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박장애의 인지행동치료

        신민섭,설순호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7 인지행동치료 Vol.7 No.1

        강박장애의 인지행동 모델은 정상적인 침투사고가 강박사고로 변질되는 과정을 잘 설명하고 있다. 즉 과도한 책임감 지각이나 사고에 대한 파국적 오해석 등이 침투사고의 현저성을 증가시키고 중화행동을 더욱 강화시킴으로써 강박장애 메커니즘을 유지시킨다는 것이다. 침투사고에 대한 오류적 평가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역기능적 신념에는 사고에 대한 과도한 중요성 부여(사고행위 융합), 과도한 책임감, 사고 통제의 중요성, 불확실성에 대한 두려움, 완벽주의, 위협에 대한 과도한 평가 등이 포함된다. 중화행동은 침투적 사고의 불편감을 제거하고 예방하며 사고 자체의 내용을 바꾸기 위해 시도되는 의도적인 통제방략으로, 최근 연구에서는 침투사고 유형에 따라 이러한 인지적 평가와 통제방략이 달라진다는 보고가 있다. 강박장애의 인지행동치료는 노출 및 반응방지 기법을 중심으로 한 행동적 전략을 통하여 강박증상을 유지시키는 중화행동 및 회피행동의 고리를 끊고, 더불어 인지적 전략을 사용하여 환자 들의 왜곡된 평가 및 비합리적 신념을 수정하고 보다 융통성 있고 현실적인 평가로 대체시킨다. 마지막으로 재발 가능성과 이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언급하였다 Cognitive models fo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have focused particularly on the importance of patients' appraisals of intrusions related to responsibility and overimportance of thoughts. This interpretation results in attempts to both suppress and to neutralize the thoughts, and as a consequence of neutralizing activity, intrusive cognitions become more salient and frequent, they evoke more discomfort, and the probability of further neutralizing increases. A large group of researchers who have studied OCD extensively outlined several types of negative appraisals and dysfunctional beliefs they considered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and persistence of OCD: inflated responsibility, overimportance of thought, importance of controlling one's thoughts, fear of uncertainty, perfectionism, and threat overestimation. Neutralizing is defined as voluntarily initiated activity which is intended to have the effect of reducing discomforts and preventing negative consequences of intrusions. Recently, it suggested that cognitive appraisals and control strategies differ to the types of obsessions. The primary principals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CBT) for OCD therefore aims to stop the loop of neutralizing responses and avoidance through 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ERP), and to modify cognitive errors and displace the maladaptive beliefs to more flexible and reasonable ones using cognitive strategies. Finally, the authors propose the possibility of relapse and considerations.

      • KCI등재

        인지행동 부부치료

        Frank M. Datillio,권정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4 인지행동치료 Vol.4 No.2

        본 논문은 부부치료의 인지행동적 접근에 대한 최근의 추세를 개관하였고, 이해를 돕기 위해 인지행동 치료 모델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인지, 행동, 정서에 대한 다양한 개입 방법을 소개하였다. 의사소통 훈련이나 문제해결기술 훈련과 같은 전통적인 행동적 기법과 함께 부적응적인 쉐마를 수정하는 인지재구성법을 사용하는 것이 부부치료에서 강력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부부관계의 역기능을 줄여주는 인지행동 부부치료 방법의 독특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최근의 인지행동 부부치료의 연구 결과와 통합적 개입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지행동 부부치료가 실제 상담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여주는 임상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인지행동치료가 부부갈등을 일으키는 사고방식을 수정하는 데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다양한 문화배경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use of cognitive-behavioral techniques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among couple and family therapists throughout the world.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about the uniqueness of these techniques. The power of cognitive restructuring with maladaptive schemas is discussed, along with the use of some of the standard behavioral techniques for change, namely communication train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addition, the flexibility and integrative potential of cognitive-behavioral techniques with couples is highlighted and illustrated in a detailed case example with a couple in crisis. Lastly, the contents of the article suggest that cognitive-behavioral techniques may also be adaptive to numerous cultures because it focuses on modifying specific thinking styles that tend to cause conflict.

      • KCI등재

        인지행동커플치료 기반의 비대면 화상상담과 디지털치료도구의 효과성 검증

        김진아,최연실 한국가족관계학회 202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7 No.4

        Objectives: The effect of non-face-to-face video counseling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and the effect of adding digital treatment tools to non-face-to-face video counseling were compared and verified through a multi-faceted measurement method. Methods: For the duration of 10 weeks, pre- and post-measurements were conducted and eight programs were provided individually to each couple once a week for 90 minutes. A total of 15 couples with infant children aged 4 to 6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Five coup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only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whereas digital treatment tools were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comparative group of other 5 couples.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remaining 5 couples in the waiting group during the experimen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the areas of cognitive, behavior and emotion were classified, respectively, and marital relations were measured in multiple ways using self-report, interaction observation, physiological measurement, and treatment process analysis using interviews. Results: First,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was effective in irrational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 in the cognitive domai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in the behavioral domain, marital interaction observation, and empathy for spouses in the emotional domain, but did not affect heart rate variation. Second, when digital therapy tools were additionally involved in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t was effective in irrational beliefs about marital relationships in the cognitive domai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arital interaction observation, empathy for spouses, and heart rate variation. In addition, the change was more powerful when digital treatment tools were used compared to when only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was conducted alone. Third, the cognitive changes reported by the participants led to behavioral changes, and became an opportunity for self-change while watching the behavioral changes of the spouse. Conclusions: The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reatment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marital relationships, and the treatment effect was stronger when additional digital treatment tools were utiliz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creased the accessibility of cogni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n consideration of the multifaceted aspects of cognition, behavior, and emotion, and explored the field potential of digital treatment tools. 연구목적: 인지행동커플치료 기반의 비대면 화상상담의 효과와 인지행동커플치료 기반의 비대면 화상상담에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 개입하였을 때의 효과를 다면적측정방식을 통해 비교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사전⋅사후 측정을 포함해 총 10주가 소요되었으며, 주 1회 90분씩 8회기의 프로그램을 각 부부에게 개별적으로 제공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만 4세∼6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 총 15커플 30명으로, 실험집단 5커플에게는 인지행동커플치료만 처치했고, 비교집단 5커플에게는 인지행동커플치료에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하여 처치하였다. 대기집단 5커플에게는 실험기간 동안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인지, 행동, 정서의 영역을 각각 구분하고 자기보고 방식과 상호작용 관찰, 생리적 측정, 인터뷰를 활용한 치료과정 분석을 통해 다면적으로 부부관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지행동커플치료는 인지영역인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행동영역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부부 상호작용 관찰, 정서 영역의 배우자에 대한 공감에 효과적이었으나, 심박변이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인지행동커플치료에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 개입했을 때, 인지영역의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과 행동영역인 역기능적 의사소통, 부부 상호작용 관찰, 배우자에 대한 공감, 심박변이도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인지행동커플치료만 단독으로 처치하였을 때보다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하여 개입하였을 때 변화가 더욱 강력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이 보고하는 인지 변화는 행동 변화로 연결되었고, 배우자의 행동 변화를 보면서 자신의 변화 계기가 되었다. 결론: 인지행동커플치료프로그램은 부부관계에 긍정적 변화를 보였고, 디지털치료도구를 추가로 처치했을 때 치료 효과는 더욱 강력했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정서의 다면적 측면을 고려하여 인지행동커플치료의 접근성을 높였고, 디지털치료도구의 현장 가능성을 탐색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쁘라띠야하라를 통한 인지행동치료의 가능성

        곽미자(Kwak, Mija) 한국요가학회 2018 요가학연구 Vol.-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쁘라띠야하라의 심리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앞으로 쁘라띠야하라에 기반을 둔 인지행동치료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지행동치료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요인들을 살펴본 다음, 세가지 질문을 통하여 그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첫째, 쁘라띠야하라가 인지행동치료에서 강조하고 있는 인지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 둘째, 쁘라띠야하라는 인지행동치료의 두 가지 접근 중 어느 것에더 가까운가? 셋째, 쁘라띠야하라는 인지행동치료의 주요 전략 중 어느 전략과 유사한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결과로서 쁘라띠야하라는 인지행 동치료와 마찬가지로 인지와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며, 마음챙김과 수용에 근거를 둔 인지행동치료와 유사하며, 인지행동치료적 전략적 기법으 로서 인드리야 쁘라띠야하라는 탈자동화와 비판단적 수용과 밀접하며, 마노 쁘라띠야하라는 인지적 탈융합 및 인지재구성과 유사하며, 삼스까라 쁘라띠야하라는 심상을 활용한 인지행동치료와 유사하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요가테라피를 할 때 심리적 문제를 호소하는 클라 이언트에게 쁘라띠야하라에 기반을 둔 인지행동치료적 접근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지행동 치료에서 쁘라띠야하라를 응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rediscovering the psychological values of pratyāhāra and searching the possibility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CBT) through pratyāhāra. For this purpose, the main concepts of pratyāhāra and CBT were reviewed. To research the possibility of CBT through pratyāhāra three question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can pratyāhāra bring the change of cognition and behavior as CBT? Second, which approach of CBT pratyāhāra is similar? Third, which strategies of CBT pratyāhāra are simila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possibility of CBT was reviewed. As the result, pratyāhāra has the possibility of change of cognition and behavior as CBT and was similar to the mindfulness and acceptance based therapy. The similarity of strategies in CBT and pratyāhāra was clarified as follows; the practice of indriya pratyāhāra is similar to deautomatization and non-judgmental cceptance of CBT, mano pratyāhāra, cognitive defusion and cognitive reconstruction, samskara pratyāhāra, imagery in CBT.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yoga psychological therapy and CBT.

      • 부부 문제에 대한 인지행동적 접근

        김진숙,권석만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心理科學硏究所 2003 心理科學 Vol.12 No.1

        최근 이혼율과 더불어 가정파탄을 초래하는 부부 문제가 급증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부부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인지행동적 접근과 최근의 연구동향을 개관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부부 문제가 개인과 가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제시하고 부부 문제의 구체적인 갈등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부부 문제를 초래하고 악화시키는 다양한 인지행동적 요인들, 즉 부부관계와 배우자에 대한 역기능적인 신념과 기대, 배우자의 행동에 대한 인지적 왜곡, 부부관계에서 나타나는 부적응적인 행동방식 등을 소개하였다. 아울러 부부 갈등을 설명하는 인지행동적 설명모형으로서 Ellis의 합리적-정서 모형, Beck의 인지행동적 모형, Baucom과 Epstein의 인지 모형 및 Bradbury와 Fincham의 맥락 모형을 개관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인이 나타내고 있는 부부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인지행동적 접근과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Korean people are suffering from the soaring divorce rate and frequent marital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recent research trend on marital problems from the cognitive-behavioral perspective. The important cognitive-behavioral factors resulting in marital problems, i.e., dysfunctional beliefs on marital relationship, unrealistic expectations to spouse, cognitive distortion to spouse's behavior, and maladaptive behaviors in marital relationships were reviewed on the basis of recent investigations. In addition, the major contents and issues of marital conflict were reviewed with the negative influences of marital problems on the married persons and their family. Lastly, the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and future research tasks for understanding and solving marital problems of Korean coupl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동지, 인지, 행동조절전략의 종단적 과계

        문병상(Byung Sang M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 3년 동안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조절전략들 간의 종단적 관계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2005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의 2차 년도부터 4차 년도까지의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세 시점에 걸쳐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에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의 자기회귀 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이 각각 이후 시점의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이 각각 다음해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을 매우 안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에서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적 전략의 교차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3년에 걸쳐 동기조절은 다음해 인지 및 행동조절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인지조절은 다음해 동기조절에 아무런 양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리고 행동조절은 다음해 동기조절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행동조절은 인지조절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동기조절과 행동조절 간에는 상보적 인과 관계(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은 모두 서로 원인과 결과로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동기조절과 인지조절은 상보적 인과 관계가 없었다. 즉 동기조절은 인지조절의 원인으로 작용하나 인지조절은 동기조절의 원인으로 작용하지 못하였다. 넷째, 인지조절과 행동조절은 상보적 인과관계가 있었다. 즉 행동조절은 인지조절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동시에 인지조절은 행동조절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에 동기, 인지, 그리고 행동조절의 종단적인 인과관계에 대한 논의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In the present study, I used the longitudinal data of T2(2006)-T3(2008) being collected by KEDI since 2005.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in self-regulated learning were moderately stable over time. That is, prior motivational self-regulated strategy predicted subsequent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significantly. Second, the prior cognitive self-regulated strategy did predict subsequent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significantly. Third, the prior cognitive self-regulated strategy did not predict subsequent intrinsic motivation significantly. Fourth, there were reciprocal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al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and there was a reciprocal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the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self-regulated strategy in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 KCI등재

        폭식행동자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도중탈락 예측요인

        공성숙 ( Seong Suk Kong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00 정신간호학회지 Vol.9 No.3

        본 연구는 폭식행동자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 집단치료를 시행하였을 때 치료를 종결하지 못하고 도중탈락하는 대상자들을 예측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치료를 종결한 폭식행동자들과 도중탈락한 대상자들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폭식빈도가 두 집단간에 가장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Blouin 등(1994)은 69명의 폭식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 집단치료를 시행하고 치료의 예측인자를 조사한 결과 폭식빈도와 EDI의 점수가 높은 환자일수록 치료 후 폭식빈도의 감소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증상이 심한 환자일수록 치료에 대한 동기가 높기 때문이거나 혹은 증상이 심한 환자는 폭식빈도가 크게 감소하지만 증상이 약한 사람은 그 낮은 빈도를 줄이기가 더욱 어렵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Bulick 등(1999)이 인지행동치료에 대해 효과를 나타내는 ‘반응자’와 거의 효과가 없는 ‘무반응자’의 차이를 연구한 결과에서는 반응자들이 무반응자에 비해 치료 전부터 폭식이나 구토 횟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보고했으며, Coker 등(1993)은 치료를 지속하지 못한 환자 집단과 치료를 지속한 환자 집단간에 폭식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Waller(1997)의 연구에서도 도중탈락자와 치료종결자 사이에는 폭식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불일치된 연구결과는 향후 지속적인 반복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폭식빈도와 마찬가지로 식이행위의 범주에 속하는 구토빈도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폭식행동자 가운데 ‘하제 비사용형(non-purge type)``에 속하는 대상자들의 경우 폭식삽화만 반복될 뿐 구토나 하제, 이뇨제 사용 등의 보상행동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집단 내에 ’하제 비사용형‘ 대상자의 비율을 통제해야만 구토빈도가 의미있는 변수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대상자의 수가 많지 않아 이 변수를 통제하지 못한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EDI(다차원적 섭식태도) 도구의 11개 하부척도로 측정한 식이태도 변인 중에서는 대인관계 불신감만이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louin 등(1995)의 연구에서는 치료를 종결까지 유지한 환자들의 요인을 판별분석한 결과 대인관계상의 어려움 (interpersonal difficulties)만이 유일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일치된 결과를 보고하였다. 즉, 집단 내에서 다른 구성원에 대한 신뢰감이 떨어지고 대인관계를 잘 맺지 못하는 대상자의 경우 더 쉽게 도중탈락을 보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인지행동 치료가 집단치료의 형태로 시행되는 경우 도중탈락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집단내의 ‘집단과정(group process)``과 ‘집단의 응집성(cohesiveness)``이 매우 중요하다고 역설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대인관계에서 신뢰감이 적은 성격적 요인을 가진 대상자의 경우 집단치료보다는 인지행동 개인 치료에서 치료효과가 더 높은 경향을 보인다고 하였다. 치료전 증상이 지속되어온 유병기간은 치료를 종결한 집단이 도중탈락자 집단보다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폭식빈도, 즉 증상의 정도가 심한 환자의 경우 도중탈락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난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즉, 증상이 지속된 기간이 길 경우 증상의 정도도 더 심하며 이러한 대상자들은 치료에 대해 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Turnbull 등(1997)은 16주의 인지행동치료와 8주의 자조 프로그램의 치료효과 예측요인을 비교한 결과, 치료전 질병이 지속된 기간이 길수록, 폭식빈도가 적을수록 치료효과가 높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Turnbull 등(1997)도 역시 유병기간이 긴 대상자일수록 치료나 회복을 향한 단계를 수행할 준비가 더 잘 되어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와 반대로 유병기간이 짧거나 증상의 정도가 약한 대상자의 경우 증상으로 인한 고통보다는 체중감량에 대한 열망이 더 높기 때문에, 인지행동치료에서 폭식을 유발하는 근원이 되는 다이어트를 중지해야 한다는 중재를 수용하지 못하고 도중탈락하는 경향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신체불만족이나 우울, 자아존중감 변인들은 도중탈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불일치된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과 방법론적인 차이점이 많고 치료 및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점에 기인한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뿐 아니라 기존의 연구에서도 대상자의 수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낮기 때문이다. 향후 폭식 행동자를 대상으로 인지행동 집단치료를 실시하면서 반복적인 연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개인 인지행동 치료를 받는 집단과의 비교연구가 실행된다면 그 결과가 더욱 명확해질 것이라고 본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폭식행동자를 대상으로 인지행동 집단치료를 실시했을 때, 도중탈락자에 비해 치료종결자는 높은 폭식빈도와 긴 유병기간, 낮은 대인관계 불신감을 갖고 있으므로, 도중탈락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대상자를 선정할 때 이러한 요인들을 먼저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대인관계 불신감이 높은 대상자에게는 개인 인지행동치료나 개인정신치료를 권장하고, 폭식빈도나 유병기간이 짧은 대상자에게는 다이어트 중지에 대한 권고를 완화시키고 건강한 다이어트 방법을 교육하는 등 중재 접근방법에 수정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Background and purpose : Cognitivebehavioral grouptherapy has become the most popular form of treatment for binge eaters, as it has been demonstrated to be a highly cost-effective method of treating bulimic patients. Unfortunately drop-out rate from group CBT is relatively hig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ors of drop-out from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for binge eaters. Prior to treatment, all subjects completed the EDI-2(Eating Disorders Inventory-2), the Rosenberg`s Self-Esteem Scale, the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interviewed the binge and purge frequency per week. In this study, among 41 binge eaters who participated 10-week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drop-out rate was 36.6%(15 binge eaters). Binge eaters were all women and mean ages of them were 24 years and 95.1% of them were unmarried. 75.6% of them were bulimia nervosa, and the remainders were anorexia nervosa and binge eating disorders.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drop-out, discriminant analysis was used. The complet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inge frequency and were lower in interpersonal distrust than drop-outs, and in duration of illness the completers also tended to be longer but these univariate differences didn`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Wilk`s Lamda was .776 indicating that differences between the completers and drop-outs were significant. Th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as able to successfully predict drop-outs and completers of treatment in 73.2% of cases. Predicted dropouts were correctly identified in 86.7% of cases whereas predicted completers were correctly identified in 65.4% of cases. In conclusion, binge frequency, interpersonal distrust, and duration of illness predicted drop-out from cognitive-behavioral grouptherapy for binge eaters. This results would enable clinicians to more effectively utilize pretreatment assessment information in planning treatment for binge eaters. If patients at risk for dropping out group CBT can be identified at assessment, they may be referred instead to individual CBT, where the likelihood of dropping out is lower. Further research with the larger sample size, and included family factors and personality variables was suggested.

      • KCI등재

        행동전략의 발전과 과제: 전략연구의 행동과학적 전환

        신동엽(Dongyoub Shin),노그림(Grimm Noh)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인사조직연구 Vol.25 No.3

        본 논문은 전략연구의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는 행동전략의 등장 배경과 최근 발전, 그리고 한계와 미래 전망을 토론한다. 행동전략은 인지심리학을 중심으로 한 행동과학의 최근 발전을 수용하여 전략연구의 현실성과 설명력을 강화한 이론적 발전이다. 행동전략 분야의 연구자들은 신고전파 경제학의 합리적 선택모형에 경도된 기존 전략연구들이 실세계 기업들의 실제 전략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적하며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관점으로 행동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행동전략은 기존 전략연구들이 제시하는 이론적 전략프로세스와 실제 전략프로세스와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해 실세계 의사결정자들에게서 보편적으로 관찰되는 인지적 단순화와 인지적 편향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의미부여, 직관기반 발견법과 같은 인지적 단순화 경향이나 프레이밍 효과, 타조효과, 고립효과, 인지적 관성과 같은 다양한 인지적 편향이 어떻게 전략적 의사결정과 행동을 기존 전략이론의 예측과 달라지게 만드는지를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행동전략의 기반이 되는 인지심리학적 이론들을 설명하고, 주요 행동전략 연구들을 정리하여 소개할 3단계의 전략프로세스 분석틀을 제시한다. 환경인식, 전략 수립과 실행, 그리고 전략적 변화라는 세 가지 단계의 전략 프로세스 분석틀을 활용하여 각각의 단계에 해당하는 주요 행동전략 논문들의 핵심 주장과 연구결과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인지적 프레임의 차이에 따른 환경인식의 이질성, 인지적 능력과 성향에 따른 전략 수립과 실행의 효과성 및 속도의 차이, 인지적 해석 등에 따른 전략적 변화 가능 여부 등을 설명한다. 결론에서는 행동전략의 학설사적 의의와 한계, 그리고 미래 발전방향을 토론함으로써 전략경영학계를 비롯한 전체 한국 매니지먼트학계의 이론적 다양화와 질적 심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s, developments, limits, and future pros-pects of behavioral strategy. Behavioral strategy is a significant theoretical development that has radically enhanced the realism and explanatory power of strategy research by adopting developments in behavioral sciences, including cognitive psychology. To overcome the lack of realism in mainstream strategy theories, behavioral strategy draws heavily on recent developments in cognitive psychology that explain common cognitive patterns observable from everyday people such as cognitive simplification tactics and various types of cognitive bias. In this paper, we first review cognitive theories that underlie behavioral strategy and then introduce a 3-step strategic process framework that organizes and positions key papers in behavioral strategy literature. More specifically, the three steps in the strategic process framework are as follows: environmental sensing, strateg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and strategic change. This paper introduces the central arguments and results of key papers in the behavioral strategy literature that provide alternative explanations to each of the three stages of strategy process. For example, the literature in behavioral strategy discusses topic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heterogeneity in environmental sensing due to different cognitive frames,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and speed of strateg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due to differences in cognitive cap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and the possibility of strategic change depending on cognitive interpretations. In the concluding sec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behavioral strategy are discussed.

      • 또래 거부를 경험한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놀이치료 사례연구

        이예담 ( Lee Yeah Dahm ) 한국인지행동치료상담학회 2020 인지행동치료상담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놀이치료(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가 또래 거부를 경험한 아동의 대인관계 문제 개선에 미치는 영향과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변화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인지행동놀이치료는 인지적 재구성 및 행동수정(역할극 등)에 초점을 두어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은 또래로부터 거부를 경험한 만 13세의 여자 아동으로 서울에 위치한 I센터에서 2019년 09월 25일부터 2020년 01월 22일까지 주 1회, 회기당 50분씩 총 14회기를 진행하였다. 내담아동의 부모는 방문이 어려워 간략히 전화로 부모상담이 진행되었다. 연구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기 내 내담아동 보고를 통한 인지적, 정서적 및 행동적 변화 관찰, 내담아동 모의 보고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내담아동은 또래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진술(‘또래들과 놀러 갈 계획을 짜고 있다.’, ‘교내에서 점심을 먹으며 이야기한 것이 재미있었다.’ 등)을 보였다. 이는 지속적으로 보고되었으며 내담아동 모의 보고 또한 일치한다. 둘째, 인지행동놀이치료가 내담아동의 인지적, 정서적 및 행동적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나는 친구가 없어.’, ‘나는 친구를 못 사귀어.’라는 부적응적 인지가 ‘내가 친구를 못 사귄 것이 아니라 사귀려고 시도해본 적이 없었던 거였네?’와 같이 적응적 인지로 변화되었고 이에 따라 우울의 정서는 회기가 거듭될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나는 친구가 없어.’라는 부적응적 인지가 ‘내가 친구를 사귀려고 시도해본 적이 없었던 거였네?’와 같이 적응적 인지로 변화함에 따라 또래와 대화 시도 및 지속하기와 같이 관계를 맺으려는 행동적 변화 또한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지행동놀이치료가 또래 거부를 경험한 아동의 대인관계 개선과 같은 사회성 증진에 적응적인 인지적 변화(친구를 사귀려고 시도해본 적이 없다는 것의 인식), 정서적 변화(우울 감소), 행동적 변화(또래와 대화 시도 및 지속하기)를 일으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problems of Child who experienced rejection from her peers, and how they affect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in dealing with this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ession progressed, the client showed positive statements about peer relationships(I’m planning to go to play with my peers’, ‘I had fun talking about something with my friends on campus’, etc). Second,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showed a positive effects on the client’s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A Specifically, the maladaptive perceptions were changed to adaptive perceptions As a result, the emotion of depression decreased as the session continued. Also, as the maladaptive perceptions change to an adaptive perceptions trying to establish a relationship such as attempting and continuing conversations with pee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use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in the improvement of soci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children who experienced peer rejection.

      •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경화 한국임상치유예술학회 2013 임상예술치료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하는 청소년지원센터에 의뢰된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 가운데 해당기관 사회복지사의 추천과 학교생활 부적응 검사 척도 50~70미만으로 부모의 동의를 받은 남아 4명이다. 연구는 2009년 9월 첫째 주부터 2009년 12월 마지막 주까지 주1회, 50~90분간 경기도 K시에 소재한 청소년지원센터의 미술치료실에서 실시하였다. 본 미술치료는 도입단계(1~3회기), 실행단계(4~13회기), 종결단계(14~15회기)로 3단계를 총 15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학교생활부적응 아동들의 사회성 척도의 사전, 사후 검사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상 아동들은 사회적 기술훈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함께 그림 그리기, 돌려 그리기, 공동화 등을 하며 함께하는 즐거움과 상호작용을 알고, 규칙을 지키고 결과를 받아들이며, 친구와 이야기하고 발표함, 경청하는 과정을 통해 친구와 교류하는 방법을 알 수 있었다. 갈등다루기와 배려하기 등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습득하게 되었다. 따라서 아동들은 친구를 놀리거나 다투는 등, 친구들과의 교류보다는 혼자 맴돌던 행동이 많이 줄고 공동화, 돌려 그리기 등 서로 협동하는 작업도 잘 수행하는 모습들을 보이게 된 것으로 보아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론은 Yale의 행동평가척도 중 주의력결핍의 7문항의 하위영역의 사전, 사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사전에 비해 점수가 높아졌으므로 주의집중력의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된 것을 통해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상아동들은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활동 과정에서 집중하기, 피드백을 통한 통찰, 인지행동 치료기법을 통한 수정 및 통제 훈련을 받으며 친구의 말에 끼어든다거나, 방해한다거나, 책상 밑으로 기어 들어가는 등 과제를 중도에 포기하고 산만한 행동을 보이는 부적절한 행동 빈도가 줄어들었다. 또한 치료시간 동안에 집중하여 과제를 마치고 친구의 이야기를 적극 경청하며 끼어들지 않으며 배려하는 마음이 생긴 것으로 보아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론에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본 연구가 단일사례이며 대상아동 선정에서 성별이 남아에게 치우쳐 있었기 때문에 한계점을 갖고 있으므로 여아를 포함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의 효율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후속연구로 지속되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how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affect on improving sociality and concentrati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in school.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called in the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city K. those four children were recommended by social workers of the center and their parents agreed to the research. All the children showed under school life maladjustment test scale 50~90. The research took place once a week for 50-90 minutes each session from first week of September 2009 to the last week of December 2009 at the art therapy room in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city K. This art therapy were composed of 15 sessions of 3 stages: Introduction stage(1~3 sessions), Practice state(4~13 sessions), Termination stage (14~15 sess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ociality of a maladjusted child. The result examining sociality measure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shows that the score from post-research is improved significantly. It means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improving sociality of a maladjusted child.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social skill training art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painting, painting in turn, collaborative painting together. They acquired pleasure of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as well as learning how to interact with friends by abiding rules, accepting the results, talking with friends and making presentation and listening attentively. Thus, with the result showing reduction on the behavior of wondering about by oneself rather than interacting with friends such as teasing and arguing with friends such as teasing and arguing with friends as well as improvement on conducting co-operative tasks such as collaborative painting and painting in turn, it can be concluded that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ociality of the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Secondly,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concentr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on the subcategory of 7 questions on inattention of Yale's Child Behavior Checklist between pre-research and post-research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on atten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improving atten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During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the children received amendment and control training by concentration, insight from feedback, cognitive-behavioral therapy tools. They showed the reduction of frequency of the negative behaviors which include quitting tasks midway and showwing inattentive behavior such as interrupting friends talking, distracting others, crawling under the desks. In addition, they were able to finish assignments with concentration during the sessions and also able to listen actively with attentive attitude, not interrupting. This shows that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atten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effects on improving sociality and concentr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But,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with the research being a single case and the selection of the subjects biased to male children. Thus, it is expected to be extended to be follow-up research by developing efficient cognitive-behavioral program which including female children as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