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鄕․部曲의 성격 재검토

        정요근(Jeong, Yokeun) 한국사학회 2016 史學硏究 Vol.0 No.124

        본 논문에서는 고려시대 향․부곡의 분포 밀도가 높았던 충청도 서북부, 경상도 북부, 전라도 서남부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향․부곡의 지리적 분포나 입지 조건, 규모 등을 분석하고, 그에 기초하여 향․부곡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향․부곡은 군현 단위의 규모가 되지 못하는 지역에 설치된 것이며, 독자적인 군현이 될 만큼 토지나 인구가 풍부하지도 않았다. 대체로 향․부곡은 산간의 분지 지대나 하천의 하구, 해안의 개척지 등 경작지의 개간과 주민 이주를 통하여 새로이 개발된 지역에 위치하였다. 또한 향․부곡은 타 지역 주민의 이주, 지형적인 분리, 국가의 특별한 필요에 의한 인위적 조치 등으로 인하여, 주변의 군현 소속 일반 촌락과 구별되는 독자성과 자립성을 가졌다. 그런 까닭에 향․부곡이 특수 행정구역으로 편성되었던 것이다. 향․부곡 주민들에 대한 법제적 신분 차별은 개별 향․부곡의 독자성과 자립성 유지, 그리고 주민들의 타 지역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향․부곡의 주민들은 자기 지역에 긴박되어 세습적으로 거주하였고, 향․부곡은 이른바 계서적인 본관제적 사회질서의 하부에 자리 잡게 되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locational condition and areal range of special residential districts called ‘hyang’ and ‘bugok.’ We examine characteristics of these districts in Chungcheong,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s of South Korea, specific regions where hyang and bugok districts were densely located. The hyang and bugok districts were located in areas that lacked large cultivated land area and population, and featured smaller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units. Mostly, the hyang and bugok districts were located in mountainous basin, river mouth and coastal land that were reclaimed cultivated lands or vacated through migration. On the basis of geographical isolation, the hyang and bugok districts had independence and autonomy distinguished from neighboring villages managed by local administrative units. Thus, the Goryeo government organized the hyang and bugok districts as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units. Legislative social discrimination on the hyang and bugok residents was aimed for maintaining independence and self-support, as well as the prevention of resident migration to other regions. Therefore, the hyang and bugok residents had to be bound and live in their districts for generations, and the hyang and bugok districts were socially positioned lower on the Bongwan system, Goryeo dynasty’s unique hierarchic social order.

      • KCI등재

        조선 초기 향악용 악기의 종류 고찰(1)

        김성혜 한국음악사학회 2010 한국음악사학보 Vol.45 No.-

        In order to find the kind of instruments used in hyangak 郷楽 of the early Chosŏn period, from King Sejong 世宗 to King Sŏngjong 成宗, this study examined Akhak kwebŏm 『楽学軌範』 of looking for the occasions where hyangak was performed. They were the three ceremonies at Munsojŏn 文昭殿, Honjŏn 魂殿 and Ŏjŏn yeyŏn 御前禮宴. The number of instruments arranged for these ceremonies were about 10 more or less, though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such ancestral rites as Munsojŏn and Honjŏn, especially in ch'inhyang 親行 and sŏphaeng 摂行 of them. In the reign of King Sejong (1418-1450), there were 10 of them that are pak 拍, hyŏn'gŭm 玄琴 (or kŏmun'go 거문고 in Korean), kayagŭm 伽耶琴, hyangbip'a 郷琵琶, tangbip'a 唐琵琶, taegŭm 大笒, haegŭm 奚琴, hyangp'iri 郷觱篥, changgo 杖鼓 and kyobanggo 教坊鼓 but in the reign of King Sŏngjong (1469-1494), the number of instruments became 11 with addition of wolgŭm 月琴. As a result of the study, a few different views on hyangak instruments emerged that might contradict the existing ones. They are as follows;First, the problem of the period when haegŭm was first included in hyangak. It used to be believed that it was in the late 14 century based upon the classification of Tangbu akki tosŏl 唐部楽器図説 in Akhak kwebŏm chapter 7. But, according to this study, it had already been used since the Koryŏ 高麗 era. Second is concerning the view that considers pak to be a tangak 唐楽 instrument. It used to be regarded as a tangak instrument because it wasn't in the list of hyangakkong ch'wijae 郷楽工 取才 compil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and, moreover, it was classified as tangbu akki 唐部楽器 in Akhak kwebŏm chapter 7. This point of view led to the belief that pak is a mugu 舞具 in relation with chŏngjae 呈才, although it is recorded as a hyangak (native) instrument in Koryŏsa akji 『高麗史』 楽志. However, it turned out, through the study, when hyangak instruments are examined in terms of their usage, pak should be considered hyangdang 郷唐 instrument since it was used for both musics. Third is about when kyobanggo started to be used for both the hyangak and tangak. It used to be considered in the reign of King Sŏngjong based on Akhak kwebŏm chapter 7, but according to Sejong sillok 『世宗実録』, it dates back to 1433 (the 15th year of King Sejong).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hyangak instruments as well as the court music in the Early Chosŏn period. 본고는 조선 초기 향악에 쓰인 악기 종류를 파악하고자 『조선왕조실록』과 『악학궤범』을 토대로 향악이 연주된 사례를 찾았는데, 문소전과 혼전 그리고 어전 예연이었다. 이때 편성된 악기 종류를 검토한 결과, 제례인 문소전과 혼전의 경우 친행과 섭행에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10종의 범위를 넘지 않았다. 세종조부터 성종조에 이르기까지 향악에 편성된 악기 종류는 행사에 따라 10종 내에서 가감(加減)이 있었고, 그 이상은 넘지 않았다. 10종의 악기는 세종 때는 박·거문고·가야금·향비파·당비파·대금·해금·향피리·장고·교방고였고, 성종조 어전 예연 때 월금이 추가되어 11종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인하여, 조선 초기의 향악용 악기에 대한 기존 견해와는 달리 필자가 전개한 몇 가지 생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해금의 향악화 시기에 대한 문제이다. 해금이 『악학궤범』권7의 당부악기도설에 분류된 데 의거하여 선초 14세기 말부터 당악의 향악화 견해가 있으나, 필자가 보기에는 이미 고려시대부터 향악화된 것 같다. 둘째는 박을 당악기로만 보는 시각에 대한 것이다. 박은 세종조 향악공 취재 항목에는 없었고, 성종조 『악학궤범』권7의 당부악기에 편재된 데 의거하여 대체로 당악기의 대표적인 악기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에 따라 『고려사』악지에 향악기로 기록된 박을 정재와 관련된 무구(舞具)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본고에서 용도에 의한 향악기를 검토해 본 결과 박은 향·당악에 모두 사용되었기 때문에 향·당 겸악기로 해석해야 한다. 셋째는 교방고의 향·당 겸악화 시기에 대한 문제이다. 기왕에는 『악학궤범』권7에 의거하여 교방고가 향악화된 시기를 성종조로 해석하였으나, 『세종실록』에 의거하면, 1433년(세종 15)으로 소급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인하여 조선 초기 향악용 악기를 비롯한 궁중음악과 악기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전략지향성과 혁신성과와의 관계 : 기업가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도형(Do-Hyung Lee)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경영연구 Vol.27 No.2

        전략지향성에 관하여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마케팅 분야에서는 시장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을 전략지향성으로 그리고 경영전략 분야에서는 시장지향성과 기업가지향성을 전략지향성으로 간주하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시장지향성과 기술지향성 및 기업가지 향성 등 3가지 지향성 모두가 전략지향성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이들 3가지 지향성 모두를 포함하여 진행되어진 연구는 현재까지 소수에 불과하다(Aloulou and Fayolle, 2005; Hakala, 2011; Kaya and Seyrek, 2005; Li, 200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 3가지 전략지향성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장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을 선행변수로, 그리고 기업가지향성을 매개변수로 하여 이들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시장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은 기업의 혁신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기업가지향성을 통하여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즉 Inno-biz기업과 같이 기술지향성이 높은 기업들의 경우 기업가지향성이 있어야만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echnology intensive small companies which are registered with the Inno-biz certification programmes in Korea. Data are from 426 Inno-biz firms.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technology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South Korean contex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the appropriate interrelationship actively provide an organisation with the ability to achieve and maintain competitive advantage. Market and technology orientations do not directly affect innovation performances. However, it turns out that market and technology orientations can positively affect innovation performances but only through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e implication here is that for Korean technology intensive small firms, market and technology orientations can improve innovation performance only when it is combined with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e research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how SMEs can improve their innovation performance. It shows that in order to achieve and maintain a positive innovation performance, it is vital that a firm is able to possess an organizational structure that integrates and incorporates all three of these areas into a coordinated framework that allows innovative activities to take advantage of the benefits that all three of these orientations allow. Final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 경북지역의 박귀희 명창 기념 활동

        김석배,서혜은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4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3 No.-

        향사 박귀희는 가야금병창과 판소리의 명창으로서 국악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박귀희 명창을 기리는 기념사업을 정리하여 향후 향사 기념사업의 발전에 기여하 고자 했다. 이를 위해 (1)향사 박귀희 명창 기념공연, (2)향사 가야금병창 전국대회, (3)향사 가야 금병창 아카데미, (4)향사 박귀희 명창 학술대회, (5)그림자인형창극, (6)향사 아트센터 건 립 등 향사 기념사업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앞으로 향사 기념사업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과제로 (1)박귀희 명창이 남긴 음악 자료와 『향사 박귀희 가야금병창곡집』(세광출판사, 1979)과 박귀희 자서전인 『순풍에 돛 달아라 갈 길 바빠 돌아간다』(새소리, 1994)의 복간, (2)박귀희 명창에 관한 연구서, 『박귀희 전통공연예술활동 자료집』과 『박 귀희 평전』의 발간, (3)향사 도서관 및 향사 박물관을 건립, ‘향사대상’ 제정의 필요성 등 을 제안하였다. Park, Gwi-hui as a great singer of gayageumbyeongchang and pansori contributed a lot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project to commemorate Park, Gwi-hui by arranging the programs in the project in Gyeongbuk Province. For the above purpose, I explored the present state of the following programs done by Hyangsa Ginyeomsaeophoe: (1) a commemorative concert for Hyangsa Park, Gwi-hui, (2) a national competition of gayageumbyeongchang for Hyangsa, (3) an academy of Hyangsa gayageumbyeongchang, (4) a conference for Hyangsa Park, Gwi-hui, (5) a Korean classical opera by shadow puppets, (6) the construction of Hyangsa Art Center. Additionally, I made som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the commemorative project for Hyangsa Park, Gwi-hui.

      • KCI등재

        향원을 향한 유가윤리의 비판은 정당한가?

        이혜경(Yi, Hye-G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39 No.-

        본고는 유학 전통이 위선자라고 비난했던 향원(鄕原)에 대한 변론을 시도했다. 유학이 비판하는 향원은 선한 행위와는 달리 선하지 않은 ‘딴 마음’이 있는 사람들이다. 본고는 마음과 행위를 윤리평가의 대상으로 삼는 윤리체계를 각각 ‘마음의 윤리’와 ‘행위의 윤리’로 분류하고, 그 두 입장에서 향원에 대한 변론을 시도했다. 먼저 행위의 윤리 관점에서 보면, 향원은 비난받을 사람이 아니라 지극히 윤리적인 사람임을 논했다. 이어서 마음의 윤리의 입장에서 향원에 대한 비난을 관철시킬 수 있는 것인지 검토하고, 성장을 강조하고 교육을 중시하면서 윤리적 미숙상태를 부정적으로 취급하는 것은 옳지 않음을 논했다. 결론적으로 갈라진 마음속에서 선행 행위를 실천하는 향원은 비난받아야 할 사람이 아니라, 갈등 속에서 분투하는 보통사람이며, 그러한 노력은 오히려 격려되어야 하는 것임을 주장했다. This paper argued on behalf of Xiangyuna (鄕原), whom Confucianism has accused of hypocrisy. Confucianism criticizes that Xiangyuan has innermost feelings that are different from his displayed behavior. I categorized the ethics theory into ethics of mind and ethics of behavior, according to the object on which we judge good and evil. First from the ethics of behavior, I insist that Xiangyuan is not the subject of blame, but a very ethical person. Subsequently, I examined that the ethics of mind could accomplish the criticism of Xiangyuna. I insist that it is not right for the ethics of the mind to treat Xiangyuan as negative, because the ethics of mind esteem the role of learning or education. In conclusion, I argued that Xiangyuan is a common man who strives for the ethical behavior in spite of inner conflicts and his exertion should be encouraged.

      • KCI등재

        향단의 성격과 기능의 변이 양상

        김현주(Kim, Hyun-Joo),김진선(KIM, Jin-Seon)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4

        본 논문은 69종의 「춘향전」이본을 대상으로 향단의 등장 양상을 확인하고, 그 성격과 기능을 파악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작품 전체에서 향단은 만남, 사랑 단락에 출현 빈도가 낮았고 주로 보조적 조력자의 역할을 담당했다. 이별 단락부터 향단이 여러 장면에 등장하는데 이에 따라 향단의 모습도 달라졌다. 단순 조력자에서 적극 조력자로 변한 향단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춘향전」전체 단락 가운데 향단이 가장 많이 등장하는 부분은 춘향의 수난 단락이다. 이 단락 속에서 향단은 태형 맞는 춘향의 곁을 지키며 함께 슬퍼하면서 옥중 춘향의 수발을 드는 역할을 한다. 수난 단락 속에서 향단은 춘향의 고난을 극대화하여 표현하는 장치의 기능을 하고 있었다. 재회 단락에서 향단은 어사를 옥중 춘향에게 안내하고 변학도 생일날 춘향의 곁을 지키는 데까지만 등장하거나, 경성으로 올라가는 춘향과 동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때 향단의 후일담이 그려지는데 춘향의 입성과 함께 다뤄지거나 별도의 이야기를 갖는 등 보상이 이뤄졌다. 향단이 보상 받는 결말은 표면적으로 향단의 노고를 치하하는 기능을 하지만 내면적으로는 춘향의 수난을 부각시키는 기능을 한다. 향단의 성격과 기능은 각 계열별로도 차이가 있다. 남원고사 계열에는 전체적으로 향단의 출현과 기능이 약화되어 있다. 향단은 주로 단순 조력자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완판 계열에서 향단은 경판에 비해 다채롭고, 생동감 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옥중화 계열 속 향단은 대체로 동일한 양상으로 곳곳에 등장하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하지만 향단에 대한 보상이나 후일담은 없다. 철저히 조력자로만 부각된다. 창본 계열에는 향단의 외모에 대한 구체적 표현까지 확인할 수 있고, 춘향이 입성할 때 향단과 동행하는 결말과 향단의 후일담이 가장 많다. This article is written by the way of identifying how Hyangdan appears in the 69 different versions of Chunhyangjun and figuring out the character and the function of Hyangdan in them. As a result, in the whole story of Chunhyangjun, she appears less often in the paragraphs of meeting and loving of Chunhyang andMongryong, and usually plays an assistant helper. Fromthe paragraphs of parting of Chunhyang, Hyangdan appears more often in several scenes, so her appearance also changes. It could be figured out that she changed from a simple helper to an active helper. Among all the paragraphs of Chunhyangjun, Hyangdan appears most often in the paragraphs of Chunhyang’s suffering. In those paragraphs, Hyangdan stays with Chunhyang who was flogged, and laments and takes care of her during in prison. In the paragraphs, Hyangdan plays the function to express Chunhyang’s suffering by the way of maximizing it. In the paragraphs of meeting again of Chunhyang and Mongryong, Hyangdan just leads the UeSa(a royal secret investigator) to Chunhyang in prison and appears not more than in the scene of staying with Chunhyang at the birthday of ByunHakDo, or she accompanies Chunhyang on the way to Kyungsung. Then, in the epilogue of Hyangdan, she was treated along with Chunhyang when entering in Kyungsung, or rewarded, for example, by a separate story. The ending part where she is rewarded serves as the praise for her externally, but as a function to glorify Chunhyang’s suffering internally. The character and the function of Hyangdan differ even depending on the types of the versions of the story. In the type of Namwongosa(남원고사), Hyangdan’s presence and function are weak in general. She plays usually a simple helper. However, in the type of Wanpan(완판), she looks more lively and colorful than in Kyungpan(경판). In the type of Okjunghwa(옥중화), she appears usually in the same way in these and those scenes and plays an active role, but without a reward or an epilogue. Completely she is represented only as a helper. In the type of Changbon(창본), the concrete expression about Hyangdan’s appearance can be found out, and there are the longest ending part in which Hyangdan accompanies Chunhyang on the way to the Capital and the epilogue of Hyangdan.

      • 향 감성 구조 및 생리 반응

        박미경 ( M. K. Park ),이정미 ( J. M. Lee ),최지연 ( J. Y. Choi ),이경화 ( K. H. Lee ),이배환 ( B. H. Lee ),손진훈 ( J. H. Sohn ) 한국감성과학회 2000 추계학술대회 Vol.2000 No.-

        본 연구는 향의 감성 구조를 밝히고, 향 선호도를 예측하는 감성요인을 규명하며, 향에 대한 자율 신경계 반응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향에 대한 주관적인 감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25개의 감성 형용사로 구성된 향 감성 측정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이 척도를 이용하여 lavender, lemon, rose, jasmin, peppermint의 다섯 가지 향에 대해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향 감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향에 대한 감성 구조는 심미성, 강도, 자연성, 여성성-남성성, 개성, 중량감의 여섯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향에 대한 자율 신경계 반응 측정은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lavender, lemon, rose, jasmin, peppermint 향에 대해 실시하였다. 향에 대한 자율 신경계 반응 측정 결과, PPG 반응은 남녀 모두 lavender, lemon 향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남자의 경우, PPG 반응은 rose, peppermint 향에서도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SKT 반응은 lavender, jasmin 항에 대해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 KCI등재후보

        향심기도 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

        박영미 ( Yong Me Park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4 동서정신과학 Vol.17 No.1

        본 연구는 관상기도(Contemplation)의 한 방법으로 향심기도(Centering Prayer) 할 때 나타나는 내적 변형 과정을 알아보기 위한 향심기도 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1회 향심기도에 대한 소개 피정과 6주 후속 프로그램을 마치고 하루 2회 40분 이상, 일주일에 6-7일, 3년 넘게 향심기도를 하고 있는 9명의 연구 참여자에게 향심기도 중의 체험과 향심기도 후 일상생활에서의 체험에 대한 연구 질문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으로 하였고, 연구자의 편향된 분석을 피하고자 연구자를 포함한 4명의 평정자와 1명의 감사가 자료분석에 참여하였다. CQR에 따라 향심기도 체험내용을 분석한 결과 3개의 영역에서 30개의 범주가 형성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3개의 영역은 ‘향심기도 중의 체험’과 ‘향심기도 후 일상생활에서의 변화’, 그리고 ‘향심기도 후 일상생활에서의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 등이다. 자료 분석을 통해 향심기도 중에 일어나는 치유의 과정과 향심기도 후 일상생활에서의 통합적 변화, 그리고 향심기도에서의 ‘긍정적인 정서 체험’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향심기도 체험에 대해 합리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이루어진 첫 연구이다. 둘째, 향심기도 체험을 통해 하느님과의 일치로 나아가는 내적 변형의 과정을 명료화하여 심리치료적 기제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셋째로 본 연구를 통하여 향심기도 수련에 대한 친밀감을 높이고, 하느님과의 일치로 나아가는 내적 변형 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울 수 있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to examine the inner process of transformation which is seen during Centering Prayer. For this study, 9 participants took part in this qualitative research. It was conducted with the questionnaire to find out 9 participants`` experiences during Centering Prayer and in their normal life after the program.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with CQR(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d by 4 judges and one auditor to avoid the researcher``s bias. Through the CQR method, it wa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ir Centering Prayer experiences that showed three domains and thirty categories. This three domains included ``experiences during Centering Prayer``, ``changes after practicing Centering Prayer`` and ``factors which causes changes in their normal life``. Therefore, inner transformation by Centering Prayer was circulative. Moreover, integrative changes in their normal life and constant praying showed gradual and spiral transformative process into the unity with God.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data, it discussed healing process during Centering Prayer, integrative changes in normal life and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in normal life after the prayer. The meaning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First, it was the first research by CQR about experiences of Centering Prayer. Second, through the Centering Prayer experiences, it provided information of psychotherapeutic mechanism by clarification of inner transformative process into the unity with God. Third, it can raise the intimacy with Centering Prayer and help understanding of inner process. it is hoped that many research methods about Centering Prayer be activated. Also, various academic approaches to the holistic and integrative person is needed. Especially, it is expected to find out the mechanism applicable to the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rough psychological approach.

      • KCI등재후보

        만성한묘(滿城漢墓)출토 향구(香具)를 통해 살펴본 한대 향문화(香文化)

        최국희 ( Choi Gukhee ) 동양미술사학회 2020 동양미술사학 Vol.10 No.-

        香은 중국에서 악취나 벌레를 제거하고 의복에 좋은 냄새를 더하며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려는 목적으로 춘추전국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한대에 이르러서는 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왕실을 중심으로 향구가 사용되면서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수량도 풍부해졌으며 사용범위도 확대되었다. 滿城漢墓는 景帝의 아들이자 武帝의 이복형이었던 中山國 靖王 劉勝과 그의 부인 竇綰의 무덤으로서 香爐 6점과 香枕 2점 그리고 향료가 출토되어 서한대 왕실의 향문화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만성한묘의 향구에 대한 분석과 동시대 문헌기록의 해석을 통해서 한대의 향문화를 고찰하였다. 만성한묘의 향로는 형태의 특징에 따라서 豆形, 博山形, 多足形, 帶柄形 등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향을 담아 사용하는 향침에는 산초나무 열매(花椒)가 가득 채워져 있었는데 이 열매는 중국 본토향료로 향신료, 약재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후에 망자의 혼령을 하늘로 인도해 준다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한대 향에 대한 관념과 사용은 향구의 형태, 함께 부장된 기물 및 출토된 공간의 특성에 따라서 예의상의 향과 생활 속의 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만성한묘에서 祭器, 酒器와 함께 출토된 향로는 연회 혹은 제사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던 것이고 욕실공간에서 목욕기물과 함께 부장된 향로는 냄새와 세균을 없애서 욕실의 환경을 개선하거나 목욕시 몸에 향이 스며들도록 사용되었던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In China, the incense began to be used from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ith the aim of removing bad odor or bugs, adding good smells to clothing, and purifying air in the room. In Han Dynasty, Increased interest in fragrance and the use of incense vessels around the royal family, the incense vessels has also developed. The owner of Tomb No.1 is Liu Sheng, Prince Jing of the Kingdom of Zhongshan in the Western Han While Tomb No. 2 belongs to his spouse Dou Wan, eight incense vessels and spices have excavated there. In this paper, an analysis of the incense vessels of the tomb, which can be divided into 4 types based on their different shapes. Combining the artifacts discovered from archaeological excavations with historical literature, we find that incense was used in ceremonies, banquets and lifestyle during this period, particularly by the upper class.

      • Assessing and Predicting Apparel Impulse Buying

        Eun Joo Park,Judith C,Forney 한국마케팅과학회 2011 Journal of Global Fashion Marketing Vol.2 No.1

        服??消?者提供一??高的享?价?和???趣。作??注新和?化的??的??,服??品可以?造美妙的幻?。相反,服?也受各?享?行?的影?,例如????。消?者越?繁的光?服?店去?得一些?于市?上最新的??的想法而不是去?考?物??,就越有可能?行??性消?。而且,消?者有可能越?越偏?他?所需要的而?成他?想要的。?表明服????品???????行?有影?。 ????被??是?代生活方式中的一?普遍?象。而且?占了各??所?出?品的?可?的一部分。一?可能的解?就是消?者???品不是考庭??原因而是享?主?,例如有趣,美好和社?及情感上的?足。通?剌激消?者????品需求,店???在影?????行?方面起到重要的作用。此外,?一?有吸引力的物?接近消?者?,??情??容易激起消?者的????。??情?反?主要?引起不考??政和其他后果。 根据?有的文?,我??展了一??念?架?分析???量(享??向,店???和?物情?)是如何影?服?????的。我???了五?假?:享??向??物情?正相?(H1);享??向和店???正相?(H2);店???和?物情?正相?(H3);店?????????型正相?(H4);?物情???????型正相?(H5)。我?通?文?回?制成了?卷??表。290名在一所美?西北部州立大?的大?生??了本次?卷??。在核??量??之后,我?用LISREL8.53?行了路?分析。路?模型?示六?路?存在?著的正相??系。 ???于服?????的??和??的??性硏究拓展了????量的理解??展了服?????的??模型。本文揭示了服?????的三??型:???向????,???向????和???向????。我?的??表明消?者的享??向是?物情?和店???的一?重要的??量?和服?????相?。??明?消?者有??的感受和在店????,享??向可以??消?者的服?????行?。???果暗示??的?物情?可以?少?策的??性,包括????。因此,服?????的?型可以被一??度因素(例如:享??向和店???)和情?因素(例如:?意和??)的路?模型所??。具???,?物情?是服? Apparel offers consumers a high hedonic value associated with experiential pleasure. Being fashion driven with a focus on newness and change, apparel products can create an illusion of something fantastic. In turn, this subjects apparel to various hedonic behaviors such as impulse buying. The more consumers browse apparel stores to get an idea about the latest trends in the market, rather than relying on a shopping list, the greater the possibility of impulse shopping. Moreover, consumers are likely to be more divergent on what they want than what they need. This suggests apparel as a product category as a stimulus effecting impulse purchases. Impulse buying is considered a pervasive phenomenon in modern Lifestyles and it accounts for a substantial percentage of products sold across a broad range of categories. One explanation may be that consumers buy products for a variety of non-economic reasons or hedonic tendency, such as fun, fantasy and social or emotional gratification. By stimulating consumers to recognize product needs, in-store brows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fluencing impulse buying behavior. Also, impulse buying is activated by the emotions aroused in the proximity of an appealing object. This emotional response may occur largely without regard to financial or other consequences. Based on the extant literature, we developed a conceptual framework to analyze how predictors (hedonic tendency, in-store browsing, and shopping emotion) affect apparel impulse buying. Five hypotheses were tested during an apparel shopping episode to determine if: hedonic tendency is positively related to shopping emotion (H1); hedonic tendency is positively related to in-store browsing (H2); in-store browsing is positively related to shopping emotion (H3); in-store browsing is positively related to impulse buying typologies (H4); and shopping emo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impulse buying typologies (H5).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Data were obtained from 290 college students enrolled at a southwestern state university in the U.S. Following verification the measurement items,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LISREL 8.53. A path model shows that six paths hav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This empirical study of assessing and predicting apparel impulse buying extends the understanding of predictors for and provides an extended structural model of apparel impulse buying. This study reveals three typologies underlying apparel impulse buying: Fashion-oriented impulse buying, Memory-oriented impulse buying, and Browsing-oriented impulse buying. Findings indicate a consumer’s hedonic tendency i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hopping emotion and in-store browsing and it is pertinent to apparel impulse buying. This suggests that hedonic tendency can drive consumers to act on apparel impulse buying when they experience a positive feeling and are in-store browsing. This result implies that positive shopping emotion tends to reduce decision complexity, including impulse buying. Therefore, typologies of apparel impulse buying can be predicted in a path model by an attitudinal component (e.g., hedonic tendency and in-store browsing) and emotional factors (e.g., satisfied and excited). In particular, shopping emotion serves as an important mediating predictor of impulse buying of apparel products. This suggests that impulse buying of college students is more conjunct with an emotional unplanned purchase of apparel products. Also, this finding supports impulse buying as satisfying a hedonic need or providing emotional gratification.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to retailers and researchers in understand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impulse buying of apparel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