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클로피도그렐 또는 티카그렐러로 치료받는 환자에서 혈소판 수와 특성이 혈소판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윤경호,조재영 대한내과학회 2017 대한내과학회지 Vol.92 No.6

        Background/Aims: Platelet counts and characteristics can influence platelet reactivity during antiplatelet therapy. We compared the effects of both platelet count and indices on platelet reactivity between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either clopodogrel or ticagrelor. Methods: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clopidogrel (n = 63) or ticagrelor (n = 65) groups. Platelet count, platelet indices (including mean platelet volume, platelet distribution width, platelet large cell ratio, and immature platelet fraction), and platelet reactivity were measured before intervention,and 48 hours and 30 days post-intervention. High on-treatment platelet reactivity (HPR) was defined as ≥ 47 unit as assessed by multiple electrode platelet aggregometry. Results: Baseline platelet reactivity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at 48 hours and 30 days, platelet re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icagrelor group than in the clopidogrel group. Platelet count, mean platelet volume, platelet distribution width, platelet large cell ratio, and immature platelet frac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latelet reactivity in the clopidogrel group; however, these correlations were attenuated in the ticagrelor group. The use of clopodogrel (hazard ratio [HR] 4.1, 95% confidence interval [CI] 1.4-11.9; p = 0.010) and platelet count (HR 9.7, 95% CI 2.9-32.7; p = 0.001) were independent predictors for 30 day HPR. Platelet count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HPR in the clopidogrel group but not in the ticagrelor group. Conclusions: Platelet count and indice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latelet reactivity. However, antiplatelet treatment with ticagrelor could overcome these associations. 목적: 혈소판의 수와 특성은 항혈소판제의 혈소판 반응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클로피도그렐과 티카그렐러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혈소판 지표들과 혈소판 반응성과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방법: 관상동맥 질환으로 중재시술을 받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클로피도그렐군(63명), 티카그렐러군(65명)으로 나누어약물을 투여하였다. 약물 투여 전, 시술 후 48시간째, 30일째혈액을 채취하여 혈소판 수, 평균혈소판용적, 혈소판분포폭, 혈소판 거대세포 비율, 미숙혈소판분획 그리고 혈소판 반응성을 측정하였다. 높은 치료 중 혈소판 반응성(HPR)은 자동혈소판 응집 측정장치에서 측정값 47 U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기저 혈소판 반응성은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48시간째, 30일째 혈소판 반응성은 티카그렐러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30일째 혈소판 반응성과의 상관관계는 클로피도그렐군에서 백혈구 수, 혈소판 수, 평균혈소판용적, 혈소판분포폭, 혈소판 거대세포 비율 그리고 미숙혈소판분획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티카그렐러군에서는 상관관계가 없어지거나 작아졌다. 전체 환자에서 클로피도그렐의 사용(HR 4.1, 95% CI 1.4-11.9, p = 0.010)과 혈소판 수(HR 9.7, 95% CI 2.9-32.7, p = 0.001)가 30일째 HPR을 예측하는 독립적인 위험 요인이었다. 클로피도그렐군에서는 혈소판 수가 독립적인 위험 인자였으나 티카그렐러군에서는 위험 인자가 되지 못하였다. 결론: 혈소판 수와 특성들은 혈소판 반응성과 연관성이있으나, 티카그렐러로 치료받는 환자에서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

      • KCI등재후보

        액와 림프선 종대로 진단된 난소암

        이천준,전창완 대한부인종양학회 2006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6 No.3

        Ovarian carcinoma is usually asymptomatic in early stage and over 70% of it initially diagnose advanced stage due to diffuse intraabdominal disease. Presenting symptoms and signs often relate to the degree of intraabdominal spread.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s and sign include abdominal pain, distension and palpable pelvic mass. The enlarged finding of isolated, distant lymph node without intraabdominal symptom and sign is vary rare. We experienced a patient who initially diagnosed enlarged axillary lymph node from ovarian carcinoma.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난소암은 70%이상에서 3기 이상으로 첫 발견되며 대게 골반과 복강 내에 직접 전이되기 때문에 골반과 복강증상으로 진단된다. 그리하여 골반과 복강의 증상 외에 첫 진단되는 예는 아주 드물다. 액와 임파선종대로 난소암이 첫 진단되는 예는 세계적으로 희귀하며 유방전이 없는 액와 임파선종대는 Hockstein이 1997년에 1예를 보고한 후에 지금까지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69세 여성에서 촉지되는 우측 액와 임파선 종대를 주소로 내원하여 원발병소를 찾던 중 발견된 난소암 1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