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천국제공항의 항공화물 허브 활성화 전략 방향에 관한 연구 -환적화물을 중심으로-

        남재혁 ( Jae Hyuk Nam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3 한국항공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13 No.-

        인천국제공항이 2001년 개항 이래 동북아 허브공항의 기치를 내걸고 그 동안 상당 부분 성공을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동안의 관심과 역량은 대부분 여객허브공항에 집중되었으며, 화물물동량 또한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지만 전자 등 국내산업의 경쟁력에 기반한 port-to-port 물동량의 획기적인 증가 덕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의 입지와 그간 쌓아온 역량과 명성을 바탕으로 항공화물허브로서, 특히 부가가치가 높고 미래 성장산업인 항공 및 복합 환적화물 허브공항으로서의 요건을 분석하고, 아시아 주요공항의 현황을 분석한 후, 인천국제공항의 SWOT 분석을 통하여 항공화물 허브로서의 활성화 전략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은 항공환적화물 시장 분석과 마케팅 활동 강화, 항공환적화물 허브를 위한 인프라 강화, 항공물류산업의 육성, 부가가치 높은 물류서비스 개발, 규제완화 등 정책 및 제도 개선 등을 통하여 항공화물허브공항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공항과 항공사 공급 특성을 반영한 상대적 공항 허브화 잠재 경쟁지수 개발

        송기한,김선태 한국교통연구원 2011 交通硏究 Vol.18 No.4

        Hub competition between major airports has been caused by the circumstantial changes in the air market, such as liberalization and integration of the regional market and invigoration of low cost carriers. In order to evaluate the hub competitiveness between airports and make efficient strategies for major hub airports, some airport competitiveness indexes have been developed and referred. However, each input variable is separately applied to develop the index. Moreover the information on major airlines, which make use of the target airport for its main airport, are ignored. Although the supply characteristics of airport should be considered, it has not been included to the index as input variables. This paper provides a new airport hub competitiveness index, which allows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rival airports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airport and collaboration with airlines to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in the competitiveness assessment. First the Airline Hub Competition Index (APHCI), which means the relative competitiveness index of the target airport compared to other airports in the target group, is introduced. Then, Airline Contribution Hub Index (ACHI) is structured so that the competitiveness index can explain the impact of the airline's present operation conditions or future strategies on the hub competitiveness. To assure the validity of the suggested indexes in this paper, case studies on 8 major Asian airports hubs ware conducted, and a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developed indexes are suitable to account for the airport hub competitiveness in terms of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airports and airlines. Furthermore, since they are easy to calculate and understand, the indexes are practical and useful for evaluating hub competitiveness and establishing airport hub strategies. 항공자유화 확산, 저비용항공사 활성화, 지역 통합 항공운송시장 등장 등의 항공운송환경 변화는 항공사의 hub-and-spoke 네트워크 노선 형태에 따른 주요 공항 간 허브화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러한 허브화 경쟁을 위해서는 허브화 경쟁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필수적이며, 기존 연구에서는 공항의 노선 연계 관련 측면 허브 경쟁 지표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그러나 허브 경쟁 지수는 경쟁공항의 관계와 함께 공항이 가지는 공급적인 규모와 해당 공항을 모기지 공항으로 하는 항공사들의 특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반영할 수 있는 공항 측면에서 경쟁공항과의 상대적 관계 및 공급변수를 집약한 공항 허브 경쟁지수(APHCI, Airport Hub Competition Index)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항공사 측면의 허브화 연결성 기여 정도와 향후 모기지 공항의 잠재적인 허브화 기여도를 반영한 항공사 허브화 기여지수(ACHI,Airline Contribution Hub Index)를 개발하였다. 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모형식을 구축하였으며, 아시아 주요 8개 공항(대한민국 인천국제공항, 중국 서우두국제공항, 푸동국제공항, 첵랍콕국제공항, 일본 나리타국제공항, 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프국제공항, 태국 수완나품국제공항)을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표는 공항 경쟁관계 및 공항 규모와 항공사의 허브화 전략 가능성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향후 공항 간 허브화 전략을 위한 경쟁력 평가 및 허브화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효과지표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아시아권 허브 공항의 가격 경쟁력 분석

        여형구,강경우,장혜진 대한교통학회 2007 대한교통학회지 Vol.25 No.5

        Through open-sky policy, USA and European selected market principle of multiuser. However, in Asian case, major airlines monopolize airports. It is purpose that analyzes fare competition of Asian Hub Airport and the position of Incheon airport in Asia. Passengers required longer time and distance to go to the destination because direct flights decreases. But passengers increased in airport every year. Because of routes that decrease, airlines provide more services of flights. So airlines prefer to Hub Airports. As a result, both passengers and airlines are profitable by various routs and the increased frequency. On the assumption that distance and fare are related, the final formula is as following that defined the air fare from hub(H) to destination(Z) by logarithm. Analysis showed that log Rdist is not 1 but 0.08. As distance increases, fare doesn't increase. If distance from hub to destination airports is longer, Log dist_HZ is negative. It is that fare decreases from origin to destination via hub or that fare increases from hub to destination. HHI_HZ and HHI_AZ are negative. It means that if the degree of monopolization of hub and origin airports is lager, fare decreases from origin to destination via hub. Or fare increases from hub to destination. And it compares the Incheon airport with the other Asian hub airports and it examines the competitive fare by market division. As compared with the Incheon airport, Singapore, Beijing and Narita airports are higher fares. They compete with the other ones by Asian hub airports. But Hong Kong and Taipei airports must have more passengers through fare competition yet. 미국과 유럽의 경우 항공 자유화(Open-sky policy)를 통해 다자간 경쟁 시장 원리 채택하였다. 하지만 아시아권의 경우 주요 국적사가 공항을 독점하고 있다. 아시아권 허브 공항의 요금 경쟁력 분석과 아시아권내 우리나라 공항의 위치성을 알아보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승객의 입장에서는 직항 서비스가 줄어들기 때문에 목적지를 가기 위해 더 긴 시간과 거리가 소요된다. 하지만 공항의 입장에서는 탑승 승객 수는 매년 증가하고, 항공사의 입장에서는 감소한 노선 때문에 더 잦은 운항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항공사는 허브 공항을 선호한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노선과 늘어난 빈도수로 인해 승객과 항공사 모두에게 이익이다. 거리와 요금이 관련이 있다는 가정을 하고, 허브 H로 부터 목적지 Z의 비행 요금을 자연로그로 정의한 최종식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공항간 거리 비례 변수는 거리에 대해 1값으로 거리가 증가하는 만큼 요금이 증가하는 정비례가 아니라 양의 값인 0.8이다. 허브에서 종점공항간 거리 변수는 음의 값으로 허브에서 종점 공항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면, 기점에서 허브 공항을 경유하여 종점까지의 요금이 감소하거나, 허브 공항에서 종점까지의 요금이 증가하게 된다. 허브공항 독점도와 기점공항 독점도는 모두 음의 값으로 허브 공항과 기점 공항의 독점이 클수록 기점에서 허브 공항을 경유하여 종점까지의 요금이 감소하거나, 허브 공항에서 종점까지의 요금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시장 분할을 통해 인천 공항과 동아시아 허브 공항간 비교를 통해 요금 경쟁력을 알아보았다. 싱가포르, 베이징, 나리타공항은 인천 공항에 비해 경유 요금이 높은 것을 알 수 있고, 이것은 아시아권 허브 공항으로써의 요금 경쟁을 하지 않아도 여객 처리 순위에 어느 정도 올랐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나머지 홍콩과 타이페이는 아직 요금 경쟁을 통해서 여객을 유입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 KCI등재

        허브공항 환승관광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사례연구 - 해외 허브공항 사례들을 중심으로 -

        이혜정(Lee, Hye-Jeong),정철(Jeong, Chul)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1 觀光硏究論叢 Vol.33 No.4

        허브공항은 도시의 관문이자산업들의 핵심 인프라로 작용하여 일자리창출을 비롯하여 국가 경제와 경쟁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허브공항 지위 유지 및 강화를 위해 환승율 지표는 매우 중요하므로 환승객 유치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더욱이 환승객의 소비는 공항 및 인근도시의 수익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블루오션 및 니치마켓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유명 허브 공항들의 환승관광 프로그램 사례 조사를 통해 세계 주요 허브공항의 환승관광 프로그램의 특징을 탐색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어떻게, 왜라는 질문에 적합한 Yin(2016)의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명 해외 허브공항의 환승관광 프로그램에서 도시 접근성은 나리타를 제외하고 공항 접근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명 해외 허브공항의 환승관광 프로그램의 형태와 속성에 대한 결과는 해당 국가의 역사가 오래될수록 역사와 전통성을 느낄 수 있는 문화체험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는 해외 유명 허브공항이 가진 환승관광 프로그램의 특징을 파악하여 환승관광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알리고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는데 있다. 실무적 관점에서는 인천국제공항의 환승관광 프로그램 제고를 위한 정책적 방안제시의 의의를 가진다. Hub airports are the gateway to the city and the core infrastructure of industrie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job creation effect, national economy, and global competitiveness. Since the transfer rate is important as an indicator of hub airport, various methods should be sought to attract transfer passeng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er tourism programs at major hub airports in the world and to derive implications through case studies of transfer tourism programs at famous hub airports abroa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ase study method of Yin (2016) suitable for the question of how and why was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transfer tourism program at famous overseas hub airports, urban accessibility was high except for Narita. Second, As the history of the country becomes longer, cultural experience programs where you can feel the history and tradition are being activated.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expansion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er tourism programs of famous overseas hub airports. In practice, it is meaningful to present policy measures to enhance the transfer tourism program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 KCI등재

        글로벌 허브공항의 장소적 특성에 따른 공공미술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인천국제공항 제 2여객터미널(T2) 중심으로-

        강윤경 ( Yoonkyoung Kang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공항은 각 나라의 첫 인상을 전달해주는 장소로 그 나라의 문화를 느낄 수 있는 대표적인 공공장소이다. 최근 글로벌 허브공항에 설치된 공공미술 작품들은 승객들에게 문화소통이라는 특별한 경험 서비스를 제공하여 글로벌 시대의 국제적인 허브 공항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공항이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며, 우리나라의 인천공항 제 2여객터미널(T2)은 개항을 앞두고 ‘아트포트(ART+AIRPORT)’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인천국제공항 T2의 공공미술작품을 분석하고 작품들의 특성을 연구하여 공항이라는 특수한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나타나는 의의와 향후 글로벌 허브공항의 공공미술 방향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대한민국의 상징인 인천국제공항의 T2 내에 수준급 미술품을 배치를 목표로 2017년 10월 진행했던 ‘아트포트(Artport)’ 프로젝트에 선정된 5개의 작품과 추가로 T2의 작품 중 박태호 작가와 강희라 작가의 작품 총 7작품을 연구의 범위로 설정한다. T2를 ‘아트포트(Artport)’로 만들기 위해 설치된 작품을 분석하고 글로벌 허브공항이라는 특수한 장소에 공공미술작품과의 상관성을 연구한다. (결과) ‘그레이트 모빌(Great Mobile)’과 ‘모호한 벽(Ambiguous Wall)’은 공공성&상징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두 작품은 설치 공간에 의해 장소적 특성중 공간의 이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빛과 그림자’와 ‘Hello’는 공공성&예술성이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공공성&상징성을 가진 작품들과 같이 공간의 이동성과 관계가 높게 보여졌다. ‘Wings of Vision’, ‘Bit. Fall’, ‘Media Cloud’는 공공성&참여성이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난 작품으로 작품에 따라 공간의 이동성, 글로벌문화성, 상호작용성이 각각 높게 나타나 장소적 특성과의 관계분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첫째, 글로벌 허브공항의 공공미술 작품들은 공공미술의 특징을 기본으로 매력적인 공간을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글로벌 허브공항의 공간만이 가지는 특성을 고려해 공간 이미지를 부각시키며 작품과의 관계를 맺고 의미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셋째, 글로벌 허브공항의 상호작용성은 인간-인간, 인간-공간, 인간-작품 사이에 모두 관계를 맺고 있으며 참여를 통한 공감대 형성과 교감이 공공미술작품의 가치를 높이며 공간에 의미를 갖게 한다고 볼 수 있다. 공공미술의 발전은 국제적 마케팅이 되어 글로벌 허브공항으로 자리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n airport is a place to convey the first impression of a country and a public space representing the country’s culture. The public art pieces recently installed at the global hub airport provide the unique service experience of cultural interaction, allowing the hub airport to perform its role in the global era. Transforming airports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is a global trend. In Korea, an Artport (ART+ AIRPORT) project was launched ahead of the port opening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erminal 2 (IIA T2). By analyzing the public artwork located in IIA T2 and studying their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significance of the installation of art pieces in unique places like airport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public art in hub airports. (Method) The study analyzed seven art pieces: five art pieces selected from the Artport project launched in October 2017 to be placed in IIA T2 and two additional pieces by artists Taeho Park and Heera Kang.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art pieces installed in IIA T2 to make it an “artpor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art pieces and special places like hub airports. (Results) Great Mobile and Ambiguous Wall showed high public and symbolism. Given the location of their installation, these two art pieces had high mobility of space. Both Light and Shadow and Hello were characterized by high public, artistic qualities, and a relationship with mobility of space, similar to the other art works that had high public and symbolism. Wings of Vision, Bit. Fall, and Media Cloud showed high public, participation, and high levels of space mobility, global culture, and interaction in art works, accordingly. Therefore, the relation distribution of location characteristics was confirmed. (Conclusions) Firs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the artwork at hub airports should be able to form an attractive space. Second,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hub airports, the image of the space should be emphasized and become a meaningful space by engaging the artwork. Third, hub airports’ interactivity should engender human human, human space, - - and human-artwork relationships. Thus, the formation of empathic bonds and communion through participation elevates the value of public artwork and grants the meaning of the space. The development of public art should become an international marketing that can serve as a driving force to establishing hub airports.

      • KCI등재후보

        아시아태평양 공항 네트워크의 구조와 허브지수

        오성열,박용화 한국교통연구원 2010 交通硏究 Vol.17 No.3

        The hub and spoke network is a form of airline network, which emerged after the U.S. government's deregulation in the 1970s. The objective of this network strategy is to enhance the effectuality of aircraft operation, as aircrafts are limited resources. The hub and spoke network spread over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hub airports are internationally defined and acknowledged as the centers and origin points of global trade, governing the flow of people, information and culture. Naturally, the competition among hub airports is growing severer by day. The hub and spoke network has been studied in various fields of the aviation industry, but it is now attracting interest in the aspect of network science. Airport networks around the world are often referred to as show cases of scale-free networks, along with the world wide web and the internet. Network science can be applied to any given field, as far as the subject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nodes and links. This study is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airport network in the Asia Pacific region from the perspective of network science. Hub airports are ranked based on hub indices, derived from the notion of centrality, which is a concept used in the social network studies. Evaluations based on hub indices, such as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showed that certain airports always ranked higher than others, regardless of the applied index. However, other airports were less consistent, being ranked high for certain indices but low for others. Airport networks are scale-free networks, consisting of a small number of hubs. There is a need to employ a wide variety of perspectives in evaluating and understanding these hubs. Transfer rates are often used as the sole index in assessing the statuses of hub airports, but there is a need to apply multiple other indices from different stances. 허브 앤 스포크 망은 1970년대 미국의 규제 완화 이후 생겨난 항공사 노선망의 형태이다. 이는 유한한 자원인 항공기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이런 허브 앤 스포크 망은 전 세계로 퍼져 나갔고, 21세기 각국은 허브공항을 대외교류의 거점, 사람, 정보, 문화가 집결되고 전파되는 중심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허브공항들 간의 경쟁은 치열하다. 허브 앤 스포크 망은 항공 산업 분야의 연구에서 많이 다뤄졌지만 네트워크 과학 측면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전 세계의 공항 네트워크는 인터넷, 월드와이드웹과 함께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사례로 종종 언급되고 있다. 네트워크 과학은 노드와 링크로 표현될 수 있다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아시아태평양의 공항 네트워크를 네트워크 과학 측면에서 구조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사회 네트워크 학문에 통용되는 중심성 개념을 허브지수로 활용하여 허브공항의 순위를 평가하였다. 연결 정도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고유벡터 중심성 등의 허브지수를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몇몇 공항은 어느 지수로 평가해도 상위권에 속하였다. 그러나 하나의 허브지수에서 상위권이지만 다른 허브지수에서는 그렇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공항 네트워크는 소수의 허브가 존재하는 척도 없는 네트워크이며, 이 허브를 평가할 때는 다양한 관점으로 바라보고 그 의미를 해석해야 한다. 흔히 환승률 단 하나만으로 허브공항을 평가하는 잣대로 삼고 있는데 이것보다는 다른 관점에서의 지표가 필요하다.

      • KCI등재

        인천국제공항 장기전략 수립 방향성에 관한 연구

        신태진 ( Tae-jin Shin ),김지희 ( Ji-hee Kim ),이윤철 ( Yun-cheol Lee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6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4 No.3

        인천공항은 2001년 개항 이래 한국의 관문 공항으로 서비스 차원에서 세계 최고 공항으로 평가받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항 관련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인천공항이 장기적인 경쟁우위를 지속하기 위해 어떤 전략적 방향성을 설정할 것인지를 도출해 보았다. 공항전략의 구성요소는 본원적 공항 서비스 프로세스, 상업시설 및 인접 지역개발, 항공화물 서비스, 지상 교통 연결로 구분될 수 있다. 글로벌 경쟁공항의 이들 구성요소에서 어떤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스키폴, 두바이, 쳅락콕 공항을 벤치마킹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인천공항의 장기전략 방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세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기술적 변화요인으로,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3D 프린팅, 친환경 기술 등에 의한 변화요인이다. 인천공항은 새로운 기술이 산업에 적용되고, 이를 통해 다른 차원의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혁신자가 되어야 한다. 둘째, 산업 구조적 변화요인이다. 한국의 산업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공항은 글로벌 인적 교류 및 물류가 가장 빈번히 이루어지는 지리적 이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산업의허브’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공항 인접 지역을 금융, 의료산업 등 교류가 중요한 산업의 중심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셋째, 거시 환경적 변화요인이다. 중국의 부상, 남북통일 등 동북아의 교통 물류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요인이다. 인천공항은 ‘기술과 산업의 허브’를 기반으로 동북아 ‘종합 교통의허브’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나아가 지속적으로 신뢰·존경받는 공항이 되기 위해서는 이 모든 과정에 공유가치창출(CSV)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e main gateway to Korea since 2001, has a reputation as the number one airport in the world, based on service.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strategic direction to better sustain a long-term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air transportation industry. The main components of airport management strategy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areas: 1) airport service process, 2) development of commercial facilities and neighboring areas, 3) air cargo service, and 4) ground transportation connections. To assess the competitive challenges in the airport industry, this research has benchmarked three airports: Amsterdam Airport Schiphol, Dubai International Airport, and Hong Kong International Airport. There are three primary aspects of airport operation requiring long-term strategic direction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e first area is technology-driven innovation represented by IoT(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alysis, 3D printing, and Eco-Technology.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needs to be an industry-leading innovator in applying new technology and making value-added staffing and hiring decisions. The second area requiring strategic direction is addressing structural changes in the airport industry. Incheon Airport should be an ‘Industrial hub’ to take full advantage of its geographic location and important role in logistics and personal exchange in accordance with industry transitions in Korea. Incheon Airport needs to develop its neighboring area to become a core of interchange based industry, including finance, healthcare, etc. The third area of airport operations requiring direction is addressing and adapting to changing macroeconomics. The economic rise of China and the potential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fundamental aspects of Korea``s transportation system. Incheon airport should be regarded as a ‘comprehensive transportation hub’ and an ‘integrated hub of technology and industry.’ Finally, the entire aforementioned process should be based on CSV(creating shared value) in order to leap forward to becoming an airport with sustainable trust and honor.

      • KCI등재

        글로벌 허브공항의 스테이테인먼트 공간콘텐츠 특성 연구

        김면 ( Kim M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글로벌 허브공항들은 항공기의 편리한 이착륙과 안전하고 빠른 수속 등의 기능을 넘어선 공항 이상의 고유한 브랜드 이미지를 찾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공항은 여행의 일부로서 거쳐 가는 장소가 아닌 시간을 즐기는 놀이와 휴식의 장소로 바뀌어 가고 있으며, 테마파크와 리조트 기능을 반영한 복합 엔터테인먼트 문화공간으로 진화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항 이용객의 만족도와 재 방문 의사에 영향을 주는 가치 경험 차원의 스테이테인먼트 공간콘텐츠의 개념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특성 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진행하였으며, 글로벌 허브공항 및 지방공항의 경쟁력 강화에 실증적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엔터테인먼트먼트의 범위와 개념의 이해를 통해 스테이테인먼트의 개념 정립을 하였다. 다음으로 공간으로의 확대를 위해 공간콘텐츠의 정의 및 이론적 쳬계의 조사를 진행하여 그 유형과 역할을 정리하였다. 둘째, 고찰을 통하여 공항의 스테이테인먼트의 개념으로 확장하고 시설중심형(Hardware)과 콘텐츠 중심형(Software)으로 분류하여 스테이테인먼트 공간콘텐츠의 요소와 특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스테이테인먼트 공간콘텐츠를 시설중심형 스테이테인먼트 와 콘텐츠 중심형 스테이테인먼트로 나누고 각각의 유형에 디자인 전략적 공간콘텐츠와 프로그램 전략적 공간콘텐츠로 구분하였다. 상징성, 정체성, 복합성, 체험성, 연계성의 5요소에 15가지의 세부 평가요소를 적용하여 분석툴을 제시하였다. 넷째, 조사대상지 글로벌 허브공항을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하였다. (결과) 상위 5개 공항을 종합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즐거운 경험의 요소가 반영된 스테이테인먼트의 요소가 공간콘텐츠와 함께 고루 적용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국제공항은 예술성과 심미성이 있는 랜드마크요소와 정체성 있는 디자인을 통한 복합적 서비스 공간의 조화로 이루어지는 시설중심의 스테이테인먼트와 고객 참여를 유도하는 체험과 오락성 기반의 프로그램을 반영한 콘텐츠 중심형 스테이테인먼트의 요소가 요구된다 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공항의 하드웨어적 성격과 소프트웨어적 유형에 따라 시설중심형 스테이테인먼트요소와 결합된 디자인전략 공간콘텐츠, 콘텐츠 중심형 스테이테인먼트와 결합된 프로그램 전략적 공간콘텐츠의 큰 두 범주로 구분한 후 그 특성을 도출하고 세부 항목 및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공항의 브랜딩을 위한 스테이테인먼트 공간콘텐츠 구성요소로서 지속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공항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을 위한 연구의 기본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global hub airports are striving to find a unique brand image that goes beyond the functions of convenient take-off and landing of aircraft and safe and fast procedures. The airport is not a place to go through as part of a trip, but is becoming a place of play and relaxation to enjoy time, and it is evolving into a complex entertainment and cultural space that reflects the functions of theme parks and resor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the value-experienced staytainment spatial contents tha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airport users and the intention to visit again was focused on researching the concept and deriving characteristics. We want to give empirical help in strengthening. (Method) First, the concept of staytainment was established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scope and concept of entertainment. Next, to expand into space, the definition of spatial contents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theoretical system were conducted, and the types and roles were summarized. Second, through consideration, it was expanded to the concept of airport status and classified into facility-oriented (Hardware) and content-oriented (Software) to deriv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aying spatial contents. Third, the staytainment spatial contents were divided into facility-oriented staytainment and content-oriented staytainment, and classified into design strategic spatial contents and program strategic spatial contents for each type. An analysis tool was presented by applying 15 detailed evaluation elements to the five elements of symbolism, identity, complexity, experience, and connection. Fourth,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global hub airport for the survey. (Results)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top five airports, it was evaluated that the elements of staytainment, which reflected elements of a pleasant experience, were applied evenly along with spatial contents. Based on these results, a global international airport is a content-centered message that reflects a facility-oriented statement that is a harmony of a complex service space through an artistic and aesthetic landmark element and an identity design, and a program based on experience and entertainment that induces customer particip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element of type staytainment is required. (Conclusions)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design strategy spatial content combined with facility-oriented staytainment elements and program strategic spatial content combined with content-oriented staytainment, depending on the hardware characteristics and software type of the airport. After deriving, detailed items and evaluation elements were deriv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guideline as a study to establish a brand identity of an airport and present a continuous direction as a component of the message spatial content for the branding of the airport in the future.

      • KCI등재

        동북아 주요 허브공항들의 소유 및 관리운영 체계와 재무성과 비교 연구

        이미애,유광의 한국항공경영학회 2019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7 No.5

        동북아 지역 주요 허브 공항인 북경 서우두공항, 상해 푸동공항, 동경 나리타공항, 서울 인천공항의소유와 운영관리 조직 체계를 개괄하고 공항운영의 재무적 성과를 성과지표(performance indicator)를활용하여 비교했다. 이 공항들의 소유권자는 모두 정부인데, 상해 푸동공항만 지방정부 소유이고 나머지는 중앙정부 소유이다. 운영주체는 대부분 공기업이고 동경 나리타공항은 일반기업이다. 따라서, 공항운영에 정부의 항공산업 전반의 정책이 심각하게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볼 수 있다. 재무성과는 대체적으로 인천공항이 나리타공항보다 우월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인천공항은 영업활동에 의한 수입이나 수익성에서 앞서고 있다. 여객 당 총수입은 나리타공항이 앞서고 있는데 이는 착륙료 및 여객 공항이용료율이 높기 때문이다. 서우두공항과 푸동공항의 비교에서는 푸동공항이 서우두공항과보다 우월한 것으로 산출되었는데 이는 상해가 북경보다는 상업화가 진전되어있고 푸동공항의 소유권이 중앙정부가 아닌 상해시인 것이 근본적 원인일 수 있다. 또한, 상해 푸동공항의 경우 총여객 수에서 국제선 여객 수의 비중이 높아서 여객 당 수익이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인천공항의 상업활동에 의한 재무성과가 타 공항들에 비해 월등히 좋은 것은 면세점 운영에 따른수입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기 때문인데 이와 같은 결과가 공항운영자의 관리능력과 참여하는 면세점업체의 판매능력 중 어떤 요인이 더 중요하게 작용했는지는 더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항공산업의 주요 참여 기업은 공항기업과 항공기업이다. 지금까지의 국내 연구에서는 항공산업에서의 재무연구는 항공기업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반면 공항기업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재무자료의 확보의 어려움과 수익성 보다는 공익성이 중시되는 기업형태이기 때문이다. 본논문은 공항의 재무성과와 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한 기초연구를 시도함으로써 항공산업에 대한 연구의시야를 확대했다는 점에서 공헌도를 기대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순수 학술적 연구로서 자료 수집 등에 비용 제한으로 인한 세밀한 분석을 수행하지는 못했다. 향 후 본 연구를 토대로 보다 정밀한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system of the major airports in Northeastern Region, including Beijing Capital Airport, Shanghai Pudong Airport, Tokyo Narita Airport and Seoul Incheon Airport was discussed and conducted a comparison of financial performance between those airports. The ownership of those airports belongs to central government, except Pudong Airport whose ownership belongs to Shanghai City government. The overall financial performance of Incheon Airport was better than that of Narita Airport mainly cased by outstanding revenue from duty fee shop. However, the revenue per passenger of Narita Airport was better than Incheon, based on higher rate of aeronautical charges at Narita. The Pudong Airport marked better financial performance than Capital Airport in Beijing. That might be basically caused by the ownership of Pudong Airport which is belonged to local government of Shanghai city, where the level of commercialization is higher than Chinese central government who owns Beijing Capital Airport. However, the comparison of financial performance of commercial airports cannot be interpreted straightforwardly because the external constraints are seriously influencing on commercial activities of the airport. In addition, the development stage of socio-economic status of those three countries are very different and this will impact their economic results of airport operation. The airlines and the airports are major enterprises in air transportation industry. While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studies on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airline industry, there have only few researches on airport’s 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will contribute on the economic review for airport operation. This study is an academic research without funding, and the authors could not conduct sufficient survey which require financial support. As a result, detailed analysis which require appropriate data could not be conducted, and it is a constraint of this study. We look forward more sophisticated analysis with sufficient data for financial performance of commercial airports.

      • 공항의 환승율 제고를 위한 MCT의 향상 방안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이강석 한국항공경영학회 2006 한국항공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06 No.-

        동북아시아지역에서 인천국제공항이 최고의 허브공항으로서 역할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환승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인천국제공항은 2005년도에 3,054,485만명의 환승여객을 처리하여 환승율은 11.9% 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동북아시아의 경쟁허브공항의 환승율인 30-40%와 비교해보면 공항경쟁력이 상당히 뒤쳐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관련 인자들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어지는데 그중에서 인천국제공항의 비행편최소연결시간(MCT)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항공기 스케쥴, 항공사 배치, 게이트 배정방법, 수하물처리, 여객 동선 등이 함께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자들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이 단기간에 걸쳐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외국 허브공항의 MCT 수준, 관리방법, 국외사례 등을 고찰해 보고 동북아시아에서 허브공항을 향한 인천국제공항의 환승율 제고차원에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