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기노인의 허약, 사회적 지지,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

        이정화,김은휘,서순림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frailty,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ld-old elderly who are a high risk group for frailty. For this descriptive study, one-on-one interviews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elderly aged 75 years or older at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K county from March 01 to 31 in 2016, and a total of 211 elderly were interview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th analysis using SPSS/WIN and AMOS 18.0 program.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ge groups, those aged over 80 yea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frailty (t=-2.51, p=.013) and a low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an those aged below 80 years (t=3.29, 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t=1.28, p=.201). The correlation between frailty,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howed that as frailty became higher, social support (r=-.21, p=.003)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65, p<.001)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a higher social support (r=.18, p=.010).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frailty between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frailty (β=-.21, p=.016) and frailt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β=-.06, p=.004); however, social support had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β=.00, p=.562).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a mediating effect on frailty (β=.01, p=.012); therefore,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frailty between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verified. Social support prevents frailty, and improving frailty enhance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ultifactorial frailty prevention program that includes age-specific social support strategies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old elderly. 본 연구는 허약의 고위험군인 후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허약, 사회적 지지 및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서술적 조사연구인 본 연구를 위하여 2016년 03월 01일부터 03월 31일까지 K군에 소재하는 노인복지시설에서 7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는 일대일 면담을 통해 총 21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과 Amos 18.0 프로그램으로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80세를 기준으로 한 연령집단 간 차이검정결과, 80세 이상인 경우 유의하게 허약수준이 더 높고(t=-2.51, p=.013),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았으나(t=3.29, p=.001),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1.28, p=.201). 허약, 사회적지지,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허약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r=-.21, p=.003)와 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고(r=-.65,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r=.18, p=.010). 사회적 지지와 건강관련 삶의 질 사이에서 허약의 매개효과를 조사한 결과, 사회적 지지는 허약에(β=-.21, p=.016) 허약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미치나(β=-.06, p=.004), 사회적 지지는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미치지 않고(β=.00, p=.562) 허약을 매개하여 유의한 간접효과를 미쳐(β=.01, p=.012) 사회적 지지와 건강관련 삶의 질 사이에서 허약의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사회적 지지는 허약을 예방하고 허약수준의 개선은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킨다. 그러므로 후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제고를 위해 연령별 사회적 지지 방안을 포함하는 다면적인 허약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노년기 허약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영선,강은나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railty profiles based o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omains of functioning and to examine the associated factors showing the differences among frailty profiles. Respondents were 70 years and older(n=403) and latent class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optimal subgroups based on Tilberg Frailty Indicators which comprised of three domains(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omain). Also, we performe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factors making differences among frailty profiles. Latent class analysis(LCA) identified three distinct types: multi-frail type(27.0%), psychologically frail type(26.8%), inadequate support type(46.2%). All three types had common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daily life problems and did not receive enough help with theses difficul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CA three-class models, people in multi-frail type accumulated problems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domains and had partially social domain. On the other hands, psychologically frail type showed a relatively high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on. Lastly, people in inadequate support type reported the lack of helps, but they were relatively healthy. Comparing these groups with inadequate support type, people with multi-frail had lower educational level, poor nutritional management status and we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People in psychologically frail type were more likely to be male, to live in big cities rather than middle and small cities, and less likely to smoke. Based on these results, our results showed the multifaceted concept of frailty among Korean elderly people and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preventing frail process. 본 연구는 생애에 걸쳐 축적된 노인의 이질성을 기반으로 노년기 허약유형을 발견하고 허약 유형별 영향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70세 이상 노인으로 한정하였으며, 전국 70세 이상 노인의 성별과 연령, 그리고 지역(시․도)을 기준으로 비례할당을 통해 표본을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403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노년기 허약수준과 유형 파악은 15개 문항으로 구성된 Tilberg의 허약지표(Tilberg frailty indicators)를 활용하였다.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통해 노인의 허약유형을 도출하였으며, 허약유형의 결정요인을 밝히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노인의 허약유형은 다차원허약형(27.0%), 심리적 허약형(26.8%), 일상도움필요형(46.2%) 등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세 유형 모두 일상생활문제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도움을 충분히 받고 있지 못한다는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그 밖에 다차원허약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신체 및 심리적 허약 위험이 높고, 부분적으로 사회적 허약수준이 높았다. 심리적 허약형은 우울이나 슬픔, 불안과 초조 등과 같은 심리적 허약 가능성이 높은 유형이며, 일상도움필요형은 신체적 및 심리적으로 건강한 편이나 일상생활 문제처리의 어려움이 있으나 주변으로부터의 도움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도움필요형을 기준집단으로 허약유형별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다차원허약형은 일상도움필요형에 비해 교육수준이 낮고, 경제활동을 하지 않으며, 영양관리상태가 상당히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도움필요형에 비해 심리적 허약형은 남성 노인일 가능성이 높고, 교육수준이 낮으며, 중소도시보다는 대도시에 거주할 가능성이 높으며, 흡연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노인의 허약유형과 궤적에 대한 논의와 허약으로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 지역 농촌 노인의 허약수준에 따른 관련요인 비교

        장희경,김미경,이지연,김보람,길초롱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3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conducted to find out the predictive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railty of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 in a rural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living in rural areas of Gyeongsangnam-do from October 2019 to March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to examine the predictive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frailty. The results showed that 27.8% for robust older adults, 30.9% for pre-frailty older adults, and 41.3% for frailty older ad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dictive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frailty, the predictors from the robust stage to the pre-frailty stage were grip strength,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The predictive factors for entering the pre-frailty stage into the frailty stage were gender, nutritional status, physical performance ability, and depress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predictive factors for entering from the robust stage to the frailty stage were sex, occupation, nutritional status, physical performance ability, and depres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level of the frailty of the older adults living in rural communities and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variable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to find a way to prevent and manage the progression of frailty among older adults in rural areas. 본 연구는 일 지역 농촌 노인의 허약수준에 따른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 10월부터 2020년 3월까지 경상남도 H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40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했다. 노인의 허약수준과 그에 따른 예측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건강노인은 27.8%, 전허약 노인은 30.9%, 허약노인은 41.3%로 나타났다. 허약 수준에 따른 예측요인을 분석한 결과, 건강 단계에서 전허약 단계로 진입하는 예측요인은 악력, 영양상태, 우울이었고 전허약 단계에서 허약 단계로 진입하는 예측요인은 성별, 영양상태, 신체기능, 우울이었으며 건강 단계에서 허약 단계로 진입하는 예측요인은 성별, 직업, 영양상태, 신체기능, 우울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농촌지역 거주노인의 허약수준과, 이에 따른 다차원적 변수들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지역 노인들의 허약진행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허약노인의 정의 및 허약 선별 평가도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이경아(Lee, Gyeong A),박지혁(Park, Ji-Hyuk)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3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허약노인의 정의를 정리하고, 허약노인 선별 시 사용되는 도구들을 분석함으로써허약의 구성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고령자에게 허약 선별 평가가 실시된 문헌을 검색하기 위해 CINAHL, Embase, Medline Complete, PubMed를 사용하였다. 검색어는 “assess” AND “frailty” AND “screening” AND (“frail elderly” OR “elderly”)를 사용하였다. 결과 : 검색 결과로 얻은 539편의 문헌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11편의 연구가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본 고찰을 통해 허약은 다차원적 요인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허약노인은 ‘건강 악화·기능손상·장애 발생의 가능성이 높고, 생명에 대한 위협 수준이 높은 사람’으로 정의되었다. 11편의 문헌중 허약 선별 평가도구는 총 7종류로 Phenotype of frailty가 5편(45.4%)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7개의 선별 평가도구에서 제시된 허약의 구성 요소는 신체적 요소(신체적 기능), 활동참여(일상생활활동,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영양상태(체중감소, 체질량 지수), 정신적 요소(인지, 정서), 사회적 요소(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지지, 사회적 환경), 전반적 건강 및 나이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허약의 정의 및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허약노인 선별을 위한 표준화된선별 평가도구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components of frailty by organizing the definitions of frail elderly and analyzing the tools used to screen them. Methods : This study searched for articles at involved frailty screening assessments in the elderly. Databases including CINAHL, Embase, Medline Complete, and PubMed were searched. The search terms were “assess” AND “frailty” AND “screening” AND (“frail elderly” OR “elderly”). Results : A total of 539 articles were identified by the search and 11 articles were selected. Frailty occurs due to the depressed function of multidimensional factors, and a frail elderly person is defined as one at high risk of health degeneration, functional impairment, and occurrence of disability, and having a high level of threat to life. Seven tools were selected from 11 articles.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 was the frailty phenotype, which was used in five articles (45.4%). The identified components of frailty wer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nutrition, psychological, social, overall health, and age. Conclusion : The results confirmed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frailt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evaluation tools for screening frail elderly individuals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management of the frail elderly.

      • KCI등재후보

        허약 노인에 관한 국내 및 국외 연구동향 분석

        한예빈,박지혁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2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4 No.2

        목적 : 본 연구는 허약 노인에 관한 국내 및 국제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허약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내 및 국외 문헌의 수집을 위해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와 Web of Science (WoS)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검색어는 RISS에서는‘frail OR‘frailty’OR‘허약’을, WoS에서는‘frail’OR‘frailty’를 사용하였으며, 국외 문헌은 인용지수가 높은 학술지 4개로 범위를 제한하였다.2017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및 국외에서 수집한 문헌을 연도별로 출판 문헌 수, 연구자, 연구주제, 평가 및 중재별 설정한 기준을 바탕으로 분류한 후 기술통계를 적용하였다. 결과 : 검색 결과, 956개의 문헌이 추출되었고 중복제거 및 포함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문헌 제거 결과 총 514개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연구 동향 분석 결과, 최근 5년 내의 허약 출판 문헌수가 2017년도를 기준으로 국내ㆍ외를 합하여 78%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그 중 우리나라는 111%의 증가율을 보여 국외 논문 출판 증가율 61%의 2배 가까운 증가율을 보였다. 학술지는‘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 and Medical Science’가 164건(31.91%)으로 가장 많은 논문을 게재하였다. 연구자는 Vellas, Bruno가 19편의 논문을 작성하여 가장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평가도구는 Fried Frailty Index가 128회(33.51%)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중재 연구 횟수는 5년에 걸쳐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론 : 국외 허약노인에 대한 연구 동향은 점차 세분화되어가는 허약의 정의에 따라서 연구주제가 다양화되고 있는 흐름을 보였다. 향후 진행될 국내 허약 연구에는 최신 연구 흐름과 변화한 허약 개념에 맞는 연구주제의 다양성을 적용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및 국외 허약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허약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기능장애, 장기요양 필요 및 사망 예측을 위한 허약측정도구의 개발

        김창오,선우덕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Although frail older adults are regarded as a high-risk group for institutionalization, there is no consensus on a clear definition of frailty in South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railty instrument which has high predictive validity, discrimination and calibration ability for adverse health outcomes such as disability, institutionalization, and mortality. For this purpose, nine potential frailty indicators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3 potential instruments were tested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the Living Profiles of Older People Survey which was conducted from 2008 to 2011 with 7,513 elderly people. During the three years of follow-up, 9.5% and 4.1% of study participants lost at least one ADL and IADL, respectively, 1.6% received the National Long-Term Care Service (NLTCS), and 6.3% died. Results showed that, when we defined frailty as the presence of two or more of the following components: 1) weakness of grip strength (physical component), 2) exhaustion (psychological component), and 3) social isolation (social component), the frailty instrument was independently predictive (over 3 years) of worsening IADL, worsening ADL disability, becoming eligible for the NLTCS, and death, with relative ratios 1.9 (OR 1.89, 95% CI 1.39-2.57), 1.9 (OR 1.92, 95% CI 1.34-2.74), 3.2 (OR 3.22, 95% CI 1.92-5.39), and 1.6 (HR 1.58, 95% CI 1.21-2.05), respectively, after adjustment for multiple covariates such as health, disease, existing disability,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risk assessment remained strong when it was estimated by other measures of model discrimination (c 0.63-0.72) and calibration (p≥.051). Because it takes only 3 minutes or less to complete the entire measurement, this frailty instrument could be used by community-based healthcare programs to screen elderly people who are at risk of receiving care from the NLTCS. 장기요양 예방의 관점에서 허약노인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허약을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 지표와 기준점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기능장애, 장기요양 필요 및 사망에 대한 높은 위험예측 및 판별․검교정 능력을 갖춘 허약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8-2011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7,513명의 노인에 대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선정된 9가지 잠재적 허약측정지표와 지표간 조합을 통해 개발된 잠재적 허약측정도구의 타당도가 검정되었다. 3년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IADL, ADL 기능장애, 장기요양 필요 및 사망은 각각 연구 대상자의 9.5%, 4.1%, 1.6%, 6.3%에서 발생하였다. 연구결과 허약을 악력저하(신체적 결정요인), 정신심리적 고갈(정신심리적 결정요인), 사회적고립(사회적 결정요인) 중 2개 이상을 충족하는 경우로 정의하였을 때, IADL, ADL 장애, 장기요양 필요 및 사망에 대한 허약노인의 상대위험도는 질병․장애수준 및 다른 변수 요인을 보정한 이후에도 비허약 노인에서 보다 각각 1.9배(OR 1.89, 95% CI 1.39-2.57), 1.9배(OR 1.92, 95% CI 1.34-2.74), 3.2배(OR 3.22, 95% CI 1.92-5.39), 1.6배(HR 1.58, 95% CI 1.21-2.05)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허약측정도구의 부정적 건강결과에 대한 판별(c 0.63-0.72) 및 검교정능력(p≥.051)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 제시한 허약측정도구(안)는 모든 검사를 완료하는데 3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실제 공공보건사업을 통해 장기요양 경증요보호 대상자를 일차적으로 선별하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여성노인의 요실금 유무에 따른 허약정도와 허약 영향요인

        박진경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frailty by urinary incontinence groups among the vulnerable elderly woman in Korea. In this secondary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records for 3,251 elders registered in the Visiting Health Management program of Public Health Centers in 2012.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timed up & go, depression, self rated helath, walking exercise, flexibility exercise, strengh exercise and frailty were assessed. Data were analyzed using x2-tes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to determine the associated factors of frailty by urinary incontinence. Depression, walking exercise, timed up & go and age were found to be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railty among the elders with incontinence(F=38.321, p<.001). Age, depression, walking exercise, self rated health and tined up & go were found to be factors associated with frailty in the elders without incontinence(F=265.666 p<.001). The findings show that frailty of elders and associated factors were different by urinary incontinence, and common factors affecting frailty were depression, walking exercise, timed up & go, age. Thus,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 for care and prevention of frailty and program should be modified according to urinary incontinence.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의 요실금 유무에 따른 허약정도와 허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S시 8개구의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중 65세 이상 여성노인 3,251명의 자료를 이차 분석하였다. 요실금 유무별 여성노인의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복합적 이동능력, 우울, 주관적 건강과 걷기운동, 유연성 운동 및 근력운동에 따른 허약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x2-test, t-test,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요실금 유무에 따른 제 변수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고, 요실금 유무에 따른 허약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요실금이 있는 여성노인의 허약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걷기 운동, 복합적 이동능력, 연령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F=38.321, p<.001), 이들 변수에 의해 허약이 36.6% 설명되었다. 요실금이 없는 집단에서 유의한 변인은 연령, 우울, 걷기 운동, 주관적 건강, 복합적 이동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F=265.666, p<.001), 이들 변수에 의해 허약 정도가 설명되는 변량은 30.7%였다. 향후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 특히 요실금을 갖고 있는 여성노인의 허약을 예방하기 위하여, 하루 10분 이상, 주 5일 이상의 규칙적인 걷기 운동 프로그램과 우울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제언한다.

      • KCI등재

        노인 허약에 대한 통합의학적 접근

        박병진,이용제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10

        Elderly frailty has been recognized as a distinct clinical syndrome with a physiologic basis. It reflects a decreased functional reserve and consequent reduction in resilience to any stressor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frailty process could be a transitional state with dynamic properties: normal aging→pre-frail→frailty→complication status. Hence, frailty could be preventable and its progression may be delayed. Furthermore, there is the potential reversibility of many of its features. The earlier stages of frailty might not be clinically apparent, but later stages manifest as significant deficits accumulate. The major phenotype of frailty includes weight loss, sarcopenia, relative inactivity, decreased balance and mobility, decreased cognitive function, and impaired nutritional status. Therefore, frail patients could be implicated by decreased performance status and have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cancer, falls and mortality. Regular exercise,essential amino acid and vitamin D are recommendable to prevent and treat elderly frailty, but hormone replacement therapy does not have consistent evidence yet. In upcoming (super) aging society, the importance of elderly frailty would be more noticed and multidisplinary approach should be actively performed. ‘노인 허약’은 생리학적 기전에 근거한 정상 노화와 구별된 뚜렷한 ‘임상 증후군’이다. 또한, ‘노인 허약’은 ‘정상 노화’‘전허약’‘노인 허약’‘노인병’으로 이어지는 역동성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노인 허약’은 자신의 능동적 노력에 따라 충분히 가역적인 특징이 있다.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으나 점차 진행할수록 호소하는 증상이 증가한다. 체중 감소, 근육 감소(sarcopenia), 활동량 감소, 균형감각 및 보행 속도의 저하, 인지기능 저하와 영양 부족 소견들이 관찰된다. 따라서,‘노인 허약’이 있을 경우 이동 능력 등 일상생활 수행 기능이 저하되기 쉽고, 심혈관 질환, 암, 낙상의 발생 위험이 증가할 뿐아니라 사망률이 증가한다. ‘노인 허약’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저항 운동이 포함된 운동요법, 비타민, 미네랄,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D 등의 영양요법의 권고 근거가 높으며, 호르몬보충요법은 아직 근거가 미약하다. 향후 ‘노인 허약’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노인 허약’의 예방 및 치료적 중재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다 학제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기대한다.

      • KCI등재

        취약계층 노인의 허약 영향 요인

        박진경,김순례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3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s frailty among the vulnerable social group.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used the 2012 data of 1,835 participants of a home visiting service in 1 autonomous district in Seoul. After classifing into four categories, Physical health(chronic Dz. and obesity), Mental health(depression and cognitive state), Functional health(Ability of Movement, Self-care, Daily activities, Chewing difficulty, numbers of teeth) and Self-rated health,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female(p<.001), age>75(than age<70, p<.05), having chronic dz.(p<.001), low and normal body weight(than the overweight, p<.05), having problems of Movement(p<.001), Self-care(p<.001), Daily activities(p<.001), chewing difficulty(p<.001), number of teeth <10(p<.05), the cognitive impairment(p<.05), lower self-rated health(p<.001) elderly were higher Frailty score than the counterpart. Also, having the severe-depression elderly were higher Frailty score than the mild-depression elderly, and two groups showed the high score Frailty than non-depression elderly(p<.05).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Frailty among them was depression(β=.259). We recommend the further developing of educational and interventional programs using these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 elderly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frailty. 본 연구는 취약계층 노인의 허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2012년 S시 일개 구의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중 65세 이상 노인 1,835개의 자료를 이차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는 노인의 건강차원을 신체건강(만성질환 및 비만), 정신건강(우울 및 인지상태), 기능적 건강(운동능력, 자기관리능력, 일상생활능력, 저작 불편감, 자연치아 개수) 및 주관적 건강수준으로 구분하여 각 건강차원별로 허약점수를 평균차이 및 사후검정하였다. 노인의 허약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남성 노인보다는 여성 노인(p<.001)이, 70세 이하 노인보다 75세 이상 노인(p<.05)이, 질환이 하나도 없는 노인보다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p<.001)이, 저체중과 정상체중 노인이 과체중 노인보다(p<.05), 저작불편이 있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p<.001), 치아가 10개 미만인 노인이 10개 이상인 노인보다(p<.05), 그리고 운동능력( p<.001), 자기관리(p<.001), 일상생활 능력(p<.001)에 문제가 있을수록 허약점수가 높았다. 또한, 인지저하가 있는 노인이 정상 노인보다, 중증 우울을 보인 노인이 경증우울 노인보다(p<.05), 그리고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쁠수록(p<.001), 허약점수가 높았으며, 노인의 허약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한 결과에서, 우울은 노인 허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β=.259)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노인의 허약 예방프로그램을 위한 보건사업기획 시 이와 같은 변수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효과 : 체계적 고찰

        이지연(Lee, Ji-Yeon),박지혁(Park, Ji-Hyuk)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3 No.1

        목적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허약 노인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효과를 알아본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중재의 방법과 효과를 분석하여 경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2002년 1월부터 2021년 1월까지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데이터베이스 Embase, CINAHL, Scopus, PubMed을 통하여 검색하였다. 선정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7편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으며, 근거중심 물리치료 데이터베이스 등급(PEDro Scale)을 사용하여 문헌의 질을 평가하였다. 결과 : 7편의 연구를 허약 노인과 허약하고 비만인 노인으로 구분해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효과를 분석하였을 때, 허약 노인을 대상으로 한 5편의 연구 중 3편의 연구와 허약하고 비만인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2편 중 일부 실험군에서 유의미한 결과 차이가 발견되었다. 중재 프로그램은 유산소 운동, 균형, 근력 등의 신체 영역, 체중 조절, 식습관 조절 등의 식이 영역, 영양제 섭취에 관한 영양 영역과 마지막으로 기억력, 집중력, 처리 기술, 추론과 같은 인지 영역이 있었다. 이 중에서 신체 영역의 중재를 적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신체적 요인을 평가하는 도구 또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라이프스타일 중재를 설계하는 과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장기적인 중재 효과의 측정과 환경, 활동 영역을 포함한 다면적인 라이프스타일 중재 제공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중재 인력으로서 작업치료사의 적극적인 개입도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studies that have identified the 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s in frail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Methods : From January 2002 to January 2021, we searched for publications through databases such as Embase, CINAHL, Scopus, and PubMed. Finally, seven papers were selected and reviewed systematically.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s by dividing the seven studies in terms of the frail and the frail with obese elderly, three out of five and a few of the two study groups of each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tervention programs were categorized into physical, dietary, nutritional, and cognitive domains. Intervention in physical factors was the most common. Conclusion : This study is expected to assist in designing lifestyle interventions for frail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provide multifaceted lifestyle interventions including environmental and activity domains in the future. More active participation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 lifestyle interventions in frail elderly also recomm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