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확장된 혁신저항모델을 적용한 스마트공장의 수용성에 관한 실증연구

        남창성,길종구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11

        스마트공장 도입 시 조직구성원에게서 지각되는 혁신기술에 대한 긍정적・부정적인 요소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평가가 이루어 질 때, 스마트공장 혁신기술을 자발적으로 도입하고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지속사용의도를 향상시켜성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기술혁신에 대한 수용성 연구를 다양한 관점에서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혁신확산이론의 관점에서 간과할 수 있는 ‘혁신저항’의 개념이나 ‘혁신저항모델’을 연구모형으로 활용해기술수용성 관련 혁신에 대한 저항요인을 다차원적으로 세분화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혁신저항모델에서제시된 상대적 이점, 적합성, 복잡성, 인지된 위험 요인을 주요 변수로 채택하고, 혁신역량과 정부의 지원 요인을추가하여 ‘확장된 혁신저항모델’요인이 혁신저항 및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스마트공장 구축수준에따라 집단별 차이를 분석(분석)한다. SPSS 25와 Smart-PLS 3.0을 활용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인지된위험, 적합성, 정부의 지원은 혁신저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복잡성, 적합성, 혁신역량, 정부의지원요인은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혁신저항은 도입의도에 역채택되었다. 넷째, 스마트공장 구축수준에따른 집단 간 차이 검증에서 인지된 위험과 혁신저항은 채택되었고, 혁신역량과 혁신저항, 복잡성과 도입의도, 정부의 지원과 도입의도, 그리고 혁신저항과 도입의도는 부분채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공장 혁신확산이론의 제한적 요소를 극복하고, 기존 연구에서 확장된 요인을 변수로채택 하여 스마트공장 구축수준에 따른 집단별 차이분석으로 차별화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혁신기술에 대한도입과 기피 원인을 분석한 실증분석 자료로써 혁신기술 수용성 과정을 다각도로 탐색하는데 유용할 것으로판단된다. An accurate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how positively or negatively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accept innovative technologies when introducing the smart factory can improve the intention to use the innovative technologies of the smart factory through autonomous introduction and active use to produce result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acceptability of technological innov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resistances to innovation in relation to technology acceptability in multiple dimensions, using the research Modell of the concept of ‘innovation resistance’ or ‘innovation resistance modell’, which can be overlooked from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diffusion theory. The effect of the 'Extended Innovation Resistance Model' factor on innovation resistance and introduction intention was investigated by using the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Complexity, and Cognitive Risk factors suggested in the innovation resistance model as main variables, and adding innovation capability and government support,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t test) according to the level of smart factory development. The research results were summarized by using SPSS 25 and Smart-PLS 3.0 as follows; First, cognitive risk, compatibility, and government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Second, complexity, compatibility, innovation capacity, and government support factors affected the introduction intention. Third, innovation resistance was reverse adopted by the introduction intention. Fourth, the cognitive risk and innovation resistance were adopted in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smart factory development and innovation capacity and innovation resistance, complexity and introduction intention, government support and introduction intent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and introduction intention were was partially adopted. Therefore, this study overcame the limiting factors of the Smart Factory Innovation Diffusion Theory, used the factors extended from the previous studies as variables, conducted a differentiated study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smart factory development, and introduced innovative technologies. The research results are deemed to be useful in exploring the innovative technology accepting process from various angles as empirical analysis data examining the causes for introducing or avoiding innovative technologi

      • KCI등재

        대학조직에서의 설득과 혁신저항 간의 관계: 지각된 위험의 매개효과 검증

        백정훈,신진교,여경환 한국산업경영학회 2020 경영연구 Vol.35 No.3

        In the 21st century, Korean universities face various challenges, including a drop in the number of students. To overcome this, universities are demanding innovation, and conflicts around this innovation are happening In almost every university.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persuasion as a way to reduce innovation resistance from the point of view that it must be less resistant to innovation to be successful. In particular, the focus was not on the simple relationship between persuas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but on the type of persuasion that could reduce innovation resistance.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llected and analyzed for 216 university staff in the country.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normality test, and the common method bias were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ersuasive type on innovation resistance. The results showed that rational persua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while coercive persuasion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end, we found that the degree of resistance to innovation in an organization can vary depending on the form of persuasion. In addition, perceived risk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 persuas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coercive persuas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21세기 한국의 대학은 학생 수의 감소 등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대학은 혁신을 요구받고 있고, 이 혁신을 둘러싼 갈등이 거의 모든 대학에서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혁신에 대한 저항이 적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혁신저항을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서의 설득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특히 설득과혁신저항의 단순한 관계가 아닌, 혁신저항을 줄일 수 있는 설득의 유형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 교직원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정규성 검정, 동일방법편의 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혁신저항에 대한 설득유형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합리적 설득이 혁신저항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압박형 설득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센티브 설득은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국 조직의 혁신에 대한 저항은 어떠한 형태로 설득하느냐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 설득 또한 구성원을 잘 납득시키는 방향으로 가야하고 강압적 방식을 취한다면 오히려 혁신저항을 부추길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지각된 위험은 합리적 설득과 혁신저항, 압박형 설득과 혁신저항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설득의 유형과 혁신저항의 관계는 그들이 혁신을 얼마나 위험하다고 지각하는가에 따라 그 관계가 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혁신저항 모형에 기반한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용의도 연구

        신재권(Jae-Gwon Shin),이상우(Sang-Wo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람과 사물, 그리고 공간이 연결된 사물인터넷 가상세계가 다가오면서 전 세계로부터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활성화는 기대에 비해 다소 지연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확산을 위해서는 소비자에게 존재하는 저항을 완화시켜 소비자의 저항을 극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에서 가장 수요가 높은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초점을 맞추어, 혁신저항이 혁신특성과 소비자특성 변인을 매개하여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소비자가 인지하는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혁신 특성 요인 중 상대적 이점, 개선된 혁신기대, 복잡성, 재정적 위험, 신체적 위험 등이 혁신저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특성요인 중 혁신성향과 기존 아날로그 시계 제품태도가 혁신저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혁신저항이 혁신특성과 소비자특성을 매개하여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internet of things has come into the spotlight, wearable devices have been emerging as a new and growing market and the next hot thing in the world. However, wearable device growth in the market has not met expectations. For continued growth and diffusion of wearable devices,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user resistance factors to them. This study gives attention to people who have resistance to wearable devices’ tendency towards innovative uses. Specifically,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which factors influence consumers’ resistance and intention to use wrist-worn wearable devices, which are in high demand among wearable devic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relative advantage, innovation expectation, complexity, financial risk and physical risk are the predictors of innovation resistance on wrist-worn wearable devices. And consumers’ resistance affects the intention of positive acceptance. These findings confirm the importance of consumer resistance to the wrist-worn wearable device.

      • KCI등재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혁신저항의 매개적 효과를 중심으로

        박주경,이설빈,Park, Jugyeong,Lee, Seolbi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그동안 기술혁신 활동이 자체 기업 또는 조직, 인적 구성원의 역량과 활동 방법에 따라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의 실행에 대한 혁신저항을 적극 고려하지 않았던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과 활동이 조직 내 혁신저항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이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국내 IT, BT기업 293개사를 대상으로 실증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첫째, 가설1의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이 기술혁신 저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다. 둘째, 가설2의 기술혁신 활동은 기술혁신 저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각되었다. 셋째, 기술혁신 저항은 기술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다. 넷째, 기술혁신 저항은 기술혁신 역량과 기술혁신 성과 사이에 매개 효과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채택되었다. 다섯째, 기술혁신 저항은 기술혁신 활동과 기술혁신 성과 사이에 매개효과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각되었다. 전체적으로 기술혁신 역량이 높을수록 기술혁신 저항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관성을 갖고 기술혁신 저항 또한 저항 정도에 따라 기술혁신 역량과 성과를 증진 또는 저하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Although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have depended on corporate, organizational and personal capabilities and activities, innovation resistance to practice was not actively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intended to the effects of corporate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ies and activities on intra-organizational innovation resistance and performance by compensating the limit of previous studi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to 293 domestic IT and BT companies. First,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enc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resistance, adopting hypothesis 1. Second,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had no positive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resistance, rejecting hypothesis 2. Third, technological innovation resist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dopting hypothesis 3. Fourth, technological innovation resistance was positiv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enc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dopting hypothesis 4. Fifth, technological innovation resistance was not positiv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rejecting hypothesis 5. Overall, the higher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enc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resistance. Consequently, technological innovation resistance can improve or reduce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encies and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resistance.

      • KCI등재

        개인성향, 혁신저항, 그리고 혁신성과의 관계

        지성구,이갑두 대한경영학회 2005 大韓經營學會誌 Vol.18 No.5

        Innovation resistance is not opposed concept to innovation acceptance. When we take the acceptance, reject, and adjustment behavior to innovation through the innovation resistance, it's more important to analysis innovation resistance for a higher performance. From the literature review to innovation studies, we found that the mostly studies were about to the acceptance and spillover of the innovation, and focused to about the contextual leading factors. This study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 disposition, management innovation resistance and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established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In the empirical test for the Korean company from the Web survey, individual characteristics was partly found to have relationship with innovation resistance, and performance. Finally, We considered the research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its limits. 혁신저항은 혁신수용의 반대가 아니라 혁신저항을 통하여 수용과 기각 그리고 수정행동을 취하게 된다고 볼 때, 혁신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혁신저항에 대한 분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혁신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수용과 확산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정작 경영혁신의 성과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는 저항에 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리고 혁신저항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상황적 선행요인에 초점을 두었으며, 개인의 차이나 성향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본 연구는 경영혁신의 주체인 구성원 개인의 관점에서 개인성향과 혁신저항 그리고 혁신성과의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함으로써, 성공적인 경영혁신에 있어서 조직구성원들에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 결과, 개인성향 중 관행추구성향과 단기적 사고성향이 혁신저항과 정의 관계이며, 혁신저항은 혁신성과와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성향과 혁신성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혁신저항의 완전매개효과도 검증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적 함의, 한계점, 그리고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20대 페이스북 비이용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윤승욱 ( Sung Uk Yun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인 페이스북 비이용자 집단을 대상으로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혁신저항이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상대적 이점은 혁신저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쳐 기존의 소통수단에 비해 좋다고 인지할수록 혁신저항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신의 소통 욕구와 잘 부합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적합성은 혁신저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복잡성은 혁신저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페이스북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기능이 어렵거나 불편하다고 인식할수록 혁신저항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위험은 혁신저항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페이스북을 이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위험을 높게 지각할수록 혁신저항에 대해서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혁신저항은 이용의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페이스북에 대한 저항을 높게 인식할수록 이용의사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novation resistance on social network servic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novation resistance on intention to use. Findings showed that relative advantag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innovation resistance. Second, compatibility had not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novation resistance. Third, complex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on resistance. Fourth, perceived risk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on resistance. Fifth, innovation resistance on social network servic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intention to use.

      • KCI등재

        해운항만산업의 블록체인 도입에 따른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장명희,김윤미 한국항만경제학회 2019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5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novation resistance when blockchain technology is introduced for the shipping and port industry. For the development of a research model with suitable measures, we review and focus on innovation resistance factors with the blockchain technology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is research, we consider four factors (innovation characteristics, consumer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cost characteristics) with innovation resistance as dependent variables. The innovation characteristics include relative benefits, complexity, and perceived risk.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consider attitude toward existing products, innovation, and self-efficacy. Social impact variables ar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rationality of cost. In the statistical analysis, we set up eight hypotheses to test the significances between variables and find the following four empirical results. First, the relative advantage and the perceived risk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characteristic, but the complexity of this characteristic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Second, the rationality of cos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Third, the attitude toward existing products has a positive effect and the innovation of the consumer characteristic has a negative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while the self-efficacy has no significant effect. Finally, the social impac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to blockchain in the shipping and port industry. 본 연구의 목적은 해운항만산업에서 블록체인을 도입할 때 발생하는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실증연구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기존의 연구를 통하여 블록체인 도입에 대한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의 해운항만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분석을 통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도입에 따른 해운항만종사자들의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4가지 특성(혁신특성, 소비자 특성, 경제성, 사회적 영향)을 중심으로 변수들을 선택하였다. 혁신특성에 속하는 변수로는 상대적 이점, 복잡성, 인지된 위험이 포함되었고, 소비자 특성으로는 기존제품에 대한 태도, 혁신성, 자기효능감이 포함되었고, 경제성 변수로 비용의 합리성, 그리고 사회적 영향이 포함되었다. 이들 8가지 변수들이 혁신저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8개의 가설을 PLS 3.0 분석을 통하여 검정하였다. 가설검정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특성 변수들 중에서 상대적 이점과 인지된 위험은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복잡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소비자 특성에 속하는 변수들 중에서 기존 제품에 대한 태도와 혁신성은 혁신저항에 유의한 값을 보였지만,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비용의 합리성은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영향은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제련업 스마트팩토리의 혁신저항 및 혁신수용에 관한 연구

        유제형,박정열,배재권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2 e-비즈니스 연구 Vol.23 No.6

        In order to revitalize the introduction of smart factory technology to domestic smelting companies, the intention to accept smart factory technology was studied based on the innovation resistance mode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elting industry, it is analyzed the effects of the smart factory characteristics variables of physical risk, functional risk, as well as the relative advantage, complexity, and personal innovativeness on innovation acceptance through innovation resistance. As a result of the test of the research hypothesis, physical risk, functional risk variabl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resistance and relative advantage and personal innovativeness variable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resistance. And innovation resistance was test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resistance acceptance. Through this, the fac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to revitalize the application of smart factories to domestic smelters are clearly stated, and it is suggested that physical risk, functional risk, relative advantage, personal innovativeness factors are important when introducing smart factori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elting industry. 스마트팩토리(Smart Factory)는 전통적인 제조업에 빅데이터, 머신러닝 등 첨단기술을 접목하여 계측기기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에 기반을 둔 모델을 이용하고 IoT, RFID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설비 간 실시간 소통으로설계, 계획, 생산, 정비 등 전 공정을 최적화 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최근 국내 제조업체는 스마트팩토리 구축과 더불어 인공지능 및 융합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팩토리 고도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제련업체의경우 다량의 에너지를 소모하여 ESG 경영의 확산으로 탄소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집중하고 있는중이며 품질, 생산성 향상, 에너지 절감을 충족할 수 있는 스마트팩토리 적용을 통한 지속 경영이 필요하다. 새로운 혁신기술을 산업이 수용할 것인가, 그렇다면 얼마나 빠른 속도로 수용 및 확산될 것인가에 대해관심이 많다. 그러나 왜 혁신기술이 활성화되지 못하는지, 혁신저항은 왜 발생하는지에 대한 관심은 다소부족하다. 혁신에 관한 기존 연구는 혁신적 기술의 수용과 확산 관점에서 대부분 진행되었기 때문에 혁신저해요인 및 혁신저항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내 제련업체를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기술 도입 활성화를 위해 혁신저항모델을 바탕으로 스마트팩토리 혁신수용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제련업의특성을 고려하여 스마트팩토리 도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체적 위험, 기능적 위험의 스마트팩토리 특성변수와 혁신저항 변수인 상대적 이점, 복잡성 및 개인혁신성이 혁신저항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혁신저항이혁신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설검정결과 신체적 위험, 기능적 위험은 혁신저항에 부의 영향을미쳤으며, 상대적 이점, 개인 혁신성은 혁신저항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혁신저항은혁신수용에 부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제련업체의 스마트팩토리 활성화 요인과더불어 제련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스마트팩토리 도입 시 신체적·기능적 위험요소, 상대적 이점, 그리고 개인혁신성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식업체의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의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혁신저항 모델을 중심으로

        송주완 한국호텔관광학회 2019 호텔관광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저항모델을 바탕으로 외식업체의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에 대한 혁신특성과 소비자특성이 혁신저항 및 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항을 미치는지를 규명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표본은 서울, 경기 지방에 거주하고 있으며, 외식업체의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를 경험한 고객 중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에 대한 혁신저항이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되어지는 소비자를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총 230부의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SPSS 18.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요인분석을 통해 혁신특성은 상대적 이점, 인지된 적합성, 인지된 복잡성의 3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소비자특성은 사회적 이미지, 혁신성향, 기존 서비스태도의 3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혁신저항과 사용의도는 단일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가설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첫째, 혁신특성과 소비자특성은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저항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외식업체에서는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에 대한 소비자의 사용의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비자의 혁신특성과 소비자특성을 통한 혁신저항 감소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소셜TV 채택에 대한 통합 모델 연구: 지속사용 의도에대한 혁신확산이론, 기술수용모델, 혁신저항모델의 통합적 접근

        윤승욱 ( Sung Uk Yun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6 언론과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과 혁신확산이론, 그리고 혁신저항모델의 주요 구성개념을 통합하여 소셜TV 이용자들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에 바탕을 두고 주요 결과에 대해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술수용모델에 입각하여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이 소셜TV 지속사용의 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지된 용이성은 소셜TV 지속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인지된 유용성은 소셜TV 지속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혁신확산이론에 입각하여 적합성, 복잡성, 시험가능성, 관찰가능성이 혁신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적합성과 복잡성, 시험가능성, 그리고 관찰가능성은 혁신저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적합성, 복잡성, 시험가능성, 관찰가능성이 소셜TV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적합성과 복잡성, 시험가능성은 소셜TV 지속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관찰가능성은 소셜TV 지속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혁신저항모델에 입각하여 지각된 위험이 혁신저항과 소셜TV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지각된 위험은 소셜TV 지속사용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혁신저항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혁신저항이 소셜TV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혁신저항은 소셜TV 지속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key factors affecting continuance intention of social TV users by combining major features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novation Diffusion Theory and Innovation Resistance Model. A summary of this study regarding analysis on major results is as follows ; First, with regard to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i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ffecting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n social TV, perceived ease of use fails to statistically affect continuance intention of social TV while perceived usefulness has a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n social TV. Second, regarding the effect of compatibility, complexity, feasibility and observation probability about innovation resistance based on Innovation Diffusion Theory, compatibility, complexity, feasibility and observation probability have a statistically neg ative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Meanwhile, as the study examines compatibility, complexity, feasibility and observation probability affecting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n social use, compatibility, complexity, feasibility fail to statistically affect continuance intention of social TV while observation probability has a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n social use. Regarding perceived risk based on Innovation Resistance Model affecting innovation resistance and continuance intention of social TV, perceived risk fails to statistically effect continuance intention of social TV, while it has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Lastly, with regard to innovation resistance affecting continuance intention of social TV, innovation resistance has a statistically negative influence on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n social T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