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자아탄력성 및 학과만족도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심재연(Shim, Jae-Yeon),백승선(Baek, Seung-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와 인성,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C도와 J도에 소재한 3,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인성,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 행복플로리시 검사도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 행복플로리시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는 행복플로리시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아탄력성, 그 다음으로 인성이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낙관적 태도가 행복플로리시를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과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과만족이 행복플로리시를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어서 인성의 하위요인인 창의⋅인성이 행복플로리시를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효율성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가 높을수록 행복플로리시도 보다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와 지속적인 행복감을 측정하는 행복플로리시를 향상시키기 위해 주요 예측변인인 인성,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가 향상되도록 지원해 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ego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ultimately to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each variable on their happiness flourishing.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5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3-year or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C and J-Provinces of South Korea. Data was collected using test tools of personality, eog-resilience,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happy flourishing.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sonality, ego resilience,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happiness flourishing of the participants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e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of preservice teachers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appiness flourishing and their ego-resilience was second, then their personality was an additional predicting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flourishing.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b-factors, the optimistic attitude as a sub-factor of the ego resilience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appiness flourishing, then, the subject satisfaction as a sub-factor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was an additional predicting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flourishing. Next,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as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were found to be the predicting variables of happiness flourishing. Then, the interpersonal efficiency as a sub-factor of ego resilience was an additional predicting variabl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the personality, ego resilience, and department satisfaction level of the preservice teachers are high, happiness flourishing is also positive. Therefore, it implie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ego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s the major predicting variables in order to enhance the happiness flourishing that measures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life satisfaction and a sense of continuous happiness.

      • KCI등재

        초등교사의 임파워먼트, 코칭리더십 및 행복플로리시 간의 구조적 관계

        한민아,허윤경,박용권 한국코칭학회 2021 코칭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임파워먼트, 코칭리더십 및 행복플로리시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임파워먼트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코칭리더십을 매개한 간접효과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청, 전라, 경상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는 초등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초등교사의 임파워먼트, 코칭리더십, 행복플로리시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SPSS 26.0과 AMOS 26.0을 사용한 통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분산구조 분석을 통해 임파워먼트, 코 칭리더십 및 행복플로리시 간의 최종적인 구조적 관계 모형은 모든 적합도 지수 에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는 코칭리더십과 행복플로리시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코칭리더십도 행복플로리시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먼트는 행복플로리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코칭리더십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코칭리더십은 임파워먼트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powerment, Coaching Leadership, and Flourishment, and investigated the direct effect of Empowerment on Flourishment and the indirect effect mediating Coaching Leadership. This study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measu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powerment, Coaching Leadership, and Flourishment to 2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Province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variance structure, the final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among Empowerment, Coaching Leadership, and Flourishment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all goodness-of-fit indices. Empower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aching Leadership and Flourishment. Coaching Leadership also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lourishment. Second, Empowerment has a direct effect on Flourishment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Coaching Leadership. From these research results, Coaching Leadership is a mediator having an indirect effect on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on Flourishment.

      • KCI등재

        행복플로리시 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행복플로리시와 긍정적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강현미,하선혜,서현아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 happiness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ir flourishing as well as positive automatic thoughts.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15 sessions, held in classes for one semester, once a week, for two hours. Eighty-two students who took liberal arts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tudents’ flourishment and positive automatic thoughts were measured before the program was started with the flourish and positive automatic thought scales, and the corresponding paired-t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flourish progra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university students' flourishment. Second, the flourish Program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positive automatic thoughts in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 effect of the proposed practical program was to promote happiness moreover, this study found that the program not only improved happiness but also improved positive acci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rogram is effective when used together with another program such as a program on career guidance at the university. 본 연구는 대학생 대상의 행복플로리시 증진 프로그램이 행복플로리시 및 긍정적 자동적 사고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15회기로 구성되었으며, 한 학기동안 매주 1회 2시간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행복플로리시 척도와 긍정적 자동적 사고 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대응표본-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행복플로리시 증진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행복플로리시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복플로리시 증진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긍정적 자동적 사고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행복플로리시 증진을 위한 실천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었고, 단순히 행복플로리시 증진뿐 아니라 긍정적 자동적 사고 증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에서 취업진로지도와 같은 프로그램과 함께 활용된다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학과만족도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백승선(Baek, Seung-Seon),심재연(Shim, Jae-Yeo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간의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에 소재한 3,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재학중인 학생 338명이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행복플로리시 검사도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학과만족도, 행복플로리시는 보통 이상 수준이었으며, 이들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는 행복플로리시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미치는 추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의 하위요인인일반만족이 행복플로리시를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이 행복플로리시를 설명하는 추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어서 학과만족도의 하위요인인교과만족이 행복플로리시를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목표선택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경험을 통하여 행복플로리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원양성교육 프로그램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n their happiness flouris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8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3-year or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Chungcheongnam-do and Jeollabuk-do. Data was collected using test tool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happy flourishing.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epartment satisfaction, and happiness florishing of the participants were above aver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The department satisfaction of preservice teachers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appiness florishing an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an additional predicting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flourish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can help teachers increase their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y experiencing various opportunities to happiness flourishing.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창의적 교수행동의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

        장영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3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kindergarten teachers’ ego-resilience, flourishing,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 and investigates the mediation effects of flourishing. The participants were 257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Incheon.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4.0 and AMOS 24.0 programs.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ith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was applied to verif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e study. The study results show that kindergarten teachers’ ego-resilience positively affects their flourishing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 and flourishing also positively affects creative teaching behavior. Kindergarten teachers’ ego-resilience indirectly affects creative teaching behavior through flourishing. Therefore, flourishing is noted as a positive mediating variable among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ego-resilience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 이 연구는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플로리시,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자아탄력성과 창의적 교수행동의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의 공립과 사립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257명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유치원 교사들에게 자아탄력성, 행복플로리시, 창의적 교수행동에 관한 질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AMOS 24.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 행복플로리시,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는 적합도 지수 모두에서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행복플로리시와 창의적 교수행동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행복플로리시도 창의적 교수행동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은 창의적 교수행동에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행복플로리시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행복플로리시는 자아탄력성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매개변인으로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가 학과만족도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강현미(Kang hyun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행복플로리시로 선정하여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대한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3년 4월 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예비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뒤, 평균, 표준편차, Pearson 적률상관계수, 독립표본 t-검증과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학과만족도, 자아탄력성의 각 변인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행복플로리시 상하수준에 따라 학과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중 의미와 긍정적 정서는 학과만족도를 2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 행복플로리시, 의미, 긍정적 정서는 자아탄력성을 4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의미, 긍정적 정서, 전반적 행복플로리시를 포함한 행복플로리시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partment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on the Flourish in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pre-service teachers of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department satisfaction, ego-resilience, and flourish were significant. Second, high-flourish group felt more powerful correlations between department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than did the low-group. Third, the meaning and positive emotion of pre-service teachers were relatively more influential on department satisfaction and the overall wellbeing, meaning and positive emotion of pre-service teachers were relatively more influential on ego-resilience.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efforts to improve the flourish including the meaning, positive emotion, and overall flourish in order to improve the ego-resilience of teacher applicants and the Department Satisfaction.

      • KCI등재

        유아기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 잠재집단분석 연구

        김선형(Kim Sun H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유아기 어머니의 행복관련 변인을 통한 잠재집단 유형을 중심으로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잠재집단분석 방법의 하나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하여 잠재집단을 유형화 하고. 잠재집단별 행복플로리시 특징을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유아기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 잠재집단 유형은 취업상태의 행복플로리시 어머니 집단(잠재집단1)과 전업주부상태의 행복플로리시 어머니 집단(잠재집단2)으로 두 집단이 도출되었다. 둘째, 잠재집단별 행복플로리시 범주 특징은 개인의 행복한 삶 범주, 관계 속의 행복한 삶 범주, 그리고 환경맥락 속의 행복한 삶 범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녀와 행복한 삶 범주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행복플로리시 범주 내 하위영역에서는 삶만족, 성장 및 성취, 양육역할만족, 가정경제환경, 사회환경 영역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기 어머니의 행복플로리시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행복프로파일의 기초 마련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atent classes and relevant variations focusing on the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rough happiness in flourishing.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300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the Mplus program and latent classes were analyzed about happiness in flourishing by SPSS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s; First, there were analyzed with the two types of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 mother s happiness in flourishing; a group of working mothers(latent class1), and the other group of mothers in housewives(latent class2). Second, according to the two latent classes of mother s happiness in flourishing categori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dividual psychology, the social relationship, and the environment situation in categories. But there weren 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ternal role category of the mother s flourishing. Lastly, according to the latent classes in sub-area within categories of mother s happiness in flourishing,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her s satisfaction, the self-achievement, the parenting role satisfaction, the perception of the economic level of subjective assumptions,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in the community. Base on this findings, implication was given for promot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flourishing.

      • KCI등재

        아버지의 부모역량이 유아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박정미,서은주,홍순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ternal competence on young children’s flourishing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paternal competence and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bolster the flourishing of preschool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5 fathers and 185 children; the children were at the western ages of four and five and attended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Busan. Instruments that covered paternal competence and preschooler flourishing were used to gather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were best at self-determin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al competence, and the preschoolers were most excellent in personal strengths among the subfactors of flourishing. Second,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ernal competence of the fathers and the flourishing of the young children was analyzed, paternal competenc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flourishing of the preschoolers, and the developmental parenting skills of the fathers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young children’s personal strengths and emotional happiness. Third, how the paternal competence of the fathers affected the flourishing of the preschoolers was analyzed. As a result, personal strengths that were one of the subfactors of flourishing were under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roles and contribution skills of the fathers as members of society and positive parenting skills. Positive parenting skills also exercis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motional happiness of the preschoolers. The positive communication of the preschoolers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roles and contribution skills of the fathers as members of society, and the former's knowing strengths was under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roles and contribution skills of the latter as members of society and positive parenting skills. Finally, resilience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every variable. 본 연구는 아버지의 부모역량이 유아의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여 아버지의 부모역량의 중요성을 규명함으로써 유아의 행복플로리시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등원하는 만 4, 5세 유아 185명과 아버지 185명을 대상으로 아버지 부모역량과 유아 행복플로리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부모역량 하위 요인 중 자기 결정 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아 행복플로리시 하위 요인 중 개인강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부모역량과 유아 행복플로리시와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아버지의 부모역량은 유아 행복플로리시와 정적관계가 있는것으로 나타났고, 아버지의 발달적 양육능력과 유아의 개인강점, 정서적 행복과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부모역량이 유아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유아 행복플로리시 중 개인강점에 대하여 아버지의 사회구성원의 역할과기여능력, 긍정적 양육능력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정서적 행복에 대하여 긍정적 양육능력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긍정적 의사소통에 대하여 사회구성원의 역할과 기여 능력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강점알기에 대하여 아버지의 사회구성원의 역할과 기여능력, 긍정적 양육능력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복력은 아버지 부모역량 중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행복플로리시 간의 구조적 관계

        홍길회,한민아 한국코칭학회 2022 코칭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행복플로리시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를 매개한 간접효과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청, 전라, 경상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원장의 코칭리더십,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행복플로리시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응답이 불성실한 9명을 제외하고 203명의 설문자료를 가지고 SPSS 28.0과 AMOS 28.0을 사용한 통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원장의 코칭리더십은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의 매개를 통해서도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원장이 코칭리더십을 잘 발휘할수록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는 높아지고, 원장의 코칭리더십은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를 높이며, 이렇게 형성된 임파워먼트를 통해서 행복플로리시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는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교직동기, 교직적성, 전공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홍지명(Hong, Ji-Myoung),이신영(Lee, Shin-You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교직동기, 교직적성,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모형을 설정한 뒤 이를 검증하고자 수행하였다. 교직동기를 독립변수로, 행복플로리시를 종속변수로, 교직적성과 전공만족도를 매개변수로 설정한 뒤 각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G도에 위치한 사범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298이며,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교직동기, 교직적성, 전공만족도, 행복플로리시는 보통 이상 수준이었으며, 이들 변인 간에 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직적성의 하위변인 중 수동적 동기를 제외한 능동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만 행복플로리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능동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는 교직적성과 전공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역할을 하여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예비유아교사의 개인적, 심리적 변인을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행복플로리시 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teaching aptitude, major satisfaction, and the flourishing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8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G-Do.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motivation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active and extrinsic motivation), teaching aptitude, major satisfaction, and for the flourishing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established and analyzed to estimate the path from motivation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to flourishing with mediating teaching aptitude and major satisfaction. As a result, active and extrinsic motivation of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had a direct effect on teaching aptitude and major satisfaction,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flourishment. Motivation of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flourishing, indic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The indices of the best fit model on these variables were adequ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