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STEAM프로그램의 현장적용 방안 모색을 위한 사례연구

        김성운,심현섭,최현,김양희,강원미,박서정,배동석,임성만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4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STEAM education, and to find ways for the Application of STEAM program. To do this, I modified the existing STEAM program being apt for education field and directly apply developing program to the school.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three groups. I interview some teachers developed programs, other teachers applied to the program and students learning through the program. I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ase study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STEAM programs, recognition of most participants was changed positively. Second, a teacher is modifying and applied an existing STEAM program in his own position and need. Third, it is required developing program easily to adapt to education field. Fourth, the students were able to learn the scientific attitude through the STEAM program exper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 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STEAM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 STEAM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현장 맞춤형 STEAM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고 학교현장에 적용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개발한 교사, 실제로 프로그램을 적용한 교사, 프로그램 수업을 받은 학생들과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질적 분석방법인 사례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프로그램 경험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은 대다수 긍정적으로 변하였다. 둘째, 현장교사들은 기존 개발된 STEAM 프로그램을 자신의 입장에서 수정, 보완하여 적용해야 한다. 셋째, 현장에 적용이 용이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학생들은 STEAM 프로그램 경험을 통해서 과학적 태도를 습득할 수 있었다.

      • 아동 ·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III

        이창호,강석영,이동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Ⅱ」의 정신건강연구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아동 및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 개입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개인정신건강요인 중 긍정요인과 부정요인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현행 국내·외의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정신건강 증진 관련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학교현장의 아동 및 청소년대상 상담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상담현장 및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 운영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아동·청소년의 위기 수준 및 개별특성을 고려하여 정신건강 증진 및 개입을 할 수 있도록 모듈식 프로그램을 제시하였고 그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개인정신건강요인에서 각 요인의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자아존중감 증진 및 스트레스 감소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과 우울, 불안, 자살, 인터넷 중독 중심의 개입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현장전문가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현장전문가가 인식하는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개입방안을 마련하고자 학교장면에서 청소년의 주요 정신건강 문제,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개입방식 및 서비스 수준, 정신건강 증진 및 개입프로그램의 필수 요소, 학교현장적용 프로그램의 고려사항을 알아보았다. 셋째, 국내·외 학교에서 운영 중인 프로그램들의 고찰을 통해 프로그램 내용, 대상과 목적, 학교현장에서의 활용성 그리고 운영상의 문제에 비추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넷째, 이를 바탕으로 총 3단계의 증진 및 개입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단계는 각 개인정신건강요인별로 정의, 발생원인, 특징 및 증상, 학교장면에서의 영향력, 개입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교교사나 프로그램 운영자들이 이해하고 필요에 따라 학생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2단계는 각 정신건강 요소별로 자신의 문제수준에 대한 간이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검사 도구를 제시하여 개입여부를 결정토록 하였다. 3단계는 이를 바탕으로 개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는 총 3회기의 개입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하여 참여자의 위기수준이나 특성에 따라 각 단계별 선택적 활용을 할 수 있는 모듈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상 제시한 연구내용들을 중심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향후 아동 및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의 효과적인 지원을 위한 주요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icient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on mental health study s actual state of「A study on support measur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Ⅱ」in 2012. To this end, we investigated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among individual mental health factors proposed from「A study on support measur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Ⅱ」in 2012, and examined mental health promotion-related programs targeting the current domestic, international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n presented efficient management alternatives to understand counseling field and the actual state of program operation through interviews with counselor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chool. Also, based on this, modular program was proposed for mental health promotion and intervention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crisis leve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chool,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cusing on self-esteem promotion and stress reduction and an intervention program focusing on depression, anxiety, suicide, internet addition were drawn through examining each factors previous studies in individual mental health factors. Second, considerations youth major mental health problems and intervention methods and services level for mental health, mental health promotion and an intervention program essential elements, school field application programs in school were investigated, to prepare intervention measures by figuring out the actual state of adolescents mental health recognized by field experts by conducting interviews targeting field experts to develop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ird,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reflecting program contents, targets and objectives, utilization of school site and operational problems through examining programs operat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hools. At last, based this, all three phases promo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first phase provided definitions, causes, characteristics and symptoms in each individual mental health factors and information for influence, intervention ways, and made school teachers and program operators understand the program and gave students information as necessary. The second phase made school teachers and program operators decide whether they intervened students by presenting a screening tool to conduct a simple inspection for students own problem level in each mental health factor. Based this, the third phase made school teachers and program operators run a total of three sessions-intervention program when intervention was needed and develop modular programs to be used selectively in each stage according to participants crisis level or characteristics. We carried out this study focusing on the above study contents, and suggested the main policy measures for effective support for the future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의 현장적용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융합인재 지도역량 향상에 대한 인식조사

        이지원,모진우,김형준,신지은,양성호,손정주,이재영,김중복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7 현장과학교육 Vol.11 No.1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ception of the improvement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through the practical training for STEAM education. Questionnaire survey subjects are 109 pre-service teachers and 29 in-service teachers who conducted classes of the STEAM education. We found three properties; first, pre- and in-service teachers highly perceived improvements on the teaching competencies in all four categories of STEAM education, Teaching competency for creativity, problem solving, collaboration and understanding convergence, through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After the practical training, all teachers’ perception of improvement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was similar(average 92 %) with their expectation, but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rate decreased by 9 % on average in all categories. Second, the types and levels of teaching competencies that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improvement were different at each stage of the practical training for STEAM education. They perceived that teaching competency for creativity was developed in designing STEAM classes, competency for problem solving and collaboration were developed in practicing classes. In the stages of theoretical training and reflection, their perception of improvement were lower.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is program, since not only in-an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training program was helpful in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but also students perceived STEAM education was helpful to improve their STEAM competencies. Second, the steps of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should be appropriate in terms of necessary time allotment and exerted efforts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competencies that pre-service teachers improved on each stage. 이 연구에서는 예비교사가 교사들과 협력적으로 융합인재교육 수업을 구성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해본 후 수업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지도역량에 대한 예비교사, 교사,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융합인재교육 수업을 수행한 예비교사 109명, 이들과 팀을 이루어 협업적으로 수업을 구성하고 수행한 현직교사 29명, 그리고 융합인재교육 수업을 받은 학생 84명을 대상으로 지도역량의 향상 정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이들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크게 두 가지 특징이 나타났다. 첫째, 예비교사와 교사는 융합인재교육의 현장적용을 통해 창의적 사고력 지도능력, 문제해결 지도능력, 의사소통 및 협업 지도능력, 융합지식 이해 지도능력의 네 가지 범주 모두에서 높은 비율로 예비교사의 지도역량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교사 평균 92%, 예비교사 평균: 76%). 교사의 경우 기대한 수준과 향상되었다고 인식한 수준이 유사하게 나타난 것에 비해, 예비교사는 향상에 대한 인식이 기대보다 전 영역에서 유의한 수준(평균 9%)으로 낮았다. 둘째, 현장적용의 각 단계별로 예비교사들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한 지도역량의 종류와 수준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수업의 준비 단계에서는 창의성 지도역량이, 수업 수행 단계에서는 문제해결력과 협업 지도역량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이론학습과 반성단계에서는 향상되었다는 인식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다음을 제안한다. 첫째, 예비교사, 교사, 학생 모두 예비교사가 융합인재교육의 현장적용을 경험하는 것이 그들의 지도역량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으므로, 이러한 프로그램을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장적용 프로그램의 단계별로 예비교사가 기를 수 있는 지도역량의 종류에 차이가 있으므로 각각의 단계가 균형적으로 충실히 설계되고 수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통일 사회 지향적인 유아 민주시민 교육활동 프로그램 모형 준거의 현장 적용 타당성 분석 연구

        김숙자,김현정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유아 대상의 통일 사회 지향적인 민주시민 교육활동 프로그램 모형 준거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민주시민 교육활동 프로그램 모형 준거들의 현장 적응 타당성을 조사,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은 질문지 조사 방법으로, 연구목적에 따라 개발된 유아 민주시민 교육활동 프로그램 모형의 교육목적과 목표 관련 준거, 교육내용 관련 준거 및 교수-학습 방법과 환경 구성 관련 준거의 현장 적용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일 사회 지향적인 유아 민주시민 활동 프로그램 모형 준거로 개발된 교육목적과 목표 관련 준거, 교육내용 관련 준거 및 교수-학습 방법과 환경 구성 관련 준거, 교육내용 관련 준거 및 교수-학습 방법과 환경 구성 관련 준거들은 모두 현장 적용가능하고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nd apply criteria for the civil education activity model for young children in unified korea. The subjects were 144 kindergarten teache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used for the collection of data.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3 criteria related to goals and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of program model for civil education in kindergartens. As a results of the study, all developed criteria related to goals and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of program model for civil education were valid and applicable to the site of kindergartens.

      • 아동 ·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III : 총괄보고서

        모상현,김형주,이선영,김정화,윤경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국가단위 아동·청소년정신건강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개발연구를 통해 정신건강수준의 변화의 양상과 정책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현장적용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하여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의 실질적인 증진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주로 문헌연구, 전국단위 대규모 조사, 전문가 자문회의, 국내외 사례 분석, 전문가 면접 및 현장전문가 대상 의견조사(델파이)의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이외에도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정책을 개선하기 위해 전문가 워크숍을 진행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주무부처와의 정책협의회를 통하여 정책방안의 효율성을 제고하였다. 연구는 크게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첫째, 아동·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실태파악을 위해 3년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상 나타나는 주요 문제점 및 변화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확보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표개발연구를 통해 국가단위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정신건강 증진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현장에서 실제로 정신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현장적용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및 예방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정책적 시사점을 통해 향후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grounds to measure the aspect of changes and policies performance in the mental health level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to figure out the actual state of Korean children?adolescents mental health and the national level of children?adolescents mental health, and to improve actual children?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 through the development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field application The study method conducted with literature research, consultation meeting of experts, nationwide survey, an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expert interviews, opinion survey of field experts(Delphi), etc, and other study promotion method induced policy implications through experts workshop for the policy improve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mental health, and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policy plan was considered through policy meeting with government department promoting the policy. The study contents was performed by dividing to three areas. First, 3rd year 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children?adolescents mental health. Through this, objective data to identify the main problems and the degree of changing appeared in Korean children?adolescents mental health were obtained. Second, prepared grounds to figure out the national level of children?adolescents mental health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children?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 and measures to establish mental health promotion support system. At last, presented specifically children?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 and precautio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field application which could promote mental health in the school site actually. Based on this study, grounds to check the level of children?adolescents mental health were prepared, it contributed positively to mental health promotion by improving concerns and accessibility on mental health through the development of field-focused program. In addition, the aspect of necessary policy for children?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 was suggested through policy implication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 KCI등재

        한국적 청소년 마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이현지(Lee, Hyun-Ji),정재걸(Jung, Jae-Geol),홍승표(Hong, Seung-Pyo),이승연(Lee, Sung-Yean),백진호(Baek, Jin-Ho)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2

        최근 청소년교육의 현주소는 창의융합교육, 진로교육의 내실화, 자유학기제를 통한 자기주도적인 학습, 디지털교육 확대 등이다. 이를 통해서지식교육 중심의 수업에서 벗어나고, 경쟁과 입시 스트레스를 완화하며, 창의력 및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미래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여전히 부족한 면이없지 않다. 오늘날 교육은 이와 같은 변화할 사회에 대응하는 청소년들이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향후 청소년교육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콜라보레이션이가능한 인재 양성, 새로운 사회시스템을 이해하고 주도하는 역량 제고, 공유역량을 갖춘 휴먼 4.0 배출, 사회변화에 열린 창의적 메이커를 양성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성과를 위해서 필요한 교육은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해하고 적응할 수 있는 기술교육뿐만 아니라, 사회변화를 이해하고 시대에 부합하는 삶의 의미와 가치를 형성할 수있는 교육이다. 특히 자기에 대한 이해와 삶의 본질에 닿을 수 있는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의 중심에 마음교육이 있다. 미래사회의 청소년교육의 중심으로 마음교육을 꼽는 이유는 매우 자명하다. 마음교육은 미래사회를 대비해야 하는 청소년들에게 자기에 대한 이해와 삶의 본질에 닿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인간의 힘으로 통제할 수 없는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류의 삶을 급격하게 변화시킬 것을 예고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살아야 하는 청소년에게 마음교육은 불투명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두려움의 본질이 무엇이며, 변화할시대를 지혜롭게 대비하기 위해서는 어떤 역량을 키우는 것이 삶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일인지에 대한 답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러한 마음교육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 마음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이에 부합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또한 마음교육을 학교에서 활용하고 교육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그에 부합하는 체제와 내용을 갖추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청소년 마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하고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The current status of youth education is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internalization of career education,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expansion of digital education. Through this, the goal is to break away from knowledge education-oriented classes, relieve competition and admission stress, and improv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futur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still a lack. Education today does not provide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problems faced by young people responding to these changing societies. In the future, youth education sh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fostering human resources capable of collaboration, understanding and leading new social systems, producing human 4.0 with shared capabilities, and fostering creative makers open to social change. The education necessary for these achievements is not only technical education that can understand and adapt to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also education that can understand social changes and form meaning and value of life in line with the times. In particular, education that can reach the essence of life and understanding of oneself is desperately needed. At the center of this education is mind education. The reason for choosing mind education as the center of youth education in future society is very clear. Mind education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young people who need to prepare for a future society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reach the essence of life. Advances in technology beyond human control foreshadow a drastic change in human life. For teenagers who have to live in this reality, mind education can provide answers to the nature of anxiety and fear about an opaque future and what capabilities can be discovered to wisely prepare for a changing era. In order to faithfully perform the role of mind education, the goals and contents of mind education shall be organized to conform to it. In addition, in order to utilize mind education in schools and achieve educational effects, it is necessary to have a corresponding system and conten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Korean youth mind education program and looked at ways that can be used and applied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