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 지역 농촌 노인의 허약수준에 따른 관련요인 비교

        장희경(Heekyung Chang),김미경(Mikyoung Kim),이지연(Jiyeon Lee),김보람(Boram Kim),길초롱(Chorong Gil)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3

        본 연구는 일 지역 농촌 노인의 허약수준에 따른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 10월부터 2020년 3월까지 경상남도 H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40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했다. 노인의 허약수준과 그에 따른 예측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건강노인은 27.8%, 전허약 노인은 30.9%, 허약노인은 41.3%로 나타났다. 허약 수준에 따른 예측요인을 분석한 결과, 건강 단계에서 전허약 단계로 진입하는 예측요인은 악력, 영양상태, 우울이었고 전허약 단계에서 허약 단계로 진입하는 예측요인은 성별, 영양상태, 신체기능, 우울이었으며 건강 단계에서 허약 단계로 진입하는 예측요인은 성별, 직업, 영양상태, 신체기능, 우울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농촌지역 거주노인의 허약수준과, 이에 따른 다차원적 변수들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지역 노인들의 허약진행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conducted to find out the predictive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railty of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 in a rural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living in rural areas of Gyeongsangnam-do from October 2019 to March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to examine the predictive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frailty. The results showed that 27.8% for robust older adults, 30.9% for pre-frailty older adults, and 41.3% for frailty older ad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dictive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frailty, the predictors from the robust stage to the pre-frailty stage were grip strength,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The predictive factors for entering the pre-frailty stage into the frailty stage were gender, nutritional status, physical performance ability, and depress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predictive factors for entering from the robust stage to the frailty stage were sex, occupation, nutritional status, physical performance ability, and depres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level of the frailty of the older adults living in rural communities and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variable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to find a way to prevent and manage the progression of frailty among older adults in rural areas.

      • KCI등재

        노년기 허약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영선(Kim, Young-Sun),강은나(Kang, Eunna)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4

        본 연구는 생애에 걸쳐 축적된 노인의 이질성을 기반으로 노년기 허약유형을 발견하고 허약 유형별 영향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70세 이상 노인으로 한정하였으며, 전국 70세 이상 노인의 성별과 연령, 그리고 지역(시·도)을 기준으로 비례할당을 통해 표본을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403명 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노년기 허약수준과 유형 파악은 15개 문항으로 구성된 Tilberg의 허약지표 (Tilberg frailty indicators)를 활용하였다.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통해 노인의 허약유형을 도출하였으며, 허약유형의 결정요인을 밝히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노인의 허약유형은 다차원허약형(27.0%), 심리적 허약형(26.8%), 일상도움필요형(46.2%) 등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세 유형 모두 일상생활문제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도움을 충분히 받고 있지 못한다는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그 밖에 다차원허약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신체 및 심리적 허약 위험이 높고, 부분적으로 사회적 허약 수준이 높았다. 심리적 허약형은 우울이나 슬픔, 불안과 초조 등과 같은 심리적 허약 가능성이 높은 유형이며, 일상도움필요형은 신체적 및 심리적으로 건강한 편이나 일상생활 문제처리의 어려움이 있으나 주변으로부터의 도움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도움필요형을 기준집단으로 허약유형별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다차원허약형은 일상도움필요형에 비해 교육수준이 낮고, 경제활동을 하지 않으며, 영양관리상태가 상당히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도움필요형에 비해 심리적 허약형은 남성 노인일 가능성이 높고, 교육수준이 낮으며, 중소도시보다는 대도시에 거주할 가능성이 높으며, 흡연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노인의 허약유형과 궤적에 대한 논의와 허약으로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railty profiles based o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omains of functioning and to examine the associated factors showing the differences among frailty profiles. Respondents were 70 years and older(n=403) and latent class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optimal subgroups based on Tilberg Frailty Indicators which comprised of three domains(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omain). Also, we performe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factors making differences among frailty profiles. Latent class analysis(LCA) identified three distinct types: multi-frail type(27.0%), psychologically frail type(26.8%), inadequate support type(46.2%). All three types had common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daily life problems and did not receive enough help with theses difficul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CA three-class models, people in multi-frail type accumulated problems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domains and had partially social domain. On the other hands, psychologically frail type showed a relatively high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on. Lastly, people in inadequate support type reported the lack of helps, but they were relatively healthy. Comparing these groups with inadequate support type, people with multi-frail had lower educational level, poor nutritional management status and we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People in psychologically frail type were more likely to be male, to live in big cities rather than middle and small cities, and less likely to smoke. Based on these results, our results showed the multifaceted concept of frailty among Korean elderly people and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preventing frail process.

      • KCI등재

        후기노인의 허약, 사회적 지지,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

        이정화(Lee, Jeong Hwa),김은휘(Kim, Eun Hwi),서순림(Suh, Soon Rim)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4

        본 연구는 허약의 고위험군인 후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허약, 사회적 지지 및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서술적 조사연구인 본 연구를 위하여 2016년 03월 01일 부터 03월 31일까지 K군에 소재하는 노인복지시설에서 7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는 일대일 면담을 통해 총 21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과 Amos 18.0 프로그램으로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80세를 기준으로 한 연령집단 간 차이검정결과, 80세 이상인 경우 유의하게 허약수준이 더 높고(t=-2.51, p=.013),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았으나 (t=3.29, p=.001),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1.28, p=.201). 허약, 사회적지지,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허약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r=-.21, p=.003)와 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고(r=-.65,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r=.18, p=.010). 사회적 지지와 건강관련 삶의 질 사이에서 허약의 매개효과를 조사한 결과, 사회적 지지는 허약에(β=-.21, p=.016) 허약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미치나(β=-.06, p=.004), 사회적 지지는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미치지 않고(β=.00, p=.562) 허약을 매개하여 유의한 간접효과를 미쳐(β=.01, p=.012) 사회적 지지와 건강관련 삶의 질 사이에서 허약의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사회적 지지는 허약을 예방하고 허약수준의 개선은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킨다. 그러므로 후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제고를 위해 연령별 사회적 지지 방안을 포함하는 다면적인 허약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frailty,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ld-old elderly who are a high risk group for frailty. For this descriptive study, one-on-one interviews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elderly aged 75 years or older at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K county from March 01 to 31 in 2016, and a total of 211 elderly were interview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th analysis using SPSS/WIN and AMOS 18.0 program.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ge groups, those aged over 80 yea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frailty (t=-2.51, p=.013) and a low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an those aged below 80 years (t=3.29, 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t=1.28, p=.201). The correlation between frailty,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howed that as frailty became higher, social support (r=-.21, p=.003)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65, p<.001)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a higher social support (r=.18, p=.010).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frailty between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frailty (β=-.21, p=.016) and frailt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β=-.06, p=.004); however, social support had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β=.00, p=.562).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a mediating effect on frailty (β=.01, p=.012); therefore,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frailty between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verified. Social support prevents frailty, and improving frailty enhance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ultifactorial frailty prevention program that includes age-specific social support strategies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old elderly.

      • KCI등재

        연령집단에 따른 노인의 허약(Frailty) 예측요인 분석

        조성은 ( Cho Sung Eun ),최은영 ( Choi Eun Young ),오영삼 ( Oh Young Sam ),김영선 ( Kim Young Sun ),김성복 ( Kim Seong B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집단에 따른 허약의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14년 노인실태조사를 사용하여 총 4,123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허약을 예측하는데 있어 연령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대상자를 75세 이상 85세 미만의 중 고령노인집단(n=3,373명)과 85세 이상의 초 고령노인집단(n=750명)으로 분류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중 고령노인집단에서 전 허약노인과 허약노인은 각각 1453명(약 43%), 1,268명(약 37%)으로 나타났으며, 초 고령노인 집단에서 전 허약과 허약노인은 304명(약 40%), 396명(약 52%)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의 결과 건강단계에서 허약전 단계로 진입하는 예측요인은 중 고령노인집단에서는 여성, 낮은 교육수준, 많은 만성질환, 낙상 유경험자, 높은 우울, 낮은 인지기능이 허약 전 단계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초 고령노인집단은 여성, 높은 우울, 낮은 사회활동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허약 전 단계에서 허약 단계로의 진입을 예측하는 요인으로는 중 고령노인집단은 여성, 높은 연령, 미취업, 많은 만성질환, 낙상 유경험자, 높은 우울, 낮은 인지기능이 유의한 변인이었으며, 초 고령노인 집단은 높은 연령, 많은 만성질환, 높은 우울, 낮은 인지기능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연령의 세분화와 다각적인 요인의 접근으로 허약의 예측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예측요인은 추후 허약에 대한 다각적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frailty in different age groups. To address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2014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SLCE). In the research model, 4,123 older adults aged 75 and older were included from the SLCE. All participants were subdivided into two age groups based on their age; the young old group (75-85) and the old-old group (85+). The young old group consisted of 1,453 (43%) pre-frail older adults and 1,268 (37%) frail older adults; the old-old group consisted of 304 (40%) pre-frail older adults and 396 (52%) frail older adults. Ou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 the young-old, being female, lower levels of education, having more chronic diseases, having fall experience, higher depression, lower cognitive functioning significantly predicted transition to pre-frailty from non-frail status. In the old-old, being female, higher depression, lower level of social activ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n the other hand, predictors of transition to frailty from pre-frail status in the young-old were being female, higher age, being unemployed, having more chronic diseases, having fall experience, higher depression, lower cognitive functioning. In the old-old, predictors of transition to frailty from pre-frail status were only higher age, having more chronic disease, higher depression, and lower cognitive functioning.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in the making of strategies for preventing frailty.

      • KCI등재

        허약노인의 정의 및 허약 선별 평가도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이경아(Lee, Gyeong A),박지혁(Park, Ji-Hyuk)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3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허약노인의 정의를 정리하고, 허약노인 선별 시 사용되는 도구들을 분석함으로써허약의 구성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고령자에게 허약 선별 평가가 실시된 문헌을 검색하기 위해 CINAHL, Embase, Medline Complete, PubMed를 사용하였다. 검색어는 “assess” AND “frailty” AND “screening” AND (“frail elderly” OR “elderly”)를 사용하였다. 결과 : 검색 결과로 얻은 539편의 문헌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11편의 연구가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본 고찰을 통해 허약은 다차원적 요인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허약노인은 ‘건강 악화·기능손상·장애 발생의 가능성이 높고, 생명에 대한 위협 수준이 높은 사람’으로 정의되었다. 11편의 문헌중 허약 선별 평가도구는 총 7종류로 Phenotype of frailty가 5편(45.4%)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7개의 선별 평가도구에서 제시된 허약의 구성 요소는 신체적 요소(신체적 기능), 활동참여(일상생활활동,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영양상태(체중감소, 체질량 지수), 정신적 요소(인지, 정서), 사회적 요소(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지지, 사회적 환경), 전반적 건강 및 나이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허약의 정의 및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허약노인 선별을 위한 표준화된선별 평가도구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components of frailty by organizing the definitions of frail elderly and analyzing the tools used to screen them. Methods : This study searched for articles at involved frailty screening assessments in the elderly. Databases including CINAHL, Embase, Medline Complete, and PubMed were searched. The search terms were “assess” AND “frailty” AND “screening” AND (“frail elderly” OR “elderly”). Results : A total of 539 articles were identified by the search and 11 articles were selected. Frailty occurs due to the depressed function of multidimensional factors, and a frail elderly person is defined as one at high risk of health degeneration, functional impairment, and occurrence of disability, and having a high level of threat to life. Seven tools were selected from 11 articles.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 was the frailty phenotype, which was used in five articles (45.4%). The identified components of frailty wer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nutrition, psychological, social, overall health, and age. Conclusion : The results confirmed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frailt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evaluation tools for screening frail elderly individuals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management of the frail elderly.

      • KCI등재

        기능장애, 장기요양 필요 및 사망 예측을 위한 허약측정도구의 개발

        김창오(Kim, Chang-O),선우덕(Sunwoo, Duk)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장기요양 예방의 관점에서 허약노인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허약을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 지표와 기준점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기능장애, 장기요양 필요 및 사망에 대한 높은 위험예측 및 판별․검교정 능력을 갖춘 허약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8-2011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7,513명의 노인에 대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선정된 9가지 잠재적 허약측정지표와 지표간 조합을 통해 개발된 잠재적 허약측정도구의 타당도가 검정되었다. 3년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IADL, ADL 기능장애, 장기요양 필요 및 사망은 각각 연구 대상자의 9.5%, 4.1%, 1.6%, 6.3%에서 발생하였다. 연구결과 허약을 악력저하(신체적 결정요인), 정신심리적 고갈(정신심리적 결정요인), 사회적고립(사회적 결정요인) 중 2개 이상을 충족하는 경우로 정의하였을 때, IADL, ADL 장애, 장기요양 필요 및 사망에 대한 허약노인의 상대위험도는 질병․장애수준 및 다른 변수 요인을 보정한 이후에도 비허약 노인에서 보다 각각 1.9배(OR 1.89, 95% CI 1.39-2.57), 1.9배(OR 1.92, 95% CI 1.34-2.74), 3.2배(OR 3.22, 95% CI 1.92-5.39), 1.6배(HR 1.58, 95% CI 1.21-2.05)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허약측정도구의 부정적 건강결과에 대한 판별(c 0.63-0.72) 및 검교정능력(p≥.051)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 제시한 허약측정도구(안)는 모든 검사를 완료하는데 3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실제 공공보건사업을 통해 장기요양 경증요보호 대상자를 일차적으로 선별하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frail older adults are regarded as a high-risk group for institutionalization, there is no consensus on a clear definition of frailty in South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railty instrument which has high predictive validity, discrimination and calibration ability for adverse health outcomes such as disability, institutionalization, and mortality. For this purpose, nine potential frailty indicators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3 potential instruments were tested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the Living Profiles of Older People Survey which was conducted from 2008 to 2011 with 7,513 elderly people. During the three years of follow-up, 9.5% and 4.1% of study participants lost at least one ADL and IADL, respectively, 1.6% received the National Long-Term Care Service (NLTCS), and 6.3% died. Results showed that, when we defined frailty as the presence of two or more of the following components: 1) weakness of grip strength (physical component), 2) exhaustion (psychological component), and 3) social isolation (social component), the frailty instrument was independently predictive (over 3 years) of worsening IADL, worsening ADL disability, becoming eligible for the NLTCS, and death, with relative ratios 1.9 (OR 1.89, 95% CI 1.39-2.57), 1.9 (OR 1.92, 95% CI 1.34-2.74), 3.2 (OR 3.22, 95% CI 1.92-5.39), and 1.6 (HR 1.58, 95% CI 1.21-2.05), respectively, after adjustment for multiple covariates such as health, disease, existing disability,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risk assessment remained strong when it was estimated by other measures of model discrimination (c 0.63-0.72) and calibration (p≥.051). Because it takes only 3 minutes or less to complete the entire measurement, this frailty instrument could be used by community-based healthcare programs to screen elderly people who are at risk of receiving care from the NLTCS.

      • KCI등재후보

        허약 노인에 관한 국내 및 국외 연구동향 분석

        한예빈,박지혁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2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4 No.2

        목적 : 본 연구는 허약 노인에 관한 국내 및 국제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허약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내 및 국외 문헌의 수집을 위해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와 Web of Science (WoS)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검색어는 RISS에서는‘frail OR‘frailty’OR‘허약’을, WoS에서는‘frail’OR‘frailty’를 사용하였으며, 국외 문헌은 인용지수가 높은 학술지 4개로 범위를 제한하였다.2017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및 국외에서 수집한 문헌을 연도별로 출판 문헌 수, 연구자, 연구주제, 평가 및 중재별 설정한 기준을 바탕으로 분류한 후 기술통계를 적용하였다. 결과 : 검색 결과, 956개의 문헌이 추출되었고 중복제거 및 포함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문헌 제거 결과 총 514개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연구 동향 분석 결과, 최근 5년 내의 허약 출판 문헌수가 2017년도를 기준으로 국내ㆍ외를 합하여 78%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그 중 우리나라는 111%의 증가율을 보여 국외 논문 출판 증가율 61%의 2배 가까운 증가율을 보였다. 학술지는‘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 and Medical Science’가 164건(31.91%)으로 가장 많은 논문을 게재하였다. 연구자는 Vellas, Bruno가 19편의 논문을 작성하여 가장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평가도구는 Fried Frailty Index가 128회(33.51%)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중재 연구 횟수는 5년에 걸쳐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론 : 국외 허약노인에 대한 연구 동향은 점차 세분화되어가는 허약의 정의에 따라서 연구주제가 다양화되고 있는 흐름을 보였다. 향후 진행될 국내 허약 연구에는 최신 연구 흐름과 변화한 허약 개념에 맞는 연구주제의 다양성을 적용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및 국외 허약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허약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노인 허약에 대한 통합의학적 접근

        박병진,이용제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10

        Elderly frailty has been recognized as a distinct clinical syndrome with a physiologic basis. It reflects a decreased functional reserve and consequent reduction in resilience to any stressor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frailty process could be a transitional state with dynamic properties: normal aging→pre-frail→frailty→complication status. Hence, frailty could be preventable and its progression may be delayed. Furthermore, there is the potential reversibility of many of its features. The earlier stages of frailty might not be clinically apparent, but later stages manifest as significant deficits accumulate. The major phenotype of frailty includes weight loss, sarcopenia, relative inactivity, decreased balance and mobility, decreased cognitive function, and impaired nutritional status. Therefore, frail patients could be implicated by decreased performance status and have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cancer, falls and mortality. Regular exercise,essential amino acid and vitamin D are recommendable to prevent and treat elderly frailty, but hormone replacement therapy does not have consistent evidence yet. In upcoming (super) aging society, the importance of elderly frailty would be more noticed and multidisplinary approach should be actively performed. ‘노인 허약’은 생리학적 기전에 근거한 정상 노화와 구별된 뚜렷한 ‘임상 증후군’이다. 또한, ‘노인 허약’은 ‘정상 노화’‘전허약’‘노인 허약’‘노인병’으로 이어지는 역동성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노인 허약’은 자신의 능동적 노력에 따라 충분히 가역적인 특징이 있다.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으나 점차 진행할수록 호소하는 증상이 증가한다. 체중 감소, 근육 감소(sarcopenia), 활동량 감소, 균형감각 및 보행 속도의 저하, 인지기능 저하와 영양 부족 소견들이 관찰된다. 따라서,‘노인 허약’이 있을 경우 이동 능력 등 일상생활 수행 기능이 저하되기 쉽고, 심혈관 질환, 암, 낙상의 발생 위험이 증가할 뿐아니라 사망률이 증가한다. ‘노인 허약’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저항 운동이 포함된 운동요법, 비타민, 미네랄,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D 등의 영양요법의 권고 근거가 높으며, 호르몬보충요법은 아직 근거가 미약하다. 향후 ‘노인 허약’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노인 허약’의 예방 및 치료적 중재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다 학제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여성노인의 허약 상태 예측을 위한 보행변동성 및 체력의 역할 검증

        진영윤(JinYoungyun),박진국(ParkJinKook),강현식(KangHyunsik)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6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허약 상태에 대한 보행 변동성과 체력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기관의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여성노인 168명(나이 75.07±5.40)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신체조성, 보행 변인 및 변동성, 체력, 인지기능, 우울상태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Fried et al.(2001)의 허약진단 지표(체중감소, 정서적 고갈, 신체활동, 보행속도, 악력)를 기준으로 정상, 전-허약, 허약으로 구분하였다. 허약 상태 예측을 위한 보행 변인 및 변동성 그리고 체력의 역할을 검정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나이, 교육수준, 보유한 질병 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인지기능 점수와 우울점수를 통제 한 후 허약그룹은 정상그룹(OR=1)과 비교하였을 때, 두 다리 지지비율(OR=1.48, 95% CI=0.10-2.21, p=.049) 및 분당 보폭수(OR=2.06, 95%CI=1.20-3.43, p=.009)의 변동성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상체근력(OR=0.49, 95%CI=0.31-0.77, p=.002)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허약의 예측인자로 나타난 두발 지지비율 및 분당 보폭수의 변동성 그리고 상체근력은 허약 상태를 예측하고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gait variability and physical fitness with frailty status in older women. In a crosssectional design, 168 elderly women, aged 65 years and older (75.07±5.40 years), measured body composition, gait parameters gait variability, physical fitness variables, MMSE-DS and CES-D. Subjects were classified as robust, pre-frail, and frailty based on the Fried et al.(2001) criteria for frailty weight loss, exhaustion, low hand-grip strength, low gait speed, and physical inactivit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odds ratio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of frailty status for having gait variability and physical fitness levels. Compared to the robust group (OR=1), the frailty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ORs of having terminal double limb stance (OR=1.48, 95% CI=0.10-2.21, p=.049), step cadence (OR=2.06, 95%CI=1.20-3.43, p=.009) variability, and significantly lower ORs of having upper-strength (OR=0.49, 95%CI=0.31-0.77, p=.002) even after adjusting for age, education, comorbidity, K-IADL, MMSE-KC and CES-D score. The finding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erminal double limb stance, step cadence and upper body muscular strength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frailty.

      • KCI등재

        여성노인의 허약에 대한 체력 분별점 제시: 국민체력100 노인기 체력검사항목을 중심으로

        박세정 ( Sae Jong Park ),고병구 ( Byoung Goo Ko ),김상훈 ( Jin Wook Chung ),정진욱 ( Sang Hoon Kim ),박수현 ( Soo Hyun Park ),이미현 ( Mi Hyun Lee ),김성호 ( Sung Ho Kim ),박채희 ( Chae Hee Park ),최규환 ( Kyu Hwan Choi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허약과 관련된 체력요인을 알아보고 그 체력의 분별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4년(1차년도) ‘국민체력100 한국인 건강체력 기준개발’ 사업에 참여한 65세 이상 여성노인 444명(72.29±5.29세)으로 하였다. 측정변인으로 신체적 특성, 혈압, 그리고 국민체력100 노인기 체력검사항목을 측정하였으며, 허약노인과 정상노인의 분류는 ‘Kihon Checklis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허약노인은 19.1%(85명)로 나타났으며, 허약노인이 정상노인에 비해 연령, 체중, 그리고 비만지표(체질량지수, 체지방량, 허리둘레)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허약유무에 따른 체력 비교에서 연령과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에도 허약노인이 정상노인에 비해 상대악력, 의자에앉았다일어서기, 의자에앉아3m표적돌아오기, 8자보행, 2분제자리걷기의 체력수준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ROC curve를 이용한 각각의 체력 분별점은 상대악력 34.13%, 의자에앉았다일어서기 14회, 의자에앉아3m표적돌아오기 7.09초, 8자보행 30.88초, 2분제자리걷기 93회로 나타났다. 또한 각각의 분별점을 기준으로 체력수준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허약의 위험(odds ratio)이 연령과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에도 1.86-2.7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체력의 분별점은 국내 여성노인의 허약예방을 위한 적정체력수준인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성별 및 연령대별로 세분화된 체력의 분별점 제시를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Frailty in older adults is related to an increased risk for poor health outcomes including falls, disability, hospitalization and mort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hresholds of a functional fitness associated with frailty for community-dwelling woman aged 65 or older. In this study, the National Fitness Award(NFA) items for elderly were utilized as the physical function and fitness testing for korean elderly women. The total of 444 community-dwelling woman completed the testings. Frailty status was classified by the Japan LTCI system ‘Kihon Checklist’ in the study. The prevalence of the frailty was 19.1% in the study. The frail elderly were older and showed higher obesity index such as weight, body mass index (BMI), percent body fat and waist circumference than the normal elderly. After adjusting for age and BMI which was related to frailty, fitness testing items were compared depending on frailty. As the result, the frail elderly showed significantly lower fitness levels in grip strength, 30-second chair stand test, timed up and go, figure-of-8 walk around two cones, and 2-minute step test than the normal elderly. When the fitness cut-off values were analyzed using the ROC curve, also, grip strength: 34.13%, 30-second chair stand test: 14 reps, timed up and go: 7.09 seconds, figure-of-8 walk around two cones: 30.88 seconds, and 2-minute step test: 93 reps. In addition, based on the cut-off values of each fitness item, the group with a low fitness level showed a 1.86 to 3.09 higher odds ratio of frailty than the group with a high fitness level, even after age and BMI were adjusted.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fitness cut-off values in this study are fitness levels for preventing frailty of Korean elderly women and there will be a need for a large-scale study including subdivided fitness cut-off values for each age group and targets elderly men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