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世紀 初 동아시아에 流通된『經國美談』 比較 考察 -玄公廉의 『經國美談』을 중심으로-

        노연숙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7 No.4

        In the 20th century Hyeon gong ryeom(玄公廉)'s keikoku-bidan(經國美談) is a remarkable work. The work in Japan or China, the original works was translated into Korean. This work was emphasized the in- dependence of the elements more than the original. Compared to the original, parts such as the importance of civil rights, political philosophy and the desire of the civilization have been omitted. Instead of excluding, talking about the preservation of the in- dependence of the patriots was added in the last scene. This part is related to the theme of the works. This work is to enhance the theme of patriotism. And instead of the political novel, Hyeon gong ryeom(玄公廉) picked sinsoseol(new novel) the subtitles. It shows that the translators intended to obtain many readers in publishing market. In short, the patriotism and the popularity Hyeon gong ryeom(玄公廉)'s keikoku-bidan(經國美談) by showing the works have been translated. 야노 류케이의 『經國美談』은 20세기 초에 中國을 비롯하여 韓國에서도 飜譯되었다. 한국에서 번역된 板本 중에, 玄公廉의 『경국미담』은 원작을 完譯한 것으로 당시 時局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작품이다. 원작과 비교하여 볼 때, 원작에서 다루고 있는 民權의 중요성, 文明에 대한 憧憬, 政治哲學에 대한 구체적인 사안들이 생략되어 있다. 대신에 원작의 줄거리를 그대로 옮긴 후에, 마지막에 차후 獨立의 保全에 대해 담화를 나누는 애국지사의 일화가 첨가되어 있다. 등장인물들의 대화를 가상하여 덧붙여 놓은 대목은, 단순한 번역자의 감상이라 치부할 수 없는 작품의 발간취지와도 연계되는 主題意識을 보여준다. 그리고 현공렴은 정치소설이라는 표제를 그대로 취하지 않고, 신소설이라는 표제를 달고 發賣하였다. 즉 ‘政治小說 經國美談’은 ‘新小說 經國美談’으로 그 성격이 變容되었다. 특히 國文體에 신소설이라는 大衆性을 確保할 수 있는 요소가 附加되었다.

      • 단행본 『회텬긔담(회천기담, 回天綺談)』의 번역 대본 및 한국적 변용 양상 연구

        양뢰 ( Yanglei ),티안밍 ( Tianming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11 No.1

        본고는 1908년에 한국 역자 현공렴(玄公廉)에 의해 번역, 출판된 단행본 정치소설 『회텬긔담(回天綺談)』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한국 측 『회텬긔담』 원본 자료의 발굴과 더불어 그 동안 동아시아 각국에서 유행했던 『회텬긔담』의 판본들 간의 비교를 통해 한국어판 『회텬긔담』의 번역 대본이 바로 중국 역자 옥슬재주인의 『회천기담』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현공렴 주체적인 번역 태도 아래 이루어진 『회텬긔담』의 번역본은 중국어 저본에 비해 서구 역사, 지리, 철학 등 지식을 전달해주는 디테일과 연애담론을 비롯한 소설의 통속적 속성에 대해서 경개역과 삭제를 통해 상당히 많이 압축시켰다. 이와 동시에 소설의 정치적 속성에 대해 원문의 내용을 최대한으로 보존하는 경향이 여러 군데 발견되고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와서는 원문에 없는 부분에 대한 역자 현공렴의 추가 설명도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다. 소설 연애담론을 비롯한 오락적 속성과 지식 공유적 속성을 대폭 축소시키고 정치적 속성만 살려두며 민지의 계몽과 애국 사상의 선전에만 집중되어 있는 이 소설은 ‘정치소설’이라는 ‘뼈대’와 ‘심장’만 받아들이고 원본의 서사가 겨우 흔적만 앙상하게 남게 된 채 번역되었다는 것은 망국의 위기에 처해 유한의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밖에 없었던 당시 한말 번역가 및 지식인들의 곤경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 하지만 이런 곤경에 직면했을 때 『회텬긔담』에서 보여 준 것처럼 공리성과 효용성을 강조하는 번역 책략을 내세워 서구 근대 사상과 문물을 효율적으로 받아들이려 시도했던 번역가를 비롯한 지식인들이 있기 때문에 한국의 문학은 고대문학과 근대문학을 연결해주는 계몽주의시기의 문학사가 많고, 빛나는 지적 유산으로 장식될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회텬긔담』의 중국어 및 한국어 번역 텍스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는 당시 동아시아 삼국이 근대화 과정에서 문학 분야의 교섭이 상당히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이 시기의 번역 문학의 역사를 한층 더 면밀하게 검토, 연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추후의 과제로 남겨둔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political novel Hoe-Cheon-Ki-Dam(회텬긔담) written by Hyeon Gong-nyeom(玄 公廉) in 1908 which was the typical work during the Period of Patriotic Enlightenment(1905~1910), and the Chinese political novel Huitianqitan(回天綺談) which was written in the Late Qing Dynasty. In this thesis, after a positive text analysis, it is proved that the Korean political novel Hoe-Cheon-Ki-Dam which is discovered by the authur of this thesis for the first time, is an adaptation work of the Chinese-version political novel Huitianqitan. and the Japanese novel Eikokumeisikoktenkidan(英國名士回天綺談) written by Kato Masanoskey(加藤政之助) in 1883 is proved to be the original work of Hoe-Cheon-Ki-Dam and Huitianqitan. Eikokumeisikoktenkidan had not only caused a great repercussion in Japan, but also in its Neighboring countries China and Korea. Hyeon Gong-nyeom's adaptation work has a great political tendency to the constitutional monarchy and a strong will on the enlightment of the Korean people. And through his translation, the entertaining founction and knowledge-popularizing function of Hoe-Cheon-Ki-Dam has been substantially reduced, while the political founction has been considerably intensified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study, we can notice that there has been a very active communication among Korea, China and Japan during the early period of modernazation, espacially in the field of translingual practice. It is why figuring out Korea, China and Japan's history of translated literature under the East-asian perspective is so important and necessary for the expansion of East-asian studies.

      • KCI등재

        정치소설『경국미담』의 동북아 연쇄 번역 양상 연구 -순한글판 및 상무인서관 단행본『경국미담』을 중심으로-

        양뢰 ( Lei Yang ),티안밍 ( An Ming Ti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3

        본고는 현공렴의 순한글판『경국미담』을 일본어판『경국미담』과 상무인서관 단행본 『경국미담』을 대조하고 비교문학적 시각에서 고찰했다. 통해 현공렴이 어떤 경로를 거쳐 야노 류케이의 정치소설『경국미담』을 받아들였는지에 대해 밝히는 동시에 현공렴이 『경국미담』을 한국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어떻게 한국의 풍토 및 시대 상황에 맞게 변용시켰는지에 대해서도 살펴 보았다. 우선 기존의 연구와 달리 이 논문에서는 현공렴의 순한글판『경국미담』이 중국어 번역본인 상무인서관 단행본을 대본으로 하여 완성되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때문에 전반적으로 순한글파의 서사에는 당시의 중국 소설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이 공유되어 있다. 하지만 일본어 원작과 상무인서관 단행본을 같이 살펴보면 현공렴의 순한글판『경국미담』은 독자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는 사실도 발견할 수 있다. 역자가 『경국미담』을 한국어로 옮길 때 일어난 경개역, 축자역, 삭제와 첨가 등 변용의 양상들은 역자로서의 현공렴이 갖추고 있는 주체적인 번역 태도 및 책략을 반증해 주고 있다. 한편 『경국미담』의 중국어 번역 텍스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는 당시 동아시아 3국이 근대화 과정에서 특히 문화 및 문학 분야의 교섭, 그 중에서도 언어 횡단적 실천이 상당히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로한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이 시기의 번역 문학의 역사를 한층 더 면밀하게 검토, 연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political novel Gyeong-Kuk-Mi-Dam(경국미담) written by Hyeon Gong-nyeom(玄公廉) in 1908, and Jingguomeitan(經國美談) which was written in the Late Qing Dynasty. In this thesis, after a positive text analysis, it is proved that the Korean political novel Gyeong-Kuk-Mi-Dam was an adaptation work of the Chinese-version political novel Jingguomeitan. and the Japanese novel Seimumeisikeikokubidan(齊武名士經國美談) written by Yano Lyokey(矢野龍溪) in 1883 was proved to be the original work of Gyeong-Kuk-Mi-Dam. Although this Hyeon`s political novel is a translation work, that doesn`t mean the story of Gyeong-Kuk-Mi-Dam is just the same as its Chinese or Japanese version. After a comparison between Hyeon`s work and all the other versions of this novel, some interesting truth had been found by the writer of this thesis through Hyeon`s translation, the entertaining founction and knowledge-popularizing function of Gyeong-Kuk-Mi-Dam`s original work and Chinese version had been substantially reduced, while the political founction has been considerably intensified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study, we can notice that there had been a very active communication among Korea, China and Japan during the early period of modernization in the field of literature. It is why figuring out Korea, China and Japan`s history of translated literature under the East-asian perspective is so important and necessary for the expansion of East-asian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현공렴의 日鮮雜歌 연구 -문화의 번역과 전이-

        노혜경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8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yun Gongryeom’s writing Ilseon Japga(日鮮雜歌) . Various works such as poetry and prose tales, such as Japanese waka, are included in Ilseon Japga . The composition method of Ilseon Japga refers to the composition method of the japga collection published in Japan at that time. The biggest purpose of the composition method of Ilseon Japga is to increase its popularity. Except for the explanation of Waka in the beginning, most of the Ilseon Japga uses bilingual notation consisting of Japanese and Korean. Ilseon Japga presents two examples of Korean translation divided into ‘literal translation’ and ‘paraphrase’. It is the first attempt in this book to divide a single Japanese sentence into a ‘literal translation’ and a ‘paraphrase’. The bilingual notation of Ilseon Japga is different from the cases he tried in the past. This shows that the writing style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and the type and level of readers. The commonality of the contents of Waka published in Ilseon Japga is that it is based on seasons such as spring and summer. The contents of these works express the spirit of Japan or praise the reign of the Emperor. These contents can be found not only in Waka but also in other genres such as such as other miscellaneous songs. Ilseon Japga shows the translation and transition of colonial culture. And it shows the writer’s methodological anguish related to it. 본 논문은 현공렴의 이중언어 저술 일선잡가 부 재담(日鮮雜歌附才談) (이하 일선잡가 )의 특질을 연구하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논의한 것이다. 일선잡가 에는 일본의 와카 등 시가뿐만 아니라 산문 재담 역시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일선잡가 의 구성법은 당시 일본에서 간행된 잡가집의 구성법을 참고한 것이다. 이러한 일선잡가 의 구성 방식의 가장 큰 목적과 효용성은 대중성을 높이는 일에 있었다. 일선잡가 는 수록된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표기 양상을 보여주는데, 본문 서두의 와카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는 일본어와 조선어를 병기한 이중언어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일선잡가 는 조선어 번역문 표기에서 ‘직역’과 ‘의역’으로 나눈 두 가지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하나의 일본어문을 이처럼 ‘직역’과 ‘의역’으로 구분하여 명시한것은 여기서 처음 시도된 것으로 다른 자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최초의 사례이다. 일선잡가 의 이중언어표기 방식은 그가 과거에 시도하던 사례들과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일선잡가 의 다양한 표기 형태는 이중언어 표기 방식이 시대적 흐름 및 독자의 유형과 수준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일선잡가 에 실린 와카는 내용 면에서 보면 봄과 여름 등 계절을 소재로 삼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외형적 소재의 공통성보다 더 주목해 보아야 할 것은 이들 작품의 내용이 이른바 일본의 정신을 표현하거나 천황의 치세를 칭송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내용들은 와카뿐만 아니라 기타 잡가 및 나니와부시등 여타 장르의 작품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현공렴은 일본 정신을 표현하기 위해 이들 작품의 내용을 미묘하게 변화시키기도 했다. 일선잡가 는 식민지 시기 문화의 번역과 전이 현상 및 그에 따른 저술가의 방법론적 고뇌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자료이다

      • KCI등재

        근대 초기 이중언어(二重言語) 표기와 일선어 저술 ― 현공렴의 저작물을 중심으로 ―

        노혜경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학연구 Vol.55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근대 초기 현공렴의 저작물에 사용된 이중언어 표기의 양상을 정리하고, 그 특질과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현공렴의 일선어 저술들에는 두 언어의 병립과 교류에 대한 생각이 담겨 있다. 그는 하나의 저술 속에 두 가지 언어를 어떠한 방식으로 담아낼 것인가에 대해 고민했고, 그 결과 내놓은 것이 『일어통편』과 『일선담화』 등이었다. 『일어통편』과 『일선담화』에서는 먼저 한자와 가타카나를 혼용한 일본어문을 배치하고 그 다음에는 순국문으로 된 조선어문을 배열했다. 『일어통편』은 일본어문의 한자 오른편에는 주로 가타카나로 후리가나가 달려있고 조선어문의 일부 한자어에는 부속한자를 달았다. 『일어통편』과 같이 일본어와 조선어에 모두 부속활자를 붙인 사례는 당시의 다른 출판물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일선담화』는 일본어문의 한자에만 가타카나로 후리가나가 달려있다. 일본어와 조선어의 배열도 일대일 대응이 아니어서 『일어통편』과는 차이가 있다. 이 두 저술의 이중어 표기 방식이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결국 두 책의 용도가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일선담화』가 조선인을 위한 강독 교재였다면, 『일어통편』은 조선인과 일본인 모두를 위한 어학 교재로 고안된 것이었다. 이를 통해 동일한 저자의 저술에서도 독자와 용도에 따른 이중어 표기 방식의 변이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공렴은 『일어통편』에서 ‘회화’를 대화체 문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장을 포괄하는 읽을거리 전반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했다. 『일어통편』의 본문 문장에는 현공렴의 생각과 저술의 의도가 명백하게 담겨 있다. 그는 독자들에게 어학 지식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흥미를 자극하고 지식욕을 충족시킬 수 있는 읽을거리를 제공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 『일어통편』의 내용상 특징으로는 첫째, 최대한 독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소재를 선별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두 번째 특징은 시사성이 강하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계몽성을 지니고 있는 점이다. 『일선담화』에 실린 작품들도 모두 당시 독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다만, 『일선담화』에서는 『일어통편』에서 보이던 작자의 비판적 태도가 작품 전면(前面)에서 사라진다. 이러한 저자의 현실에 대한 비판성의 약화는 식민지화가 심화되는 시대상황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현공렴은 신선하고 흥미로운 기사를 선택해 이를 이중언어 표기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독자들에게 전달했다. 그는 일선어 저술의 이중어 표기 방식을 통해 조선과 일본의 언어 교류를 시도했고, 이중언어로 표기된 저술의 내용들을 통해서는 조선과 일본을 비롯한 외국과의 문화적 교류를 시도했다. 그의 일선어 저술들이 단순히 어학교재로서의 의미를 넘어 새로운 문화사적 가치를 지닌 저작물들로 받아들여져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일어통편』과 『일선담화』 등 일선어 저작물의 이중언어 표기는 언어의 사용이 그것을 낳은 시대와 문화적 환경, 그리고 역사적 맥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새삼 일깨워준다. This research aimed at arranging the aspects of double language writing used in ‘Hyun Gongryeom’works, 『Ileotongpyeon』 and 『Ilseondamhwa』 of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and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 and the meaning. Firstly, in 『Ileotongpyeon』 and 『Ilseondamhwa』, Japanese text was arranged combined with Chinese characters and Gatakana, next, Joseon Eomun in pure Korean was arranged. 『Ileotongpyeon』 mainly had Hurigana as Gatakana on the right side of Chinese characters in Japanese text, and accessory Chinese characters were attached to some Chinese characters in Joseon Eomun. The cases of attaching accessory characters both to Japanese language and Joseon language as in 『Ileotongpyeon』 is hardly discovered in the other publications. In 『Ilseondamhwa』, Hurigana is attached as Gatakana only to the Chinese characters in Japanese text. There’s a difference from 『Ileotongpyeon』, since the arrangement of Japanese language and Joseon language was in one to one. The reason why the dual language writing method of these two books does not coincide is, because the use of the two books was different. If 『Ilseondamhwa』 was a reading textbook for Joseon people, 『Ileotongpyeon』 was devised as the language study book both for Joseon people and Japanese people.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modification in dual language writing method along with the readers and the use was made even in the same writer’s boo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Ileotongpyeon』 are, first, it selected the materials that might draw the interest of readers as many as possible. Second, it has lots of suggestive subjects. Third, it has a feature of enlightenment. All of the works included in 『Ilseondamhwa』treated the materials that might draw attention of the readers of that period. However, in 『Ilseondamhwa』, the writer’s critical attitude that appeared in 『Ileotongpyeon』 disappeared from the whole(前面) work. Such weakening of writer’s criticism on the reality seemed to be due to change of the situation of the period when colonization became intensified. Hyun Gongryeom selected a fresh and interesting articles and delivered them to the readers in a new method, dual language writing. He tried language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through dual language writing method of Ilseoneo writing, and intended cultural exchange with foreign countries including Japan, through the contents of the books written in dual language. This is the point why his Ilseoneo books have the significance in the value of cultural history beyond mere language study books. Dual language writing of Ilseoneo books such as 『Ileotongpyeon』 and 『Ilseondamhwa』 implies a close relation between the use of language and the period that created the language, cultur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context.

      • KCI등재

        『漢鮮文新玉篇』簡介

        곽현숙(KWAK, HYUNSUK) 한국중어중문학회 2015 中語中文學 Vol.60 No.-

        A good many relics had been poured into Korea since the nation had opened it’s seaports at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made the traditional status order change slowly, inaddition, Emperor Gaozong enacted the new policy of written words, all which caused the status of Chinese langauge to begin to decline in Koren, therefore, the situation of Korean using Chinese language was much worse than before, promoting the need to compilate the dictionary for the most changeful era. Meanwhile, Xuan Gonglian, apioneer who spread new knowledge, found that all kinds of dictionaries used widely at that time did not accommodate Korean everyday use, so he organized to compilate New Chapter of Jade for Chinese-Korean Dictionary(NCJCKD or Chinese- Korean Xin Yu Pian Dictionary ) in 1913. The research object of this paper is New Chapter of Jade for Chinese-Korean Dictionary published from Huidong Publishers in 1918. New Chapter of Jade for Chinese-Korean Dictionary had been composed of Preface, Contents, First part of NCJCKD, Second part of NCJCKD, Contents of radicals in Chinese characters, Radicals in Chinese characters and etc. The preface wrote the purpose for compilation; the contents did not list alone, some were placed in the whole volume; To convient check, the dictionary specially created the parts of pronunciation which according to the phonetic order of Korean language and the number of strokes of Chinese characters. The total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is 16,725 in the dictionary, which had been divided into 7,188 in the first part and 9,547 in the second. The stylistic rules of the dictionary was the same with the dictionary of Jade Chapter for Whole Rhyme(Quanyun Yupian), but the order of Chinese characters refered to Emperor Kangxi’s Dictionary(Kangxi Zidian). The peculiarities and value of New Chapter of Jade for Chinese-Korean Dictionary are as follows: Firstly, the dictionary contained 16,735 Chinese characters totally, the scale of which was larger than ever before, and the term of meaning for each character had it’s Korean translation; Secondly, this dictionary put the meaning of words before their pronunciati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ose dictionaries which always put the pronunciation before the meaning of words; Thirdly, this dictionary created the part of rule for finding characters according to radicals in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the dictionary also broke the limitations to the traditional compilation of dictionary, creating the part of pronunciation for finding characters which was a renovation at that time in order to help the readers check the words according to the order of Korean pronunciation, all was of great significance. Fourthly, this dictionary had also compilated many new characters which were created originally by Korea and included those characters which were universally used both in China and Japan, therefore, it was a dictionary that accommodated the changeful era. All in all, the efforts that the dictionary did for the system of standardization about acoustic exegetics superior to any dictionaries compliated during the late Enlightment period, and which also translated all terms of meaning for each character into Chinese, therefore, it was also a brand-new dictionary with it’s stylistic rules. In other words, the dictionary, as an original one in the Korean history, held an irreplaceable position in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history.

      • KCI등재

        『일선골계화(日鮮滑稽話)』연구 – 원전의 발굴 소개와 변용(變容)의 의미 탐구–

        노혜경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61 No.-

        This research newly discovered Ilseoneo(日鮮語) novel Ilseon-golgyehwa(「Seungjumundap」), determined the original text was Japanese Lakugo 「Gonyakmundap」, and considered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work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Gonyakmundap」 and 「Seungjumundap」. Ilseoneo novel was a special type novel that existed only during the colonial era, the biggest characteristic thereof was to write the same sentence in Cheosun language and Japanese language in parallel. 「Seungjumundap」 was based on the basic story of the original work 「Gonyakmundap」, however it showed difference in composition, content, and the basis of work, etc. While going through the translation process, 「Seungjumundap」 was weakened with its characteristic as narrate art, which prepared a shape close to a novel on the whole. In the aspect of content, while the humor of the original text was largely deleted, however it was changed to somewhat educational work by adding the content that emphasizes repaying grace. Such change of work is closely related to the unique record method and system of the book, work 「Seungjumundap」, which was Japanese-Korean version. Notes of 「Seungjumundap」 show various aspects as the explanation of sentence sign, etc. including detailed explanation on Japanese expression and terms. Also, regarding the aspect of writing, it translated into two ways of more natural expressions along with direct translation on the same Japanese expression, etc. which was the attempt to consider the linguistic educational effec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could determine that 「Seungjumundap」 was translated and adapted focusing o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his research could verify the necessity of multiple views considering the educational aspect besides literary history context, in order to exact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and the essence of Ilseoneo novel. 본 논문에서는 일선어소설 계열인 일선골계화(「승주문답」)를 새로 발굴하여 그 원전이 일본의 라쿠고 「곤약문답」이라는 것을 밝히고, 「곤약문답」과 「승주문답」의 비교를 통해 작품의 가치와 의미를 고찰하였다. 일선어소설은 식민지 시기에만 존재하던 특수한 형태의 소설로 동일한 문장을 조선어와 일본어로 병기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승주문답」은 원작 「곤약문답」의 기본 줄거리를 골자로 하면서도 구성, 내용 및 작품의 기조(基調) 등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번역 과정을 거치면서 「승주문답」은 구연 예능으로서의 특징이 약화되고 전체적으로 보면 소설에 가까운 형태를 갖추게 된다. 내용면에서는 원작의 유머가 대폭 삭제된 반면 보은(報恩)을 강조하는내용이 추가됨으로써 다소 교육적인 작품으로 변모하였다. 이러한 작품의 변모는 일한대역이라는 「승주문답」의 독특한 표기방식 및 책의 체제(體裁)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승주문답」의 주석은 일본어 표현 및 용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문장 부호에 관한 설명등 다양한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표기면에서도 하나의 일본어 표현을 직역과 보다 자연스러운 표현 두 가지로 번역해 놓는 등 언어 교육적 효과를 고려한 시도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징들의 분석을 통해「승주문답」이 일본어 교육에 중점을 두고 번역, 번안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선어소설의 특성 및 본질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학사적인 맥락뿐만 아니라 교육적 측면을 고려한 다중적인 시각이 필요함을본 연구를 통해서 검증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근대초기 일선어 신소설 연구 - 현공렴의 『동각한매』와 『죽서루』를 중심으로

        노혜경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0 東洋學 Vol.0 No.79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literature history meaning of Ilseoneo novel, which is the work with bilingual notation used in the early modern age. Specifically, the process of the creation of Donggakhanmae and Jukseoru, Ilseoneo new style novels of Hyeon Gongr-yeom, is trac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ntents and forms are researched. In this process, the study proves that Jukseoru is the creative work of Hyeon Gong-ryeum, and it was created in Japanese and then was translated into Korean. Donggakhanmae is a work based on Bunshichimotoi, Japanese classical Rakugo. However, Bunshichimotoi and Donggakhanmae have a lot of difference in organization, character formation, background and theme. The work was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being written in bilingual after translation. The remarkable features of 『Jukseoru』, the creative novel of Hyeon Gong-ryeom, are as follows. First, it has strong feature of travel essay. Second, it not only introduces the custom of enlightened world actively but also shows the author’s critical perspectives selectively. Third, it shows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situation of Joseon’s industry. These features come from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writing this novel is to enlighten readers instead of providing simple entertainment. If 1900s is considered as the era of serious new style novels in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in Korea, 1910s is the era of active translation relatively. The period when Hyeon Gong-ryeom’s Donggakhanmae and Jukseoru appeared is slightly earlier than the period when translated novels such as Jo Jung-hwan’s novels started. From the big picture, Donggakhanmae and Jukseoru lie between new style novels that appeared in 1900s and translated novels that appeared in early 1910s. These two novels can be considered as very original works that maintain the enlightening feature in the differentiated area from novels of the prior era while securing popular appeal. 본 논문의 목적은 근대 초기 이중언어 표기를 활용한 저작물인 일선어 소설을 연구함으로써 그 특질과 문학사 적 의미를 구명해 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현공렴의 일선어 신소설 『동각한매』와 『죽서루』의 탄생 과정을 추적하고 그 내용과 형식상의 특질에 대해 탐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죽서루』가 현공렴의 창작물이며, 일본어로 먼저 창작한 후 한글로 다시 번역한 작품이라는 점 또한 새롭게 논증했다. 『동각한매』는 일본의 고전 라쿠고 『분시치못토이』에 토대를 둔 작품이다. 그러나 『분시치못토이』와 『동각한매』는 구성, 인물조형, 배경, 주제 면에서적지 않은 차이를 보인다. 번역되어 이중언어로 표기되는 과정에서 작품이 변용된 것이다. 현공렴의 창작 소설 『죽서루』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첫째, 기행문적 성격이 강하다는 점, 둘째, 개화한 세상의 풍속을 적극적으로 소개할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시각 역시 선별적으로 드러내 보여 준다는 점, 셋째, 조선의 실업 상황에 적지 않은 관심을 드러낸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죽서루』의 창작 목적이 독자에게 단순한 오락거리를 제공하려는 데 있지 않고, 그들을 계몽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1900년대를 본격적인 신소설의 시대라 한다면, 1910년대는 상대적으로 번역과 번안이 활성화되는 시대이다. 현공렴의 일선어 신소설 『동각한매』와 『죽서루』가 출현한 시기는 조중환 류의 번안소설의 출발기보다 다소 앞선다. 큰 틀에서 보면, 1900년대 출현한 신소설들과 1910년대 초반 출현한 번안소설의 사이에 현공렴의 일선어 신소설 『동각한매』와 『죽서루』가 자리를 잡고 있는 것이다. 『동각한매』와 『죽서류』는 대중성을 확보하면서도 앞 시기 소설들과는 차별화된 영역에서 계몽성을 유지해간 매우 독특한 저작물들이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