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락논변의 연구 성과와 전망

        홍정근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4 No.-

        호락논변은 조선시대에 李柬과 韓元震 사이의 논변이 계기가 되어 확대된 학술논쟁이다. 호락논변은 내용이 難解하고 자료가 방대하여 연구하기가 어려운 영역이다. 호락논변은 2000년대에 들어와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번역본과 저서가 나오고 연구 논문이 어느 정도 축척되었지만, 아직도 연구되지 않은 학자와 진척된 연구가 필요한 논쟁점들이 다수 남아 있다. 본 논문은 2003년 8월 이후의 연구 성과들을 정리한 것이다. 그 이전의 연구 성과는 한국유교학회에서 출간한 『유교사상연구』 제19집(2003)에 실려 있다. 2003년 8월 이후에 연구된 성과물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이간과 한원진의 학설에 집중되었던 연구들이 점차 타 학자들의 학설과 연관되어지며 확대되는 양상을 띠고 있다. 둘째, 이간과 한원진의 학설을 연구하되 논변의 핵심 개념들을 심도 있게 논의한 연구 성과들이 등장하였다. 셋째, 호락논변을 사상의 흐름 속에서 通時的으로 논의하는 연구 성과들이 등장하였다. 넷째, 현대 학문의 주요 주제들과 연관된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다섯째, 호락논변의 관한 번역본들과 전문저서들이 출간되기 시작하였다. 앞으로 호락논변은 다음 세 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첫째, 이간과 한원진 학설 연구의 심화. 이간과 한원진의 학설에 대한 연구가 이미 많은 부분 이루어졌지만, 이들은 논변의 핵심인물이다. 근래에 번역본이 출간된 것을 계기로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의 심도 있는 접근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새로운 학자의 학설 연구 확대. 이간과 한원진의 학설에 대한 연구가 어느 정도 축적됨에 따라, 金昌翕, 魚有鳳, 尹鳳九, 金元行, 李震相을 비롯한 다른 학자들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셋째, 타 분야로의 점진적 波及. 철학과 역사학계를 중심으로 한 호락논변에 관한 연구 성과가 알려지면서, 타 학문 분야의 학자들이 점차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근래에 학계에서는 학문간의 統攝·融複合을 지향하는 흐름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환경·심리·문학·예술·사회·교육 등 타 분야에서도 호락논변 관련 논문들이 집필될 것으로 예상된다. 湖洛論辯本來是朝鮮時代李柬(1677-1727)和韓元震(1682-1751)之間的論辯, 後來逐漸衍伸成為學術性的論爭。它是在太極論辯·四端七情論辯學術性成果的基礎上展開的。湖洛論爭是在韓國朱子學深化過程中發生的, 無論是中國還是日本都都沒有提及的領域。它的主要論點在大約200年間一直都是學者們議論的話題。 本論文是對2003年8月以後研究成果的整理。這之前的研究成果刊登在韓國儒教學會出版的『儒教思想研究』第19輯(2003年)。2003年8月以後的研究成果有以下幾個特點。 在對李柬和韓元震學說集中研究的過程中, 雖然逐漸與其他學者的學說相聯系, 但卻有擴展的傾向。在對李柬和韓元震學說集中研究的過程中, 針對論辯中的核心概念進行的更深一步的研究成果豐碩。湖洛論辯思想脈絡中變通性論點研究成果的出現。與現代學問的主要主旨相關聯的論文相繼發表。關於湖洛論爭的翻譯本及著書開始出版。 湖洛論爭的內容理解起來困難, 資料又多, 是個非常難的領域。進入2000年正式的研究才開始, 雖然翻譯本·著書及論文在一定程度上有所增加, 但是到現在沒有研究的學者和需要進一步研究的論點還有很多。 展望將來, 湖洛論爭的研究可以按照以下3點來進行。 李柬和韓元震學說研究的深化。關於李柬和韓元震的學說雖然已經研究了大部分, 但是他們只是論辯的核心人物。近來與其說是關於李柬和韓元震學說的翻譯本出版的契機, 不如說是從不同的層面更深刻的去接觸這場論爭, 並將會持續的進行下去。 新的學者學說研究的擴大。李柬和韓元震學說研究到一定的程度, 必然會對金昌翕(1653~1722), 魚有凰(1672~1744), 尹凰九(1681~1767), 金元行(1702~1772), 李震相(1818~1886)這些學者進行正式的研究。 向他領域的漸次波及。以哲學和歷史學為中心的湖洛論爭研究成果的發表, 必然會引起其他學問領域學者的關心。近來學界越來越趨向於學問間的綜合與融合, 他領域學者的關心和綜合·融合的潮流, 必然會成為使湖洛論辯脫離以現代哲學·歷史學為研究中心的契機。與湖洛論爭相關聯的論文將會在環境·心理·文學·藝術·社會·教育等各個領域出現。

      • KCI등재

        호락논변의 연구 성과와 전망

        홍정근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호락논변은 조선시대에 李柬과 韓元震 사이의 논변이 계기가 되어 확대된 학술논쟁이다. 호락논변은 내용이 難解하고 자료가 방대하여 연구하기가 어려운 영역이다. 호락논변은 2000년대에 들어와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번역본과 저서가 나오고 연구 논문이 어느 정도 축척되었지만, 아직도 연구되지 않은 학자와 진척된 연구가 필요한 논쟁점들이 다수 남아 있다. 본 논문은 2003년 8월 이후의 연구 성과들을 정리한 것이다. 그 이전의 연구 성과는 한국유교학회에서 출간한 『유교사상연구』 제19집(2003)에 실려 있다. 2003년 8월 이후에 연구된 성과물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이간과 한원진의 학설에 집중되었던 연구들이 점차 타 학자들의 학설과 연관되어지며 확대되는 양상을 띠고 있다. 둘째, 이간과 한원진의 학설을 연구하되 논변의 핵심 개념들을 심도 있게 논의한 연구 성과들이 등장하였다. 셋째, 호락논변을 사상의 흐름 속에서 通時的으로 논의하는 연구 성과들이 등장하였다. 넷째, 현대 학문의 주요 주제들과 연관된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다섯째, 호락논변의 관한 번역본들과 전문저서들이 출간되기 시작하였다. 앞으로 호락논변은 다음 세 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첫째, 이간과 한원진 학설 연구의 심화. 이간과 한원진의 학설에 대한 연구가 이미 많은 부분 이루어졌지만, 이들은 논변의 핵심인물이다. 근래에 번역본이 출간된 것을 계기로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의 심도 있는 접근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새로운 학자의 학설 연구 확대. 이간과 한원진의 학설에 대한 연구가 어느 정도 축적됨에 따라, 金昌翕, 魚有鳳, 尹鳳九, 金元行, 李震相을 비롯한 다른 학자들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셋째, 타 분야로의 점진적 波及. 철학과 역사학계를 중심으로 한 호락논변에 관한 연구 성과가 알려지면서, 타 학문 분야의 학자들이 점차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근래에 학계에서는 학문간의 統攝․融複合을 지향하는 흐름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환경․심리․문학․예술․사회․교육 등 타 분야에서도 호락논변 관련 논문들이 집필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호락논변의 연구 성과와 전망

        김승영 영남퇴계학연구원 2020 퇴계학논집 Vol.- No.26

        This thesis deals with achievements of Horak Debate and predicts the future of the task. Aggressively, it can be summed up in three key issues for Horak Debate. First, ‘Debate on Human Nature’, whether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the same or different, and the question of what is the essential of human mind. Second, ‘Debate on Mibalsimchesunseonron’, whether human has good and evil at the same time. Lastly, ‘Seongbeomshimdongie’, what is the essential difference in the minds of saint and commoner. Analyzing on the issue of ‘Inmulseongdongie’, it is meaningful that the exploration of human nature has been set as a major theme. In depth analysis of human nature leads to study achievements. It shows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argument type as studying with ‘benxin’ and ‘temper’, ‘individual’ and ‘others’. The study of good and evil defines it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lief of pure sorority and the belief of pan-moralism. These studies have found what theoretical association is related with the system of Mibal. Based on overall existing studies, Horak Debate has been accumulated to study a lot since 2000. It disproves that not only increasing the quantities of study, but also improving the qualities of it. Many researchers develop their own logic to get to the core of argument and detail oriented. While the previous majority study had comprehensive views of argument, the following study is expected that more precise expanded to the details. Besides these expectations, there is issue of originality or identity that an essential exploration of argumentation. 이 글은 호락논변의 연구 성과를 조명하고 앞으로 과제를 전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호락논변의 핵심적인 쟁점을 거칠게 말해서 세 가지로 압축할 수 있는데, 첫째로 인간의 본성과 동물의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라는 ‘인물성동이논변’, 인간 마음의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질문, 곧 사람의 마음에 선과 악이 동시에 있는가를 따지는 ‘미발심체유선악논변’, 그리고 성인과 범인의 마음에 있어서 본질적 차이가 무엇인가라는 ‘성범심동이논변’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인물성동이 문제에 관한 연구를 분석해보면, 인간본성에 대한 탐구를 논변의 주요 주제로 설정하여 탐색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인간의 본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본심’과 ‘기질’, ‘개인’과 ‘타자’ 등으로 대비시켜 연구한 것이 논변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미발시 선악의 문제에 관한 연구는 순수도덕주의의 신념과 법도덕주의 신념의 차이로 규정하기도 한다. 이러한 연구는 미발논변의 체계와 이론적으로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밝혔다고 볼 수 있다. 기존 연구들을 종합해볼 때, 호락논변에 대한 연구가 2000년 이후에 많이 축적되어가고 있다. 그만큼 연구의 양이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연구의 질도 향상되었다는 것을 반증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논변의 핵심을 파악하기 위해 나름의 논리를 계발하고 논지를 전개하는데 있어서도 치밀함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연구가 논변의 포괄적인 조망이 다수였다면, 앞으로 연구는 논변의 쟁점에 대한 세밀한 부분까지 확대되어 정밀한 연구들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조선시대(朝鮮時代) 호락논변(湖洛論辨)에서의 인간본성(人間本性) 논의에 관한 고찰(考察)

        洪正根 한국유교학회 200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8 No.-

        호락논변은 ‘人物性同異論爭’, ‘聖凡心同異論爭’, ‘未發心體有善惡論爭’을 포함한 다양한 소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호락논변에 스며있는 인간의 본성문제를 개인의 본성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한원진과 이간의 인물성 논쟁은 조선의 많은 학자들이 참여하는 거대한 학술 논변으로 확대되었다. 조선시대에 발생한 호론과 낙론 사이의 인물성동이 논쟁은, 한국 주자학에서의 본성 논쟁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한원진의 性三層說을 개인의 본성 측면에서 분석하여 재구성 하면, 그의 학설에 나타난 개인은 두 측면의 본성을 동시적으로 가지고 있는 존재였다. 한원진의 성론에서, 개인이 갖추고 있는 因氣質의 본성은 正通한 기질을 타고난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있는 것으로, 偏塞한 기질을 타고난 다른 존재들은 가질 수 없는 것이었다. 그의 학설에서 개인은 또한 인의예지의 본성 외에 超形氣의 리(태극)로서의 본성 또한 동시적으로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초형기의 본성은 논리적으로 상정된 본성으로서 인의예지의 본성이 아니다. 이 초형기의 성 단계에서는 모든 존재자들의 본성이 상호 같다고 할 수 있다. 이간 또한 한원진과 마찬가지로 각 개인이 인의예지의 선한 본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는 개인의 본성은 인의예지의 본성 하나 밖에 없다고 보았다. 그는 인의예지의 본성이 곧 초형기의 본성이고, 초형기의 본성이 곧 인의예지의 본성이기 때문에, 두 성을 구분지어 나누어 보아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외형적으로는 이간과 한원진은 동일하게 각 개인이 인의예지의 본성을 갖추고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내적으로는 이간이 말하는 인의예지의 본성과 한원진이 말하는 인의예지의 본성은 다르다. 이간의 학설에서 나타난 개인이 갖추고 있는 인의예지의 본성은 형기를 초월한 人物同의 본성이지만, 한원진의 학설에서 나타나고 있는 개인이 갖추고 있는 인의예지의 본성은 형기를 초월하지 않은 人人同 · 人物異의 본성이기 때문이다. 한원진과 이간 이후의 호론과 낙론학자들의 본성론은, 대체로 이 두 사람의 본성론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동아시아 다른 나라의 주자학에서는, 한국의 호락논변에서와 같은 개인의 본성적 측면에서의 논의를 분석해 내기가 어렵다. 한국의 호락논변은 주자학이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함축하고 있었던 거대한 학술논쟁이었다고 할 수 있다. 朝鮮是以朱子學爲中心的國家。這其中,湖洛論辨是在朝鮮朱子學精密硏究及其發展過程中産生的一場學術論辨。這場論爭始於南塘韓元震(1682~1751)和巍巖李柬(1677~1727)之間,後來擴展向全國學術界。不僅如此,這場論辨還一直持續了200余年,而且在論辨的主題也是朝鮮性理學的主要論点。 湖洛論辨的主題有很多個,其中大主題主要包括人物性同異論爭、聖凡心同異論爭以及未發心體有善惡論爭等。本論文將集中考察人物性同異論爭,幷在此基礎上分析湖洛論辨中個人本性的問題。 湖論的代表學者是韓元震,他認爲人的本性由三層結構組成,分別是人與人同而人與物異的因氣質之性、人與物相同的超形氣之性以及人人異、犬犬異、牛牛異的雜氣質之性。幷將前二者歸類爲本然之性,而後者爲氣質之性。因氣質之性與超形氣之性雖然都是本然之性,但前者是屬於仁義禮智的實事之性,而後者則是將太極和理上升爲本然之性的層次。 洛論學者李柬從一原和異體的觀點上來探討本然之性和氣質之性。他認爲,本然之性應該從一原的觀點上,而異體之性應該從異體的觀點上討論才是正確的。他認爲,本然之性是超形氣階段上的人物相同的性,而氣質之性是各個存在因爲氣質的差異而出現的人物異、人人異、犬犬異、牛牛異的性。他認爲,韓元震所說得因氣質之性和雜氣質之性都是氣質之性。 因爲對本然之性和氣質之性的迥然不同的規定,所以二人無法實現觀點上的合一。自從二人展開論爭以後,朝鮮越來越多的學者參與其中,使之發展成爲一場巨大的學術論辨。尹鳳九 、李顯益、蔡之洪 、宋能相、魏伯圭等學者支持韓元震的主張,從而展開了各自的觀點。金昌翕、魚有鳳、李宰、吳熙常、樸弼周 、金元行、洪直弼等其他學者則支持李柬的同論主張。雖然他們對人物性同異的見解、邏輯的展開方式等存在若幹的差異,但其實他們的人物性論差異卻幷不是很大。 “孟子認爲本然之性是善的”可以用“孟子認爲本性是善的”來置換。換言之,本然之性可以用本性來解釋。從這個觀點來看,朝鮮時代湖論和洛論之間本然之性的論爭可以認爲是朱子學中本性的論爭。 如果從個人的本性方面來分析韓元震的性三層說幷進行再構成,那么可以認爲他的學說中的個人同時具有兩個層面的本性。人所具有的因氣質的本然之性是只有稟受正通之氣而生的人才具有的,稟受偏塞氣質的其他存在是不具有的。 韓元震學說中的個人除了具有仁義禮智的本性外,還同時具有作爲超形氣之理(太極)的本性。超形氣之性雖然從邏輯上可以上升到本性的層次,但它幷不是仁義禮智的本性。在超形氣的階段,所有存在的本性都是相同的。每個人的本性因爲其所具有的異體階段上氣質的差異而不同。韓元震認爲這時的性是氣質之性。 与韓元震一樣,李柬也主張每个人都具有仁義禮智的善的本性。但是他認爲個人的本性除了仁義禮智的本性之外沒有其他的。他指出,仁義禮智的本性就是超形气的本性,超形气的本性就是仁義禮智,因此不能將二者分開而區別對待。 因此,從表面來看,李柬和韓元震都毫無例外的認爲人具有仁義禮智的本性。但是,從內在來看,李柬所說的仁義禮智的本性与韓元震所說的是有差異的。李柬學說中個人所具有的仁義禮智的本性是超形氣的人物相同的本性,然而韓元震學說中的本性則是因氣質(非超形气)階段的、人人同而人物异的本性。 李柬和韓元震以后湖論和洛論的本性論基本上沒有脫离二者的本性論。而東亞其他國家的朱子學中則很難提取幷分析出像韓國湖洛論辨中出現的個人本性的層面這個問題。由此可見,韓國的湖洛論辨說明了朱子學中蘊含著朝向新層次發展的可能性,是一場巨大的學術論爭。

      • KCI등재

        18세기 호락논변에 끼친 율곡학의 영향- “이통기국설(理通氣局說)”을 중심으로

        이천승 ( Cheon Sung Lee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4 율곡학연구 Vol.28 No.-

        이 논문은 18세기 한국 성리학계의 쟁점이었던 호락논변에서 율곡의 ‘理通氣局’에 대한 남당과 외암의 논변을 통해 율곡학의 전개양상을 검토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기의 발동을 통해서만 본연의 리가 구현될 수 있음을 주장하는 율곡의 입장에서는 본체가 구현될 토대로서 사사로운 감정에 변절되지 않을 기에 대한 적극적 해명이 필요했다. 그는 이통기국설을 통해 형체를 지니지 않지만 본체와 현상에 두루 통하는 보편적 리의 실재성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국한되고 다양한 기의 변화 속에서도 우리 인간에게는 리와 직결되는 담일청허한 순선한 기의 본체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선악이 교차하는 긴장의 연속이 현실적 삶의 진솔한 모습이다. 기질을 변화시키려는 각고의 노력을 통해 보편적 리가 구현될 수 있는 순선한 기를 회복하는 과정이 인간다움의 길임을 보여주려 한 것이다. 본체와 현상의 적절한 조화로움을 설명하려는 이통기국설은 아이러니컬하게도 18세기 남당과 외암을 비롯한 율곡학의 후예들을 격론의 현장으로 불러일으켰던 계기로 작용하면서 논의의 폭과 깊이를 더했다. 율곡학의 후예로서 남당과 외암을 축으로 하는 호론과 낙론의 대립적 견해인 호락논변에서 율곡의 논리를 확대할 때 나타날 수 있는 극단적 견해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남당은 현실적으로 기질이라는 체질(형기)이나 심리적 차이로 인해 본체와의 합일을 찾기 어렵다는 판단에서 기질 자체의 한계를 극복하기 보다는 기질을 초월한 엄격한 도덕규범의 필요성을 희망한다. 이와 달리 외암은 본체와 직결되는 담일청허한 본연의 기를 내면에서 찾는 과정을 공부의 핵심으로 보고 인간의 본성에 대한 낙관적인 희망의 싹을 놓지 않는다. 상대의 예리한 비판을 염두에 둔 논변의 전개과정에서 비록 극단적 양상을 보이기는 했지만, 호락논변은 크게 보면 율곡학의 테두리를 벗어난 것은 아니었다. 본체와 현상을 관통하는 리와 그 구현기제로서 기질변화를 염두에 두고 율곡이 제시했던 기의 스펙트럼은 그만큼 넓었던 것이다. 그러나 호락논변에서 율곡학의 후예들이 보여주듯 그 넓이만큼이나 좁힐 수 없는 사유의 차이를 가져왔다. This paper is an examination of Yul-gok(栗谷)`s theory of ``Li-tong Ki-kuk(理通氣局)``, which is representative of Korean philosophy, and the related discourse of successive academics. Korean philosophers have sought to be liberated from the quintessential search for tangible desires that inevitably plague human kind, in achieving a morality that overleaps the bounds of human nature. Yul-gok refers to the natural state of human desire as ``Ki(氣)``, or ``Ki-jil`` essential energy(氣質), and argues that humans are, from the outset, imbued with a morally pure essential energy. Yul-gok`s notion of ``Li-tong Ki-kuk`` fundamentally asserts that this pure, moral essential energy allows one to attain the universal logic that underlies the world. However, Yul-Gok acknowledges the reality that humans do not solely possess a pure essential energy. Subsequently, he emphasises the need to constantly strive to transform other various kinds of essential energy in order to restore one`s original, pure heart. Two schools of thought centred upon the eighteenth-century scholars ``Nam-dang(南塘)`` and ``Whe-am(巍巖)`` largely characterise the contention surrounding Yul-gok`s propositions. Nam-dang suggests that irrespective of the extent to which a human is pure, they can not entirely rid themselves of the essential energy that is ground in their biological configuration more specifically, the influence of Ki-jil or natural disposition. He argues that strict, external moral codes that regulate humans are necessitated by our potential to conduct evil as a result of the longing to pursue our natural desires. On the contrary, Whe-am emphasises that humans possess a pure heart that is untainted by greed, from birth. He presents a hopeful and optimistic perspective, contending that the primary aim of study is to locate this pure essential energy that exists within the human heart. This theoretical approach has been coined ``Ho-rak(湖洛)`` discourse. Although ``Ho-rak`` discourse has been the subject of debate that, at times, has rendered its expression in extreme terms, ``Ho-rak`` discourse does not, to a large extent, diverge from ``Yul-gok`` philosophy.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breadth of the spectrum of essential energy encompassed by Yul-gok`s proposal that various kinds of natural tendencies should be transformed so as to achieve the practice of pure morality. However, Ho-rak theory may be distinguished from Yul-gok philosophy, in terms of the rationale it proposes for the inability to narrow the breadth of this essential energy.

      • KCI등재후보

        18세기 호락논변에 끼친 율곡학의 영향 - ‘理通氣局說’을 중심으로

        이천승 (사)율곡학회 2014 율곡학연구 Vol.28 No.-

        This paper is an examination of Yul-gok(栗谷)’s theory of ‘Li-tong Ki-kuk(理通氣局)’, which is representative of Korean philosophy, and the related discourse of successive academics. Korean philosophers have sought to be liberated from the quintessential search for tangible desires that inevitably plague human kind, in achieving a morality that overleaps the bounds of human nature. Yul-gok refers to the natural state of human desire as ‘Ki(氣)’, or ‘Ki-jil’ essential energy(氣質), and argues that humans are, from the outset, imbued with a morally pure essential energy. Yul-gok’s notion of ‘Li-tong Ki-kuk’ fundamentally asserts that this pure, moral essential energy allows one to attain the universal logic that underlies the world. However, Yul-Gok acknowledges the reality that humans do not solely possess a pure essential energy. Subsequently, he emphasises the need to constantly strive to transform other various kinds of essential energy in order to restore one’s original, pure heart. Two schools of thought centred upon the eighteenth-century scholars ‘Nam-dang(南塘)’ and ‘Whe-am(巍巖)’ largely characterise the contention surrounding Yul-gok’s propositions. Nam-dang suggests that irrespective of the extent to which a human is pure, they can not entirely rid themselves of the essential energy that is ground in their biological configuration more specifically, the influence of Ki-jil or natural disposition. He argues that strict, external moral codes that regulate humans are necessitated by our potential to conduct evil as a result of the longing to pursue our natural desires. On the contrary, Whe-am emphasises that humans possess a pure heart that is untainted by greed, from birth. He presents a hopeful and optimistic perspective, contending that the primary aim of study is to locate this pure essential energy that exists within the human heart. This theoretical approach has been coined ‘Ho-rak(湖洛)’ discourse. Although ‘Ho-rak’ discourse has been the subject of debate that, at times, has rendered its expression in extreme terms, ‘Ho-rak’ discourse does not, to a large extent, diverge from ‘Yul-gok’ philosophy.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breadth of the spectrum of essential energy encompassed by Yul-gok’s proposal that various kinds of natural tendencies should be transformed so as to achieve the practice of pure morality. However, Ho-rak theory may be distinguished from Yul-gok philosophy, in terms of the rationale it proposes for the inability to narrow the breadth of this essential energy. 이 논문은 18세기 한국 성리학계의 쟁점이었던 호락논변에서 율곡의 ‘理通氣局’에 대한 남당과 외암의 논변을 통해 율곡학의 전개양상을 검토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기의 발동을 통해서만 본연의 리가 구현될 수 있음을 주장하는 율곡의 입장에서는 본체가 구현될 토대로서 사사로운 감정에 변절되지 않을 기에 대한 적극적 해명이 필요했다. 그는 이통기국설을 통해 형체를 지니지 않지만 본체와 현상에 두루 통하는 보편적 리의 실재성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국한되고 다양한 기의 변화 속에서도 우리 인간에게는 리와 직결되는 담일청허한 순선한 기의 본체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선악이 교차하는 긴장의 연속이 현실적 삶의 진솔한 모습이다. 기질을 변화시키려는 각고의 노력을 통해 보편적 리가 구현될 수 있는 순선한 기를 회복하는 과정이 인간다움의 길임을 보여주려 한 것이다. 본체와 현상의 적절한 조화로움을 설명하려는 이통기국설은 아이러니컬하게도 18세기 남당과 외암을 비롯한 율곡학의 후예들을 격론의 현장으로 불러일으켰던 계기로 작용하면서 논의의 폭과 깊이를 더했다. 율곡학의 후예로서 남당과 외암을 축으로 하는 호론과 낙론의 대립적 견해인 호락논변에서 율곡의 논리를 확대할 때 나타날 수 있는 극단적 견해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남당은 현실적으로 기질이라는 체질(형기)이나 심리적 차이로 인해 본체와의 합일을 찾기 어렵다는 판단에서 기질 자체의 한계를 극복하기 보다는 기질을 초월한 엄격한 도덕규범의 필요성을 희망한다. 이와 달리 외암은 본체와 직결되는 담일청허한 본연의 기를 내면에서 찾는 과정을 공부의 핵심으로 보고 인간의 본성에 대한 낙관적인 희망의 싹을 놓지 않는다. 상대의 예리한 비판을 염두에 둔 논변의 전개과정에서 비록 극단적 양상을 보이기는 했지만, 호락논변은 크게 보면 율곡학의 테두리를 벗어난 것은 아니었다. 본체와 현상을 관통하는 리와 그 구현기제로서 기질변화를 염두에 두고 율곡이 제시했던 기의 스펙트럼은 그만큼 넓었던 것이다. 그러나 호락논변에서 율곡학의 후예들이 보여주듯 그 넓이만큼이나 좁힐 수 없는 사유의 차이를 가져왔다.

      • KCI등재

        이익<SUP>李瀷</SUP>의 율곡학파에 대한 대응과 극복 ― 호락논변과 상관성을 중심으로

        박지현(朴智顯)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1

        이 글은 이익李瀷의 사유와 호락논변湖洛論辨의 상관성을 검토한 것이다. 이익과 율곡학파는 17~8세기 변화하는 조선의 현실을 인식하고 고민한 유교지식인들이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전란으로 무너진 유교적 가치와 이념에 확고한 유교질서와 공동체 구축을 시대적 과제로 인식하는데, 각기 자신의 학문적, 정치적 입장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다. 율곡학파가 호락논변의 이론적 분투를 통해 구축하고자 하는 것은 유교를 이념적으로 정당화하는 ‘성리학적 공동체 모델’이다. 그런데 이것은 사대부의 배타적이고 특권적인 지위를 보장하는 견고한 조선의 신분제도 위에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호락논변은 기존의 지배이념을 공고화하기 위해 기획된 심성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호락논변의 성격에 대해, 이익은 시혜적 교화와 통치의 대상인 민을 공동체의 자발적 참여자, 윤리적 행위의 주체자로 설정하는 ‘유교 공동체 모델’을 구상했다. 이를 위해 새로운 인간상을 제시하고자 이익은 공칠정을 입론했으며, 구체적 현실의 생명으로서 인간본성에서 확장될 수 있는 ‘감정의 공유’를 관철시키고자 한 것이 공칠정이다. 이익이 말하는 공칠정은 ‘서恕(同心/如心)’에서 일어나는 공감감정이다. 따라서 본래 공감감정인 사단과 결과적으로 동일하거나, 처음부터 사단이 심화되면 발생하는 감정이다. 공감과 감정의 공유는 바로 공자가 말하는 인仁이다. 이러한 공감감정은 인간뿐만 아니라 생명이 있는 모든 존재가 가질 수 있는 것이므로 생명에 대한 평등사상이 함축되어 있다. 그러므로 민도 공동체의 일원으로 윤리적 행위의 실천적 주체로 설정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공칠정이다. This article stud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i Ik(李瀷)’s philosophy and Ho-Rak Debate(湖洛論辨). Yi Ik and Yulgok-School(栗谷學派) are Confucian intellectuals who recognized and agonized over the changing realities of Joseon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y recognized the Confucian values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Confucian order that had collapsed in the war as the task given themselves. However, their goal of accomplishment and the way of execution differed due to differences in their academic and political positions. In the case of Yulgok School, we devised a community model that ideologically justifies Confucianism. However, these communities exist in the solid status of Joseon, which guarantees the exclusive privileges and status of the Yangban(兩班). Therefore, Ho-Rak Debate is also an exploration of the human mind and nature designed to solidify this existing concept of governance. In contrast, Yi Ik envisioned a new Confucian community model. In his model, commoners(民) can also can become a voluntary participant in the community and a practitioner of ethical behavior. For this reason, he established the theory of “Kong-Seven Emotions(公七情)” to create a new human image. Through this theory, he tried to implement “sharing of emotions” that can be extended from human nature as the life of concrete reality. He said that the sharing of emotions arising from the “恕(如心/同心)” is called “Kong-Seven Emotions” This is consequently identical to Four Beginning(四端), the original empathy. Sometimes Four Beginning is deepened and becomes the Kong-Seven Emotions. This emotion is Confucius’ Love(仁), which implies equality for all life. Therefore, this theory of emotions is the theoretical basis that commoners can participate as community members and have moral behavior.

      • KCI등재

        외암ㆍ남당 호락논변의 개념구조 검토

        이상린(Sang-lin Yi) 영남퇴계학연구원 2022 퇴계학논집 Vol.- No.30

        외암ㆍ남당은 호락논변에서 논변의 주제에 관한 주자학적 해석과 개념구조(논리구조)를 달리한 까닭에 서로 상반되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외암은 리일ㆍ리통의 측면을 중시하여 ‘리 = 성’의 관점에서 ‘本源的 性’에 주목한다. 그런 까닭에 그는 인ㆍ물성동과 미발심체의 本善을 주장하며, 선악의 원인을 주로 기질의 청탁 여부에 둔다. 외암의 이러한 주장은 ‘인간의 도덕성의 근거’를 확보하려는 의도로 평가된다. 반면에 남당은 분수ㆍ기국의 측면을 중시하여 ‘리 ≠ 성’(성은 在氣의 理)의 관점에서 ‘本來的 性’(인ㆍ물 각자의 본래적인 성)에 주목한다. 그런 까닭에 그는 인ㆍ물성이와 ‘미발심체 기질’의 有善惡을 주장한다. 남당의 이러한 주장은 타존재[物]와는 구별되는 도덕적 주체로서 ‘인간의 존귀성(영명성)의 근거’를 강조하고 있다. 서로 반대되는 외암ㆍ남당의 주장은 동시에 여러 측면에서 공통점도 가지고 있다. 호락논변은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된 대규모 논변이었던 만큼, 그에 대한 사상적 의의에 대한 평가도 다양하다. 하지만 주자학 이론의 범주 안에서 도덕성을 중심으로 인간과 타존재의 존재론적 ‘같음’과 ‘다름’을 논의했던 외암ㆍ남당 사이의 호락논변의 개념구조는 현대적인 세계 인식에 비추어 볼 때 분명한 한계를 가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성과 중 호락논변의 사상적인 틀을 빌려 현대의 문제들을 분석한 연구가 적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성과는 호락논변의 개념구조가 인간과 타존재의 본질을 논의하는 데 있어서, 관점과 해석의 방식에 따라 현대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음을 보여주는 예라고 하겠다. Woiam(巍巖) and Namdang(南塘) have conflicting views in the Ho-rak discourse because they differed in their conceptual structure (logical structure) from the Zhuzixue interpretation of the subject of the discourse. Woiam emphasizes the aspects of li-yi(理一) and litong(理通), and pays attention to ‘fundamental na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li(理) = nature(性)’. For this reason, he insists on the original good of inmulseongdong(人物性同) and ‘unaroused mind itself(未發心體)’, and places the cause of good and evil mainly on whether or not the disposition is pure or impure. This argument of Woiam is evaluated as an attempt to secure the ‘foundation of human morality’. On the other hand, Namdang emphasizes the aspect of fen-shu(分殊) and gikuk(氣局), and pays attention to ‘intrinsic nature’(the ‘intrinsic nature’ of each human and lives except human) from the perspective of 'li ≠ nature' (nature is li in the qi(氣)). For this reason, he insists on inmulseongyi(人物性異) and the coexistence of good and evil in the disposition of the unaroused mind itself. This argument of Namdang emphasizes the ‘foundation of human nobility(numinosity)’ as a moral subject distinct from ‘other beings except human[物]’. The opposing arguments of Woiam and Namdang have something in common in many respects at the same time. As the Ho-rak discourse was a large-scale argument that lasted for a long time, there are various evaluations of its ideological significance. However,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Ho-rak discourse between Woiam and Namdang, which discussed the ontological ‘sameness’ and ‘difference’ of humans and other beings except human with a focus on morality, within the scope of the Zhuzixue theory, seems like to have clear limitations in view of modern world perception. However, among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not a few studies that analyze modern problems by borrowing the ideological framework of the Ho-rak discourse. This research result is an example that shows that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Ho-rak discourse opens up the possibility of giving a modern meaning depending on the point of view and the way of interpretation in discussing the essence of humans and other beings except human.

      • KCI등재

        근대전환기 한국 유교의 성찰과 전망 - 우리철학 총서 집필내용을 중심으로 -

        김윤경 ( Kim Yun-kyeong ),홍정근 ( Hong Jung-geun ),이종란 ( Lee Jong-lan ),김현우 ( Kim Hyon-wo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56

        본 논고는 조선대학교 우리철학연구소의 총서사업인 “근대전환기 한국철학의 도전과 응전”의 유교분야 중간 연구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유교분야 연구는 ‘리(理)의 철학’, ‘심(心)의 철학’, ‘기(氣)의 철학’, ‘실(實)의 철학’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이론적 계승과 변용, 실천적 대응을 고찰하였다. 리(理)의 철학은 전통 성리학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던 후기 호락논변(湖洛論辨)의 전개와 변용을 심도있게 검토하였다. 호락논변은 인간과 동물의 성(性)에 대한 이견에서 출발하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양자의 종합을 지향하며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학설로 이어졌다. 심(心)의 철학은 조선의 대표적인 양명학자인 하곡학파의 후기 사상과 실천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후기 하곡학파의 사상은 개인수양을 넘어 사회비판론을 포함한 일진무가(一眞無假)의 실학(實學)으로 확장되어 1930년대 조선학(朝鮮學)운동을 주도하였다. 기(氣)의 철학에서는 양명학과 노장학을 매개로 서학을 수용하여 현실에 접목시킨 홍대용, 이규경, 최한기 등의 기 철학을 고찰하였다. 이들은 서양의 신(神)관념을 비판하고 전통적인 음양오행론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주체적이고 독창적인 기 철학을 수립했다. 실(實)의 철학에서는 현재 통용되는 ‘실학(實學)’ 개념의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그 보다 상위 개념으로써 실의 철학을 분석하였다. ‘실학’이란 말은 『중용장구(中庸章句)ㆍ서(序)』에서 처음 언급되었고, 현재까지 4가지의 범주로 발전해 왔다. 본 논고에서는 그 중 근대시기 형성된 ‘실학’ 개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근대이후 형성된 ‘실학’ 개념 속에 있는 맹목적 서구 수용관을 비판하고, 동시에 국가와 민족을 중시하는 새로운 실의 철학의 등장도 함께 고찰하였다. 본 논고는 근대전환기 전통 유교철학의 논리적 심화와 현실대응을 통섭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당대 유교지식인들의 철학적 고민과 대응은 현재 우리들의 삶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과거 전통의 몰락과 극복, 그리고 재구성의 문제는 현재까지도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우리 철학을 세워나가는데 중요한 선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This thesis is a summary of the mid-results of the interim study, "Woori Philosophy, How do we study it?" of the Confucianism field of Woori Philosophy Institute, Chosun University. In the field of Confucianism, we studied the theoretical assumption, the change, and the practical question of each, by subdividing into ① the philosophy of Li(理), ② the philosophy of Sin(心), ③ the philosophy of Gi(氣), and ④ the philosophy of Sil(實). The philosophy of Li studied deeply about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late Ho-Rak theory(湖洛論辨) which could not be explained in previous studies. The theory was originally born out of difference in perspectives on human and animal, but in the late period, it became a new theory that reflects the changes of the two, focusing on the synthesis of the two schools. We will continue to explore the modern values contained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Ho-Rak theory. The philosophy of Sim examined the later thought and practice of the Hagok school(霞谷學派) of the Yangming school(陽明學) of Joseon. The late Hogok school expanded the realist school(實學) included social criticism, and led the movement of Chosun Studies(朝鮮學) in the 1930s. In addition to the Hagok school, we also search for and sort out the modern Yangming scholars who have not been known. The philosophy of Gi studied philosophy such as Hong Dae-yong(洪大容), Lee Gyu-Gyeong(李圭景), and Choi Han-gi(崔漢綺), which received and accepted the West School(西學) which was valued as a heretic in the traditional philosophy. They denied the idea of worship in the West and the theory of traditional pentagram, and instead established a fundamental and philosophy of Gi. In this study, we will proceed with a deeper examination of the philosophy of Gi and its contemporary application. In the philosophy of Sil, we first clarifi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Silhak(實學) and the original Silhak(實學). Silhak have come out in Moderation(中庸) and do not simply mean science technology. In this study, we criticized the current "practice" or “reality” concept known only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xplained the development of philosophy of Sil, which criticizing blind Western acceptance in modern times and giving priority to the nation and the people. we will examine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Silhak and the view of the nation after the 1920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each field are different, but it is the same as that which emphasized Korea's subjective awakening and fulfillment in the modern period through the inheritance and change of the traditional philosophy. And the philosophical works to deal with the actual change is very effective in modern times.

      • KCI등재

        특집논문 : 인물성동이논쟁과 환경윤리

        장승구 ( Seung Koo Jang ) 한국환경철학회 2015 환경철학 Vol.0 No.20

        호락논변(湖洛論辨)은 조선후기 최대의 중요한 철학논쟁이었다. 인물성동이 문제는 미발문제와 함께 호락논변의 주요 논제였다. 호론(湖論)에 따르면 사람은 오상(五常)의 전부를 갖추고 있지만 동물은 일부의 동물만이 오상 가운데 하나만 지니기 때문에 사람과 동물의 성은 다르다. 반면에 낙론(洛論)에서는 사람과 동물은 오상이라는 리를 함께 부여받았으므로 그 성이 같다고 한다. 다만 타고난 기의 질에 따라 부여된 오상의 구현에 차이가 있어서 사람은 온전히 구현하지만 동물은 그렇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호론과 낙론은 사람과 동물의 성에 대해 서로 다르게 이해하고 있다. 호론에서는 사람이 지니고 있는 오상과 같은 고귀한 도덕적 가치를 동물과 공유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취한다. 호론에서는 동물의 성이란예컨대 소는 밭을 갈고 말은 달리는 것과 같은 것일 뿐이라고 여긴다. 반면에 낙론에서는 사람만이 아니라 동물도 원리적으로 또는 잠재적으로 오상과 같은 도덕적 본성을 지닌다고 본다. 낙론의 입장에서는 사람은 원리적으로 도덕적 본성을 지닌 동물을 함부로 학대해서는 안 된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사람은 동물에 대해서도 그 이익을 존중해줄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환경윤리의 관점에서 보면 호론과 비교할 때 낙론의 입장이 동물의 권리에 대해 훨씬 더 적극적 태도를 취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성리학의 인물성동이 문제가 호락논쟁을 통해서 크게 부각되어서 금수칠정론과 인물심동론, 인물균론으로 까지 발전하게 된 것은 환경윤리적으로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Horak (湖洛) debat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hilosophical disput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One of the main issues in the Horak debate is whether the nature of animals is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nature of man. Horon (湖論) contends that the nature of animals is not the same as that of man. Because man is endowed with the Five Virtues (五常) as nature from Heaven while only few animals are endowed with one of the Five Virtue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ir qi (氣). In contrast, Nakron (洛論) takes the position of claiming that animals also share the same nature of principle as man. Although both man and animals are equally endowed with the nature of Five Virtues, animals`` realization of the Five Virtues is restricte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qi with which they are born. The point of the dispute is on how the meaning of (original) nature is understood. Horon understands nature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pure principle, the nature of both man and animals is the same. Second, looking at principle with relation to qi, man``s nature is not the same as that of animals.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principle mixed with qi, not only is man``s nature not the same as that of animals, but each man``s natur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qi each is endowed with. Horon considers the second perspective to be true (original) nature, that the (original) nature is different between man and animals. Nakron explains nature from two perspectives. The first perspective is of one original root in which the nature of both man and animals is the same. All living beings are endowed with the principle of Five Virtues. The second perspective involves diverse embodiment: Not only is man``s nature not the same as that of animals, but every human being``s nature i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qi of each individual. Nakron perceives (original) nature from the first perspective, and regards nature is the same between man and animals. Horon does not agree with sharing the Five Virtues with animals, because the Five Virtues are noble values that make man a moral being. For Horon, cow``s nature is in just plowing. And the nature of a horse is in just galloping. But for Nakron, not only are human being but also all animals are endowed with the same principle of Five Virtues. In the perspective of Nakron, animals should not be cruelly treated as a means by human beings because they, too, have been endowed with the Five Virtues. Rather, animals should be respected by human beings. In terms of environmental ethics, Nakron``s view on the nature of animals is more in line with animal rights advocates than Horon``s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