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현실태 해석과 응용 -현실태와 존재-

        양혜정 ( Yang¸ Hye-jeoung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0 가톨릭철학 Vol.0 No.15

        본 글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존재’에 현실태가 가지는 지시적 의미를 적용하고자 한 철학적이고 신학적인 의미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현실태(에네르게이아)라는 말은 행위로부터 파생된 것이며, 완전성인 현실태(엔텔레케이아)를 의미하고 지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실태는 행위의 완성(완료)을 지시한다. 그리고 완성은 충만한 능력으로서 역동성을 함축한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와 같은 이해를 ‘존재’에 적용시켰다. “존재는 모든 현실태 중의 현실태요 그 때문에 모든 완전한 것 가운데 완전성이다” (『권능론』 제7문제 제9이론의 해답). 존재는 현실태(energeia)와 완전성(entelecheia)로서 언급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현실태의 의미적 지시에 따르면, 존재는 단지 존재함의 완성을 향한 과정이 아니라, 존재함 그 자체로 목적에 도달한 것이다. 존재는 존재의 행위이며, 동시에 존재의 완성인 것이다. 이렇게 토마스가 현실태를 재해석하고 존재에 적용할 이유는 철학적이면서, 신학적이다. 전자에 따라, 토마스는 우리가 과연 고착화되고 고정적인 의미를 초월하도록 촉구하는 존재를 가지는지, 그리고 그 존재가 역동성을 지시하는 현실화인지를 성찰하도록 한다. 후자에 따라서는 이러한 역동적인 존재에 대한 성찰만이 신과의 관계성을 회복시킬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신학적인 의미에서 존재 성찰은 우리 편에서 최고의 역동성으로서 신 존재를 지향해 가도록 촉구하는 것이다. 현대인들이 가지는 것에 못지않은 무거운 문제들로 둘러싸여 있었을 13세기에, 토마스는 시대 이상을 넘을 수 있고, 최고의 역동성인 신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있을 존재 완전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토마스에게 그것은 ‘지금 여기 있음’으로서 존재의 완전성을 사유하고 통찰하는 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little further into application of actual signification to ‘esse’ in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light of Thomas Aquinas. According to Aristotle, “The word ‘actuality’ is derived from ‘action’, and points to the fulfillment(entelecheia)”. Therfore ‘energeia’ indicatively signify fulfillment of action. And fulfillment, that is ‘entelecheia’, implicates ‘potentia’, namely full power. Thomas Aquinas applicated this signification to ‘esse’. In pot. q.7, ad.9, he said, “esse est actualitas omnium actum, et propter hoc est perfectio omnium perfectionum.” What is important in this context is that the term ‘esse’ is written as ‘actualitas’(energeia) and ‘perfectio’(entelecheia). According to sense of actuality, ‘esse’ is not only the process for perfection of being, but also the end of perfection of being. In other words, ‘esse’ is both action(actualitas) and perfection of being. In my view, Thomas Aquinas’s this relation of adaptation between ‘esse’ and ‘energeia’ was resulted from his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basis. In the former point of view, Thomas asks us “truly have we ‘esse’ to transcend a fixed mean?” and “does the ‘esse’ signify ‘potentia’ related to ‘actualitas’?”. In the latter point of view, he tells us that reflection on ‘esse’ which signifies ‘potentia’ only helps us to approach the God. Namely, This recovers relation between us and the God. In theological light, reflection on ‘esse’ urges us to approach the God that is the highest potentia. Thomas Aquinas who lived in 13 century suggests to us who live today perfection of ‘esse’ that we are able to unite with the God in meditation on ‘esse.’ According to Thomas Aquinas, that is ‘now here being’ which is way thinking and discerning perfection of being.

      • KCI등재

        심적 현실태로서 수학적 대상-힌티카의 아리스토텔레스수학철학 해석에 대한 비판적 고찰

        조영기 ( Young Kee Cho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연구 Vol.0 No.50

        이 논문의 목적은 힌티카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수학철학에대한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힌티카의 해석에 따르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수학철학에서 수학적 대상은 지성 안에서 현실태화되며(actualized), 이러한 심적 현실태는 물리적 현실태와 마찬가지로 실재하는 것이다. 그의 해석은 허구주의적 해석과 마찬가지로 소박실재론적해석이 야기하는 정확성의 문제(precision problem)를 피하면서, 동시에허구주의적 해석의 문제점을 해결한다는 장점이 있다. 심적 현실태에대한 힌티카의 이와 같은 주장은 사유(no/hsij)와 사유의 대상은 동일하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에 근거한다. 힌티카는 이러한 동일성의 주장이 형상이 물리적으로 현실태화되는 것과 지성 안에서 심적으로 현실태화되는 것 사이에 존재론적 차이가 없음을 함축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인식론에서 ‘사유한다는 것(no/hsij)’은단순히 ‘생각하는 것(conceiving)’과 구별되는, 외부 대상으로부터 (지성적) 형상을 받아들이는 과정이며, 따라서 이미 지성과 독립하여 외부에존재하는 것들만이 지성 안에서 현실태화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일수학적 대상이 지성과 독립하여 현실태로서 미리 존재하지 않으면, 수학적 대상은 지성 안에서도 현실태화 되지 못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view Hintikka’s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philosophy of mathematics. Hintikka argues that, for Aristotle, mathematical objects are actualized in the intellect, and that such mental actualities are as real as physical actualities. His interpretation has merits over other interpretations in that, while avoiding the precision problem caused by the naive realist interpretation, it resolves problems of fictionalist interpretations by making mathematical objects something existent in Aristotle’s ontology. His argument for the mental actuality rests on Aristotle’s claim of the identity between thought and objects of thought. According to Hintikka, this claim implie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forms’ physical realization in the external world and mental realization in our mind. Nevertheless, in Aristotle’s epistemology, thinking is distinguished from mere conceiving. TThinking (no/hsij) is the process of receiving intellectual forms from external objects, so that only things existing independently from our thinking can be actualized in the intellect. Thus, if mathematical objects do not already exist as actualities independently from the intellect, they cannot be actualized in the intellect, either.

      • KCI등재

        수학적 대상과 존재의 양태로서 가능태

        조영기(Cho, Young Kee)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철학탐구 Vol.38 No.-

        이 논문의 목적은 수학적 대상을 일종의 가능태적 대상으로 여김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수학철학에 대한 소박실재론적 해석과 허구주의적 해석이 안고 있는 난점들을 피해 그의 실재론적 형이상학과 양립할 수 있는 해석을 제공할 수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서 존재자는 현실태뿐만 아니라 가능태로도 존재한다. 따라서 수학적 대상이 가능태로서 존재한다는 것을 보이면, 실재론적 해석이 안고 있는 정확성의 문제를 피하면서, 동시에 허구주의의 해석과 달리 수학적 대상의 실재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가능태’를 다의적으로 사용하며, 그의 형이상학에서 ‘가능태’가 항상 존재의 다른 양태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수학적 대상들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존재론에서 존재하는 어떤 것임을 주장할 수 있으려면, 수학적 대상이 존재의 다른 양태인 가능태여야 한다. 그러나 수학적 대상의 가능태로 여겨지는 수학적 질료는 존재의 다른 양태로 여겨지는 다른 가능태적 대상들과는 몇 가지 차이가 있다. 첫째, 수학적 질료인 순수 연장(pure extension)은 자신 혹은 다른 대상을 현실태화(actualization)할 인과적 힘이 없다. 그러나, 예를 들어, 사람(어른)의 가능태인 소년과 같이 완결되지 않은 실체(incomplete substance)는 그 자신이나 다른 대상을 현실태로 실현시킬 수 있는 내적 인과력을 갖는다. 둘째, 아리스토텔레스의 현실태주의(actualism)에 따르면, 가능태의 존재는 현실태의 존재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현실태는 가능태에 존재적으로 항상 선행한다. 그러나 순수 연장은 그것의 현실태인 기하학적 대상에 존재적으로 선행한다. 수학적 대상이 없더라도 순수 연장은 존재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수학적 대상이 감각적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수학적 대상이 어떤 형태의 현실태로도 존재할 수 없다는 의심을 갖게 한다. 이 점은 수학적 대상들이 가능태로서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비존재로 여겨질 수 있음을 가리킨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가능태로만 존재하고 현실태로는 존재하지 않는 대상은 비존재로 여기기 때문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ise the view that it is possible to suggest an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philosophy of mathematics compatible with his realistic metaphysics while avoiding problems of both fictionalist and realist interpretations, by regarding mathematical objects as a kind of potential beings. In Aristotle’s ontology, not only actual beings but also potential beings are seen as something existent. Thus, if mathematical objects exist as potential beings, the precision problem does not occur. A difficulty with this interpretation is, though, that Aristotle uses the term ‘potentiality’ homonymously, and not every kind of potentiality means a mode of existence. Therefore, only when the matter of mathematical objects, which is regarded as the potentiality of mathematical objects, can be called potentiality in the sense of another mode of existence, there will be a ground to say that mathematical objects are items in Aristotle’s ontological inventory. However, the matter of mathematical objects differs from those potential beings considered as of another mode of existence. First, unlike an incomplete substance such as a boy, the pure extension which is identified as the mathematical matter does not have the internal causal power to actualize itself or something else into its actualities, i.e., geometrical objects. Secondly, according to Aristotle’s actualism, actuality is always prior to its potentiality in existence in the sense that potentiality’s existence depends on actuality’s. Nevertheless, the existence of pure extension is prior to that of any of its possible actualizations. Moreover, the fact that mathematical objects are not actualized in the sensible world makes it doubtful whether mathematical objects exist in any form of actuality at all. This seems to indicate that mathematical objects themselves do not exist at all as well, since, for Aristotle, what is only in potentiality and never actualized, e.g., infinity, is considered not as something existent but rather as a kind of non-being.

      • KCI등재

        미디어-네트워크의 잠재태와 현실태

        이재현(Jae?Hyun Lee),이소은(So?Eun Lee)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7 언론정보연구 Vol.54 No.1

        이 글은 이론적으로 미디어-네트워크를 규정함은 물론 미디어-네트워크를 네트워크화의 진전에 따라 잠재태와 현실태로 구분하고, 이를 한국미디어패널조사가 제공하는 미디어 기기의 보유 및 사용 경험, 그리고 개인별 미디어 다이어리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경험적으로 접근하였다. 미디어-네트워크에 대한 분석, 특히 지표화는 라투르 등의 STA 분석을 원용하고, 이런 지표들을 가구의 특성에 따라 집단별로 비교하여 그 의미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에서 이 글은 분석 단위를 가구로 설정하고, 지표로는 크기 지표와 현실화 지표를 구성하여 현재 주된 관심의 대상인 TV 수상기와 데스크탑 PC, 휴대전화의 관점에서 미디어-네트워크의 잠재태와 현실태의 모습을 그려 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론적, 산업적 측면에서 이 글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the media-network in terms of potentialities and actualitie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media device’s networking. The KISDI media panel data were analyzed empirically on the basis of Latour’s STA, and we tried to extract meanings by comparing the results by household groups. In detail, this article constitutes size index (SI) as well as actualization index (AI), and illustrates potentialities and actualities of media-net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TV, desktop PC, and mobile phone respectively. Lastly, the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oretical and industrial aspects.

      • Metaphysical Foundation of validity of Aristotle`s Syllogism

        김귀룡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人文學誌 Vol.46·47 No.-

        현대논리학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증을 순수 형식 논리학으로 해석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 삼단논증은 그의 형이상학적 배경을 통해 해석할 때 그 진의가 더 잘 드러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증은 서로 다른 두 개념을 매개념을 통해서 연계함으로써 두 개념을 필연적으로 연결시켜준다. 곧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증은 아직 드러나지 않은 두 개념 사이의 필연적 연결관계를 매개념을 통해 현실화하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매개념이 하는 기능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능태-현실태의 틀에서 해석할 경우에 잘 드러난다 이는 세 가지 관점에서 밝혀질 수 있다. 첫째, 삼단논증에서의 매개념은 잠재태와 논리적 특징을 공유한다. 곧 아리스토텔레스에서 현실태는 두 가지 대립하는 속성 중에서 한 가지만을 가질 수밖에 없지만, 잠재태는 두 가지 대립 속성을 간직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삼단논증에서 결론에 주어와 술어로 등장하는 두 개념은 포함하거나 포함되는 특징 중 한 가지 속성만을 지닐 수 있지만 매개념은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잠재태와 매개념은 논리적으로 공통된 특성을 갖고 있다. 둘째 존재론적 관점에서 매개념은 보다 상위의 류개념과 그보다 하위의 종개념을 연계시켜 주는 중간 존재의 역할을 한다. 곧 질료성을 많이 갖고 있는 하위의 종개념을 질료성을 적게 갖고 있는 상위의 류개념 사이에서 종개념이 류개념에 포섭되지 않을 가능성을 줄여서 둘을 필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도 매개념의 역할은 잠재태-현실태의 틀에서 해석할 때 그 기능이 더 잘 드러난다. 셋째, 인식론적 관점에서 매개념은 전제에 잠재적으로 감추어져 있는 두 개념 사이의 관계를 현실화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증이 두 개의 전제로부터 결론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때, 결론은 아직 현실화되어 확정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곧 두 전제의 개념들사이에 결론은 잠재적으로 숨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매개념은 전제에 포함되어 있는 두 개념의 관계를 매개하여 그 둘의 관계를 결론에 현실화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곧 매개념은 현실화의 사유작용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증의 역할과 기능은 그의 형이상학, 특히 잠재태-현실태의 이론 틀에서 조명할 때 더 잘 드러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사유작용을 현실화하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삼단논증에서 매개념의 기능도 잠재적으로 숨어 있는 것을 현실화해서 필연적으로 밖으로 드러내는 사유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삼단논증도 현실화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곧 궁극적으로는 순수형상에 관한 인식, 그 안에 아무런 차이도 없는 자기 사유를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곧 구별이나 차이를 없애고 순수한 동일성을 지향하는 추론의 방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Modern logicians interpret Aristotle`s syllogism with a purely formal point of view. Aristotle`s syllogism as an instrument of science, however, cannot be called pure formal pure formal logic. His syllogism can be explained more fully in the context of his metaphysics, especially with respect to potentiality-actuality scheme. His syllogism is the process of actualizing necessary connection between two concepts in conclusion by middle term in premisses. Aristotle`s syllogism is the argument which actualizes necessary connection between two terms in conclusion, potentially inherent in premisses, through mediation of middle term. The function of middle term in syllogism can be explained more clearly seen from the scheme of potentiality-actuality. It can be explicated by three ways. Firstly, middle term shared the common logical characteristic with Aristotle`s potentiality. Actuality can not have two contrary properties at the same time, but potentiality can. Likewise, subject and predicate in conclusion must have just one property among two contraries(including, included), but middle term can have both properties, including and be included. at the same time. In this respect, middle term in syllogism and potentiality have common logical characteristic. Secondly, from ontological point of view, middle term performs a function of mediation between superordinate concept and subordinate concept. Middle term, in between subordinate concept with more materiality(potentiality) and superordinate one with less, performs a role of connecting two necessarily, by diminishing subordinate`s possibility of not being included in superordinate one. In this way, we can explain the function of middle term with respect to the relation of potentiality-actuality. Thirdly, from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middle term performs a function of actualizing the necessary relation which is inherent potentially in premiss. If we interpret Aristotle`s syllogism as the logical research in which we look for conclusion from two given premisses, then the conclusion is not actualized yet. In this case, the necessary relation between two terms is hidden potentially in premisses. Middle term, by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two terms inherent potentially in premisses, performs the role of actualizing the necessary relation between two. In this way, middle term can be interpreted as thinking activity of actualization. In the final analysis, we can say that the role and function of syllogism can be explicated more clearly seen from his metaphysics, especially from the scheme of potentiality and actuality.

      • Metaphysical Foundation of validity of Aristotle`s Syllogism

        ( Gwi Ryong Kim )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人文學誌 Vol.46·47 No.-

        현대논리학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증을 순수 형식 논리학으로 해석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 삼단논증은 그의 형이상학적 배경을 통해 해석할 때 그 진의가 더 잘 드러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증은 서로 다른 두 개념을 매개념을 통해서 연계함으로써 두 개념을 필연적으로 연결시켜준다. 곧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증은 아직 드러나지 않은 두 개념 사이의 필연적 연결관계를 매개념을 통해 현실화하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매개념이 하는 기능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능태-현실태의 틀에서 해석할 경우에 잘 드러난다 이는 세 가지 관점에서 밝혀질 수 있다. 첫째, 삼단논증에서의 매개념은 잠재태와 논리적 특징을 공유한다. 곧 아리스토텔레스에서 현실태는 두 가지 대립하는 속성 중에서 한 가지만을 가질 수밖에 없지만, 잠재태는 두 가지 대립 속성을 간직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삼단논증에서 결론에 주어와 술어로 등장하는 두 개념은 포함하거나 포함되는 특징 중 한 가지 속성만을 지닐 수 있지만 매개념은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잠재태와 매개념은 논리적으로 공통된 특성을 갖고 있다. 둘째 존재론적 관점에서 매개념은 보다 상위의 류개념과 그보다 하위의 종개념을 연계시켜 주는 중간 존재의 역할을 한다. 곧 질료성을 많이 갖고 있는 하위의 종개념을 질료성을 적게 갖고 있는 상위의 류개념 사이에서 종개념이 류개념에 포섭되지 않을 가능성을 줄여서 둘을 필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도 매개념의 역할은 잠재태-현실태의 틀에서 해석할 때 그 기능이 더 잘 드러난다. 셋째, 인식론적 관점에서 매개념은 전제에 잠재적으로 감추어져 있는 두 개념 사이의 관계를 현실화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증이 두 개의 전제로부터 결론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때, 결론은 아직 현실화되어 확정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곧 두 전제의 개념들사이에 결론은 잠재적으로 숨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매개념은 전제에 포함되어 있는 두 개념의 관계를 매개하여 그 둘의 관계를 결론에 현실화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곧 매개념은 현실화의 사유작용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증의 역할과 기능은 그의 형이상학, 특히 잠재태-현실태의 이론 틀에서 조명할 때 더 잘 드러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사유작용을 현실화하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삼단논증에서 매개념의 기능도 잠재적으로 숨어 있는 것을 현실화해서 필연적으로 밖으로 드러내는 사유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삼단논증도 현실화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곧 궁극적으로는 순수형상에 관한 인식, 그 안에 아무런 차이도 없는 자기 사유를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곧 구별이나 차이를 없애고 순수한 동일성을 지향하는 추론의 방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Modern logicians interpret Aristotle`s syllogism with a purely formal point of view. Aristotle`s syllogism as an instrument of science, however, cannot be called pure formal pure formal logic. His syllogism can be explained more fully in the context of his metaphysics, especially with respect to potentiality-actuality scheme. His syllogism is the process of actualizing necessary connection between two concepts in conclusion by middle term in premisses. Aristotle`s syllogism is the argument which actualizes necessary connection between two terms in conclusion, potentially inherent in premisses, through mediation of middle term. The function of middle term in syllogism can be explained more clearly seen from the scheme of potentiality-actuality. It can be explicated by three ways. Firstly, middle term shared the common logical characteristic with Aristotle`s potentiality. Actuality can not have two contrary properties at the same time, but potentiality can. Likewise, subject and predicate in conclusion must have just one property among two contraries(including, included), but middle term can have both properties, including and be included. at the same time. In this respect, middle term in syllogism and potentiality have common logical characteristic. Secondly, from ontological point of view, middle term performs a function of mediation between superordinate concept and subordinate concept. Middle term, in between subordinate concept with more materiality(potentiality) and superordinate one with less, performs a role of connecting two necessarily, by diminishing subordinate`s possibility of not being included in superordinate one. In this way, we can explain the function of middle term with respect to the relation of potentiality-actuality. Thirdly, from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middle term performs a function of actualizing the necessary relation which is inherent potentially in premiss. If we interpret Aristotle`s syllogism as the logical research in which we look for conclusion from two given premisses, then the conclusion is not actualized yet. In this case, the necessary relation between two terms is hidden potentially in premisses. Middle term, by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two terms inherent potentially in premisses, performs the role of actualizing the necessary relation between two. In this way, middle term can be interpreted as thinking activity of actualization. In the final analysis, we can say that the role and function of syllogism can be explicated more clearly seen from his metaphysics, especially from the scheme of potentiality and actuality.

      • KCI등재

        존재와 인식의 딜레마

        편상범(Sang Beom Pyeon) 한국철학회 2010 철학 Vol.0 No.102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근원(arch )적 존재인 실체(ousia)는 독립적인 개체이다. 그리고 실체 이외의 모든 존재는 실체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존재의 질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존재의 기초가 되는 실체를 알아야만 한다. 반면에 지식의 대상은 개체가 아닌 보편이다. 그런데 실체는 존재론적 요구에 따라 개체이어야 하며 동시에 인식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보편이어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것을 『형이상학』 M권 10장에서 최대의 난제라고 부르면서 자세한 설명없이 간략한 결론만을 언급하고 있다. 결론의 요지는 지식의 대상이 가능태 (dunamis)에서는 보편이지만 현실태(energeia)에서는 개별이라는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이 결론을 무시하거나 인식론적 관점에서 이해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 결론의 의미를 명료하게 밝히고, 이것이 최대의 난제에 대한 결론일 뿐만 아니라 아리스토텔레스 존재론의 중요한 일면을 보여주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인식을 하나의 존재론적 사태로 보고 인식대상과 인식주체가 인식의 가능태와 현실태에서 어떤 존재론적 위상을 갖는지 분석하였다. Ousia, the principle(arch ) of being, is an independent individual for Aristotle. All beings other than substance depend on the substance. So we need to know substance, the basis of being, to understand the order of beings. On the other hand, the object of knowledge is not individual but universal. Ontology requires that substance should be individual, but it should be universal in order to be the object of knowledge. Aristotle calls this the biggest dilemma, and he makes a short conclusion without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in his Metaphyscis, M, 10. His conclusion can be summarized: the object of knowledge is universal in potency(dunamis) but individual in act(energeia). Most scholars have ignored the conclusion or at best understood it from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This essay is focused on elucidating the meaning of the conclusion and on showing that it is not only the conclusion of the biggest dilemma but also an important aspect of Aristotle's ontology. For this, Iconsider knowledge as an ontological affair, and I analyze which ontological status the object and subject of knowledge have in potency and act of knowing.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 『영혼론』 3권 4장에서 지성의 자기 사유

        오지은 새한철학회 2023 哲學論叢 Vol.114 No.4

        본고의 목표는 『영혼론』 3권 4장에 언급된 ‘지성의 자기 사유’가 어떤 특징을 지니는지를 선명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필자는 429b9행이 왜 연구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는지 소개한 후, 일부 번역서들과 달리 본고는 필사본대로 읽겠다는 계획과 그 이유를 밝힌다. 그런 다음, 『영혼론』 3권 4장에 제시된 두 가지 난제가 왜 난제인지, 그리고 각 난제에 제시된 해법이 어떻게 해법으로 기능하는지 설명한다. 본고는 특히 두 번째 난제와 해법에 초점을 맞춰, 아리스토텔레스가 ‘지성도 사유될 수 있다’는 사실과 ‘현실태인 지성과 현실태인 여타 사유 대상이 인식적으로 동일하다’는 사실을 당연시했음을 서술한 후, 다음을 보인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우려했던 바는 그가 당연시했던 이 사실들이 알고 보면 거짓일 수 있다는 게 아니라, 우리가 이 사실들을 가지고서 틀린 추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추론의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그가 취한 방법은, ‘자연 세계에는 사유 대상들이 오직 가능태로만 존재한다’는 점과 ‘이는 지성이 그것들을 현실태로 사유하고 있는 동안에도 마찬가지’라는 점을 분명히 하는 것이었다. 이어서 필자는, 지성의 재귀적 사유가 이루어지는 방식과 관련하여 우리가 『영혼론』 3권 4장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지성과 여타 사유 대상의 인식적 동일성뿐임을 강조한다. 이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는 3권 4장에 논의된 지성의 특징으로 ‘타자 지향성’을 꼽고, 지성의 재귀적 사유는 지성의 타자 사유에 비해 ‘이차적’이라 해석하며, 본고의 이러한 진단이 아리스토텔레스가 믿었던 인간 지성의 높은 지위에 손상을 입히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llect’s thinking of itself mentioned in Aristotle’s De Anima III 4. To this end, I first describe a controversy among scholars over the line 429b9 and show my plan to read it as presented in all manuscripts, not as modified by several scholars. And then, I explain why the two problems mentioned in DA III 4 are problems and how the solution given to each is a solution. In particular, I show that in the discussion about the second problem, Aristotle regards the following two as obvious facts that need not be proved. One is that human intellect can be an object of thought, and the other is that the intellect as actuality is cognitively identical with each of other objects of thought as actuality. Also, I argue that Aristotle’s concern is not that these might be false, but that we might make an incorrect inference from these facts, and explain that the method he takes to correct this fallacy is to make clear that in the natural world, the objects of thought exist only “in potentiality” even when the intellect is thinking them in actuality. Next, emphasizing that the only information given in DA III 4 on how the intellect’s reflexive thinking takes place is the cognitional identity of the intellect and other objects of thought, I show that the intellect is essentially oriented towards ‘others’, not towards itself, and that its thinking of itself is ‘secondary’ to its thinking of others. Lastly, I claim that these characteristics do not negate the high status of intellect over others.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변화 개념

        전재원(Jeon, Jae-won)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29 No.-

        본 논문의 목적은 『자연학』을 중심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변화(kinesis) 개념을 해명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변화란 가능태로 존재하고 있던 형상과 질료가 현실태로서의 형상과 질료로 존재하게 되는 과정이다. 변화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로부터 우리는 중요한 몇 개의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첫째, 모든 변화는 무엇인가를 지향하고 있다. 둘째, 만약 변화가 왜 일어나는지를 모른다면 우리는 변화가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없다. 셋째,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변화를 일으키는 자(者)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넷째, 변화의 주체와 변화의 원인은 단 한 번만 현실화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모든 변화는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기체(基體)의 변화이다. 기체는 공간, 시간, 물리적 크기 등과 같은 '무한자'(to apeiron)를 매개로 해서 변화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완전한 것과 무한자를 동등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왜냐하면 그렇게 생각할 때 한계를 결여하고 있는 것이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되기 때문이다. 한계를 결여하고 있는 것으로서의 무한자는 세계를 포섭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 포섭되어 있다. 그리고 한계를 결여하고 있는 것으로서의 무한자는 인식될 수 없다. 왜냐하면 무한자는 형상이 없는 질료, 즉 질료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이르기까지 전통적으로 무한자의 지위는 존엄한 것이었다. 왜냐하면 무한자는 모든 것을 포섭하고 있는 전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무한자의 존엄한 지위를 끌어내리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무한자는 자연에 내재하는 것이지 초월적인 원리가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와 같은 발상은 철학적 관점에 있어서의 혁명이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Aristotle's conception of change(kinesis). Aristotle defines the change as a process which actualize a potentiality. From Aristotle's definition of the change, a number of consequences flow directly about how to conceptualize it. First, the change is fundamentally directional. Second, if we do not know what the change is directed toward, we do not understand what the change is. Third, everything that changes is caused to change by a distinct cause of change, a changer. Fourth, there is a single actualization of cause and subject of the change. All change, for Aristotle, is the change of an enduring subject. And all change occur in the infinite(to apeiron) which is time, space, matter. It would be absurd to equate the whole and the infinite, for that would be to say that the unlimited had a limit. The infinite does not contain, but in so far as it is infinite, is contained. And due at least in part to its potentiality, the infinite is unknowable. Because it lacks a form. The infinite traditionally derived its dignity from being thought of as a whole in which everything is contained. But Aristotle removes the infinite from its position of majesty. Aristotle's this idea was a revolution in philosophical perspective.

      • KCI등재

        21세기 왜 다시 좀비 영화인가?

        김성범(Kim, Sung-Pum)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4 씨네포럼 Vol.0 No.18

        최근 Sci-Fi 영화의 주인공으로서 좀비의 첫 등장은 헐리우드 호러영화에서 출연하는 수많은 괴기스러운 것들 중 하나에 지나지 않았었다. 그러나 헐리우드 호러 영화의 황금기였던 70~80년대, 좀비 장르는 전통적인 호러 영화와는 차별화된 것으로서 나타났다. 이 좀비 장르의 서막은 조지 로메로의 좀비 3부작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당시 호러 영화의 특징은 미국의 70~80년대 정치, 경제, 그리고 사회상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좀비 영화는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첫 번째, 내용적인 면에서 표현되고 있는 것을 살펴보더라도 호러 영화는 기존 질서의 회복 또는 회복이 아닌 더 깊은 절망 속으로 빠져들게 했다. 반면에 좀비 영화는 불확실성의 미래에 대하여 지나칠 정도로 극대화시키고 있지만 궁극적으로 종말론적인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어떤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좀비 영화에서 생존자들은 좀비의 공격에 의해 살육당한 죽은자들 보다는 스스로 자유의지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것은 결코 영화의 해피엔딩을 보여주려는 것이 아니다. 단지 불확정적인 상황의 잠정적인 결말 내지 일시적인 소강상태를 알져줄 뿐이다. 생존자들은 도시를 떠날 차 한 대에 몸을 맡기고 불확정적인 목적지를 향하여 먼 길을 떠난다. 그러나 이런 엔딩 효과는 호러 영화와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써 관객들에게 불확정성의 희망을 갖게 할 수 있었다. 90년대 호러 장르에서 좀비 영화는 시들해진다. 좀비는 다시 호러영화에 등장하는 괴기스럽고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전락한다. 그리고 10년 뒤, 대니 보일 감독의 <28일 후>(2002)와 폴 앤더슨 감독의 <레지던트 이블>(2002)을 시작으로 하여 좀비는 호러 영화가 아닌 Sci-Fi 영화에 전면적으로 등장하게 된다. 결코 고어 영화, 스플래터 영화, 그리고 슬래셔 영화에서 죽거나 사라 없어지는 괴물이 아니라 Sci-Fi 블록버스터의 매우 중요한 캐릭터로써 화려하게 재등장한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매우 기본적인 의문을 갖게 된다. 왜 다시 좀비영화인가. 21세기 어느 날, 지구에 닥쳐온 절망적 상황이 왜 좀비인가. 이것에 대한 해답을 찾아 볼 것이다. Recently, The First appearance of the Zombie, the main character of Sci-Fi movie was nothing more than just one of the monster things appearing in the Horror film of Hollywood. but At the 70s~80s, the golden age of Hollywood Horror film Zombie genre appeared as distinguished from a conventional Horror film.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George A. Romero"s zombie trilogy began in earnest. At that times, Characteristic of the Horror film is in close contacts with the politics, the economy and the society of the America’s 70s~80s. Most of all, Zombie film was its unique location. First, Although inspecting closely in an attempt to express an aspect of content, Horror film of the time was descending into the restoration of existing order or not restoring order but an abyss of despair. On the other hand, Zombie film demonstrated excessively the uncertainty of Future World but totally, went into suggesting an possbility able to overcome the apocalyptic situation of the film. For instance, In Zombie film, The Survivors under any circumstances are expressed in appearance being themselves as free will than the dead slaughtered by zombies. This is never supposed to show the happy endings of the film. This is just knowing of a provisional consequence of the uncertain situation or a momentary lull. The survivors would hop on the jeep leaving the city and toward the uncertain destination, hit the road. but the effectiveness of this endings can give the audience a hope of the uncertainty as the obviously different meanings. In the 90s, the zombie film of the horror genre was waning. Zombie was degenerated again as the ridiculous props of monster thing that often appears in the horror film. and then 10 years afterward, In the starting point of The 28 Days Later(2002) of Danny Boyle and The Resident Evil(2002) of Paul W. S. Anderson, Zombie was appeared overall on not the horror film but the Sci-Fi film. By no means an dying and disappering monster thing in Gore Film, Splatter Film, and Slasher Film, The Zombie was made a glorious return as the important material and the main character of Sci-Fi blockbuster. At this point of time, we should have a basic question. Why we"re obsessed with the zombie film again. Someday in the 21st century, why we"re changed the zombie from the desperate crisis of come on earth. Henceforth, we"re wanting to find the answer to the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