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간화선과 화두참구의 계승

        월암(月巖) 보조사상연구원 2007 보조사상 Vol.27 No.-

        본고에서는 그중 사용 빈도수가 가장 많은 조주무자와 이뭣고? 그리고 본래면목과 만법귀일 등 화두에 대해 그 역사적 연원과 전승과정을 살펴봄으로 해서 간화행자들로 하여금 공안의 역사와 참구법을 정립하여 수행과 깨달음에 대한 신심과 원력을 더욱 견고히 하고, 나아가 실참실구(實參實究)를 여물게 하여 명심견성(明心見性)하는데 지침이 되고자 한다. 화두의 연원과 전개과정이 중요한 이유는 옛조사의 깨달음의 기연이 모두 이러한 화두의 참구로부터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화두의 간택은 매우 중요하지만 그 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간택한 그 화두가 실참수행자의 현성공안(現成公案)이 되어야 한다. 무자화두가 되었든, 이뭣고? 화두가 되었든, 본래면목 화두가 되었든, 그 외에 어떤 화두를 참구하든 간에 화두에 의심을 돈발하여, 간절히 의심하고 의심이 사무쳐 불같은 의단(疑團)을 이루어 화두일념(一念話頭)이 되어야 한다. 또한 화두가 일념만년(一念萬年)이 되어 어느 때 시절인연(時節因緣)이 꽃피는 날을 당하여 일념(一念), 무념(無念)마저 뛰어 넘어 생사를 영단(永斷)하고 일체 중생을 이롭게 하는 것이 정안납자(正眼衲子)의 본분사(本分事)일 것이다. 이것이 견성성불(見性成佛)의 눈이요, 요익중생(饒益衆生)의 길이다.

      • KCI등재

        간화선 화두간병론(話頭揀病論)과 화두의심의 의미

        박태원(Park, Tae-won)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7 No.-

        화두 의심의 출발점은 '모르는 마음'이다. 그리고 이 '모르는 마음'에서 두 유형의 '모르는 마음 상태'가 분기될 수 있다. '알고자 하는 모르는 마음'과 '오직 모르는 마음'이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택하는 길은 '알고자 하는 모르는 마음'인데, 화두 의심이 촉발시켜 주려는 것은 '오직 모르는 마음'이다. 간화선 화두 참구법이 무분별지를 여는 돈오견성과 인과관계를 갖는 것이라는 점을 전제로 할 때, 화두 의심은 '분별(앎/이해/답)을 겨냥하고 있는 모르는 마음'이 되어서는 안 된다. 그런 데 '알고자 하는 모르는 마음'은 '모름'을 부정하고 '앎'을 긍정하려는 마음이어서, 항상 앎/이해/답을 목표로 삼아 겨냥하고 있는 '모르는' 마음이다. '특정한 분별 개념적 내용으로 규정하고 확정하는' 앎/이해/답을 갈구하는 이 '모르는 것을 알고자 하는 의심'은, 그 속성상 간화 십종병으로 지칭되는 다양한 '앎/분별'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이런 의심은 무분별지의 국면을 여는 돈오견성의 길에 반(反)하는, 반(反)화두 의심이다. 이에 비해 화두 의심의 그 '모르는 마음'이 택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길인 '오직 모르는 마음'은, '앎/이해/답을 구하는 모르는 마음'이 아니라, '앎/이해/답을 겨냥하지 않는 오직 모르는 마음'이다. 이 모르는 마음은, 특정한 분별 개념적 내용으로 채우거나 확정하기를 자발적으로 거부하는 마음 상태이다. 모든 분별 개념적 규정과 칸 지르기를 거부하는 '자발적 무규정/불확정의 마음 상태'이다. 바로 이 '오직 모르는 마음'이 화두 의심의 본령이라 생각한다. 돈오견성/깨달음/해탈은 '분별적 규정(희론)'으로 인한 존재 왜곡과 오염이 해소된 국면이다. 분별적 규정 습벽의 지배에서 해방되어, 개념/언어를 페기하는 것이 아니라 개념의 환각에서 벗어나, 개념으로 분류하고 지칭되는 존재들의 참 모습(실재)을 있는 그대로 직관하게 된 국면이다. 이러한 돈오견성/깨달음/해탈국면을 열려면, 무시이래 뿌리 깊게 내면화된 '분별적 규정(분별지)의 습벽(업력)'에서 해방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분별적 규정 습벽'에 휘말려들지 않는 '무규정/불확정의 마음 상태'를 자발적으로 계발하고 수립해야 한다. 아울러 수립된 이 '자발적 무규정/불확정 의 마음 상태'를 순일하게 챙겨가, '분별적 규정 습벽'에서 완전히 풀려나기에 충분한 정도의 힘을 축적해야 한다. 화두에서 촉발되는 '오직 모르는 마음'은 바로 이러한 성격의 '자발적 무규정/불확정의 마음 상태'이다. 간화선에서 역설하는 화두 의심은 일체의 분별적 규정을 거부/해체하는 '규정하지 않는 모름'이다. 앎/이해/답을 겨냥하여 구하지 않는 '오직 모름'이다. 이러한 의심/의정을 의단(疑團)으로 발전시켜 오롯하게 챙겨감으로써, 중생에게 내면화되어 있는 분별적 규정의 습벽(분별지의 업력)에서 완전히 해방될 수 있는 지점으로까지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 간화선 화두 참구가 제창하는 돈오견성/깨달음/해탈 체계의 핵심 발상이다. The school of Seon(禪宗), especially the Seon of seeing the Gong-An(公案), asserts that the doubt of the Wha-Doo(話頭疑心/疑情) leads to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頓悟見性). There are two views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doubt of the Wha-Doo and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 One view is that the mind that desires to know the unknown column creates the acquiring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 This view observes the ordinary meaning of the word 'doubt'. The other view is that the doubt of the Wha-Doo is a method for concentration that makes the mind not-divided. However, these two views are not a valid argument to explain the causal interrelation between the doubt of the Wha-Doo and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 The beginning point of the Wha-Doo's doubt is the 'Not Knowing State of Mind'. From this point two kinds of the 'Not Knowing State of Mind' are able to come into being. 'Not Knowing State of Mind that Wants to Know', the other is the 'Only Not Knowing Mind'. Wha-Doo's doubt is the 'Only Not Knowing Mind'. The 'Not Knowing State of Mind that Wants to Know' always aims at discriminating knowledge. The individuals that practice with this kind of doubt necessarily falls into the ten illnesses of Wha-Doo(看話十稚病). However, the Wha-Doo's doubt must necessarily lead to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 which manifests the 'Not Dividing Mind'(無分別知). Wha-Doo's doubt must not be the kind of 'Not Knowing Mind that Wants to Know' but the 'Only Not Knowing Mind that Never Desires a Prescribing Answer'. The doubt of Wha-Doo has the aspect of non-prescription.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is aspect of non-prescription to understand the causal interrelation between the doubt of the Wha-Doo and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 The 'Only Not Knowing Mind that Never Desires a Prescribing Answer' is the state of mind voluntarily denying the conceptual prescription. The seeker of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 is to take the aspect of a voluntarily non-prescribing state of mind in Wha-Doo and concentrate on it to acquire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

      • KCI등재

        간화선에서의 화두와 메타프락시스에서의 상징의 비교 연구

        이치형(Chi-Hyoung Lee) 한국도덕교육학회 2018 道德敎育硏究 Vol.30 No.3

        이 글의 목적은 간화선에서의 ‘화두’와 메타프락시스에서의 ‘상징’을 비교 고찰해봄으로써, 두 이론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데에 있다. 주지하다시피, 간화선은 화두공안을 참구(參究)함으로써 분별지의 타파―무분별지의 증득―를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러한 간화선의 수행법은 화두를 어떻게 들 것인지―화두참구 수행법―를 명확히 함으로써 그 기제(機制)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메타프락시스에서의 매체는 개념, 언어적 상징, 비언어적 상징으로 구분되며, 여기서 특히 ‘언어적 상징’은 개념도 아니며, 그렇다고 상징(비언어적 상징)도 아니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보다 세밀하게 규정될 필요가 있다. 말하자면, ‘언어적 상징’은 ‘언어’[현상]를 통해 ‘언어 너머’[실재]를 지향하며, 그런 의미에서 그것은 개념을 활용하여 상징을 지향하는 기형적(기괴한) 형태를 취하게 된다. 그러므로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가’―언어적 상징이 무엇인가―를 보다 명확히 밝히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화두’와 ‘언어적 상징’을 상호 비교 고찰하면서 구체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I prepare ‘Whadu’(話頭) of Ganwhaseon(看話禪) with ‘Linguistic Symbol’(言語的 象徵) of metapraxis, thus, I prospect that two theories will be expanded to mutual theoretical discussion. As you know, Ganwhaseon aims to enlightment by keeping Whadu. But, the method of ‘keeping Whadu’ don’t be obvious. Ironically, the mechanism of Ganwhaseon will be cleared by searching ‘Whadu’. Nonetheless, as ever, the meaning of Whadu is not clear. As a result, Whadu will be cleared by research. Meanwhile, three elements of metapraxis are twofold structure of the mind(or the world), circularity and the stance of self-cultivating(當事者的 姿勢), which they are logically relate to each other. But, the logical relation of three elements will have to be specified by analyzing media. In the system of metapraxis, metapraxical media is classified by concept, linguistic symbol and unliguistic symbol(symbol). On the other hand, ‘linguistic symbol’ is paradox. Because it is concept, whereas, it’s symbol. As everyone knows, they are contrary to each other. Therefore, ‘which is possible?’ is to be revealed. Probably, it is related to the feature of ‘Whadu’. Since Whadu is paradox, too

      • KCI등재

        수행문화콘텐츠로서의 화두 참구에 관한 철학적 연구: 參究와 參句

        박재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7

        ‘Hwadu chamgu’ is a term used by ascetic in Korea to refer to a Seon 禪-discipline with a Hwadu 話頭. This term is used universally in Korea so that it does not need to use Chinese characters. And it is often used as a translator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Seon-discipline or studying it. However, ‘chamgu’ is not a word commonly used in modern Korean society. Moreover, its meaning is not clearly defined, so it is inappropriate to use it as a scientific term or a trans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e of focusing on penetration 參究 or investigating of the phrase 參句 and its meaning in historical and literary terms. These two Chinese characters are pronounced the same as the Korean ‘chamgu’. In addition, Chinese characters of tí 提, cān 參, cān xiáng 參詳, zuòhuójì 作活計 are also translated into Korean ‘chamgu’. In this paper, I pointed out that this Hanja original and Korean translations are mixed or inaccurate.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chamgu’ is not suitable as a descriptive word or a translation. It is not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reveal the new meaning of ‘chamgu’ or suggest a translation. Appropriate meanings and translations will naturally be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trying to understand and convey concrete and prominent meanings of the meaning and translation of individual terms in the process of researching and translating documents.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revealing the consciousness of these problems by taking the example of ‘chamgu’ as a representative among many Seon Buddhist terms. ‘화두참구’는 한국의 禪 수행자나 연구자들이 漢字 병기조차 없이 쓰일 정도로 보편화된 선 수행 용어다. 선수행을 설명할 때뿐만이 아니라 문헌연구 과정에서 번역어로도 자주 쓰인다. 그런데 ‘참구’라는 용어는 현대한국 사회에서 통용되는 단어는 아니다. 또 전문 학술 번역어로 쓰기에도 그 의미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아 부적절하다. 본 연구에서는 參究와 參句의 용례와 그 의미를 역사적 문헌적으로 고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래서 한국어 ‘참구’로 발음되는 말에 대응되는 한자어로 參究와 參句 등 두 가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참구’로 번역되는한자어로 單提, 參, 參詳, 作活計 등이 있음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들 원어와 번역어 ‘참구’가 혼용되거나 부정확한 의미로 쓰이는 사례 확인을 통해, ‘참구’가 선에 대한 설명어나 번역어로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참구’의 새로운 의미를 밝혀내거나 번역어를 제안하는 것은 이 논문의 목적이 아니다. 적절한 의미나 번역어는 선 문헌에 대한 연구와 번역 과정에서 개별 용어의 의미와 번역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구체적이고명증한 의미를 파악하고 전달하려고 애쓰는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정립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많은 선 용어 가운데 대표적으로 ‘참구’를 사례로 들어 이러한 문제의식을 드러내는데 집중하였다.

      • KCI등재

        慧諶의 話頭參究法 - 法語와 書答, 그리고 그 속의 禪詩를 중심으로 -

        정명옥 한국선학회 2005 한국선학 Vol.10 No.-

        이상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慧諶은 특히 看話禪的 方法과 視覺을 가지고 풍부한 禪法들을 소화해 내어 조사로서의 기개를 드날렸다. 교학적 내용도 시종일관 선적 기틀로 재편하여 활용하였음을 보이고 있다. 한편, 혜심의 저서 중『眞覺國師語錄』이 그의 看話一門 思想을 직접 살펴 볼 수 있는 자료임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법어와 편지글인 書答에서, 그가 승속을 불문하고 入寺者들에게 話頭와 禪詩를 참구하도록 종용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특히 Ⅱ장 話頭參究法과 Ⅲ장 禪詩에 나타난 話頭參究에서는, 話頭參究法과 禪詩가 표면상으로는 평범한 듯이 보이지만, 내용상으로는 무한한 함축성을 갖고 있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話頭參究法과 禪詩를 통하여 法語와 禪詩가 어떠한 말, 어떠한 형용이 되었든지간에 그 근원은 한결같이 禪의 진리에 통하고 있으며, 言語를 초월하여 모든 分別을 없애고 形式을 없앤 다음 自覺의 계기를 마련해 주는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 KCI등재

        看話禪(간화선)과 華嚴敎(화엄교)의 비교 연구

        전호련(Hor Yeon Je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3

        본고는 간화선과 화엄교의 사상과 수행법을 비교하여, 양자가 서로 차별적 우위를 논한 갈등양상을 보여 왔으나 상통성 또한 없지 않음을 밝힌 것이다. 특히 양자의 특징적인 수행법인 화두참구와 보현관행 역시 깨달음에 이르고 중생교화하는 방편임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화두참구에 있어서 선지식의 수많은 해탈법문이 공안이라면, 화엄행자의 구체적인 보현관행은 활구화두가 된다고 하겠다. 공안에서 화두를 간택하지만 간화행자에게 공안이 다 활구화두는 아닌 반면, 보현관행이 화엄행자에 따라서는 깨달음에 이르는 지름길이 된다. 화두삼요가 대신심·대분심·대의단이라면, 신해심·행원력·지혜심(현전지견)은 관행삼요라 할 수 있다. 이 지혜심은 여래성기구덕심의 일체지를 발현시키는 문수대지이다. 활구화두로 견성한 것이 불성을 드러낸 현성이듯이, 여래성 일심을 관조하여 여래지를 발현시킨 것이 성기이다. 화엄교의 보현관행은 중생계가 다하도록 이어지는 동체대비의 오후수이며, 간화선은 대혜도 늘 강조하듯이 일용득력을 중시한다. 보현행을 여의지 않는 화두참구와 내증과 외화가 둘이 아닌 보현관행은 불일불이로서 무애자재함을 볼 수 있다. This paper has revealed to conflicts aspects about differential discussed between them but they have intercommunication after comparing the thought and practice of Ganhwa Seon and Hwaeom Thought. Especially, this paper were investigated with a focus of expedient method that their characteristic methods of practice of a seek topic and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If numerous Dharma`s Liberation is the Gongan as a seek topic, the specific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of Hwaeom practitioner may be a living topic.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becomes a shortcut way according Hwaeom practitioner. If three elements of a topic can be a great devout disposition, a great inflexible resolve and a great doubt resolution, faith and interpretation determination, action and vow`s mind and wisdom mind can be three elements of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This wisdom mind is Manjusri who generates all wisdom of fully spreading mind of Buddha`s virtue. Like enlightenment by a living topic is as real appearance, arising of buddha`s wisdom to seek a mind of buddha`s nature is arising from the primal nature.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of Hwaeom Thought is enlightenment after practice of feeling and compassion as the same nature as oneself until sentient beings world disappears and Ganhwa Seon as always emphasized great mercy think to important to the usual realization. A seek topic that is not over rely on and Samantabhadra`s contemplation and action that is not two between inward enlightenment and outward enlightenment are not separate can see non impeding untrammeled freedom as neither the same as nor different from.

      • KCI등재

        고려시대 간화선의 수용과 그 특징에 관한 고찰

        이점숙(영석) 한국선학회 2014 한국선학 Vol.37 No.-

        한국선종에서 고려시대의 조사선 수용과 간화선의 수용과정은 한국적 선수행의 정체성을 밝히는 중요한 논의가 될 것이다. 이에 많은 선행연구물이 있지만 한국의 산문에 유입되는 선사상적 차이점을 명시하지 못하고 있고 조사선 사 상을 표방하는 간화선, 혹은 간화선 수행법을 예시하지만 조사선으로 명명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한국 선사상에 있어 중요한 오류를 범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선사상적 차별성을 밝히기 위해 시대적 선사상의 조류를 먼 저 언급하고자 한다. 한국의 선종의 전통은 나말여초 입당 구법승들에 의해 산문선을 형성하게 된 것에 기초를 둔다. 제 산문은 간화선이 체계화되기 이전, 마조계 조사선의 수행법을 수용한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대각국사 의천에 의하여 선종이 다소 위축되었으나, 12세기 이후 가지산문의 圓應國師 學一(1052∼ 1144)과 사굴산문의 慧照國師 曇眞을 계승한 默庵坦然(1070~1159), 그리고 이자현에 의해서 고려 선종계를 조직적이 고 체계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들은 북송대의 선사들과 교류하면서 선적과 함께 송대의 선풍을 도입 하여 고려에 새로운 선풍을 확립하였던 것이다. 고려 중·후기의 보조지눌은 三門을 제시하는 것과 아울러 정혜결사를 전개하는 수행전통으로부터 비로소 간화선 전 통이 펼쳤으며 그의 제자 진각혜심에게 계승되었다. 특히, 13세기말 수선사를 중심으로 유입된 선적을 통하여 간화선 의 수용은 14세기 말경에는 선문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대혜계 몽산덕이 등을 탐방하고 유학한 많은 고려의 선 승들은, 본분종사의 가풍으로 화두를 참구하여 의심이 끓어지지 않도록 하고, 화두를 타파한 뒤에는 본분종사를 찾아 가 묻고 바른 깨달음인지 아닌지를 결택받는 간화선의 수행체계를 확립하게 되었다. 간화선의 수행체계는 사실 조사의 고칙을 이끌어 참구의 방편으로 삼는 것이므로 조사선의 경향과 동시에 화두 참구 라는 간화선의 중층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구조 위에서 간화선 수행체계가 전개되었던 것이다. Seon in Korea’s Koryeo Dynasty, Josaseon(祖師禪) and Ganhwaseon(看話禪)perform the acceptance process of Korean culture in line to say that identitywill be an important discussion. Although there are many intruder, entering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Korea do not have to specify. Josaseonsimilar to Ganhwaseon, or Ganhwaseon calls Josaseon and similar cases. Thismay be committing critical erro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ine on theprehistoric era to uncover the ideological distinction first bird mentioned. The fact that the investig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GanhwaseonGochik(古則) radiation led to a way of meditation at the same time as the trend ofthe layered structure ganhwaseon a buzzword meditation(話頭參究) imitation. These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on the ganhwaseon system will ever perform.

      • KCI등재

        용성선사의 선밀쌍수에 대한 고찰

        김치온 ( Chi On Ki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2 禪文化硏究 Vol.12 No.-

        한국불교에서 선과 밀교가 서로 밀접하게 융섭하게 되는 외적인 요인으로는 조선시대 초기부터 진행된 통폐합에 있다고 하겠다. 특히 서산 휴정 이후에는 종파 개념은 거의 상실하고 모든 종파가 융섭되고 있는 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내적인 요인으로 밀교의 유가삼밀을 통한 삼매와 선을 통한 삼매가 서로 비견된다는 것은 일찍부터 인식되고 있었다. 고려 고종때 간행된『梵書摠持集』에 다라니는 禪定藏이니 백천삼매가 항상 현전하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고, 『진언집』에서는 阿字門이 念佛門圓頓門經截門등 삼문의 宗趣이며 화엄 선 정토의 要門이라고 하고 있다. 특히 普雨는 心卽呪라고 하였고, 休靜은 현실적으로 魔事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신주를 지송해야 하고, 나아가 宿業을 제거하기 위해서 신주의 힘을 빌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용성선사가 깨달음의 방편으로 선밀쌍수를 주장한 데에는 이러한 역사적 인 배경이 작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 보다도 직접적인 요인은 역시 용성선사 스스로의 다라니 지송수행과 화두참구를 통한 깨달음의 체험에 연유한것이다. 먼저는 영민대선사로부터 다라니 지송수행의 지도를 받고 지송수행의 결과 통 밑이 빠지는 것과 같은 체험이 그 하나이다. 또한 다시 無融선사에게 그러한 체험을 여쭈었을 때, ``그것을 아는 자는 어떤 물건인가`` 라는 물음에 답을 하지 못함으로써 다시 화두참구를 시작하게 된 경험 등이다. 용성선사가 『覺海日輪』에서 스스로 "자력과 타력을 합하여 무궁무진한 진리를 깨치면 그 가운데 불가사의한 도력이 있게 된다"고 한 것과 같이, 화두참구의 자력적인 부분과 주문 지송에 의한 타력적인 부문을 합한다고 하는 선밀쌍수의 의식을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열반에 들기 몇 해 전에 역술한 육자주에 관한 저술에서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그것은 화두참구의 주요한 특징으로서 의단의 형성을 위한 중요한 장치를 하고 있는 것에서 확인된다.결국 용성선사 또한 신주 지송으로 마사를 멀리 여의고 숙세의 업을 제거하며 부처님의 가지력을 입는다는 점에서 신주의 지송수행을 권하고 있다. 그리고 신주지송에서 부족한 부분들은 화두참구의 부분으로 메우고 있는데, 그것은 의단을 형성하여 빠른 시일내에 일대사를 해결하게 하는 점이다. 진언염송은 간단없는 염송을 통해 점차 숙세의 업이 소멸되면서 본성이 드러나게 되지만 화두참구는 의단의 형성과 이를 타파함으로써 몰록 깨달음에 이르기 때문이다. 용성선사는 스스로의 깨달음의 체험을 바탕으로 이러한 두 가지의 장점을 결합한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당시 어려운 시대상황에서 세간출세간의 모든 대중들이 쉽게 수행에 접근하고 또한 깨어나게 하기 위한 방편으로써 제시한 것이다. In Korean Buddhism, the external elements for the intimate fusion between Seon and Esoteric Buddhism lies on the merger and abolition process of Buddhism started from the early Choseon Dynasty. Specially after Ven. Seosan Hyujeong, the concept of Buddhist order is totally lost and the fusion phenomena of order noticeably appeared. As an internal element, the similarities between Yugasamil practice of Esoteric Buddhism and Seon practice can be pointed out. Specially, Ven. Bo Woo taught Mind is similar to Mantra, Ven. Hyujeong practically taught that one should enchant Dharani in order to eliminate Masa (evil activities of Devil which stop one to attain Buddhahood), further one should enlist the help of Dharani in order to eliminate wrong Karma. It can be said that the following historical background was happened in the Ven. Yongseong`s acclamation of expedient for Enlightenment through Fusion Practice of Seon and Esoteric Buddhism. Moreover the direct element of his acclamation is experience of enlightenment through the practice of Dharani and Hwadu of Ven. Yongseong. In 『Gakhyeyullun (覺海日輪)』 Ven. Yongseong said that by combining Internal Force and External Force when infinite truth is attained, miracle Dharma Path will be there. Through this we can know that rituals for dual practice of Seon and Esoteric Buddhism which explain the combination of internal force section of Hwadu and external force section of Mantra incantation. And his view appeared clearly in his commentary on Six Syllable Dharani. In that place he was performing important installation in the formation of Eui Dan(疑團). Formation of Eui Dan is one of the major speciality of Hwadu True Search. Therefore, Yongeong Seonsa refered Dharani incantation in a point that continuous Dharani recitation put on empowerment of Buddha by driving away hindrance for practice and eliminating Karmic action. And insufficient part of Dharani Recitation sections are filled by Hwaduchamku Section, this is because to solve the matter of great importance as soon as to form Eui Dan. Mantra recitation eliminate the Karma of one`s former life and reveal the true human nature but in Hwaduchamku formed Eui Dan and achieved enlightenment by breaking it down. On the base of his enlightenment, Ven. Yongseong Seonsa combined these two advantages. This expedient was suggested to give easy access towards spiritual practice to all beings of world and super-mundane.

      • KCI등재

        천태의 십승관법의 관점에서 재구성한 간화선 - 『선가귀감』을 중심으로-

        이병욱 보조사상연구원 2014 보조사상 Vol.42 No.-

        This paper reconstruct ganhwaseon(kan-hua chan, 看話禪) practice from viewpoint of Tian-tai(天台)'s shi-cheng guan-fa(十乘觀法). But I limit the scope of research to Cheongheo Hujeong(淸虛休靜)'s Seongagwigam(禪家龜鑑). In chapter Ⅱ, I study the connection of Tian-tai(天台) thoughts and Chan(禪) thoughts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research. In chapter Ⅲ, I introduce Tian-tai(天台)'s shi-cheng guan-fa(十乘觀法) briefly and I summarize those contents to 5 items. In chapter Ⅳ, I study ganhwaseon(kan-hua chan, 看話禪) practice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5 items, and this is as follows. First, we find to know the right truth in Seongagwigam. It is to practice chan-yi(禪旨) after learning the doctrine minutely. Second, we find to vow by benevolence in Seongagwigam. It is to make strenuous efforts and to doubt hwadu(hua-tou, 話頭) very. Third, we find to practice zhi-guan(止觀) in Seongagwigam. It is to practice hwalgu(huo-ju, 活句). Besides we find to explain the method to practice hwadu(hua-tou, 話頭) by three viewpoint or simile and we find the attitude to practice hwadu(hua-tou, 話頭) in Seongagwigam. Fourth, we find to examine one's own stage in Seongagwigam. It is to take shape in five contents. Fifth, we find to be not attached to the truth in Seongagwigam. Besides we find to express by zen poetry(chan-shi, seonsi, 禪詩) about no attaching to the truth and to look from the viewpoint of language about no attaching to the truth. 이 논문은 천태의 십승관법의 관점에서 간화선 수행을 재조명하고자 한 것이다. 다만 간화선 수행에 관한 저술이 상당히 많으므로 연구범위를 청허휴정의 『선가귀감』으로 제한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천태사상과 선사상의 교섭관계에 대해 선행연구에 근거해서 간단히 검토하고, 3장에서는 천태의 십승관법을 간단히 소개하고, 그 내용을 5가지 항목으로 압축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말한 5가지 항목에 근거해서 간화선 수행을 검토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가귀감』에서도 바른 진리의 가르침을 알아야 한다는 내용을 찾아볼 수 있는데, 그 내용이 교의(敎義)의 요점을 자세히 배운 뒤에 선지(禪旨)를 참구하라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선가귀감』에서도 자비의 마음으로 서원(誓願)을 세워야 한다는 내용을 어느 정도 찾아볼 수 있는데, 그 내용이 ‘크게 분발하는 뜻’과 ‘화두를 크게 의심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지관을 닦아야 한다는 내용이 『선가귀감』에서는 활구(活句)를 참구해야 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여기에 덧붙여서 『선가귀감』에서는 화두를 참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3가지 관점 또는 비유로 설명하고, 화두를 참구하는 마음자세도 설명하고 있다. 넷째, 자신의 수행경지를 점검해야 한다는 내용도 『선가귀감』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것이 『선가귀감』에서는 5가지 내용으로 더욱 구체화하고 있다. 다섯째, 진리에 대한 애착도 없어야 한다는 내용이 『선가귀감』에서도 나타난다. 여기에 덧붙여서 『선가귀감』에서는 진리에 대한 애착도 없는 경지에 대해 선시(禪詩)로 표현하고 언어의 관점에서 바라보기도 한다.

      • KCI등재

        고암의 간화선 사상에 대한 일고찰

        이덕진 대각사상연구원 2013 大覺思想 Vol.20 No.-

        고암에 의하면, 일체는 자심의 나타남이다. 그런데 자심의 작용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계 또한 모 두 허망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러한 자심의 어리석음은 무시이래로 지속되어온 습기 때문이 다. 따라서 그 원인을 멸하면 외경이 오로지 자심의 소현임을 알게 되고, 그러한 습기를 전(轉)하 게 되면 곧 깨달음에 이르게 된다. 그것을 고암은, “문 앞에 깃대를 부러뜨려 없애면, 마음이 깨 끗하고 세계도 깨끗하리라”고 설파하고 있다. 이 깃대를 어떻게 부러뜨려 없앨 것인가 하는 것이 고암 간화선법의 요체가 된다. 고암은 화두(話頭)의 참구(參究)와 타파(打破)를 함에 있어서, 발심(發心)하여 참문(參問)하고 참구하는, 간화선사로서의 길을 충실하게 밟고 있다. 더하여 조사선의 핵심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는 것을 깨침의 기연(機緣)과 관련하여, 용성선사와의 선문답을 통하여서도 그대로 보여주 고 있다. 고암은, 참선이란 다른 것이 아니라, 의정에서 의단으로 그리고는 마침내는 타성일편의 상태인 의단독로의 경지까지 나아가 마침내 그 의심 뭉치를 타파하여 확철대오하는 것이라고 설파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고암은, “선사는 오직 한마음 깨닫는 것 이외에는 생각하면 안 된다”라고 말한다. 화두를 들고 참구하다가 그것을 타파하게 되면 감변을 통해 인가를 받는 것이 간화선[조사선]의 정통적인 수행방법이자 점검(點檢)과 인가(印可)의 상례이다. 고암은 그 예를 따라서 용성과 4회 에 걸쳐서 감변(勘辯)을 진행한다. 그 감변에서 용성은 제자를 교묘하게 인도하여 책발하고, 경 책하여 분발하게 함을 통하여, 관문을 부수고 안목을 열어준다. 용성과 고암사이의 간화선[조사 선] 점검과 인가의 전통은, 옛 조사들의 정통에 곧바르고 명백하게 계합하고 있다. 따라서 그 뒤 를 잇는 우리에게 하나의 중요한 지남(指南)이 될 것이다. According to Goam, Ilche is the appearance of Jasim. However, boundary appeared by the operation of Jasim cannot but empty. Such foolishness of Jasim is because of continual Seupgi since Musi. Accordingly, if the cause is treated, a person realizes Oigyeong is Sohyeon of Jasim, and if Seupgi is transferred, one can achieve enlightenment. In this sense, Goam remarked that “if you break a flag pole in front of a door, your mind and the world would be clean”. How to break the flag pole? That is the core of Goam Ganhwaseonbeop. In Chamgu and Tapa of Hwadu, Goam was faithful to take a path of Ganhwaseonsa who seek Balsim and Chamgu. In addition, he demonstrated that he cherished the core of Josaseon in relation with the Giyeon of awakening through his Zen question and answer session with Yongseongseonsa. To Goam, Chamseon is nothing but to progress from Uijeong to Uidan and finally to reach the level of Uidandokro, a status of Taseongilpyeon so that all kinds of doubt is broken to achieve Hwakcheoldaeo. Therefore, Goam stressed that “a Zen monk must focus on the enlightenment only.”Taking Chamgu with Hwadu and realizing that is the authentic exercise method of Ganhwaseon [Josaseon] which is acknowledged by Gambyeon, and the routine example of check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example, Goam took Gambyeon for 4 times with Yongseong. In that Gambyeon, Youngseong advised, led, encouraged and admonished his disciple in a skillful way in order to break a barrier and to open his perspective. The check and authentication of Ganhwaseon [Josaseon] between Youngseong and Goam is the authentic way of old great monks clearly. Therefore, it will be a great guidance to us who succeeded their tra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