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V 홈쇼핑 이용현황 및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성희,양세정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5 No.4

        본 연구는 TV 홈쇼핑 이용현황과 소비자만족도를 분석하였다. TV 홈쇼핑에 대한 소비자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5개의 하위영역(제품, 방송, 주문, 배송, 취소?교환?반품만족도)로 나누어 각각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서울지역의 1,000가구를 조사대상으로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5.0을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포, 백분율, 분산분석,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TV 홈쇼핑을 이용하는 이유는 편리성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부가적 혜택인 것으로 나타났다. TV 홈쇼핑을 통해 가장 많이 구매하는 제품은 식료품이었고 시청시간은 하루에 30분-1시간 미만인 경우가 가장 높았다. 이용시간대는 오전 10시-오후 2시사이가 가장 많았고, 구매한 횟수는 1회미만, 1-2회의 순으로 나타났다. 구매금액은 1달을 기준으로 5만원-10만원 미만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둘째, TV 홈쇼핑에 대한 전반적인 소비자만족도는 보통이상으로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V 홈쇼핑 만족도의 하위 5개영역 중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인 것은 최소?교환?반품 만족도였다. 그리고 세부항목 중에서는 주문만족도 중 주문과정에서 신용정보 관리의 안전성에 대한 것이었다. TV 홈쇼핑에서 구매시 소비자가 중요시 하는 것은 제품에 관한 것이었다. TV 홈쇼핑 이용 시 개선 요구사항은 방송과 실제 제품과의 차이, 제품의 품질 불량이 제시되었다. 셋째, 방송, 주문, 배송, 취소관련 TV 홈쇼핑 만족도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집단별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시청시간, 이용횟수, 구매금액에 따라서도 집단별로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TV 홈쇼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독립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제품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매금액, 주문만족도와 배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력, 직업, 월평균 소득이었다. TV 홈쇼핑 이용횟수는 주문만족도에, 결혼여부는 취소관련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TV홈쇼핑의 실버층 구매선택요인과 만족도 분석

        김하나,김숙응 한국기업경영학회 2019 기업경영연구 Vol.26 No.1

        As of the end of August 2017, the Republic of Korea has entered an aged society with an elderly population aged 65 and over accounting for 14% of the total population. Now our society is on the agenda of aged society. With the retirement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senior consumers who can afford time and the cost. This suggests that the main force of the consumer market is shifting to the silver consumers. Silver consumers are becoming the big investors on TV home shopping by increasing their consumption activities through the familiar medium of TV easily with one remote control. This means that the activities of the company itself should also be transformed for the silver consumers which is the main market . Despite these environmental changes, companies should not neglect researching about silver consumers whose purchasing power has been shif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ilver marketing strategy in TV home shopping by analyzing the theoretical review and empirical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sliver consumers. And with the use of analysis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election factors of silver consumer TV home shopping habit and satisfaction. For this study, the theoretical review and the empirical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existing studies. The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16, 2017 to September 30, 2017, using a questionnaire to extract 350 male and females over 50years old nationwide. 256 valid sample were use for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analyzing us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Regress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sed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purchase selecting facto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x out of eleven factors, which are age, marital status, income, residence type. Second,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V home shopping purchasing factors according to TV home shopping usage patterns, only three out of 17 nominal scales were able to analyze the difference. That is, the longer the viewing time(more than 31minutes), the greater the number of purchases(more than two times), and the greater the purchase amount(more than 110,000won), resulted in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it was found out that the reputation, price appropriateness, and delivery safe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V home shopping satisfaction among the selection factors of the silver consumers TV home shopping purchases. Fourth, it was found that shipping safety, reputation, convenience and price appropriat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hen considering TV home shopping affects TV home re-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Fifth, it was found that tv home shopping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re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purchase choice factors of silver-generation on home shopping satisfaction. In the previous research, if the purchasing factor of the general consumer was a factor of price promotion or show host, the result of silver consumers was that the reputation of the company, the appropriateness of price, and the safety of delivery were important. As a result of this study, if a company which first recognizes the factor of selecting a TV home shopping purchase and establishes the marketing strategy of TV home shopping by referring to this result, it will be ahead of other competitors. 우리나라는 2017년 8월말 기준,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14%로 예상보다 1년 앞서 고령사회로 진입하였다.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가 노년층으로 편입되면서 시간적, 경제적 여유를 갖춘 실버층소비자들도 증가하고 있다. 실버층소비자는 리모컨 하나로 손쉽게 TV라는 친숙한 매체를 통해 소비활동을 늘리면서 TV홈쇼핑의 큰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TV홈쇼핑 기업 활동 또한 새로운 시장인 실버 시장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업들이 이 시장에 대한 정보 부족과 접근방법에 대한 지식 또한 미미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덜 연구가 되었지만 상대적으로 고객으로서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실버층의 TV홈쇼핑 구매선택요인이 홈쇼핑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실버층 TV홈쇼핑 구매선택요인에 있어서는 연령, 결혼여부, 소득, 종교, 주거형태의 5가지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TV홈쇼핑 이용형태에 따른 TV홈쇼핑 구매선택요인은 시청시간이 길수록, 구매횟수와 구매금액이 많을수록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실버층 TV홈쇼핑 구매선택요인 중 TV홈쇼핑 만족도에는 쇼핑몰평판, 가격적절성, 배송안전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실버층 TV홈쇼핑 구매선택요인 중 TV홈쇼핑 재구매의도는 편리성, 쇼핑몰 평판, 가격적절성, 배송안전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TV홈쇼핑 만족도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만족하면 재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선행연구에서와 동일한 결과가 분석되었다. 또한 베이비부머를 포함한 65세 미만의 실버층소비자와 65세 이상 실버층소비자의 구매선택요인을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65세 미만 실버층소비자는 가격촉진이나 재구매의도요인을, 65세 이상 실버층소비자는 기업의 쇼핑몰평판과 가격적절성 그리고 배송안전성을 구매선택요인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이 실버층을 대상으로 기업 활동을 수행할 때 실버시장이 하나의 동일한 욕구를 지닌 유사한 시장이 아닌 이질적 시장임을 인식해야 할것이다. 따라서 TV홈쇼핑업체는 유망한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실버시장에 대해 TV홈쇼핑 구매선택요인을 고려, TV홈쇼핑 마케팅전략을 수립한다면 다른 어떤 기업보다도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것이다. 이 연구는 유망시장으로 부상 중인 TV홈쇼핑의 실버층시장에 대한 효율적인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CATV홈쇼핑에 관련된 충동구매행동

        박은주(Eun Joo Park),소귀숙(GWi Sook So) 한국유통학회 2002 流通硏究 Vol.7 No.1

        본 연구는 CATV홈쇼핑에 관련된 충동구매행동에 관한 연구로서 특히 의류제품의 CATV홈쇼핑에 관련된 소비자 특성, 마케팅 요인이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부산시내 거주의 CATV홈쇼핑 방송을 시청하거나 CATV홈쇼핑을 통해서 구매경험이 있는 20~50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63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을 이용하여 요인 분석, t-tset, x2-test, 판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CATV홈쇼핑을 탐색할 때 ‘애고적 탐색행위’. ‘상품중심적 탐색행위’로 구성되어, 소비자들은 자주 이용하는 홈쇼핑채널을 이용하여 홈쇼핑 프로그램을 즐기고 있었으며, 새로운 상품이나 상표를 보기 위해 CATV홈쇼핑을 탐색하였다. CATV 홈쇼핑에 관련된 마케팅 요인은 ‘촉진요인’, ‘제품요인’, ‘대금결제방식요인’으로 구성되어, CATV홈쇼핑에서 제시하는 사은품, 긴박한 상황조성, 구매재촉 등에 충동구매행동이 많은 자극을 받았으며 제품의 디자인이나 색상, 상표의 유명도 등 제품특성과 신용카드 사용여부 등 대금결제방식요인이 충동구매행동을 자극하였다. 둘째, CATV 홈쇼핑에서 충동구매집단과 비충동구매집단간에는 소비자특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마케팅요인으로부터 받는 영향력도 달랐다. CATV 홈쇼핑의 충동구매여부는 소비자의 충동성향, 마케팅자극의 촉진 요인에 의해 판별되며 애고적 당색행위, 자기통제력, 대금결제방식요인, 제품요인에 의해 판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들은 CATV홈쇼핑을 시청할 때 프로그램을 즐기며 새로운 상품을 찾았으며, 마케터가 제시하는 다양한 자극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충동구매를 하는 사람들은 소비자특성, 마케팅자극으로부터 받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으며, 소비자의 충동성향과 마케팅 촉진요인은 CATV홈쇼핑에서 패션제품의 충동구매여부를 판별해주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onceptual structure of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marketing elements affecting impulsive buying behavior of the CATV home-shopper on fashion product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marketing elements between impulsive buying shoppers and non-impulsive buying shoppers in CATV home-shopping. We collected data from 263 females of CATV home-shoppers in Busan.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t-test, x2-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loratory tendency of CATV home-shoppers was consisted of Patronage-orientation, and Product-orientation. The marketing elements perceived by CATV home-shoppers were composed of Promotion, Product and Payment method. There were difference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marketing elements between impulsive buying shoppers and non-impulsive buying shoppers. Especially, impulsive tendency of shoppers and promotion factor of marketing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impulsive buying behavior of CATV home-shopping. Th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about impulsive buying behavior in CATV home-shopping, useful to consumer behavior researchers and retailers.

      • KCI등재

        화장품 홈쇼핑시장에서 소비자만족과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최수호,최정일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0 유라시아연구 Vol.17 No.1

        2019년도 국내 홈쇼핑은 7개 업체가 있으며, 시장점유율은 CJ홈쇼핑, GS홈쇼핑, 현대홈쇼핑, 롯데홈쇼핑, NS홈쇼핑, 홈앤쇼핑, 아임쇼핑 순으로 높게 나타나 있다. 홈쇼핑시장 규모는 2016년도 4조 8,900억, 2017년도 5조 1,600억, 2018년도 5조 2,600억 원으로 매년 4%씩 성장하고 있다. 최근 홈쇼핑시장 은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면서 고화질의 정보제공이 가능해졌다. 홈쇼핑 업체는 T-Commerce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쇼핑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홈쇼핑 업체들은 국내시장의 노하우와 경험을 토대로 해외시장을 개척하면서 외형확대와 수익다각화 를 시도하고 있다. 홈쇼핑사업은 백화점 등 오프라인에 비해 소비자 수요에 기민하게 대처할 수 있고 경 기변동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국내 화장품 브랜드는 세계적으로 높은 브랜드 가치를 보이면서 ‘K-Beauty’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국내 유명 업체로는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한국화장품, 토니모 리, 코리아나가 있다. 국내 기초화장품 브랜드는 이니스프리, 더페이스샵, 설화수, 미샤, 에터미 순서로 나타나 있다. 색조화장품 순서는 애뛰드, 미샤, 더페이스샵, 이니스프리, 아라따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홈쇼핑시장에서 이용자들의 물류서비스, 브랜드가치, 제품선호도가 소비자만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검증을 실행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찾아보고 조작적 정의와 측정 변수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 측정변수에 대한 신뢰도분석과 타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분석은 얼마나 표본 특성이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는지 검증하는 과정으로 응답자들이 설문지 내용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일관성 있게 응답을 하였는지 확인하는 내적 일관성 검증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적일관성 을 검증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회과학 연구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신뢰성 검사방법인 Ch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온라인 홈쇼핑시장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물류서비스, 브랜드가치, 제품선호도가 소비자만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적으로 이용자 250명을 대상 으로 2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독립변수는 “물류서비스, 브랜드가치, 제품선호도” 로 매개변수는 “소비자만족”, 종속변수는 “경영성과”로 구성하였다. 이 변수들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4 개 설정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각 요인별로 리커드 5점 척도를 수행하여 중요도와 신뢰도, 타당성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변수에 대한 측정 도구로 타당성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내용을 응 답자들이 정확히 인식하고 일관성 있는 응답을 하였는지 살펴보는 내적 검증 과정이다. 또한 본 연구는 내적일관성을 점검하기 위해 신뢰성 검사방법 Ch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Chronbach’s α 수치가 0.7 이상으로 계산되어 본 연구에서 이용된 측정 변수들은 내적 일관성이 확보되었다. 각 측정변수들의 타당성을 점검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에 Varimax Rotation을 적용하여 탐색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Chronbach’s α가 물류서비스 0.702, 브랜드가치 0.725, 제품선호도 0.744, 소비자만족 0.721, 경영성과 0.798로 산출되어 측정요인들이 내적일관성을 확보하였다. 타당성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물류서비스와 브랜드가치, 제품선호도가 소비자만족, 경영성과가 모두 유사한 항목들로 서 로 잘 묶여 있었다. 판별타당성 검증에서 AVE와 CR의 값이 모두 허용 기준치 0.5와 0.8 이상으로 제시 되어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들의 판별타당성이 대체로 잘 확인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설검증결과 표준화계수가 ‘물류서비스 ⇨ 소비자만족’이 0.171로 ‘브랜드가치 ⇨ 소비자만족’이 0.077 로 산출되었으나 기각되었고, ‘제품선호도 ⇨ 소비자만족’이 0.623로 ‘소비자만족 ⇨ 경영성과’이 0.643로 산출되면서 채택되었다. 분석결과 홈쇼핑시장의 이용자들은 물류서비스나 브랜드가치 보다는 제품선호 도가 높을수록 소비자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소비자만족이 높을수록 경영성과가 높을 것으로 조 사되었다. 각 홈쇼핑업체은 소비자만족과 경영성과를 높이기 위해 제품선호도를 향상사키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are seven domestic home shopping companies in 2019. Market share is high in the order of CJ Home Shopping, GS Home Shopping, Hyundai Home Shopping, Lotte Home Shopping, NS Home Shopping, Home & Shopping and Iim Shopping. The size of the home shopping market is growing by 4% every year to ₩4.89 trillion in 2016, ₩5.16 trillion in 2017 and ₩5.26 trillion in 2018. As the home shopping market has recently shifted to digital broadcast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high quality information. Home shopping firms are increasing new types of shopping services as the T-Commerce market becomes active. Home shopping companies are attempting to expand their sales and diversify their profits by pioneering overseas markets based on the know-how and experience of the domestic market. Compared to the offline market, the home shopping market can be agile in responding to consumer demand and minimize the effects of economic fluctuations. Domestic cosmetic brands are leading the ‘K-Beauty’ market, showing high brand values worldwid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ogistics service, brand value, and product preference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he online home shopping market. To carry out hypothesis testing, this study looked for prior studies and examined operational definitions and measurement variables. In addition, reliability and feasi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Reliability analysis is the process of determining how properly the characteristics of a sample are formed. This is an internal consistency check process that verifies whether respondents clearly understand the questionnaire and respond consistently. In this study, Chronbach’s α coefficient was used as a reliability test method to verify internal consistenc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of logistics service, brand value, and product preference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for users of online home shopping market.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weeks with 250 users nationwide. In the surve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Logistics Service, Brand Value and Product Preference”, the parameters were “Consumer Satisfaction,”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Business Performance”. Using these variables, four research hypotheses were set. The questionnaire survey performed the Richard five-point scale for each factor to conduct importance,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is study, reliability and feasi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measure each variable. Reliability analysis is the process of determining how well the characteristics of a sample are formed. This is an internal coherence process where respondents are clearly familiar with the questionnaire and verify that they respond consistently. In addition, this study used Chronbach’s α coefficient to verify internal consistency. Ch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be greater than 0.7, and the measured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internally consistent.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measured variables, this study analyzed exploratory factors by applying Varimax Rotation to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alysis result, Chronbach’s α was calculated as logistics service 0.702, brand value 0.725, product preference 0.744, consumer satisfaction 0.721 and business performance 0.798. Thus, the measurement factors ensured internal consistency. This study analyzed exploratory factors for feasibility analysis. As a result, logistics services, brand value, product preferences, consumer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were all combined well with the same factors. In the discriminant validity test, both AVE and CR values were suggested to be above the acceptable thresholds of 0.5 and 0.8. Therefore,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as well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of ‘Logistics Service ⇨ Consumer Satisfaction’ was 0.171 and ‘Brand Value ⇨ Consumer Satisfaction’ was 0.077, but it was rejected. In addition, ‘Product Preference ⇨ Consumer Satisfaction’ was 0.623, and ‘Consumer Satisfaction ⇨ Business Performance’ was 0.643. So this research hypothesis was adopted. Analysis result, home shopping users showed higher consumer satisfaction with higher product preference. And the higher the consume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business performance. Home shopping companies should be the first to improve the product preference in order to improve consumer satisfac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 KCI등재

        TV 홈쇼핑 산업 재도약을 위한 발전 전략

        정연승(Yeon-Sung Jung) 한국유통학회 2009 流通硏究 Vol.14 No.5

        국내 TV홈쇼핑 산업은 지난 10여년간 급속한 외형 성장과 함께 국내 유통산업, 방송산업 그리고 기타 연관 산업의 발전에 많은 공헌을 하였으며, 중소기업 육성과 소비자 니즈 충족에도 많은 역할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이후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TV홈쇼핑사, 중소규모 공급업체 등 주요 참여자들간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 다양한 이슈들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디지털 방송, 모바일 매체, IPTV 등 신매체가 지속 등장하고, TV홈쇼핑사들의 해외 진출이 가속화됨에 따라, 기회와 위협이 공존하는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TV홈쇼핑 업계가 다시 한번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주요 참가자들간의 상생을 위한 협력을 전제로 새로운 미래지향적 발전 방안의 마련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차원에서 TV홈쇼핑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TV홈쇼핑사들은 유통사업자와 방송사업자로서의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 둘째, TV홈쇼핑사들은 중소규모 공급업체를 위해 기존 권고사항을 개선해나가야 한다. 셋째, TV홈쇼핑사와 중소규모 공급업체간 상생협력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방안을 통해서 TV홈쇼핑업계는 진정한 상생협력의 분위기에서 실질적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n television home shopping industry has been rapidly growing for the last decade, which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relevant industries, such as retailer industry, broadcasting industry and logistics industry. It also contributed to not only encouraging the growth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but meeting the diversity of customers' needs as well. Despite the above positive impacts, it's growth has been slowing down since 2005 mainly due to the conflicts between the TV home shopping retailers and their suppliers. Now the industry is having both threat and opportunity. On one hand, the competition are getting more intense with the emergence of digital broadcasts, mobile media and IPTV. On the other hand, a new opportunity for extending it's business scope to overseas can be offered to our TV home shopping companies. In line with this situation, the TV home shopping industry needs to prepare the brand new development strategy to regain its momentum with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stakeholders. This study presented three possible solutions. First, the TV home shopping retailers should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by enhancing the capabilities of both Retailing and broadcasting. Second, they must meet the requirements towards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s recommended by Korean government. Third, The win-win strategies for both TV home shopping retailers and their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s ought to be established. These suggested solutions will contribute to not only positioning their competitive advances but also building up the authentic atmosphere of collaboration.

      • KCI등재

        동기이론 기반 TV 홈쇼핑의 서비스품질 및 정보품질이 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애(Lee, Youngae) 한국소비문화학회 2019 소비문화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이 둔화된 TV 홈쇼핑산업의 차별화 및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가 TV 홈쇼핑을 통해 만족 및 복지감 향상을 추구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소비자의 TV 홈쇼핑 이용동기가 실제 서비스 및 정보품질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해당 품질평가가 소비자의 만족감이나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대상은 6개 주요 TV 홈쇼핑 업체(롯데, 현대, 홈앤쇼핑, CJ, GS, NS)를 주거래 홈쇼핑 업체로 최근 6개월 이내에 해당 업체를 통해 구매한 경험이 있는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전문 조사업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TV 홈쇼핑 이용 동기인 즐거 움과 유용성은 모두 홈쇼핑의 서비스품질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유용성 동기의 홈쇼핑 서비스품질평가에 대한 영향력이 즐거움 동기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즐거움과 유용성 동기는 홈쇼핑의 정보품질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즐거움 이용동기는 유용성 동기보다 홈쇼핑에 대한 정보품질 평가에 더 큰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TV 홈쇼핑에 대한 서비 스품질 및 정보품질 평가는 홈쇼핑 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정보품질 평가가 소비 자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넷째, TV 홈쇼핑에 대한 만족도는 재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은 다른 변수의 관련성보다 크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fferentiate and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TV home shopping industry with slow growth, and to seek consumers satisfaction and welfare improvement through TV home shopping. Also,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umers motivation for TV home shopping on the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and to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 of the evaluation on consumers satisfaction or repurchase intention. For this study, six major TV home shopping companies (Lotte, Hyundai, Home & Shopping, CJ, GS, and NS) were selected as main home shopping compani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professional survey compan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njoyment and usefulness of the TV home shopping servi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of the home shopping. Especially, the influence of the usability motive on the home shopping service quality evaluation was greater than the enjoyment motivation. Second, the enjoyment and usability motiv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formation quality evaluation of home shopping. Especially, the enjoyment motive has more influence on the information quality evaluation of home shopping than the usability motive. Third,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on TV home shopping had a positive effect on home shopp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Especially, information quality evaluation had a strong influence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Fourth, satisfaction with TV home shopping has a posi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and its influence is greater than others.

      • KCI등재

        유료방송플랫폼사업자와 홈쇼핑채널사업자간 송출수수료 적정성에 관한 법경제학적 분석

        채정화 ( Jung Hwa Chae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0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4 No.1

        본 연구는 홈쇼핑채널거래시장에서 송출수수료가 결정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토대로 현행법 상 홈쇼핑송출수수료의 적정성 판단 기준의 적합성과 금지행위 위반 가능성에 대한 법·경제학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홈쇼핑송출수수료와 방송사업매출, 영업비용, 채널 등급별 홈쇼핑채널송출수, 채널 등급별 가입자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홈쇼핑송출수수료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전년도 방송사업매출, 영업비용, 아날로그 및 디지털 S등급 송출채널 수, 아날로그 S 및 A등급, 디지털 S 등급 가입자수와 홈쇼핑송출수수료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 가운데 홈쇼핑송출수수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년도 홈쇼핑방송매출액, 디지털 상품 S등급 송출채널 수, 전년도 홈쇼핑방송매출액 대비 송출수수료 비중이 유의미한 요소로 밝혀졌다. 그러나 현행법상 ‘홈쇼핑 방송채널 사용계약 가이드라인’에서 적시하고 있는 기준(제8조 제3항)은 현저히 불리한 거래조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홈쇼핑송출수수료 산정시 고려요소는 될 수 있으나 적정성을 판단하기에는 미흡한 점들이 발견된다. 방송사업자의 수익구조, 상품판매 매출의 증감, 방송사업 매출 증감, 물가상승률 등 이러한 판단 기준이 선언적 수준의 예시는 될 수 있으나 적정성 수준에 대한 판단은 어렵다. 또한 실증적 분석 결과에서 보여주고 있는 송출채널 등급도 가이드라인에는 배제되어 있다. 규제기관은 홈쇼핑송출수수료의 적정성 판단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도 중요한 정책 과제 중 하나이지만 현 규제체계의 실효성 진단과 더불어 홈쇼핑송출수수료의 인상으로 인한 유료방송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자칫 정부의 규제가 역으로 소비자 후생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 효율성과 소비자 후생 간 형량도 신중을 기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egal economics of the suitability of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adequacy of home shopping transmission fees and the possibility of illegality in prohibited acts based on empirical analysis of the mechanism for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fees in the home shopping channel transaction market.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evious year's broadcasting business sales, operating expenses, the number of analog and digital S-class transmission channels, the number of analog S and A-class, digital S-class subscribers, and the home shopping transmission fee. The factors that have a direct influenc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such as the amount of home shopping broadcasting sales in the previous year, the number of S-class transmission channels for digital goods, and the proportion of transmission commission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home shopping broadcasting sales. However, the current standards in the “Home Shopping Broadcast Channel Usage Agreement Guidelines” are criteria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transaction conditions are significantly unfavorable, but may be considered as a factor in calculating the home shopping transmission fee. These criteria, such as the profit structure of broadcasters,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sales of products,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broadcast business, and the inflation rate, can be examples of declarative levels, but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appropriateness level. Also, the outgoing channel ratings shown i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excluded from the guidelines. It is one of the important policy tasks for the regulatory agency to provide a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adequacy of the home shopping transmission fee, bu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diagno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regulatory system and to verify the impact on the paid broadcasting market due to the increase in the home shopping transmission fee. There is. Because government regulations can adversely affect consumer welfare, economic efficiency and the amount of money between consumer welfare must also be considered carefully.

      • KCI등재

        케이블 TV홈쇼핑 프로그램에서 지각된 위험과 희소성 메시지가 이용경험이 다른 소비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규완(Kyu-Wan Lee),구자은(Ja-Eun Koo)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2 No.-

        케이블 TV홈쇼핑을 통한 제품 구매 시 소비자들의 지각된 위험(perceived risk)은 케이블 홈쇼핑의 저해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저해요소에 반하여 홈쇼핑 광고에서 자주 쓰이는 수량과 시간을 제한하는 희소성메시지는 홈쇼핑 구매를 촉진하는 요소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홈쇼핑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이용경험의 정도에 따라 지각된 위험이나 희소성메시지는 그간 알려진 바와는 다른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먼저 이용경험이 많은 소비자들과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 사이에 지각된 위험에 대해 느끼는 정도가 서로 다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나아가서 이용경험이 많은 소비자들이 지각된 위험을 높게 느낄 때 지금까지 촉진 요소로 알려진 희소성메시지가 여전히 촉진요소로서 작용할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렇게 홈쇼핑의 저해요인과 촉진 요인이 동시에 제공되는 상황에서 이용경험이 다른 소비자들의 반응은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위험, 희소성 메시지 그리고 소비자의 이용경험을 세 가지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홈쇼핑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 광고에 대한 태도 그리고 제품에 대한 태도를 소비자의 반응이라는 종속변인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대학의 평생교육원에서 수강하는 110명의 주부들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것은 이들이 홈쇼핑의 가장 실제적인 소비자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홈쇼핑 프로그램을 녹화한 비디오를 사용하여 시청하게 한 다음 설문조사에 응하도록 하였다. 지각된 위험 변인의 처치는 홈쇼핑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제품을 판매하고 회사의 이름을 이용하였다. 홈쇼핑 프로그램이 방영될 때 그 회사의 로고가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 점에 착안하여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유사 홈쇼핑 회사의 가짜로고를 만들어서 지각된 위험변인으로 조작하였다. 상대적으로 통제 집단에는 같은 내용이지만 유명 홈쇼핑 회사의 로고가 그대로 노출된 화면을 시청하게 하여 지각된 위험에 대한 반응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희소성 메시지는 제품의 수량을 제한하는 자막을 넣어서 제작하였다. 이 또한 상대적으로 희소성 메시지를 처치하지 않은 비디오를 시청하게 한 통제집단을 두어서 희소성메시지에 대한 반응을 비교하였다. 소비자의 홈쇼핑 이용경험은 설문문항을 통해 측정하였다. 실험은 4개의 집단으로 나누어져 실시하였는데 한 집단은 지각된 위험과 희소성 메시지에 동시에 누출되도록 하였고 두 번째 집단과 세 번째 집단은 각각의 두 요인 중 하나의 요인에만 노출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한 집단은 통제집단으로 지각된 위험이나 희소성 메시지를 모두 처치하지 않은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흥미로운 사실들이 발견되었는데 이용경험에 상관없이 모든 이용자들은 지각된 위험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특히 이용경험이 풍부한 홈쇼핑이용자들인 경우 이용경험이 적은 소비자에 비해 지각된 위험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희소성 메시지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이용경험이 높은 소비자가 이용경험이 적은 소비자들 보다 오히려 부정적인 반응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각된 위험과 희소성 메시지의 상호작용효과의 경우 이용경험이 높은 집단의 소비자가 특히 제품에 대한 태도반응에서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이용경험이 풍부한 소비자일수록 신뢰가 생기지 않는 지각된 위험의 상황에서 희소성메시지가 제시될 때 희소성메시지의 설득적 의도를 위협적인 요소로 생각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선행 연구들에서 지각된 위험이나 희소성 메시지를 각각 독립적으로 연구한 결과와는 다른 결과로 홈쇼핑 주 이용자들의 특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끔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종류의 지각된 위험 요소가 내재된 홈쇼핑의 효과적인 설득전략을 위해서는 단순히 시간과 수량을 제한하는 희소성 메시지 기법 외에 이용자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메시지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primarily rhe effects of perceived risk and scarcity massage on consumers in CATV homeshopping. For consumers, the perceived risk is the cause of delaying purchase decision in CATV Homeshopping while scarcity message in the Ad facilitate purchasing intention in the CATV homeshopping. And another important characteristic of consumer which exerts impact on the response of consumer to the Ad and the produce is the frequency of purchasing experienc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 of 3 factors on consumer's response to homeshopping Ad and produce: one is perceived risk, another is scarcity message and the third is consumer's difference in purchasing. And these are defin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ponses of the consumer,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test are measured in three dimensions; 1) the purchasing intention of the produce, 2) the attitude toward the Ad, and 3) the attitude toward product of the consumer. 110 housewives are sampled and assigned to 4 experimental groups. All the groups first watched a video-taped homeshopping Ad messages, and then filled up their responses on the 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as follows: 1) Perceived risk has negative effect to consumer response. 2) Scarcity message has positive effect to consumers response. 3) But especially perceived risk has negative effect to high frequency purchasing experience group. 4) Scarcity message has also negative effect to high frequency purchasing experience group. 5) The interaction effect of perceived risk and scarcity message is most prominent to the consumers of high frequent purchasing experience.

      • KCI등재

        미디어업계 전문가의 데이터 홈쇼핑에 관한 인식 조사를 통한 서비스 차별화 방안 연구

        정은이,이상호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최근 성장이 주목되는 데이터 홈쇼핑(T-커머스)에 관한 인식과 차별화 방안을 정리하였다. T-커머스 홈쇼핑은 매출이 급신장하면 서 유통업계의 주목을 끌고 있으나 성장 가능성에 관해 긍정과 부정 의견이 공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커머스 홈쇼핑 현업 전문가들 과의 인터뷰를 통해 그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T-커머스의 개념 및 장단점 등의 특징, T-커머스 홈쇼핑의 현황을 바탕으로 한 차 별화 방안 등의 두 가지 연구문제를 가지고 진행하였다. 전문가들의 답변을 토대로, 먼저, T-커머스 홈쇼핑의 개념 및 정체성은 기존 TV홈쇼핑과 달리 디지털 환경에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간단하게 상품 검색 및 구매까지 가능한 홈쇼핑 형태였다. T-커머스 홈쇼핑이 가지고 있는 장점은 양방향 서비스, 편리한 상품 검색 및 구매, VOD운용과 타 채널과의 연계성을 통해 새로운 수익모델 창출 등 여러 장점이 있었다. 다만, 생방송이 아니기 때문에 실시간 매출 모니터링의 어려움, 기존 TV홈쇼핑과의 차별화부족 등을 단점으로 꼽혔다. 더불어 T-커머스 홈쇼핑의 차별화 방안 에 대해서 기존 TV홈쇼핑에서 불가능한 기술적 개선으로 고객 편의성을 증대하고, T-커머스만의 방송 및 상품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전 문가들은 T-커머스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하고 있었으며, 기존 홈쇼핑 방송과의 프로그램의 차별화나 T-커머스만이 가지고 있는 디지털환경 에 맞는 다채로운 상품 배치, 상품프로모션 등의 진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았다. 연구자들은 사업자들이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산업 성장에 필 요한 차별화 노력을 통해 T-커머스 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summarizes the perception and differentiation of T-commerce home shopping, which has become a hot topic in the distribution market these days. T-commerce home shopping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from the distribution industry due to its rapid growth in sales. However,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s coexist on the possibility of growth.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rough interview with T-commerce home shopping business professiona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wo research problems such as the concept of T-commerce,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differentiation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T-commerce home shopping. Based on the responses from experts, the concept and identity of T-commerce home shopping was a form of home shopping that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in digital environment, simple search and purchase of goods, unlike existing TV home shopping. T-commerce home shopping has many advantages such as interactive service, convenient search and purchase of goods, creation of new profit model through linkage of VOD operation and other channels. However, it is not live broadcasting, so it is difficult to monitor real-time sales and lack of differentiation from existing TV home shopping. In addition, T-commerce home shopping will enhance customer convenience, and T--commerce's broadcast and product strategies are needed, which can be a differentiating strategy. Experts have had a positive outlook on T-commerce, and they will continue to differentiate their programs from existing home shopping channels, and will continue to evolve product placement and product promotions to fit T-Commerce's digital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hope that the T-commerce industry will continue to grow through differentiation needed for industry growth.

      • KCI등재

        국내 TV 홈쇼핑에 따른 화장품 구매현황과 요인에 관한 연구

        김숙진(Kim, Sook Jin),안서영(Ahn, Seo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미의 관심이 증가되면서 오늘날 미용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그중 화장품이 대표적인 산업이라 할 수 있다. 외모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여성들은 소비심리가 높아지면서 시간과 장소 등에 구애받지 않는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쇼핑성향을 갖고 있으므로 바쁜 현대인들에게 TV홈쇼핑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증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TV 홈쇼핑에 따른 이 · 미용 부분의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모발 화장품 등 순위의 구매현황과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실태 및 동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충성고객 유치를 높이고 국내 TV홈쇼핑 화장품시장의 마케팅 기초 자료와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본 연구방법은 국내 TV홈쇼핑 화장품 구매현황과 요인을 분석하고자 문헌 고찰과 실증 분석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범위는 첫째, 한국기업평판연구소가 발표한 홈쇼핑 브랜드 평판지수에 따라 2016년 12월 17일부터 2017년 1월 18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 결과와 둘째,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6월 4일까지 주문수량을 기준으로 상반기 TV홈쇼핑별 히트상품 Top10’ 에서의 인기 순위에 오른 GS shop, 롯데홈쇼핑, CJ오쇼핑, 현대홈쇼핑, NS홈쇼핑 5개사로 최종 선정하였다. 종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TV홈쇼핑 GS shop은 이 · 미용제품이 1~4위 상위권에 분포하였으며, 특히 모발 화장품이 강세를 보였고,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모발화장품이 다양하게 구매되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내 TV홈쇼핑 롯데홈쇼핑은 전반적인 화장품 순위에 따른 구매현황은 10위에 메이크업 화장품이 구매되어지고 롯데홈쇼핑은 다른 TV홈쇼핑에 비해 패션제품의 구매가 주를 이룬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국내 TV홈쇼핑 CJ오쇼핑은 1위, 7위, 9위 모두 이 · 미용 제품이 차지하였는데 특히 기초 화장품의 구매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국내 TV홈쇼핑 현대홈쇼핑 전반적인 화장품 순위에 따른 구매현황은 3위 메이크업 화장품, 5위 기초 화장품이 차지하였다. 기초 화장품 ‘A.H.C’ 아이크림은 4∼5년 전에 출시한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홈쇼핑에서 꾸준한 인기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국내 TV홈쇼핑 NS홈쇼핑은 3위, 4위, 5위, 7위를 이 · 미용이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NS홈쇼핑의 경우 식품 판매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이 · 미용 제품이 강세를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국내 각 홈쇼핑사 별로 화장품 제품들이 전반적으로 상위권 안에 진입한 것과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모발 화장품이 다양하게 디자인, 브랜드, 유행성, 품질, 가격, 구성, 기능, 광고 등의 요인에 의해 소비자들에게 구매되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긍정적 홈쇼핑 화장품 시장의 인지도를 향상시켜 소비자에게 품질, 가격 등을 통해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 환경을 만들어 충성고객과 마케팅 영역까지도 확대시킬 수 있음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기점으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좀 더 장기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세분화된 내용분석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With increasing interest in beauty, today’s beauty market, especially the cosmetics industry, has grown as well. As a result of increasing interest in appearance and economic power of women who seek rational and practical shopping, more people are watching and using TV home shopping channels. This study analyzed sales of skincare products, makeup products, and hair products on TV home shopping channels in South Korea in order to analyze the market trend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help improve customer loyalty and establish marketing strategy for South Korean TV home shopping channels.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cosmetics sales data of TV home shopping channels in South Korea. Regarding the research scope, in this study, first, the analysis of brand big data from December 17, 2016 to January 18, 2017 according to the home shopping brand reputation quotient published by Korea Reputation Center was used, and, second, GS Shop, Lotte Home Shopping, CJ O Shopping, Hyundai Home Shopping, and NS Home Shopping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2017 first-half-year top 10 hit products of TV home shopping’ based on the orders from December 17, 2016 to January 18, 2017.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in GS Shop, beauty and cosmetics products were in the top four bestsellers. In particular, hair product showed high sales and the sales consisted of various product categories from skincare to hair and makeup products. Second, in Lotte Home Shopping, makeup products ranked 10th in the overall sales and, compared to other home shopping channels, most sales were of fashion products. Third, in CJ O Shopping, the first, seventh, and ninth highest sales were of beauty and cosmetic products, especially skincare products. Fourth, in Hyundai Home Shopping, the third high sales was of makeup products and fifth of skincare products. In particular, the skincare product ‘A.H.C Eye Cream,’ despite being launched 4 to 5 years ago, was consistently popular in the home shopping channel. Fifth, in NS Home Shopping, the third, fourth, fifth, and seventh highest sales were of beauty and cosmetic products. In particular, in NS Home Shopping, despite the preconception about food products, beauty and cosmetic products showed high sal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cosmetic products are generally among the highest sale products in different home shopping channels in South Korea, and that comsumers purchase various products from skin-care to make-up and hair products because of different factors such as design, brand, trend, price, product packaging, function, and adverthsement.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by improving brand awareness of home shopping cosmetic products, a new market environment that can satisfy consumers in terms of quality and price can be created and, thereby, customer loyalty and marketing result can be improved. Lastly, I hope this study can help conduct more detailed analysis and research based on more extensive data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