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호기심 설문지의 수정 및 검증을 통한 새로운 과학호기심 설문지의 개발 - 초등예비교사의 과학호기심 분석을 통하여 -

        김동욱,신민현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3 초등과학교육 Vol.42 No.1

        A Korean-version science curiosity questionnaire (Science Curiosity in Learning Environments [SCILE(15)]) was developed after factor analysis of the Korean-version SCILE(30) questionnair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using the Korean-version SCILE(30), and a factor analysis based on their responses was performed. The factor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Korean-version SCILE(15) consisted of three curiosity factors: a ‘science practices’ factor, a ‘stretching’ factor, and an ‘embracing’ fact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factor structure revealed correlations between all the factors, thus confirming their commonality as a science curiosity factors. The Cronbach alpha for the reliability of all items in the Korean-version SCILE(15) and of items by factor was greater than 0.700. The Korean-version SCILE(15) was therefore evaluated to be reliable as a science curiosity questionnair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e development of the SCILE(15) were aware of the ‘science practices’, ‘stretching’, and ‘embracing’ science curiosity factors. Analysis in a general linear model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accord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the three science curiosity factor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uriosity factors in terms of recognition. This cohor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of the ‘stretching’ curiosity factor and the lowest level of recognition of the ‘embracing’ curiosity factor. 한국어판 SCILE(30)설문지를 요인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과학호기심 설문지인 한국어판 SCILE(15)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먼저 한국어판 SCILE(30)설문지를 사용하여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한 후에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요인분석결과, ‘과학실천형’ 호기심, ‘확장형’ 호기심, ‘포용형’ 호기심 요인의 3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15문항의 한국어판 SCILE(15)설문지가 얻어졌다. 한국어판SCILE(15)설문지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한 요인구조를 분석한 결과, 각 요인 간에 상관관계를 보여 과학호기심요인으로서의 공통성이 확인되었다. 한국어판 SCILE(15)설문지의 전체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각 요인별 문항들에 대한 신뢰도는 크론바흐 알파 0.700 이상으로 평가되어 과학호기심 설문지인한국어판 SCILE(15)설문지는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설문지개발을 위한 설문 조사에 참석한 초등예비교사들은 과학호기심에 대하여 ‘과학실천형’ 호기심, ‘확장형’ 호기심, ‘포용형’ 호기심 요인을 인식하고 있었다. 세 종류의 과학호기심 요인들에 대하여일반선형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호기심요인들은 서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예비교사들은 ‘과학실천형’ 호기심요인, ‘확장형’ 호기심요인, ‘포용형’ 호기심요인을 인식하는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초등예비교사는 과학호기심의 세 가지 요인 중에서 ‘확장형’ 호기심요인의 인식정도가 가장 높았고, ‘포용형’ 호기심요인의 인식정도는 가장 낮은 특성을 보였다.

      • KCI등재

        상황적 호기심이 스포츠 팬의 신규스포츠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 광고를 이용한 상황적 호기심과 특성적 호기심의 구분을 중심으로

        박성희 ( Seong Hee Park ),김유겸 ( Yu Kyoum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8 체육과학연구 Vol.19 No.1

        호기심은 인간의 탐구적 행동을 자극시키는 다양하고 새로운 지각적, 인지적인 정보 탐구에 대한 인간의 기본 욕구이다. 호기심의 여러 가지 구성요인 중 상황적 호기심은 호기심을 자극시키는 주변의 환경 및 상황이 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의미하며, 이는 스포츠 팬의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스포츠상황 내에서 특성적 호기심과 상황적 호기심을 구분하는 것이며 둘째, 상황적 호기심이 신규스포츠 관람의도에 미치는 순수한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LISREL 8.80 과 SPSS 15.0 를 이용한 확인적 요인 분석과 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 검증을 실시했다. 가설검증 결과 스포츠 상황 내에서 특성적 호기심과 상황적 호기심은 명확하게 구분되는 개념임이 밝혀졌으며, 상황적 호기심은 신규스포츠 관람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명되었다. Curiosity has been defined as a human intrinsic drive that motivates exploratory behavior to acquire new informative and sensory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he authors aimed to distinguish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between trait and state curiosity in a sport setting. Second, in order to purely examine the influence of state curiosity on sport fan`s intention to watch a novel sport, the authors controlled for participants` preference to watch current popular sports. Three hypotheses were tested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LISREL 8.80 and multiple regressions using SPSS Ver. 15.0. The results found that there is an evident distinction between trait and state curiosity in a sport context. It was also revealed that state curiosity significantly impact sport fan`s intention to watch a novel sport when controlling for preference to watch current popular sports.

      • KCI등재

        호기심이 제품지식과 다양성추구에 미치는 영향

        손준상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2

        In this work, we analyze the effects of curiosity on product knowledge and variety seeking. Curiosity was classified as cognitive and perceptual curiosity, product knowledge used items such as clothing product characteristics and purchasing knowledge, and variety seeking used variety seeking preferences in purchasing clothing products. To establish hypotheses, prior studies on curiosity were reviewed, and hypothe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riosity and product knowledge, and curiosity and variety seeking were established. For hypothesis testing,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and other ordinary peopl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conducted, and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and AMOS statistical packages. According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s, both cognitive and perceptual curios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duct knowledge, and perceptual curios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ariety seek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perceptual curiosity influences product knowledge, suggests the actionability of the learning process by perceptual curiosity as well as cognitive curiosity. And the result of perceptual curiosity affecting variety seeking can be interpreted as the involvement of emotional elements in the process of perceptual curiosity. Therefore, it can be that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are simultaneously involved in the process of perceptual curiosity. 본 연구에서는 호기심이 제품지식과 다양성추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호기심은 인지적 호기심과 지각적 호기심으로 분류하여 사용하였고, 제품지식은 의류제품의 특성, 구매지식 등의 항목들을 이용하였고, 다양성추구는 의류제품 구매에서의 다양성 선호도를 이용하였다. 가설의 설정을 위해서는 호기심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고, 호기심과 제품지식의 관계, 호기심과 다양성추구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서 수도권의 대학생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와 AMOS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를 보면 , 인지적 호기심과 지각적 호기심은 모두 제품지식에 유의적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적 호기심은 다양성추구에 유의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지각적 호기심이 제품지식에 영향을 미친 결과는 지각적 호기심에 의한 학습과정의 작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각적 호기심이 다양성추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보면 지각적 호기심의 영향과정에 감성적 요소가 개입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각적 호기심의 영향과정에는 인지적 요소와 감성적 요소가 동시에 개입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적 호기심의 심리적 메커니즘: 호기심 충족 방식에 따른 차이 비교

        성영신,김학진,이현진,박정선,김희진,김보경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9 No.2

        This study examines the psychological and neurological mechanisms of epistemic curiosity by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combined with survey. We ran a simple word recognition task, where South Korean subjects were asked to find corresponding South Korean words of North Korean target words. Our main focus was on the difference between internal (ICG) and external curiosity gratification (ECG), where correct answers were identified by subjects themselves (i.e., ICG), or eluded subjects therefore later were given by experimenters (i.e., ECG). The fMRI results demonstrated that greater activity in reward-related brain areas such as putamen and globus pallidus was associated with ICG compared to ECG conditions, indicating that subjects had positive feelings when they were able to gratify their curiosity internally based on their own knowledge and through reasoning. Simultaneously, brain areas related with memory encoding and retrieval were activated, and this means that ICG stimulates a voluntary learning. On the other hand, during ECG condition, upon seeing correct answers, subjects showed increased responses in the insula, which seems to indicate their negative subjective feeling due to their failure of finding correct answers. Subsequent survey using a different group of subjects revealed that subjects reported higher self-esteem leading to greater positive emotion during ICG vs. ECG condition, further confirming the aforementioned hypotheses. In the e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discussed in details. 본 연구는 지적 호기심의 심리적·신경적 메커니즘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호기심이 충족되는 방식에 따라 심리반응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fMRI를 이용한 신경영상연구와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fMRI 결과, 호기심이 발생한 후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을 활용하는 내부정보탐색을 거쳐 호기심을 충족하는 것은 그 자체로 보상이 되었고, 보상을 받은 것에서 오는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 하였다. 스스로 호기심을 충족한 후에 정답을 보면, 나의 과거 정보탐색 행동과 그 행동의 결과를 떠올리고 그 때 느꼈던 긍정적 정서를 다시 경험하고 정답을 학습하는 과정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호기심을 자신의 힘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외부에서 주어진 정보를 통해 해결한 경우에는 보상감을 느끼지 못하였다. 호기심의 충족 방식에 따라, 호기심 충족 이후의 정서 반응에 영향을 주는 심리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스로 호기심을 충족할 때에는 자존감이 높게 유지되어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지만, 외부의 도움에 의해 호기심을 충족한 경우에는 똑같이 호기심을 충족하더라도 자존감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 실용적 의의와 몇 가지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창업가의 호기심이 도전성, 혁신성 및 경쟁추구성에 미치는 영향

        금용필,김판수,장영혜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인 호기심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기업가정신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요인들 가운데 창업자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실천적인 요인들(도전성, 혁신성, 경쟁추구성)과 호기심의 관계를 확인한 것이다. 호기심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결핍민감성, 유희적탐구, 사회적호기심, 자극추구 네 가지 개별요인으로 구분하여 도전성, 혁신성 그리고 경쟁추구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창업자는 창업을 생각하고 있는 사람,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 창업을 한 사람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마다 호기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대구경북 지역에서 창업을 준비하고 있거나 창업한지 3년 이내인 창업가들을 대상으로 최종 248개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호기심은 창업에 대한 단순한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들보다 창업을 준비하거나 창업을 한 사람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호기심은 창업가의 도전성과 혁신성, 경쟁추구성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업가정신 가운데 도전성은 혁신성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경쟁추구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기심의 개별요인의 특성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도전성에는 결핍민감성과 유희적탐구가, 혁신성에는 사회적호기심과 자극추구가, 경쟁추구성에는 자극추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창업가들의 호기심과 기업가정신의 실천적 요인들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분석의 결과를 통해 기업가정신에 관한 이론적 확장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예비창업가들을 위한 지원활동 가운데 창업교육의 방향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uriosity,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art-up founders, on entrepreneurship. Among the various factors that make up the entrepreneurship,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al factors (challenge, innovativeness, competition) and the founder's curiosity. Based on previous studies, curiosity was divided into four individual factors: deficiency, playfulness, social curiosity, and stimulus pursuit. For each individual factor, we analyzed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the founders were classified into those who simply think of starting a business, those preparing to start a business, and those who started the business. Each group was analyzed their degree of curiosity.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final 248 data for entrepreneurs who are preparing or starting their own business in Daegu-Gyeongbuk region. Analysis shows that curiosity is higher in those who prepare or start a business than those who think about it. Curiosity has been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challenge, the innovation, and the composition of the competition. In addition, in entrepreneurship, the challeng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ut it did not affect competition compo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factors of curiosity were also differe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deficiency and playfulness on challenge, social curiosity and stimulus pursuit on innovation, and stimulus pursuit on competition. These findings are significant in identifying and analyzing curiosity as a factor influencing entrepreneurshi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help theoretical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it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among volunteer activities for prospective entrepreneurs.

      • KCI등재

        유아의 지적 호기심에 대한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지적 호기심, 유아-어머니 탐구적 상호작용의 영향

        안혜령(Hyeryung An),노보람(Boram No),최나야(Naya Choi) 인지발달중재학회 2019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유아의 호기심 중 새로운 것에 대한 흥미 추구와 불확실한 것에 대해 정확히 알고자 하는 갈망과 관련한 지적 호기심의 개념 및 발달에 관심을 두었다. 이에 따라 유아의 지적 호기심을 흥미추구형과 정보갈망형 두 유형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특성으로서 지적 호기심, 유아-어머니의 탐구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지적 호기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어린이집에서 4세와 5세 유아의 어머니 16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t검정,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어머니는 유아의 지적 호기심 중 흥미추구 지적 호기심을 정보갈망 지적 호기심에 비해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으며, 두 가지 지적 호기심 수준은 각각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흥미추구 지적 호기심에는 유아의 적응성 기질, 어머니의 흥미추구 지적 호기심, 유아-어머니의 탐구적 상호작용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유아의 정보갈망 지적 호기심에는 유아-어머니의 탐구적 상호작용만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유아의 지적 호기심 발달에 관한 논의가 지적 호기심의 세부 유형에 따라 축적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가정 및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지적 호기심 발달을 효과적으로 장려하기 위해 유아 개인 특성, 인적 환경 및 경험과의 관련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함의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wo distinct aspects and individual difference factors of children’s Epistemic Curiosity (EC), the desire to obtain knowledge capable of either having pleasant experiences with regard to interest in novelty (I-type) or of solving uncomfortable conditions of informational deprivation (D-type). The data from 160 mothers of children aged between four and five yea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we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reported the children’s I-type EC was slightly higher than their D-type EC, and the level of I- and D- type EC of children did not differ much for age or gender. Second, I-type EC of children was affected positively by their adaptability temperament, mother’s I-type EC, and child-mother exploratory interaction, whereas only the child-mother exploratory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D-type EC.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of children’s EC should hereafter consider the detailed types of EC, and include experiential factors such as exploratory interaction as well a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mothers.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에 미치는 교사의 영향

        유병길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 communication behavior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onal interest in science, interest-type curiosity, and deprivation-type curiosity. Therefore, considering the degree of response through the questionnaire for personal interest, interest-type curiosity, and deprivation-type curiosity about science, the sample was set to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44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effect teacher communication behavior ha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onal interest, interest-type curiosity, and deprivation-type curio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onal interest in science, interest-type curiosity, deficiency-type curiosity, and teachers' communication behavior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ersonal interest, interest-type curiosity, and deficiency-type curiosity were .86, . 74, .78 showed a high correlation. Second, personal interest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encouragement and praise,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and challenge. Third, the order of encouragement, praise, and challenging questions had an effect on interest-type curiosity and deprivation-type curiosity. 본 연구는 교사 의사소통 행동이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개인적 흥미, 흥미형 호기심, 결핍형 호기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과학에 대한 개인적 흥미, 흥미형 호기심, 결핍형 호기심 대한 설문지를 통해 응답할 수 있는 정도를 고려하여 표집 대상을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으로 설정하여 44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변수들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 의사소통 행동이 초등학생들의 개인적 흥미, 흥미형 호기심, 결핍형 호기심에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개인적 흥미, 흥미형 호기심, 결핍형 호기심, 초등학생들이 인식한 교사 의사소통 행동 간의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개인적 흥미와 흥미형 호기심 및 결핍형 호기심 간의 상관계수는 .86, .74, .78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격려와 칭찬, 이해와 친근감, 도전의 순으로 개인적 흥미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격려와 칭찬, 도전적 질문의 순으로 흥미형 호기심 및 결핍형 호기심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 KCI등재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운동지속을 위한 호기심의 역할

        유정인(Jung In Yoo),김성규(Sung Kue Kim),임용택(Yong Taek Rhim) 한국체육교육학회 2014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호기심이 운동행동(지속)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스포츠센터에서 생활체육에 참가하는 183명을 편의표본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다변량 분산분석,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호기심 및 운동지속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구체적으로 상황적 호기심, 특성적 호기심, 운동지속 모두 남자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운동참여빈도에 따른 호기심 및 운동지속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황적 호기심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특성적 호기심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지속은 참여빈도가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일수록 운동을 지속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셋째, 운동참여기간에 따른 호기심과 운동지속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참여기간이 길수록 호기심이 많으며, 또한 운동을 지속 하려는 의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호기심과 운동지속과의 관계는 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생활체육참가자들의 호기심은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Curiosity has been defined as a human intrinsic drive that motivates exploratory behavior to acquire new informative and sensory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he authors aimed to distinguish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between trait and state curiosity in a sport setting. Second, in order to purely examine the influence of state curiosity on sport fan`s intention to watch a novel sport, the authors controlled for participants` preference to watch current popular sports. Three hypotheses were tested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Lisrel 8.80 and multiple regressions using SPSS Ver. 15.0. The results found that there is an evident distinction between trait and state curiosity in a sport context. It was also revealed that state curiosity significantly impact sport fan`s intention to watch a novel sport when controlling for preference to watch current popular sports.

      • KCI등재

        이양선 출몰에 따른 근대문물 인식변화

        전제훈 ( Jeon¸ Je-hoon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이 논문은 조선 중종에서부터 고종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동·서·남해에 출몰한 이양선을 통해 유입된 서양 근대문물의 인식변화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했다. 이를 통해서 지배층의 근대문물의 다름에 대한 공포심과 피지배층의 근대문물의 새로움에 대한 호기심의 상호작용이 역사발전심리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범위는 조선 중중 35년(1540)부터 고종 19년(1882)까지 342년 동안 조선해역에 148회출몰한 이양선(異樣船) 기록을 대상으로 했다. 이는 한반도의 서양 근대문물 유입은 조선해역에 출몰한 이들 이양선을 통해 들어온 것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해난구조 된 이양선을 통한 근대문물 유입은 생활필수품과 기호품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통상·외교를 요구한 이양선가운데 첨단 서양화포와 이를 장착한 함선(艦船) 등 당시 첨단 무기류에 대한 구매를 제안한 경우도 있었다. 연구방법은 빅데이터(Big data) 분석을 통한 계량사학(計量史學)적인 시각으로 접근했다. 이를 통해 근대문물에 대한 호기심과 공포심의 상호작용이 역사발전심리에 끼친 영향을 연구방법론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내용은 이양선의 경우 서양 근대문물과 함께 가톨릭이나 기독교 성서가 유입되는 통로역할을 했다. 따라서 조선 정부는 왕권과 유교질서를 무너뜨리지 않게 하는 쇄국(사교 유입 방지)에 전력을 기울였다. 이 또한 일본에 의해 강제로 맺어진 강화도조약(1876)이후 개항 이전에 조선이 자발적인 근대화를 이루지 못한 것에 한몫을 한 것이다. 이처럼 이양선은 조선의 근대문물 유입에 따른 근대화의 전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핵심어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선 정부(특히 국왕과 왕실)의 위정자 등 지배층은 유교질서 유지를 위해성서(聖書)를 비롯해 서양 근대문물의 다름에 대한 극심한 공포심(恐怖心)을 가졌다. 이러한 점이 조선 후기 개방과 개화를 통한 자발적인 근대화가 늦어지는 결정적인 역사심리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해 보았다. 반면 피지배층인 민중은 우연이든 필연이든 이양선을 통한 서양 근대문물이 유입되는 새로움에 대한 호기심(好奇心)을 갖게 된다. 이러한 피지배충의 이양선을 통한 서양 근대문물에 대한 호기심리는 훗날 개화(갑오개혁)를 통한 근대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바탕이 된다. 이양선 출몰에 따른 근대문물과 이 근대문물의 인식변화를 거칠게 분석해 보면서 다음과 같은 결과물을 얻었다. 첫째, 새로운 문물을 접합에 있어서 지배층은 공포심으로. 피지배층은 호기심으로 작용하였다. 이들 공포심과 호기심의 상호작용은 한국·한국인의 새로운 문물을 접하는 인식변화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러한 지배층의 근대문물 유입에 따른 공포심은 뒷날 기존질서를 지키려는 수구심리와 국가발전을 현존적인 입장에서 보려는 보수심리로 자리 잡은 것으로 분석됐다. 피지배층의 호기심은 후일 새로운 질서를 세우려는 개화심리와 이를 바탕으로 국가발전을 이루려는 진보심리로 발전한 것으로 분석됐다. 셋째, 이러한 지배층의 근대문물을 대하는 태도의 공포심리와 피지배층의 호기심리는 극단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다.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서 외국·외국인을 대하는 태도의 혐오인 제노포비아와 외국·외국인 선호의 제노피리아가 혼합된 콤플렉스를 극복하려는 것이다. 넷째, 한국·한국인은 이러한 제노포비아와 제노피리아가 혼합된 콤플렉스를 극복해 미래를 개척해 나가는 데 필요한 새로운 정신체계를 창조해 나가려는 것이다. 다섯째, 이러한 호기심과 공포심의 상호작용은 한국·한국인이 주체적이며 중심적인 자세를 다지는 역사발전심리를 보이는 것이다. This thesis aimed at analyzing changes in perception of Western modern civilization throughout the Western vessels that appeared and disappeared in the East Sea, the Western Sea, and the Southern Sea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Jungjong of Joseon to Gojong of Korea. It examined an effect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ruling class that was scared to differences of modern civilization and the ruled class that was curious about its newness on psychology of historical development. The scope of the study is records of the Western vessels (異樣船) that appeared and disappeared in the seas of the Joseon Dynasty 148 times during 342 years from the 35th reign of Jungjong of Joseon (1540) to the 19th reign fo Gojong of Korea (1882). It's because the majority of Western modern civilization flowed into the Korean Peninsula throughout these Western vessels. Daily necessities and items of personal preference amounted to the majority of the inflow of modern civilization through the Western vessels salvaged. Among the Western vessels that requested trade diplomacy, there were the cases to offer to buy high-tech weapons of those days including high-tech Western grease artillery and vessels (艦船) with them. For the method of the study, it approached subjects of it from a viewpoint of quantitative history (計量史學) through big data analytics. It examined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uriosity and fears of modern civilization on psychology of historical development as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the Western vessels served as the path that the Bible of the Catholicism or Christianity flowed into the Joseon Dynasty with Western modern civilization. Therefore, the Joseon Government devoted all its energies to close the country (prevent false religions from flowing into it) not to overthrow the royal authority and disrupt Confucian order. This also played a role in the Joseon Dynasty that could not voluntarily be modernized before the Japan-Korea Treaty of 1876 forcibly concluded by Japan. Like this, the Western vessels are the key word to be able to examine the whole process of modernization according to the inflow of modern civilization into the Joseon Dynasty. In this process, the ruling class including politicians including the Joseon government (Especially,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had extreme fear (恐怖心) of differences of Western modern civilization as well as the Bible (聖書) to keep Confucian order. This point was analyzed to become crucial historical psychology that voluntary modernization through openness and enlightenme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got to be delayed. On the other hand, the people, the ruled class got to have the curiosity (好奇心) for newness that Western modern civilization flowed into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Western vessels whether it was serendipitous or inevitable. Psychology of the curiosity for Western modern civilization by the ruled class provides a background for being crucial for modernization through enlightenment (Gabo Reform) later on. A rough analysis of modern civilization according to the Western vessels and changes in its perception obtained results as follows: First, meeting new civilization acts as fear for the ruling class and curiosity for the ruled class. The interactions between their fear and curiosity have found to have an effect on changes in perception of meeting new civilization of Korea and Koreans. Second, fear of the ruling class according to the inflow of modern civilization into the Joseon Dynasty was analyzed to become psychology of extreme conservation to keep the established order and conservation to look at national development from a existent position later on. The curiosity of the ruled class was analyzed to develop into enlightened psychology to establish new order and progressive psychology to accomplish national development based on it. Third, fear psychology of the ruling class in the attitude toward modern civilization is not extremely separated from psychology of curiosity by the ruled class. They tried to overcome complex that xenophobie, hatred of the attitude toward foreign countries and foreigners, and xenophilia, preference of them, are mix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nteractions. Fourth, Korea and Koreans try to create a new mental structure required for changing the future by overcoming complex that these xenophobie and xenophilia are mixed with each other. Fifth, the interactions between these curiosity and fear show psychology of historical development that Korea and Koreans have an independent and central attitude.

      • KCI등재

        연구 논문 : 17세기 영국의 "호기심의 방"

        노자연 ( Ja Yeun Noh ) 영국사학회 2011 영국연구 Vol.25 No.-

        호기심의 방은 물질의 백과사전 같은 수집실이었다. 호기심을 불러 일으킬만한 물건이 수집되어 있다고 하여, 사람들은 이곳을 ``호기심의 방(Cabinet of Curiosity)``라고 불렀다. 호기심의 방은 유럽에서 16세기 중반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여 17세기에 전성기를 누렸다. 학자들은 이 신기한 공간의 진정한 의미나 특성을 파헤치기보다는 박물관의 진화과정 중에 형성된 불완전한 공간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글은 호기심의 방을 역사적 맥락에서 심도 있게 분석할 필요가 있는 공간으로 간주하고, 그 위상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7세기 영국의 대표적인 수집가 존 트레이즈켄트(John Tradescant)와 로버트 코튼 경(Sir Robert Cotton)의 호기심의 방을 재구성할 것이다. 17세기 영국의 호기심의 방이 흥미로운 이유는 이 시기에 새로운 주체에 의한 수집이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중간계급 출신의 수집가들은 소유를 통해 자신을 드러내고자 했으며, 기존의 수집실과는 달리 개인의 이름으로 수집에 몰두했다. 호기심의 방을 통해 정체성을 드러내며 사회에서 인정받고자 하는 의지는 일종의 ``소유적 개인주의``를 확인할 수 있는 사례로 이해할 수 있다. 결국 17세기 영국의 호기심의 방은 17세기 영국 사회를 이해하는 하나의 통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The cabinet of curiosity is a collecting room of materials similar to an encyclopedia. Various objects such as the horns of unicorns, birds` nest from China, fossilized fish, were collected in it. It was called "the cabinet of curiosity" because objects which could raise people`s curiosity were collected. The cabinets of curiosities started to appear from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and became widespread in the 17th century. Scholars have studied these novel rooms from two perspectives. The scholars, those who have mentioned the cabinets of curiosities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collecting," have taken notice of the types of objects and the collecting behavior itself. The museologists studying the "history of museums" have considered it as the origin of museums. The scholars, who have studied the cabinet of curiosity to date, however, have not looked into its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regarding it as an incomplete place that had been formed in the process of the evolution of museums. The cabinet of curiosity is a meaningful place that requires deep analysis in the context of history and times. In particular, the cabinets of curiosities that emerged in England in the 17th century were different from the collecting rooms of the monasteries in the Middle Age in Europe and Studiolos of Italy, which were popular prior to that period. Moreover, they were places reflecting Englishnes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uropean continent in the 17th century. John Tradescant and Sir Robert Cotton were the owners of the most representative cabinets of the 17th century England. Tradescant was a gardener who started his collection while working in the gardens of influential patrons of the times. He and his son completed "The Ark" and built a large-scale collecting room, opening it to the public for a fee. Meanwhile, Cotton built and operated a library preserving a bulk of manuscripts, and a cabinet of curiosity preserving the remains of the Ancient Rome, the fossils, coins, and medals. His collecting room was open to antiquarians free of charge and made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antiquarianism. The collectors owned the cabinets as a means to show off their ability and dignity, and to fulfill their desires for upward mobility. The cabinet of curiosity of the 17th century England is intriguing because it was created by newly emerged individuals. The English collectors of the times were no longer restricted to the nobility and the royal family, expanding to the professionals from the middling sort. This characteristic was differentiated from the collecting rooms of the previous era and those of the European continents of the times. The collectors from the middling sort intended to show themselves by possession, and passionately engaged in collection in their own names unlike the existing collecting rooms. Their aspirations to demonstrate their identity and to be socially recognized through the cabinets can be interpreted as a kind of "Possessive Individualism." The cabinet of curiosity was neither an incomplete place that could be underestimated compared to "modern" museums, nor a meaningless place that should be mentioned only in the context of museum history. The cabinet of curiosity, which embodies the Englishness of the 17th century, is worth being guaranteed its own independent posi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abinet of curiosity of the 17th century England serves as a prism through which to view, in a somewhat refracted way, the multifaceted cultures of the 17th century Eng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