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클로피도그렐 또는 티카그렐러로 치료받는 환자에서 혈소판 수와 특성이 혈소판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윤경호,조재영 대한내과학회 2017 대한내과학회지 Vol.92 No.6

        Background/Aims: Platelet counts and characteristics can influence platelet reactivity during antiplatelet therapy. We compared the effects of both platelet count and indices on platelet reactivity between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either clopodogrel or ticagrelor. Methods: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clopidogrel (n = 63) or ticagrelor (n = 65) groups. Platelet count, platelet indices (including mean platelet volume, platelet distribution width, platelet large cell ratio, and immature platelet fraction), and platelet reactivity were measured before intervention,and 48 hours and 30 days post-intervention. High on-treatment platelet reactivity (HPR) was defined as ≥ 47 unit as assessed by multiple electrode platelet aggregometry. Results: Baseline platelet reactivity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at 48 hours and 30 days, platelet re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icagrelor group than in the clopidogrel group. Platelet count, mean platelet volume, platelet distribution width, platelet large cell ratio, and immature platelet frac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latelet reactivity in the clopidogrel group; however, these correlations were attenuated in the ticagrelor group. The use of clopodogrel (hazard ratio [HR] 4.1, 95% confidence interval [CI] 1.4-11.9; p = 0.010) and platelet count (HR 9.7, 95% CI 2.9-32.7; p = 0.001) were independent predictors for 30 day HPR. Platelet count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HPR in the clopidogrel group but not in the ticagrelor group. Conclusions: Platelet count and indice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latelet reactivity. However, antiplatelet treatment with ticagrelor could overcome these associations. 목적: 혈소판의 수와 특성은 항혈소판제의 혈소판 반응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클로피도그렐과 티카그렐러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혈소판 지표들과 혈소판 반응성과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방법: 관상동맥 질환으로 중재시술을 받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클로피도그렐군(63명), 티카그렐러군(65명)으로 나누어약물을 투여하였다. 약물 투여 전, 시술 후 48시간째, 30일째혈액을 채취하여 혈소판 수, 평균혈소판용적, 혈소판분포폭, 혈소판 거대세포 비율, 미숙혈소판분획 그리고 혈소판 반응성을 측정하였다. 높은 치료 중 혈소판 반응성(HPR)은 자동혈소판 응집 측정장치에서 측정값 47 U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기저 혈소판 반응성은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48시간째, 30일째 혈소판 반응성은 티카그렐러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30일째 혈소판 반응성과의 상관관계는 클로피도그렐군에서 백혈구 수, 혈소판 수, 평균혈소판용적, 혈소판분포폭, 혈소판 거대세포 비율 그리고 미숙혈소판분획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티카그렐러군에서는 상관관계가 없어지거나 작아졌다. 전체 환자에서 클로피도그렐의 사용(HR 4.1, 95% CI 1.4-11.9, p = 0.010)과 혈소판 수(HR 9.7, 95% CI 2.9-32.7, p = 0.001)가 30일째 HPR을 예측하는 독립적인 위험 요인이었다. 클로피도그렐군에서는 혈소판 수가 독립적인 위험 인자였으나 티카그렐러군에서는 위험 인자가 되지 못하였다. 결론: 혈소판 수와 특성들은 혈소판 반응성과 연관성이있으나, 티카그렐러로 치료받는 환자에서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

      • KCI등재

        특발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이 합병된 임신에서 임신부와 신생아의 예후

        박유나 ( Yu Na Park ),김세은 ( Sei Eun Kim ),정경란 ( Kyung Lan Jung ),민정애 ( Jung Ae Min ),최석주 ( Suk Joo Choi ),오수영 ( Soo Young Oh ),김종화 ( Jong Hwa Kim ),노정래 ( Cheong Rae Roh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7

        목적: 본원에서 분만한 특발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 (ITP)이 합병된 임신의 주산기 예후 및 신생아 혈소판감소증의 예측 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4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본원에서 분만한 임신부 중 ITP가 합병된 32명 임신부 및 신생아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ITP는 1,000 분만 당 0.87의 발생률을 보였고 총 32명중에서 임신 중 처음 ITP를 진단 받은 경우는 12예 (37%)였으며 5만/mm3 이하의 혈소판감소증을 보였던 경우가 59%였다. 대상 임신부의 68.7%에서 혈소판 수치의 회복을 위하여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분만 시 5만/mm3 이상의 혈소판 수치의 유지를 위하여 20예 (62.5%)에서 혈소판을 수혈 받았다. 치료 방법으로는 스테로이드 투여가 8예 (25%), immunoglobulin 치료 2예 (6.2%), 스테로이드와 immunoglobulin의 병합치료 6예 (18.7%), anti-Rh (anti-D) 1예 (3.1%)로 나타났다. ITP에 대한 치료를 시행받은 군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은 77%에서 나타났다. 출생 후 신생아에게서 5만/mm3 이하의 혈소판감소증이 있었던 경우는 14.2%였으며 이들 모두 immunoglobulin 치료를 받았다. 신생아에서 두개내 출혈 등의 합병증은 1예에서 나타났고 신생아의 혈소판 수치는 분만전의 임신부의 혈소판 수치 및 ITP 진단 시기나 치료 여부와 상관 관계가 없었다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0.04; P=0.86). 결론: ITP가 합병된 임신의 경우 신생아의 혈소판감소증은 10%에서 나타나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예측인자가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s in pregnancies complicated with idiopathic thrombocypenic purpura (ITP) and to identify antenatal factors to predict the neonatal thrombocytopenia. Methods: We analyzed retrospectively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s of the32 pregnant women with ITP who were delivered over a 12-year period. Results: The prevalence incidence of ITP in pregnancy was 0.87 per 1,000 live births in this study population. The diagnosis of ITP was made more before pregnancy than with afterduring during pregnancy (63% vs 37%). Maternal platelet transfusion was done in 62.5 % of pregnancies with ITP. Sixty nine percent of pregnancies with ITP received medical therapies; steroid only in 8 cases (25%), steroid + IVIG (intravenous immunoglobulin) in 6 cases (18.7%), IVIG only in 2 cases (6.2%), and steroid + IVIG + anti-Rh (anti-D) in 1 case (3.1%). Overall response rate (Plt > 50×109/L) to medical treatment was 77%. Neonatal thrombocytopenia (Plt < 50×109/Ll) was observed seen in 4 cases (14.2%) immunoglobuli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maternal and the neonatal platelet count. Moreover medical treatment during pregnancy did not make any difference in neonatal platelet count. There was one case of neonatal ICH (germinal matrix hemorrhage). Conclusion: Although neonatal thrombocytopenia occurred in 140% of pregnancies with ITP, no antenatal factor could predict neonatal thrombocytopenia.

      • KCI등재후보

        조짐편두통 환자와 무조짐편두통 환자 간의 평균혈소판용적 차이

        반수지,이준범,진가헌,김원용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4

        연구배경: 평균혈소판용적(mean platelet volume)은 혈소판이 활성화될 때 증가하며 편두통 환자에서 평균혈소판용적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조짐편두통 환자와 무조짐편두통 환자의 혈소판 수와 평균혈소판용적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7년 6월까지 홍익병원 외래로 내원하여 편두통을 진단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편두통환자는 조짐편두통 환자와 무조짐편두통환자로 분류하였고, 두 군 간의 혈소판 수와 평균혈소판용적을 비교하였다. 또한 뇌경색, 심혈관 질환 등의 동반 유무도 조사하였다. 결과:조짐편두통환자 46명과무조짐편두통환자 77명이연구에포함되었다. 조짐편두통 환자군이 무조짐편두통 환자군보다 평균혈소판용적이 유의하게 컸고(migraine with aura [MA] 8.92±0.17 fL vs. migraine without aura [MO] 6.32±0.28 fL, P=0.034), 뇌경색 및 심혈관질환의 동반 빈도가 높았다(ischemic stroke, MA 15.2% vs. MO 7.8%,P=0.027; cardiovascular disease, MA 10.9% vs. MO 6.5%, P=0.018). 결론: 평균혈소판용적은 무조짐편두통 환자보다 조짐편두통 환자에서 더 크다. 이는 두 질환 간에 병태 생리적인 차이와 관련이 있을것이다. Background: Mean platelet volume (MPV) increases when platelets are activated, and it is known to increase in migraine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MPV or platelet count between migraine patients with (MA) and without aura (MO). Methods: Migraine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a hospital between January 2012 and June 2017. Patients were divided into MA and MO groups. Platelet count and MPV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and the frequency of comorbidities such as ischemic stro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was investigated in both groups. Results: Of the 123 patients, 46 were classified as MA, and 77 were classified as MO. The MPV of the M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MO group (8.92±0.17 fL, 6.32±0.28 fL, respectively) (P=0.034). However, platelet cou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Cardiovascular disease and ischemic stroke incidenc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 group than in the MO group (ischemic stroke: 15.2%, 7.8%, respectively, P=0.027; cardiovascular disease: 10.9%, 6.5%, respectively, P=0.018). Conclusion: Mean platelet volum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MA group than in the MO group. This may be related to the pathophys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nditions.

      • KCI등재

        조현병/조현정동장애 환자에서 1년간의 Clozapine 투여가 혈소판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향적 연구

        장은자,이종욱,김승준,오홍석,이나현,임우영,김지웅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0 정신신체의학 Vol.28 No.1

        연구목적클로자핀은 뇌심혈관 질환의 발생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소판의 활성화 정도는 뇌심혈관 질환의 발생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왔다. 저자들은 이전 연구에서 단기간의 클로자핀 투여 후 혈소판 활성도가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후속 연구로 클로자핀을 1년의 기간 동안 장기간 지속투여하였을 때, 혈소판 활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 법조현병 혹은 조현정동장애의 치료를 위해 최소 1년의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클로자핀을 투여 받은 환자들의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혈소판의 활성도는 평균혈소판요소 값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총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대상자 중 남성은 9명(37.5%), 여성은 15명(62.5%) 였다. 윌콕슨부호-순위검정에서 초기 및 1년 경과 시점에서의 평균혈소판요소 값 사이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1년간의 지속적인 클로자핀 투여에도 평균혈소판요소의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단기간의 클로자핀 투여 시 평균혈소판요소 값에 현저한 저하를 관찰하였던 저자들의 이전의 연구 결과를 함께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클로자핀 투여 기간에 따라 혈소판의 활성도가 변화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Clozapine has been known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and the platelet activation has been deemed to be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them. In author’s previous study, we observed the increase of platelet activity with short-term clozapine administ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follow-up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ozapine on the platelet activity when administered continuously for long-term period of time of 1 year. Methods: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or schizoaffective disorder who were treated with clozapine for 1 year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egree of platelet activation was assessed by measuring the mean platelet component. Results:Total of 24 patients were enrolled. 9 of them (37.5%) were male and 15 of them (62.5%) were female. In the Wilcoxon sign-ranks test,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between the mean platelet factor values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one year. Conclusions:No significant changes of mean platelet activity were observed after continued administration of clozapine for 1 year. Considering the author’s previous findings that observed a prominent decrease of mean platelet component after short-term clozapine administr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activity of the platelet may change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the clozapine administration.

      • SCIESCOPUSKCI등재

        The effects of platelet-rich plasma(PRP) in combination with anorganic bovine bone($Bio-Oss^{(R)}$) on the early wound healing of rabbit cranial defects

        임동웅,장현선,박주철,김흥중,이종우,김종관,김병옥,Lim, Dong-Woong,Jang, Hyun-Seon,Park, Ju-Chol,Kim, Heoung-Jung,Lee, Jong-Woo,Kim, Chong-Kwan,Kim, Byung-Ock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y 2005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5 No.1

        혈소판 농축 혈장은 구강과 안면부 재건수술에 새로이 사용되는 유용한 첨가물이다. 혈소판은 상처 치유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며, 혈소판은 상처부위에 빠르게 도달하여 응고를 형성한다. 그리고 다양한 성장인자를 분비한다. 이러한 성장인자는 골의 형성과 혈관의 증가, 골 이식재의 치유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 동물을 통하여 혈소판 농축 혈장에 함유된 혈소판의 정량화를 통한 성장인자 함유량을 추정하고,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평가를 통해 혈소판 농축 혈장이 초기의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를 하는데 있다. 15마리의 가토 두개골에 6mm trephine bur(외경 8mm)를 이용하여 경뇌막의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4개의 결손부를 형성하였다. 각각의 두개골 결손부는 $Bio-Oss^{(R)}$만 이식한 군, PRP만 이식한 군, PRP와 $Bio-Oss^{(R)}$를 혼합하여 이식한군, 그리고 아무것도 이식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재료를 이식한 후 비흡수성 차폐막($Tefgen^{(R)}$)을 위치시키고 흡수성 봉합사로 일차봉합을 시행하였다. 각 군 당 술 후 1, 2, 4주의 치유기간을 설정하였다. 동물을 희생시키고 두개골을 절제하였다. 먼저 방사선학적인 골 밀도 측정을 시행하고, 조직학적 평가를 위해 통법에 따라 조직 표본을 제작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가토 귀 변연정맥에서 채취한 10 ml의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소판 함유량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소판 농축 혈장은 일반 혈액에 비해 약 4.02배 많은 수의 혈소판이 함유되어 있었다. 2. 방사선적인 평가에서 1, 2, 4주 사이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Bio-Oss^{(R)}$에 PRP를 이식한 군에서 골의 밀도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p<0.01). 하지만, 동일한 시기에 PRP만 이식한 군과 대조군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p>0.05), $Bio-Oss^{(R)}$만 이식한 군과 $Bio-Oss^{(R)}$에 PRP를 이식한 군의 차이 또한 발견할 수 없었다(p>0.05). 3. 조직학적 평가에서 모든 이식재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골 형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에 비해 PRP만 이식한 군에서 더 두꺼운 섬유성 결합을 보이고 있다. 대조군과 PRP만 이식한 군과 비교해 $Bio-Oss^{(R)}$와 $Bio-Oss^{(R)}$에 PRP를 혼합 이식한 군에서 골의 형성이 더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Bio-Oss^{(R)}$에 PRP를 혼합 이식한 군이 $Bio-Oss^{(R)}$만 이식한 군에서보다 더 많은 신생골 형성을 관찰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가토의 두개골 결손부에 $Bio-Oss^{(R)}$에 PRP를 혼합 이식하였을 경우 결손부의 초기 골 형성을 촉진 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문맥정맥 혈전증으로 내원하여 본태성 혈소판 증가증으로 진단된 1예

        신동우,서향은,정윤진,정재권,김대진,박창근,김현수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1 No.1

        본문: 문맥정맥 혈전증은 문맥 고혈압을 유발해 다양한 위장관 증상 및 비비대를 일으킬 수 있으며, 그 원인에는 간경화, 골수증식성질환 등이 있다. 혈전 생성 속도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분류하며, 만성의 경우에는 해면정맥(측부혈관)을 형성해서 비비대를 유발하므로 혈소판감소증이 초래될 수 있다. 본태성 혈소판 증가증은 골수증식성 질환의 하나로 혈전(뇌졸중, 간담도혈전등)과 출혈을 일으킬 수 있어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필요로 한다. 저자들은 문맥정맥 혈전증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본태성 혈소판 증가증으로 진단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증례: 56세 여자 환자가 1개월 간의 상복부동통으로 내과 외래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자궁근종으로 자궁적출술을 시행한 것 외에 특이 병력이 없었다. 입원 시 활력 징후는 혈압 130/90 mmHg, 호흡수 분당 20회, 맥박수 분당 80회, 체온 36.3도였고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11,480 /mm3, 혈색소 11.2 g/dl, 혈소판 50,500 /mm3, 프로트롬빈시간 13.7초였다. 이학적 검사에서 비장이 촉지되고 간이 3횡지 촉지 되었으며 경한 제주위 압통이 있었다. 상부 위장관 내시경에서는 하부 식도 정맥류가 발견되어 문맥정맥 고혈압이 있음을 시사하였고, 이 외에 위축성 위염이 있었으나 상복부 동통의 원인이 될만한 부분은 발견되지 않았다. 만성 문맥정맥 혈전증 환자의 85-90%가 식도 정맥류를 가지고 있다 하며, 그 중 50-70%에서 식도 정맥류 출혈을 한 번 이상 경험하지만 상부내시경 상에서 출혈의 증거는 없었다. 복부 초음파에서 간비대, 비장비대가 관찰되었고 복부 CT에서는 간문맥과 상부 장간막 정맥의 혈전정맥염과 풍부한 곁가지 혈관들이 보여 만성 혈전정맥염으로 진단되었다. 비장비대와 일치되지 않는 혈소판 증가증에 대하여 본태성 혈소판 증가증 의심 하에 골수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거대핵세포 증가 소견과 함께 JAK2 mutation 양성 소견으로 본태성 혈소판 증가증으로 진단되어 현재 외래 추적 하며 anagrelide (phospolipase A2 inhibitor) 치료 중이다. 결론: 문맥정맥 혈전증은 간경변 등에서 드물지 않게 발견되는 소견이지만 그 원인이 다양해 독립적인 원인을 찾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아야 하겠다. 저자들은 상복부 동통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발견된 만성 문맥정맥 혈전증의 원인으로 본태성 혈소판 증가증을 진단한 1예를 보고한다.

      • KCI등재

        항 혈소판 제제의 술 전, 일시적 중단은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실혈량 및 동종수혈의 필요성을 증가시키지 않는가?

        조명래(Myung-Rae Cho),이영식(Young Sik Lee),권재범(Jae Bum Kwon),이재혁(Jae Hyuk Lee),최원기(Won-Kee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2

        목적: 항 혈소판 제제(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실로스타졸)의 술 전 일시적 중단이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초기 실혈량 및 동종수혈의 필요성을 증가시키지 않는 안전한 방법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단일 센터에서 단일 술자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시행된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방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총 369건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항 혈소판 복용 과거력이 없는 271명과 항 혈소판 제제를 술 전 7일간 일시적으로 복용 중지한 98명을 각각의 군으로 나누었다. 두 군 간의 입원기간 동안의 동종혈액 수혈 빈도와 함께 초기 실혈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술 후 1일과 2일에 혈색소 수치 및 적혈구 용적률의 변화량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7일 전까지 항 혈소판 제제를 복용한 군과 항 혈소판의 복용 과거력이 없는 군 간의 수술 1일과 2일 후의 적혈구 용적률, 혈색소 수치의 변화량, 동종혈액의 수혈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69명 중에서 입원기간 동안 총 149명이 수혈을 받았다. 수혈을 받은 환자의 군에서 받지 않은 환자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대적으로 고령의 나이, 작은 키, 작은 몸무게, 술 전의 낮은 혈색소와 적혈구 용적률 수치를 보였다. 수혈을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 간의 성별과 술 전에 시행한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등급, 수술 7일 전까지 항 혈소판 제제 복용 과거력 유무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은 없었다. 결론: 항 혈소판 제제의 술 전 7일간의 일시적 중단은 항 혈소판 제제의 복용 과거력이 없는 환자군에 비하여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출혈량 및 동종수혈의 필요성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preoperative temporary discontinuation of antiplatelet medication (aspirin, clopidogrel, or cilostazol) is a safe procedure that does not increase early postoperative bleeding and allogenic blood transfusion after a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navigation assisted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6. A total of 369 patients enrolled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71 patients with no history of antiplatelet therapy and 98 patients who underwent 7 days of temporary withdrawal of antiplatelet therapy.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variation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ostoperative day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early postoperative bleeding and the frequency of allogenic blood transfusion during hospitalization. Results: The variation of hemoglobin, hematocrit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ostoperative days and the frequency of allogenic blood transfusion between no history of antiplatelet medication and discontinuation antiplatelet medication before 7 days from surgery were similar in both groups. Of the 369 patients, 149 patients received a blood transfusion during their hospitalization. Compared to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a blood transfusion, those who did received blood transfusion were significantly older in age, smaller in height, lighter in weight, and showed significantly lower preoperative hemoglobin and hematocrit valu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preoperativ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scores, and the history of antiplatelet medication until 7 days prior to surgery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blood transfusion. Conclusion: Compared to patients with no history of antiplatelet medication, the temporary discontinuation of antiplatelet medication 7 days prior to surgery in patients undergoing antiplatelet medication did not increase the amount of postoperative bleeding or the need for allogenic blood transfusion.

      • SCOPUSKCI등재

        체외순환에 따른 혈액학적 변화와 술후 출혈에 관계하는 인자에 관한 연구

        김하늘루,황윤호,최석철,최국렬,김승우,조광현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10

        연구배경 : 체외 순환으로 인한 지혈 기전의 심각한 손상은 술후 과다 출혈을 일으켜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고, 대량 수혈에 따른 부작용과 재수술의 우려마저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심장 수술동안 섬유소 용해계의 활성화와 혈소판의 숫적, 기능적 변화가 술후 상당 시간동안 출혈의 원인이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체외 순환 동안 및 그 후에 있어, 체외 순환에 의한 섬유소 용해계의 활성화를 포함한 다양한 혈액학적 변화를 조사하고, 이러한 변화들이 술후 비외과적 출혈의 정도와 어떤 상관성이 있는가를 규명하기위해 체외 순환을 실시할 성인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계획되었다. 혈소판 수, 섬유소원 및 plasminogen 농도, FDP, D-dimer, BT, aPTT, PT와 같은 혈액학적 변수의 측정을 위해 수술동안 또는 술후 시기에 혈액을 연속적으로 채취하였다. 출혈량은 흉부 삽관을 통한 배출량을 술후 3, 6, 12, 24, 48시간의 양과 총혈액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혈소판 수는 체외 순환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되었다 (p<0.01). 총 체외 순환 시간이 길수록 혈소판 수의 감소률은 더 높았으며 (r=0.55, p=0.01) 술후 7일이 되어서야 비로소 술전치에 근접하였다. 체외 순환동안 FDP와 D-dimer의 농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p<0.0001), 섬유소원 및 plasminogen 농도 둘 다 서로간에 상관성을 보이면서 감소하였다 (r=0.57, p<0.01). 술후 2hr-BT, 2hr-PT, 2hr-aPTT 모두 술전치에 비해 유의하게 연장되었다(각각 p<0.05, p<0.0001, p<0.0001). 술후 총 출혈량과 환자의 연령, 대동맥 차단 시간, 체외 순환 시간은 각각 양의 상관관계 (positive correlation)가 있었다. 술전 기준치 혈소판 수와 술후 3시간 출혈량, 체외 순환 종료시의 혈소판 수와 술후 3시간, 6시간 및 총 출혈량 그리고 술후 1일의 혈소판 수와 48시간 출혈량 사이에는 각각 음의 상관관계 (negative correlation)가 있었다. 술후 2hr-aPTT는 술후 6시간 및 48시간대의 출혈량에 상관성이 있었고 (r=0.53, p=0.02) 술후 2hr-PT는 48시간 출혈량과 각각 양의 상관성이 있었으나 (r=0.43, p=0.05). 이 두가지 변수와 총 출혈량 간에는 상관성이 없었고, 술후 2hr-BT와 술후 출혈량 사이에도 유의한 상관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결론 : 이상의 관찰 결과들은 체외 순환이 섬유소 용해계의 활성화와 혈소판 수의 심한 감소를 포함한 다양한 혈액학적 변화를 유도하고 환자의 연령, 혈소판 수, 대동맥 차단 시간, 체외 순환 시간, 술후 PT 및 aPTT와 같은 다인적 상황들이 술후 출혈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들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들은 체외 순환에 따른 지혈적 손상에 관한 이해와 술후 출혈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Cardiopulmonary bypass(CPB)-induced hemostatic defects may result increased possibility of excessive hemorrhage and additional multiple transfusion reactions or reoperation. Particularly, fibrinolytic activation and decreased platelet count and function by CPB were proposed as a predictor of hemorrhage during postoperative periods in several reports. Materials and methods: Present study, which was conducted in 20 adult patients undergoing CPB, was prospectively designed to examine the hematologic changes, including fibrinolytic activation during and after CPB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changes and the magnitude of the postoperative nonsurgical blood loss. The serial blood samples for measurment of hematologic parameters were taken during operation and postoperative periods. Blood loss was respectively counted via thoracic catheter drainage at postoperative 3, 6, 12, 24, 48 hours and total period. Result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Platelet count rapidly declined following CPB(p<0.01), which its decreasing rate was an inverse proportion to total bypass time(TBT, r=0.55, p=0.01), And platelet count in postoperative 7th day was barely near to its control value. Fibrinogen degradating product(FDP) and D-dimer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CPB(p<0.0001, p<0.0001, respectively), and both of fibrinogen and plasminogen concentration correlatively decreased during CPB(r=0.57, p<0.01), implying activation of fibrinolytic system. Postoperative bleeding time (BT), postoperative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aPTT) and postoperative prothrombin time (PT) were significantly prolonged as compare with each control value (p=0.05, p<0.0001, p<0.0001, respectively). Total blood lo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s age, aortic clamping time (ACT) and TBT, while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latelet count and blood loss at pre-CPB, CPB-off and the 1st postoperative day, and in some periods. Postoperative aPTT and postoperative PTwere positively related to postoperative 6 hr and 48 hr blood loss(r=0.53, p=0.02; r=0.43, p=0.05) but not to total blood loss, wherea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postoperative BT and blood loss at any period. Conclusion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CPB results various hematologic changes, including fibrinolytic activation and severe reduction in platelet count. Diverse factors such as age, platelet count, ACT, TBT and postoperative aPTT and PT may magnify the postoperative bleeding. This study will be a basic reference in understanding CPB-induced hemostatic injuries and in decreasing the postoperative hemorrh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