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진을 활용한 현대미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김경희,이은적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5

        현대예술에서 사진은 대중들에게 친근한 기록 및 표현 수단이 되었으며 독자적인 한 예술 영역으로 확고한 위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동시에 현대미술에서도 사진은 표현 매체로 많이 활용되어 현대미술의 확장에 기여해왔다. 대중성과 창조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사진은 교육적으로 많이 활용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미술에서 사진이 창조적 표현매체로 활용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보고 사진을 활용한 현대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사실적인 미술작품에 대한 압도적인 예술적 감흥에서 벗어나 현대미술작품의 다양한 예술적 가치를 이해하게 되었다. 이는 자연스레 현대미술에 대한 개념의 확대로 이어졌다. 시각이미지를 활용한 효율적이면서도 다양한 조형 실험과정에서 시지각적 상상력이 작용하였으며, 작품 표현의 소재와 주제가 다양해지고 조형적인 예술적 가치를 지닌 작품 표현의 가능성 또한 보여주었다. 이는 전통적인 미술교육에서 강조하였던 구상적인 표현활동에 대한 부담감이 감소한 것이 원인이 되어, 시각적 이미지의 차용활동을 통해 아이디어를 시각화하는 표현 방식이 자유로워졌기 때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진 작업을 통한 사물에 대한 예민한 관찰능력과, 직관적인 미적판단능력이 높아졌다. A diversity of genres coexist in contemporary Art and their scopes have been gradually expanded. Despite of it, at the site of the education, the traditional painting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but because of this students fail to communicate with contemporary art of the day they are living in. This study aims to deepen the students’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and improve their ability in creative expression, taking place beyond the boundary of visual expression, and focusing on realism by utilizing the popular appeal and creativity of photography. Through photography research participants can experience a diversity of aspects of Contemporary art, and these experiences would be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artistic value of the media of contemporary photograph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value of the aesthetics of contemporary art and expand their concept of art. Second, there was an expansion of both expression materials and themes, during this process the students’imagnation ability was fully exploited. Third, Due to the integration of photography into their visual expression, students are more efficient, confident, and interested in their work. By experiencing a diversity in their exposure to contemporary art with photography, students are then able to create their own works in a creative and free manner. Fourth, students’interest in photography has led them to create an extension of their aesthetic judgment.

      • KCI등재

        사진을 활용한 현대미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김경희,이은적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5

        현대예술에서 사진은 대중들에게 친근한 기록 및 표현 수단이 되었으며 독자적인 한 예술 영역으로 확고한 위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동시에 현대미술에서도 사진은 표현 매체로 많이 활용되어 현대미술의 확장에 기여해왔다. 대중성과 창조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사진은 교육적으로 많이 활용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미술에서 사진이 창조적 표현매체로 활용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보고 사진을 활용한 현대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사실적인 미술작품에 대한 압도적인 예술적 감흥에서 벗어나 현대미술작품의 다양한 예술적 가치를 이해하게 되었다. 이는 자연스레 현대미술에 대한 개념의 확대로 이어졌다. 시각이미지를 활용한 효율적이면서도 다양한 조형 실험과정에서 시지각적 상상력이 작용하였으며, 작품 표현의 소재와 주제가 다양해지고 조형적인 예술적 가치를 지닌 작품 표현의 가능성 또한 보여주었다. 이는 전통적인 미술교육에서 강조하였던 구상적인 표현활동에 대한 부담감이 감소한 것이 원인이 되어, 시각적 이미지의 차용활동을 통해 아이디어를 시각화하는 표현 방식이 자유로워졌기 때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진 작업을 통한 사물에 대한 예민한 관찰능력과, 직관적인 미적판단능력이 높아졌다. A diversity of genres coexist in contemporary Art and their scopes have been gradually expanded. Despite of it, at the site of the education, the traditional painting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but because of this students fail to communicate with contemporary art of the day they are living in. This study aims to deepen the students’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and improve their ability in creative expression, taking place beyond the boundary of visual expression, and focusing on realism by utilizing the popular appeal and creativity of photography. Through photography research participants can experience a diversity of aspects of Contemporary art, and these experiences would be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artistic value of the media of contemporary photograph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value of the aesthetics of contemporary art and expand their concept of art. Second, there was an expansion of both expression materials and themes, during this process the students’imagnation ability was fully exploited. Third, Due to the integration of photography into their visual expression, students are more efficient, confident, and interested in their work. By experiencing a diversity in their exposure to contemporary art with photography, students are then able to create their own works in a creative and free manner. Fourth, students’interest in photography has led them to create an extension of their aesthetic judgment.

      • KCI등재

        군 복지시설의 민간활용 연구

        이승욱,고진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23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내 군 복지시설의 민간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군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와의 상생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군 복지시설 민간 활용의 개념은 민간이 군 복지시설을 활용해 추가적인 효용이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하며, 민간이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것과 민간의 개발행위로 시설의 고도화나 유휴부지의 개발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군 복지시설은 군 장병들과 가족들의 복지 증진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시설이지만, 대부분의 서설이 노후화되어 건물의 리모델링을 통한 시설의 현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도시 측면에서 군 복지시설은 주민 친화적인 시설로 인식되어 있어 지역사회와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도시 자원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주민 설문조사 결과 군 복지시설은 주민들에게 더 이상 기피 시설이 아니며, 민간 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군 복지시설의 민간 활용은 활용은 군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에 필요한 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 기최의 공간으로 그 활용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군 복지시설 중 민간 활용이 가능한 시설을 도출하기 위해 전국 108개 복지시설 중 영외에 있는 시설 80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 내 9개 시설에 대해 민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민간 활용방식의 유형으로 3가지를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책제언으로는 군 복지 확대를 위한 민간 참여 활성화와 군과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군 복지시설의 효율적인 개발방식과 다양한 주체 간의 거버넌스 구축방안 등 군의 복지 증진과 도시의 환경을 동시에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現代日本語動詞の活用形にする考察-日本語育の視点から-

        Yoneda Sachiyo 동아시아일본학회 2006 일본문화연구 Vol.20 No.-

        본 연구는 일본어교육의 관점에서 동사 활용형의 범위와 활용형의 취급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일본어교육에 있어 유효한 활용표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데라무라(寺村: 1984), 다카하시(高橋: 2003)를 자료로 활용형에 관한 기존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일본어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 해결되어야 되는 과제는 다음 3가지로 정리할 수 있겠다. 첫째, 활용형의 어형과 문법적인 의미와의 대응관계를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 둘째, 활용형의 범위를 어떻게 정할 것인가. 이와 관련해서 교착적(膠着的)인 형태소의 취급방법은 어떤 것이 유효한가. 셋째, 활용형의 형태적 규칙성을 활용표로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 본고에서는 두,세번째 과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위의 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어기(語基)라는 단위를 도입하였다. 어기는 교착적인 문법형태소의 선행요소로서 기존의 연구에서도 일부 어기(부정형어기, 정중형어기 등)를 인정하는 예가 있었는데 본고에서는 어기라는 단위를 활용형 전체에 적용시킨 것이다. 활용형을 어간과 그 후속요소로 2분할하는 기존의 방법으로는 교착적인 문법형태소가 항상 이형태(異形態)로 나타나게 되는 데(예: Ⅰ- imas(u), Ⅱ-mas(u))에 비해 어기를 설정하는 방법으로는 교착적인 형태소가 하나로 고정되어(예: V(4)-mas(u)) 문법형태소에 주어진 부담이 감소된다. 또 모든 동사(Ⅰ~Ⅲ)의 활용형을 표로 일괄 제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고에서는 최종적으로 활용형의 제시방법으로서 7가지 방침을 세워 그 방침에 따라 동사활용표를 작성, 제시하였다. 방침의 타당성과 활용표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계속 검토할 필요가 있겠다. 활용형을 어떻게 분석하고 체계화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일본어교육의 관점에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현대음악의 활용사례를 통한 한국 창작음악의 방향성

        정지영 ( Jiyoung Jung ),김정덕 ( Jung Duk Kim ) 민족음악학회 2018 음악과 민족 Vol.0 No.55

        현대 창작작품은 다양한 문화콘텐츠로의 필요와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활용 사례들이 많지 않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해 현대 창작 작품들이 실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예술적 분야와 활용의 형태들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그래서 한국의 창작 작품들이 현 시대에서 융복합적인 수용이 가능하며 문화적인 콘텐츠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영화분야에서 기존의 현대음악들이 사용되어 영화 작품의 서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사례와 광고나 홍보영상에 현대음악이 사용되고, 그리고 다른 악기로 편곡되어 다른 매체와 함께 활용되는 경우 등을 통해 현대음악이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융합적으로 다른 장르나 분야를 위해 다양한 경향의 음악을 작곡하는 적극적 창작의 형태도 고찰하였다. 한국의 현대 창작음악의 사회적 인식과 함께 많은 매체 들과 융합할 수 있는 기회와 환경이 필요하다. Although many concerts for Korean contemporary music have been given nowadays the works are for the academic value rather than for the artistic value. The limited reason for the contemporary music in Korea that the musical style is atonal so that audience could not be interested in. However, the artistry of Korean contemporary music is recognizable so it should be a worthy cultural contents and should have required some case study about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ontemporary music in Korea. In this paper, some specific applications of contemporary music, in particular atonal and avant-garde music,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to this, the music could be used possibly as a main content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mess media rather than simple background music. Lastly, the direction and perception of contemporary music in Korea are suggested from pract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월극(越劇)의 현대화 모색에 관한 연구 - 절강소백화월극단(浙江小百花越劇團)을 중심으로 -

        홍영림 ( Hong Young-l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0 No.-

        현대는 다원화된 사회이다. 무엇하나 한 길에서 흘러오고 한길로 흘러가는 법이 없다. 이러한 사회에서 연극 역시 다원화될 수밖에 없다. 전통극과 화극은 이미 `大戱劇`의 범주에서 포함되어 되었다. `대희극` 개념은 배우, 관객, 극장, 극본의 연극 4요소가 있는 모든 종류의 서사성을 띤 예술을 포괄한다. 연극 형태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동일성을 전제로 파생된 개념이다. 서양과 동양 연극, 화극과 전통극, 포스트 드라마와 전통 연극 등을 모두 아우르는 개념이다. 이 모든 것이 한 곳에 공존하는 것이 현대 사회이고, 연극 문화 역시 다원화되었다. 절강소백화월극단은 1984년 창단되어 월극 현대화의 아이콘으로 자리를 잡았다. 90년대 새로운 시대가 도래하면서 시대 흐름을 놓치고 단장 마오웨이타오와 그가 영입한 궈샤오난을 주축으로 또 한번의 월극 현대화를 시도했다. 두 사람은 월극의 음악과 방언, 여자 월극은 그대로 지키고, 나머지 요소들은 돌파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극단 30주년이 되던 해까지 <寒情>(1997년), <孔乙己>(1998년), <藏書之家>(2004년), <春琴傳>(2006년), 신판 <梁山伯與祝英臺(이하 梁祝)>(2006년), <江南好人>(2013년), <步步驚心>(2013년), <二泉映月>(2014년)을 무대에 올렸다. 이들의 월극 현대화는 가히 혁명적이라 할 만큼 과감해서 월극의 오랜 팬들에게 외면을 받기도 하고, 찬사를 받기도 했다. 마오웨이타오와 궈샤오난은 우선 신인을 양성하는 데에 힘을 쏟았다. 잠재력 있는 배우를 영입하는가 하면, 학교와 연계해 체계적으로 신인을 양성하기도 했다. 이들의 월극 현대화는 우선 극본 문학의 현대화를 꾀했다. 기존 월극이 재자가인의 사랑이야기만을 천편일률적으로 다룬 것에 반해, 다양한 소재의 작품을 무대에 올렸다. 동시에 기존의 월극 작품이 주로 봉건 시대의 관념을 모티프로 삼은 것에서 벗어나 동시대의 다양한 주제들을 작품화했다. 연기·연출의 다원화를 도모해 인물의 다양한 심리 갈등을 `백`으로 드러냈으며 사유하는 연극으로 기능했으며 음악극(뮤지컬)으로서의 발전 가능성도 엿볼 수 있었다. 또 중국 전통극에서 가장 대표적인 요소였던 각색행당 체제의 틀을 깼다. 모든 작품에서 극작술면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부채의 사용이었다. 부채는 문학적 상징과 연극적 상징으로 쓰이는데, 현대화된 작품에서 이 두 측면이 모두 활용되었다. The Zhejiang xiaobaihua troupe was founded in 1984 and has become an icon of the development of Yue-ju opera. With the advent of a new era in the 90s, they had ever missed the trend. MaoWeiTao(茅威濤) as head of the troupe has attempted modernization of Yue-Opera with GuoXiaoNan(郭小男). They wanted to keep the music, tongues, and women actor system of Yue-Opera. Except that, they try to break up any other elements. Thus, until the year of 30th anniversary, the troupe have performed the new plays such as “Cold Emotion” (1997), “KongYiJi” (1998), “A family of collecting books”(2004), “The story of ChunQin”(2006), new version “Liangzhu”(2006), “A good person of Jiangnan”(2013), “BuBuJingXin”(2013), “The moon and two spring water”(2014) on the stage. MaoWeiTao and GuoXiaoNan first put their efforts into cultivating new people. They have also brought in potential actors and have systematically fostered newcomers in connection with schools. Their modernization of Yue-Opera first attempted modernization of narritives. The material of Traditional Yue-Opera is only with the love story of wit and beauty. They loves the play of various materials. They have produced the play with various contemporary subjects. They also have tried diversification of acting and directing. They have broken actor action system(角色行當). The most striking was the use of some folding fans. The folding fans is used both as a literary symbol and as a theatrical symbol, and modernized works used both of them.

      • KCI등재후보

        다시 생각해 본 敎授媒體의 效果性 論爭 -媒體와 學習과의 關係 理解와 媒體 活用 敎育에 주는 示唆點-

        임정훈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8 漢字 漢文敎育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lect the issue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media, research as to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odern media, and identify implication to instruction using modern advanced technologies. In the controversy on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media, Kozma advocated the importan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information and processes in the mind and those in the environment as a framework to examine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media. He also stated that media theories and research must reflect both the capabilities of media and the complexities of the social situations which they are used. In the other hand, Clark claimed that media and their attributes have important influences on the cost or speed of learning but only the use of adequate instructional methods or strategies will influence learn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odern media were identified as mobility, ubiquity, sensibility, convergence, networking, web 2.0-based technology. For the instruction using advanced technologi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5 implications were suggested: 1)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strategies based upon mobile technology, 2) education for affective domain with modern media, 3) application of blended learning, 4) facilitating learning activities using multi-sensory information, 5) coopera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6) the use of media focused on the role as a knowledge producer or knowledge creator. 이 연구의 목적은 교수매체의 효과성 논쟁이라 일컬어지는 Kozma와 Clark의 매체와 학습과의 관련성 논쟁에 관해 성찰해 보고, 현대 사회의 첨단 교수학습 매체가 학교 현장에서의 매체 활용 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가를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었다.1990년대 중반에 시도된 교수매체의 효과성에 관해 논쟁에서 Kozma는 매체와 교육, 학습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재개념화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매체가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건이나 환경을 적극 탐색하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 지식이 구성되는 인지적, 사회적 과정에서 매체가 갖고 있는 가능성과 매체 활용 방법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반면에, Clark은 교수매체와 교수방법을 명확히 구분해야 하며, 교수매체의 효과는 교수매체 자체에 의한 것이 아니라 교수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이나 교수매체 안에 함께 내재해 있는 교수전략이나 방법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들의 논쟁은 교수매체의 효과성 향상을 위해서는 교수매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이나 방법을 어떻게 고안하느냐가 중요하다는 것을 일깨움과 동시에, 현대사회와 같이 매체의 영향력이 강해질 경우 교수매체가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속성이나 조건, 환경 등을 적극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현대사회에서는 이동성과 편재성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감성적 매체, 융합매체, 네트워크 기반 매체, 웹 2.0 기반 매체 등 다양한 특성의 매체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지닌 매체들을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동성 매체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과 모형의 개발, 매체를 활용한 정의적 특성 형성 교육, 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 상호작용 및 협동협력학습 강화, 지식생산자 및 창조자로서의 학습자 역할을 강조하는 매체의 활용과 같은 노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차명상을 통한 여실지견의 현대적 활용-초기불교의 육내외입처 수행을 중심으로

        김배호(KIM, Bae-ho) 불교학연구회 2014 불교학연구 Vol.41 No.-

        불교수행의 핵심은 여실지견(如實知見)에 있다. 보통 사람들의 마음이 현재에 머물기보다는 과거에 대한 집착이나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끌려 다니기에 불교수행은 현재에 머무는 것을 핵심으로 둔다. 오늘날 바쁜 일상을 살고 있는 현대인들 역시 그 삶의 형태가 변했을 뿐, 마음이 겪는 괴로움은 여전하다. 우리의 마음이 현재가 아닌 과거와 미래로 정신없이 다니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현대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차(茶)와 차생활(茶生活)을 명상의 대상으로 삼아 초기불교 수행의 핵심인 알아차림과 여실지견의 계발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고는 그 방법의 일환으로 『디가니까야(Dīgha-Nikāya)』의 「마하사띠빳타나숫따(Mahāsatipaṭṭhāna sutta)」를 중심으로, 여러 초기경전에서 언급하고 있는 육내외입처(六內外入處)의 알아차림 방법을 응용하려한다. 기존의 차명상(茶冥想) 연구는 주로 행다례(行茶禮)나 차 성분의 효과를 통한 이완(弛緩)을 중심으로 진행해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차 자체를 대상으로 차를 마시는 동안 마음이 경험하는 현상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는 것이 핵심이다. 다시 말하면, 차의 특성을 활용해 차를 마시는 동안, 육근(六根)이 육경(六境)에 주의를 기울이고, 머물게 하여 현재 경험하는 현상을 있는 그대로 알게 하는 훈련방법이다. 먼저 눈을 통해 찻잎과 찻물의 색깔이나 형태를 보고 알아차리는 것에서 시작한다. 차라는 색(色)에 마음을 기울여 분명하게 알아차리는 훈련을 하는 것이다. 명상자(冥想者)는 욕망이나 성냄 등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며, 지나간 과거의 후회나 다가오지 않은 미래의 불안으로부터 벗어나 현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메타인지(metacognition)를 통해 지금 차를 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것까지 알아차려, 현상을 자신으로부터 독립해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기회를 얻게 된다. 이처럼 차를 대상으로 육내외입처를 통한 알아차림의 진행은 명상자를 현재에 머물게 하는 손쉬운 접근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근은 미얀마의 순수 위빠사나 수행인 쉐우민 사야도의 가르침을 통해 진행되기도 한다. 또한 초기경전은 육내외입처의 알아차림과 연상작용의 조절을 초심자가 본격적으로 수행을 시작하기에 앞서 진행하는 방식으로도 소개하고 있다. 결국 차명상을 활용한 육내외입처의 알아차림은 현대인들이 보다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명상법의 일환이며 더 나아가 명상자를 여실지견이라는 붓다의 가르침으로 이끌어 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고는 육내외입처의 알아차림을 통한 차명상의 현대적 활용에 대해, 효과성 검증에 앞 서 그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The core of Buddhist practice, whose aim is the cessation of suffering, is ‘to see things as they are.’ Suffering experienced in modern daily life arises from the inability to see things as they are. This paper intends to explore how the art of seeing things as they are may be developed by using tea, the process of drinking tea as an object of meditation, and how tea can be applied to modern meditation. For this purpose, I examine the practice of the six sense organs and their objects, explained by the Mahāsatipaṭṭhāna Sutta (Dīgha Nikāya 22). Tea meditation is not a simple physical act; it requires mindfulness of the objects one is engaged with. It begins with the moment-to-moment attention to the objects of the six sense organs. The mind dwells on these objects, perceives their characteristics in clarity, and sees them as they are. One begins with the practice of one’s visual perception by seeing the color and form of the tea leaves or brewed tea. By seeing them with clarity in concentration, meditators can block their minds from other distractions such as desires, anger, negative memories of the past, or insecurities about the future. Further, based on the harmonization of one’s vision, of the perceived object, and visual consciousness, the practice does not end at only seeing the object but is accompanied by the awareness of seeing the object. In other words, metacognition arises. When an object arises in the mind, an awareness of the object also arises, and a mind aware of this awareness accompanies it. In the practice of the six sense organs and their objects, when practitioners recognize phenomena entering their minds through the six sense gates, they also notice greed, anger and ignorance arising and disappearing within their mind. When they are aware of these three unwholesome roots, they can put a stop to them. Ven. Sayadaw Shwe Oo Min explains that when eating, all of the six sense organs are activated, and thus the mindfulness component of the meditation mechanism can be strongly stimulated. In other words, one can easily meditate under a tree or in a hut in a quiet forest, but the genuine practice of mindfulness should also possible in ordinary life settings where the six sense organs are easily stimulated. However, mindfulness of eating poses some obstacles in terms of limited eating time, the quantity one can consume, and the considerable time required for preparation. An object of meditation can best serve as the means of practice when it is easily available and not hard on the body. In this respect, tea is able to provide one of the best tools for mindfulness practice based on the six sense organs. As tea can be drunk anytime and anywhere, tea meditation can be easily practiced. In addition, as tea meditation can enhance relaxation and mindfulness, it can serve as a more appropriate object of meditation in daily life. Therefore, tea meditation is more suitable for the practice of mindfulness on the six sense organs and their objects, as explained in the section on mindfulness of mental phenomena (dhammā) in the Mahāsatipaṭṭhāna Sutta.

      • KCI등재후보

        버선 디자인의 표현 특성과 현대적 활용

        김혜수(Kim, Hyeso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3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2 No.4

        본 연구는 버선의 개념, 역사, 종류, 구성 및 상징성 등을 살펴보고 버선 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다양한 디자인 영역에서 모던하게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버선디자인의 표현특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선으로 곡선과 직선이 나타났다. 곡선은 수눅선에서 보이는 만곡선과 굽은선이 부드러운 여성미와 강건한 이미지를 모두 나타내었다. 직선은 수눅선의 꺾인 사선으로 긴장감과 활동적인 이미지를, 타래버선의 다양한 누비선이 나타내는 수직선과 사선은 동적이고 리드미컬하며 때로는 캐주얼한 이미지를 주었다. 소재에서 기인한 버선의 색채는 대부분 목면의 흰색이 주를 이루고 타래버선은 청, 홍색 대님이나 자수의 오색으로 화려하였다. 타래버선에는 식물문양, 기하문양을 자수로 장식하였는데 특히 기하문양은 모던한 이미지를 주었다. 전통디자인에 활용된 버선디자인은 사실적인 선과 형을 살린 장식품으로 제작되어 부녀자의 장신구에 활용되었고 소재나 색채는 직물에서 금속에 이르기까지 표현 범위가 다양하였다. 버선디자인의 현대적 활용 사례는 버선 디자인의 표현 특성 중 전통 버선의 선을 그대로 살리면서 최근 패션 트랜드를 반영한 소재와 색채를 사용하여 모던, 빈티지, 밀리터리, 펑크 스타일로 재해석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버선디자인의 전통미를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전통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history, type, composition and emblem of Korean socks, Bersun,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visual expression of Beosun design,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Beosun can be used in modern design by reinterpreting its characteristic in a variety of design are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e visual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Beosun design is a line representing curves and straight lines. A curve in restrained curves and bent lines of Soonook-line expresses both feminine charms and fortitude image. Two intersecting oblique lines conveys the tension and active image, and vertical and oblique lines of various quilt in Tarae-Beosun the dynamic, rhythmical or sometimes casual image. The colors of Beosun are dominated by white one of cotton due to fabric, and Tarae-Beosun is fancy due to Daenim with blue or red color, or embroidery with a variety of colors. Tarae-Beosun is decorated with embroidery of plant patterns or geometric ornament. Especially the geometric ornament expresses modern image. Beosun design used in traditional design is made as ornaments that exhibit realistic lines and shapes, and is utilized as accessaries for women. A variety of materials and colors from fabric to metal is used in Beosun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Beosun design was able to be reinterpreted as modern, vintage, military, punk styles by conveying the lines of traditional Beosun and by using materials and colors reflecting recent trend.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seek a direction of advancing our tradition by reinterpreting the traditional beauty of Beosun in modern point of view.

      • 외국어로서 속담의 언어 기능과 활용 방안

        곽은희 ( Eunhee Kwak ) 시학과 언어학회 2016 시학과 언어학 Vol.32 No.-

        본 연구는 속담의 언어로서의 활용 기능에 주목하여 ‘외국어로서 속담의 언어 기능과 활용 방안’을 다루었다. 속담은 사용 빈도가 높지 않지만, 특성에 따른 언어의 기능을 세밀히 고찰하는 것은 언어 기능의 총체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것이다. 속담의 언어 기능과 활용 방안의 고찰은 현대에 속담이 상징적 의미로서 언어로 존재하는 시각을 새롭게 하여 실생활에 활용하며, 현대에 사용하는 어휘로 새로운 속담을 형성하고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속담의 폐쇄된 구조를 수용하고 활용하여, 개방적인 어휘와 새말 형성의 기능을 하게 한다. 이전 속담 구조에 현대적 어휘를 교체한 22개의 자료를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 속담의 언어 기능이 확장되고, 속담을 이미 알고 있는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어휘 활용과, 교사의 사전 지식을 보완하는 활용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overb language functions as foreign language and suggest possible applications for proverbs as an efficient means of acquisition in Korean language use. The emphasis in this study was placed on active expression functions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particular, the language function value of proverbs is located in their being orally transmitted, which places them in the category of “speaking acquisition.” Past studies have primarily examined possible uses of proverb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a cultural standpoint, while research on their language functions have fallen short in terms of real-world applicability. The main reasons for this are twofold. First, the proverbs that have been passed down through tradition typically were shaped by the everyday vocabulary of the past. Second, their meaning has frequently functioned as a symbol of traditional values, rather than in the realistic sense that is the basic function of the proverb. Because education in proverbs has generally been restricted to traditional examples, research is needed to shed new light on the language functions of proverbs as foreign language used in real-life situations. For this study, possible methods were examined for using proverb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connecting them to the modern context, relating them to the acquisition of real-world vocabulary, and juxtaposing them with modern examples of the proverb. Because the vocabulary of the modern proverb is situated against the backdrop of modern culture, it offers a possible way to resolve the twofold issue presented by the symbolic meaning of past vocabulary and values.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juxtaposing traditional and modern proverbs to compare the content as it was transformed and produced. Proverb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by language function, each of which was examined in terms of its subcategories. The language functions of proverbs were also examined in terms of the pathways of proverb formation by which foreign learners come to recognize the patterns and vocabulary of new proverbs formed in the modern context. Chapter 2 examines the language function characteristics of proverbs as foreign language, classifying them into categories of “open” and “coinage” functions. Chapter 3 suggests specific means by which proverbs may be incorporated in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