals. These floral art and design education have grown and expanded into the areas of hobbies and cultural activities, vocational education, and learning. In the academic system, floral art and design education is conducted in high schools, junior colleges,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and there are very few four-year universities directly related to the floral art and design. The credit banking system is a system that recognizes various types of education and qualifications conducted by in-house universities, remote universities, civic groups, social organizations, and cultural centers as credits to increase the quality and employability of human resources amid rapid changes in society, economy, and culture. Floral art and design education through the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is one of the pillars of education connected to the schoo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tandard curricula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associate degree (floral art major) and bachelor’s degrees (floral plastic art and design major) in the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ng related research and improving standard curricula and operations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field. The main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were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nd data analysis. In the literature survey study, a method of collecting and analyzing various research reports, data collections, and various related documents that have been studi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was used. In addition, organized and analyzed various statistics and data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and as of 2023, four institutions that operate the largest number of courses were targeted. The contents of the study analyzed the standard curriculum for associate degree (floral art major) and bachelor’s degrees (floral plastic art and design major), and the opening and operation status of courses at educational institutions operating the course. Through these studies and analysi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development measures of the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in the field of floral art and design. First, the number of hours of learning subjects and the number of hours of credits should be proportionally determined. Second, excessive similarity between the standard curriculum of professional bachelor’s degree (floral art major) and bachelor’s degree (floral plastic art and design major) should be improved. Third, the standard curriculum subjects sh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ject characteristics and the learning level should be indicated. Fourth, credit recognition by qualification should be limited to related subjects, not all major subjects. Fifth, subjects suitable for the degree level should be organized, not the convenient curriculum composition of educational management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participants. In addition to the measures suggested above, continuous research and improvement of the system are required in order to revitalize the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field and achieve continuous develop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system supported by the national society and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system. Only when a more systematic system is created through this, educational operating institutions are expected to operate a more substantial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in the floral art design field. 화예분야의 교육은 도제식 교육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기관, 학교, 협회, 학원, 개인 등에 의한 다양한 형식과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화예교육은 취미⋅문화 활동, 직업교육, 학문의 영역으로 성장하고 확장되어왔다. 이러한 화예분야의 교육환경에서 학제 안의 화예교육은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 대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화예나 화예분야에 직접 관련된 4년제 대학이 극히 적고 전문대학에서 전문학사학위와 더불어 전공심화과정을 통해 학사학위가 수여되는 상황에서 학점은행제를 통한 전문학사와 학사학위의 취득은 화예분야 교육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학점은행제는 사회⋅경제⋅문화에서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인적자원의 질과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내대학, 원격대학, 시민단체나 사회단체, 문화센터 등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과 자격을 학점으로 인정받아, 요구하는 조건에 이르면 교육부 장관이나 교육기관의 학장명의 학위를 취득하는 제도이다. 본 연구는 학점은행제에서의 전문학사(예술전문학사-화예전공)와 학사(미술학사-화훼조형학전공)의 표준교육과정 및 교육기관의 현황을 파악하여 관련연구 활성화 및 화예분야 표준교육과정과 운영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 조사 방법과 자료분석을 통해 수행하였으며 문헌 조사 방법은 학점은행제 운영과 관련되어 그동안에 연구되었던 각종 연구보고서와 자료집, 다양한 관계문헌을 취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학점은행제 운영과 관련된 내용은 한국교육개발원과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종 통계와 자료를 정리분석하고, 2023년 기준 화예전공, 화훼조형학전공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육기관 중 가장 많은 교과목을 운영하고있는 4개 기관을 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내용은 전문학사(화예전공)와 학사(화훼조형학전공) 학위를 위한 표준교육과정과 화예분야 학점은행제를 운영하고 있는 교육기관의 교과목 개설 및 운영현황 등을 분석하였다.이를 통한 화예분야 학점은행제의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과목의 시수와 시수에 따른 학점의 비례적 책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예술전문학사(화예전공)와 미술학사(화훼조형학) 표준교육과정의 과도한 유사성이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표준교육과정 과목들이 과목성격에 따라 분류되고 학습수준이 표기되어야 한다. 넷째, 자격에 의한 학점인정이 모든 전공과목으로 인정되는 것이 아닌, 연관 과목으로 한정 지정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육운영기관과 교육참여자의 편의적 교과구성이 아닌 학위 수준에 맞는 과목의 편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위에서 제시한 방안 이외에도 화예분야 학점은행제가 활성화되고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연구와 제도의 개선이 요망된다. 또한 국가 사회적으로 뒷받침되는 체계적인 제도수립과 지속적인 제도정비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보다 체계적 체제가 만들어져야 교육운영기관에서도 보다 내실 있는 화예분야 학점은행제의 운영이 이루어질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중국 전통 대 화기를 통해 본 동양 화예에서 화기의 기능

        백설,김흥렬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4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51 No.51

        본 연구는 중국 전통 화예디자인의 기본 6대 화기(花器)를 대상으로 하여 동양 화예에 화기의 기능 및 특징을파악하고자 한다. 향후 동양 화예디자인 연구의 기초적인 이론적 근거를 구조화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중국 전통화예디자인에 기본 화기로 사용하고 있는 6가지 화기인 병(甁), 반(盤, 소반), 람(籃, 바구니), 항(缸, 항아리), 완(碗, 그릇), 통(筒) 또한 화기와 관련된 문헌 자료를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동양 화예 디자인에서 화기의 기능 및 역할을도출하였다. 동양 화예디자인에 화기의 기능 및 특징은 다음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수분공급. 동양 화예디자인은 대부분이 꽃꽂이 형태이며, 생화 소재를 사용한다.. 둘째, 작품의 균형을 잡아준다. 동양 화예디자인은 주로 선적인 디자인 작품이며 주지의 길이가 긴 편이다. 셋째, 화기의 선택은 작품 사용 목적과 표현 주제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넷째, 작품의 불가분의 일부이다. 다섯째, 화기의 크기와 모양은 전체 화예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섯째, 도자기 같은 불투명한 화기를 주로 사용한다. 일곱째, 많은 문화적인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전통 화예디자인에서 6대 화기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동양 화예디자인에서 화기의 역할과 기능을 확인하려는시도였다. 서양 화예디자인에서 꽃꽂이 형식은 주로 플로랄 폼을 많이 사용하지만 동양 화예디자인에서 친환경적인고정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동양 화예디자인은 상대적으로 더 친환경적이라고 볼 수 있고 관련 연구 및 응용이 많아졌으면 한다. 또한 현대 디자인에서 동서양 서로 용합하고 제작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고 본 연구는 전통적인동서 화예디자인의 화기 사용시점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국 전통 화예에서 사용하는 6대 기본 화기인 것은 본연구의 한계점이며 앞으로 동양 화예디자인 한국, 일본의 화기로 확대하여 연구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향후 관련 연구에 이론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라며, 또한 향후 동양 화예디자인 및 화기와 관련된 연구가더 많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Focusing on the six basic components of traditional Chinese flower design,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summarize the role of flower vessels in traditional Chinese flower design works through the analysis of ancient texts and their applications, and to structure the basic theoretical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raditional Chinese flower design.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the six basic vessels used in traditional Chinese artistic design: vase, plate, basket, jar, bowl, and barrel, which are organized and analyzed in terms of literature and works. The role of ceramic vessels in traditional Chinese artistic design was identified and organized from different dimensions of ancient and modern China. The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and works is discussed in detail in Chapter 3.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ncepts of traditional Chinese artistic design and the six major firearms. 2) Among the six major vessels, bottles are used relatively more. 3) The choice of vessel is influenced by the place, purpose, and meaning to be conveyed. 4) In traditional Chinese artistic design, non-transparent vessels such as ceramics and bamboo are often used. 5) In traditional Chinese art design, vessels with simple designs in simple colors and patterns are used. 6) The vessel affects the size and shape of the work. By organizing and analyzing these aspects, we can see the influence of ceramics, a component of traditional Chinese artistic design, on the artworks, and structure the content. In traditional Chinese artistic design, fireplaces not only play a functional role, but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emphasizing the "unity" of the piece, and are an integral part of the artwork. This study focuses on the traditional Chinese artistic design composition, the floral container, and we hope that it will inspire more researchers to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traditional Chinese artistic design.

      • KCI등재

        발도르프 교육 철학에 기반을 둔 아동 화예창작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최사랑,유택상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5 No.-

        This study proposes the effectiv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by applying Floral art creation. It is based on the educational theory of Waldorf, which focuses on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children: body, soul and spirit. It has an importance in that the value of human-being has been underestimated in Modern society, which is full of Materialism. Also, its effectiveness maximize the importance when applying to Floral art creation as it helps people to overcome the unbalanced view of human-being by refreshing them physically, mentally, emotionally. So, Floral art creation program, which is proposed by this study, would help children to be grown into the well-rounded under the circumstances above. This study mainly consists of three parts: deducting principle conceptions from Waldorf education theory and reality, applying to the floral art creation, and proposing the effective program and the examples. 본 연구의 목적은 발도르프교육 철학을 기반으로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화예창작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방적이고 기술적인 부분에 집중하고 있는 화예창작 교육 영역에 새로운 대안적 교육 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는 점과 개별 학습자가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그것을 자유롭게 내면을 표현하는 것을 중시하는 발도르프교육에 담긴 철학이 아동을 위한 새로운 화예창작교육의 방법 개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점에서 실행되었다.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서론에 이은 Ⅱ장에서는 이론적 바탕을 제공하는 발도르프교육의 내용에대해 개괄하였고 Ⅲ장에서는 20세기 초에 제안된 발도르프교육을 현대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6가지 핵심적인 주요개념을 도출하였다. Ⅳ장에서78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제35집는 Ⅲ장에서 도출한 주요개념들과 원리를 화예창작 프로그램에 적용하는구체적 대안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상기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실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의 개발방법과 구성내용을 예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핵심개념은 초월적 추구, 내면의 표현, 자연적 삶, 상호 연계 수업, 개체적 중요성 중시, 복합예술과정의 6가지로 정리되어졌고 핵심개념의 하부 영역을 20개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개념을 화예창작의 과정에 활용하여 다양한 화예적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각 개념을도출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실제 프로그램 개발하는 예시를 통해 그 활용법을 안내하였다. 본 연구는 발도르프 교육의 철학을 화예교육 에 적용함으로써 아동의 정서적균형과 감수성, 내면의 성장을 도모하는 화예창작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시도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 프랙탈 조형원리의 도입을 통한 화예디자인 작품분석 및 조형화 방법 연구

        남오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09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1 No.-

        화예디자인은 예술의 한 장르로써 인류의 역사와 맥락을 같이 하여 왔다. 현대 과학의 혁명에 의하여 패러다임의 변화는 예술과 과학이 하나의 통합체로서의 역할로 변화되고 있다. 이런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본 연구는 프랙탈 조형원리를 화예디자인에 도입하고자 한다. 이는 21세기 과학인 프랙탈 원리를 화예디자인에 접목시키고, 예술과 과학의 통합체로서 화예디자인 조형화 방법을 찾기 위한 새로운 시도이다. 특히 연구의 핵심은, 프랙탈 원리를 타 장르에 적용된 구성 사례를 근거로 하여 화예디자인작품에 적용된 사례를 분석하고, 그 조형화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프랙탈 조형원리의 고찰을 하고, 프랙탈 조형원리를 적용한 건축, 회화, 실내디자인, 컴퓨터 디자인에서 조형 구성사례를 추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화예디자인의 프랙탈 조형원리의 적용을 위한 이론적 준거를 프랙탈과 화예조형의 유기적인 조형원리의 공통점을 조형원리의 자연성, 유기적인형태에서 찾고, 화예디자인의 화예 조형의 형상화 과정과 방법에서의 자연과 조형, 화예디자인의 조형적 속성, 조형의 발상과정, 조형의 형상화 과정, 조형의 형상화 방법을 고찰하였다. 제4장에서 프랙탈 조형원리의 도업을 통한 화예디자인 작품분석을 하였다. 분석기준으로는 구성원리 형태특성, 형상화방법에 근거하여 화예디자인 조형작품에 적용된 프랙탈 조형원리를 추출하였다. 제5장에서는 프랙탈 조형원리의 도입을 통한 화예디자인 조형화방법 제안을 연구자의 화예조형 작품을 통하여 형상화과정, 형상화방법으로 조형화방법을 제안하였다. 제6장 결론에서 화예디자인에 프랙탈 조형원리의 도입으로서 조형적 표현 가능성이 추출된 자료를 정리하고, 화예 프랙탈 디자인의 조형적 가치를 과학+예술+자연의 상호통합의 가능성에서 화예조형의 트랜드화를 제언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화예 프래탈은 과학과 예술의 통합체로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적 시대의 흐름, 사상이 담겨져 있음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이를 통하여 프랙탈 조형원리를 화예디자인 조형에 도입 가능함을 추출 하였다. 과학 + 화예조형(예술) + 자연의 상호통합의 이론적 도입적용에서 영역의 확장과 디자인 사고의 변화의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화예디자인이 트렌드(trend)한 디자인으로써 지속적인 발전의 계기가 되어질 것이다.

      • 인상주의에 근거한 화예디자인의 색 해석에 관한 연구

        박소영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09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1 No.-

        화예디자인은 자연을 작품의 소재로 삼는다는 점에서 타 미술 장르와 근원적인 차이가 있으며, 그로 인하여 색 사용에 있어 선색(蘇色)을 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인상주의 화가들이 자연의 색 재현을 위해 의도적인 선색을 시도했다는 점은 우리 분야의 색을 해석하기에 적합한 이론적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 본 연구에서는 인상주의의 대표적 특정으로 꼽히는 빛, 점묘화법, 보색대비를 기준으로 각기 빛과 색, 혼색, 배색의 영역을 설정하고, 인상주의의 색과 화예디자인의 색을 나름대로 비교분석해 보았다. 먼저, I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배경과 목적에 관해 언급하였다. II장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있다고 여겨지는 색채연구 이론들에 관해 정리하였다. III장에서는 화예디자인에서의 색 해석 근거로서 인상주의의 적합성을 밝히기 위해 인상주의의 유래, 화법의 특정과 더불어 인상주의의 화예학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IV장에서는 인상주의의 색 특성을 빛과 색, 혼색, 배색의 세 항목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빛과 색에서는 주광과 인공조명에 따른 색의 차이를 살펴보았고, 혼색에서는 병치혼색 원리를 적용한 점묘화법의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배색에서는 쉐브렐의 색채조화에 근거한 보색대비가 강조된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V장에서는 인상주의에 근거하여 화예디자인의 색을 해석해 보았다. 빛과 화예디자인의 색에서는 빛과 화예디자인과의 관계를 설명하고, 빛에 따른 색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화예디자인의 혼색에서는 화예디자인의 색 특성을 설명한 후, 병치혼색의 원리가 적용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화예디자인의 배색에서는 녹색과의 배색과 배경색과의 배색효과를 보색대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상에서 살펴본 화예디자인의 색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화예디자인의 색 해석을 위한 분석틀을 만들어 화예디자인 작품의 색 해석을 위한 기준을 설정해 보았다. 마지막 VI장은 결론으로,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하는 것으로 마무리 했다.

      • KCI등재

        현대식 한국상차림의 화예디자인 제안

        이승은(Seung Eun Lee),윤민희(Min Hie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1

        오늘날 경제적인 성장과 함께 사회가 풍요로워지면서 식탁문화도 음식의 먹는 즐거움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즐거움이 중요하게 나타나고 있다. 상차림에서 음식을 담는 식기, 식탁, 꽃 등 식공간의 장식과 분위기를 나타내는 디자인적 측면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상차림에 계절감과 생동감을 주는 화예디자인의 역할은 점차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 여러 나라들과의 활발한 문화교류로 우리식탁 문화는 서구화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의 현대 상차림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화예디자인도 서양 사조를 모방하기 보다는 우리 민족의 정서와 문화가 깃들어 있는 전통 화예디자인을 새롭게 해석하여 현대적이면서도 보편적인 화예디자인의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1990년대 이후의 한류열풍과 더불어 웰빙식인 한국의 식문화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상차림의 화예디자인 역시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변형, 개발하여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하는 일은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목적은 현대식 한국상차림에 어울리는 화예디자인을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하여 상차림의 목적에 부합되면서 동시에 세계인의 미적 성향에 부합하는 화예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4~2007년의 토야 테이블웨어 페스티벌의 상차림에 표현된 화예디자인을 중심으로 일반인·플라워 전문인·음식전문가의 설문지 조사 및 분석을 바탕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인과 플라워 디자이너, 음식전문가에 대한 현대식 상차림에서의 화예디자인에 관한 선호도 분석을 토야 테이블웨어 페스티벌의 수상작품 16점을 대상으로 상차림의 유형별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상차림에서 화예디자인의 높이는 모두 눈높이 보다 낮은 디자인을 선호하였고, 선호하는 화예디자인의 배치 역시 상차림 중앙에 장식하는 것이 일반인, 전문가 각각 동일하게 높게 조사되었다. 화예디자인의 유형은 모두 수평형의 내츄럴 이미지 상차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상차림의 전체적 이미지를 내츄럴한 이미지의 색상을 선택하고 화예디자인은 테이블·테이블클로스·식기류 등의 색채 조화를 고려하여 강조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대식 한국상차림에서 화예디자인은 시간·장소·목적(T·P·O: Time, Place, Object)에 따라 색상과 이미지를 표현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상차림의 주제와 목적을 정확히 파악하고 도예가·플라워디자이너·음식전문가의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으로 각각의 전문성을 중요시하여 조화를 이루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리하여 현대식 한국상차림에서 음식과 식기의 관계, 화예디자인과의 조화, 그리고 한국적인 정서와 미감을 보여주는 전체적인 상차림의 조화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맞게 전통과 서양의 화예디자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당한 수용(受容)과 순응(順應)을 통해 우리 민족의 주체성을 바탕으로 세계인의 감성에 부응하는 보편적 화예디자인을 추구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현대식 한국상차림의 화예디자인 유형을 제안할 수 있으며, 상차림에서 전통과 현대의 미를 살린 화예디자인의 재창조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are more people appreciate their flourishing lives thanks to the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the visual pleasure became as significant as tasty treats in table culture. The design aspects have taken on greater importance on place setting such as plates, tables and flowers which decorate the atmosphere. Especially flower design, which gives a sense of the seasons and vitality, became emphasized as well. However, Korean table setting is altered to the western style particularly in modern age, as the cultural exchange became active all over the world. In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seek for the direction of flower design that is universal with modernized beauty as newly interpreting traditional flower design of Korea which embraces Korea`s spirit and culture. Since 1990s, the interest in Korean food culture has become widespread along with Korean wave. Likewise, flower design on table setting is understood to be a significant task by reinterpreting as modern meaning through vari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tyle that promptly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flower design that goes well with the world`s aesthetic preference and the original purpose of table setting at the same time by reinterpreting as modern meaning of flower design that agrees to Korean table setting. The target of this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flower design from TOYA Tableware Festival 2004~2007. In addition, it is also ba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questionnaire for the public, flower designers and food exper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for the public, flower designers and food experts inquiring preferred style of table setting. And the preference of flower design in modern table setting is analyzed largely regarding on the 16 winning works of TOYA Tableware Festival. On table setting, the height of flower design is preferred horizontal but lower than eye sight level. The position of the flower design in the middle of the table is highly preferred both from the public and experts. In the style of flower design on table setting, the horizontal and natural decoration is widely favoured. Therefore, the overall style of table setting is suggested that having comfortable and stable decoration in general by using natural colour but the flower design is better to attract attention as giving vigorous image by coordinating table, tablecloth and tableware. Also,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P·O: Time, Place and Object when designing colour and image of modern Korean table setting. Secondly, it cannot be overemphasized to understand the subject and purpose of table setting and to be coordinated with ceramic artists, flower designers and food experts by magnifying specialty through sufficient communi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harmony of the overall table setting that embraces the spirit and tasty treats of Korea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and tableware in modern Korean table setting and the agreement with flower design. Thirdly,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and western style of flower design is inquired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In this sense, the universal flower design should investigated to satisfy the international aesthetics by proper accommodation and adjustment based on the subjectivity of Korea.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suggest the style of flower design in modern Korean table setting and it is expected to accomplish the recreation of flower design with traditional and modern beauty.

      • KCI등재

        발도르프 교육 철학에 기반을 둔 아동 화예창작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최사랑 ( Choi Sa Rang ),유택상 ( Yoo Taek Sang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6 No.-

        본 연구의 목적은 발도르프교육 철학을 기반으로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화예창작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방적이고 기술적인 부분에 집중하고 있는 화예창작 교육 영역에 새로운 대안적 교육 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는 점과 개별 학습자가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그것을 자유롭게 내면을 표현하는 것을 중시하는 발도르프교육에 담긴 철학이 아동을 위한 새로운 화예창작교육의 방법 개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점에서 실행되었다.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서론에 이은 Ⅱ장에서는 이론적 바탕을 제공하는 발도르프교육의 내용에 대해 개괄하였고 Ⅲ장에서는 20세기 초에 제안된 발도르프교육을 현대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6가지 핵심적인 주요개념을 도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도출한 주요개념들과 원리를 화예창작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구체적 대안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상기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실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의 개발방법과 구성내용을 예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핵심개념은 초월적 추구, 내면의 표현, 자연적 삶, 상호 연계 수업, 개체적 중요성 중시, 복합예술과정의 6가지로 정리되어 졌고 핵심개념의 하부 영역을 20개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개념을 화예창작의 과정에 활용하여 다양한 화예적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각 개념을 도출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실제 프로그램 개발하는 예시를 통해 그 활용법을 안내하였다. 본 연구는 발도르프 교육의 철학을 화예교육 에 적용함으로써 아동의 정서적 균형과 감수성, 내면의 성장을 도모하는 화예창작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시도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is study proposes the effectiv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by applying Floral art creation. It is based on the educational theory of Waldorf, which focuses on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children: body, soul and spirit. It has an importance in that the value of human-being has been underestimated in Modern society, which is full of Materialism. Also, its effectiveness maximize the importance when applying to Floral art creation as it helps people to overcome the unbalanced view of human-being by refreshing them physically, mentally, emotionally. So, Floral art creation program, which is proposed by this study, would help children to be grown into the well-rounded under the circumstances above. This study mainly consists of three parts: deducting principle conceptions from Waldorf education theory and reality, applying to the floral art creation, and proposing the effective program and the examples.

      • KCI등재

        제프 레섬 화예연출의 조형특성연구 -화예소재를 이용한 연출 중심으로-

        이지아,이진민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Jeff Leatham flower design characteristics byclassifying the visual formative design elements and flower expression techniques in his works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of his flower design. JeffLeatham is the senior floral designer at the Four Seasons Hotel George V in Paris and has anannual contract with the Shilla Hotel seoul in Korea where he is still working until this day. Hisflower design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aris Four Seasons Hotel being the highest ratedby the French Tourism Agency. In this study, the focus is on his formative and expressivetechniques rather than on the artistic value of his flower design. So selected pieces of JeffLeatham's 'Visionary Floral Art and Design', published in 2014, regarding hotel lobby, wedding &party spaces, and table settings of the Paris Four Seasons Hotel and the Shilla Hotel wereanalyzed in the first analysis in terms of visual formative design elements of form, texture andcolor, and expression techniques. In the second analysis, image adjectives and expressiontechniques derived from the first analysis were plotted on Kobayashi's image and positioningscale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Jeff Leatham’s flower design. Jeff Leatham's floral designprefers single flowers and colors, whilst the techniques do not deviate much from groupingtechniques that are grouping and zoning. More vases than flowers were used in this technique,through which flowers were emphasized expanding into the space. Therefore, Jeff Leatham'sflower design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to practice by presenting expansion possibilities ofspace directing capturing customers' attention with unity, expandability and emphasis. Thesestudies are meaningful for developing creative and new expressive techniques and utilizingformative planning design in practical and educational fields through analyzing the worldwidefloral designer’s pieces formatively. 본 연구는 화예 디자인의 조형요소와 원리 그리고 제프 레섬의 화예 디자인 인식을 기본 이해에 두고, 제프 레섬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조형디자인 요소와 화예 표현기법을 유형화하여 화예디자인의 연출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제프 레섬은 파리 포시즌 호텔 George V(Four Seasons Hotel George V)의 수석 플로리스트로 국내 신라 호텔과 년간 계약으로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아울러 그는 화예디자인으로 프랑스 관광청이 부여하는 최고의 등급을 파리 포시즌 호텔이 선정되게 만든 장본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프 레섬의 화예 디자인의 예술적 가치를 논하기 보다는 플라워디자인의 조형성과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문헌고찰을 하였다. 이를 위해2014년 발행된 제프 레섬의 작품집 ‘Visionary Floral Art and Design’을 중심으로 파리 포시즌 호텔과 서울신라호텔의 호텔로비, 웨딩&파티 공간, 테이블의 작품사례를 선정하여 화예디자인의 시각적 조형요소인 형태,질감 및 색상과 표현기법에 대해 1차 분석을 하였다. 2차 분석에서는 1차 분석에서 도출된 이미지 형용사와 표현기법를 고바야시의 이미지 스케일과 포지셔닝 스케일에 도식화하여 제프 레섬의 화예 디자인의 연출특성을 도출하였다. 제프 레섬의 화예디자인은 단일한 꽃과 색상을 선호하며 표현 기법 또한 그룹핑과 조닝인 집단화 기법에서 크게 벗어나 않는다. 꽃 이외에 오브제 사용이 많은 연출방법으로 꽃을 강조하면서 공간으로 확장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프 레섬의 화예디자인의 연출특성은 단일성, 확장성, 강조성으로 고객의 시선을 사로 잡으면서 화예 매체가 공간연출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여 실무에 활용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세계적인화예연출가의 작품을 조형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실무 및 교육현장에서 독창적이고 새로운 표현기법 개발과 미적인 조형계획 설계에 활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바니타스 꽃정물화에 나타난 화예디자인에 관한 연구

        나선영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2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6 No.-

        Vanitas is a lesson about human life and death, meaning ‘emptiness’ and ‘emptiness’.Vanitas had a great influence on religion, philosophy, literature, music, and art thought in 17th century Europe. During this period, the Netherlands enjoyed economic prosperity, but suffered a tragedy due to the Plague and the Thirty Years’ War. In the 17th century Vanitas still life, ‘flower’ has a very suitable element as the allegory of Vanitas. Flower buds bloom splendidly. wilted. This is because the entire process of death and drying is compared to human life. At the same time, Vanitas still life paintings, through pearl necklaces, jewels, crowns, medals, golden bowls, golden knives, batons, books, globe spices, etc. contains. The floral design that appeared in the 17th century Vanitas still life paintings is that triangular, square, circular, horizontal and vertical flowers ar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Also, with the development of the flower industry, flowers of different seasons can exist in one space. This is because the futility of life amid economic prosperity in the 17th century is the global epidemic of an epidemic or infectious disease in today’s COVID-19 pandemic or global pandemic. This is because similar times are being reproduced, such a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war. Today, Vanitas flower design is popular as it is called ‘Dutch and Flamish’ style. On the other hand, Vanitas Flower Design is a design that emphasizes the lines and space of flowers and branches with various designs. In addition, the image of the era was created through a woman in a 17th century Dutch costume, and the woman in despair emphasized the emptiness and emptiness of the present, the subject of Vanitas. Vanitas still lifes were developed in the Netherlands in the 17th century, but today they teach lessons about worldly luxury, pleasure, and materialism all over the world. Therefore, in this thesis, Vanitas’ flower still life painting and contemporary Vanitas flower design will be studied and used as the basis for the production of flower design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future.In addition, it intends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the future by convergence of the 17th century Vanitas flower design and the modern Vanitas flower design. As an appropriate and effective allegory of Vanitas, ‘flower’, this thesis is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works of flower design that reflects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future. 바니타스는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한 교훈으로 ‘공허함’, ‘허무함’을 뜻하며, 17세기 유럽의 종교, 철학, 문학, 음악, 미술 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 시대 네덜란드는 경제적인 풍요를 누리게 되었으나 흑사병, 30년 전쟁으로 비극을 겪게 되었다. 17세기 바니타스 정물화에서 ‘꽃’ 은 바니타스의 알레고리로 매우 적합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꽃의 봉우리 화려하게 피어남. 시들음. 죽음, 건조됨 전 과정이 인간의 인생에 비유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바니타스 정물화는 진주목걸이, 보석, 왕관, 메달, 황금그릇, 황금장식손잡이칼, 지휘봉, 서적, 지구본 향신료 등을 통해서 세속적인 권력, 지적 능력의 끊임없는 욕망과 이에 대한 덧없음 그리고 물질주의의 비판을 내포하고 있다. 17세기 바니타스 정물화에 나타난 화예디자인은 삼각형, 사각형, 원형, 수평, 수직 화형의 꽃들이 각기 다른 방향을 향하고 또한 화훼산업의 발달로 여러 계절의 꽃이 한 공간에 존재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바니타스 화예디자인은 ‘더치 앤 플래미쉬’ 양식으로 불리며 유행되고 있다. 이는 17세기 경제적 풍요 속의 인생의 허망함이 오늘날 코로나19 팬데믹, 빈부의 격차, 전쟁 등 흡사한 시대 상황이 재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 바니타스 화예디자인은 다양한 디자인으로 꽃과 나뭇가지의 선과 공간을 강조하는 디자인으로 제작 되었다. 또한 17세기 네덜란드 의상을 입은 모습의 여성을 통해 그 시대상을 연출 하였으며, 절망에 빠진 모습의 여성은 바니타스의 주제인 현세의 허무함과 공허함을 강조하고 있었다. 바니타스 정물화는 17세기 네덜란드를 배경으로 전개 되었지만 오늘날에는 전 세계적으로 세속적인 사치, 쾌락, 물질만능주의에 교훈을 주고 있다. 현대 바니타스 화예디자인은 그림이 아닌 실제 꽃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17세기와 같은 모습으로 작품이 재현되기도 되고 소재와 화기 조형적인 면에서 변화되어 제작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바니타스의 꽃정물화와 현대 바니타스 화예디자인을 연구하여 향후 시대정신이 반영된 화예디자인의 제작을 위한 근거 자료로 삼고자한다. 또한 17세기 바니타스 화예디자인과 현대의 바니타스 화예디자인을 융복합하여 미래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꽃’이라는 바니타스의 적절하고 효과적인 알레고리로 향후 시대정신이 반영된 화예디자인의 수준 높은 작품 제작을 위한 근거 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계절의 특성에 입각한 화예 디자인의 색채표현양식 연구

        이헌국,서혜정 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연구원 2007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자연에서 얻어진 재료를 기본으로 하고 있는 화예디자인에 있어 색은 꽃 전체이미지를 형성하는 다른 등위개념의 구조들 보다 훨씬 강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그만큼 화예디자인에 있어서 색채의 조합은 작품의 전체이미지를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따라 계절에 변화에서 이루어지는 사계절의 색채는 화예디자인에 있어 무수하고 다양한 컬러를 자유자재로 배색할 수 있는 기본 정서를 제공해주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 보고 있다. 따라서 현대화예의 계절의 관점에서 색채사고체계에 관한 시각정립과 조형을 이루는 생성과정과 함께 규범적 논리형성체계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화예디자이너는 이를 분명하게 인지해야하며 보다 강력한 색채사고체계로 정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화예디자인에 있어 계절이미지는 계절을 접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느끼게 되는 감성이므로 계절의 이론적 배경으로 기후학 상으로 본 계절의 개념과 색채에 대해 알아보고 거기에 따른 화예디자인의 계절을 표현하는 양식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먼저 계절색채에 대한 자료상의 조사를 통해 따뜻한 색으로 분류되는 봄 Color와 가을 Color 차가운 색으로 분류되는 여름 Color와 겨울 Color에 대해 정리하고 이에 따른 각 계절이 지닌 색채의 미적 특성과 화예디자인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알아본다. 그리고 이 연관성을 바탕으로 현대 화예디자인에서 계절의 특성에 입각한 복합소재에 의한 계절색채표현, 자연소재자체의 계절성, 계절색채 연상에 따른 배색, 디스플레이에 의한 계절색채 표현으로 분류하고 화예디자인 표현양식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작가의 작품사례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