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정관리체계의 구성요인이 발생주의 국가회계제도의 실행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성동,윤태화 한국공인회계사회 2014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6 No.3

        우리나라는 국가재정의 종합적이고 중장기적인 관리를 도모하고 재정운영의 선진화를 모색하기 위해 2009 회계연도부터 국가 재정부문에 발생주의 방식의 국가회계제도를 도입하였다. 국가 재정운영에 도입된 발생주의 회계제도라는 혁신적인 변화시스템이 차질없이 정착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재정관리적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가재정의 혁신적 변화과정을 성공적으로 관리하고 확산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1 회계연도부터 본격적으로 실행된 발생주의 국가회계제도가 국가재정 전반에 정착되고 발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발생주의 국가회계제도의 실행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재정관리체계의 구성요인의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발생주의 국가회계제도의 실행단계에서 국가 재정관리체계를 구성하고 재정운용과정에 참가하는 운영기관 및 전문가 집단의 인적역량, 구조・기술적, 행동적, 제도적 특성변수를 파악하여 동 요인이 국가회계제도의 실행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발생주의 국가회계제도의 실행성과 변수로는 동 제도의 수용도와 활용도라는 두 가지 변수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생주의 국가회계제도의 수용도에는 행동적 요인이 유의적인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요인으로는 재정정보시스템의 기술능력(구조・기술적 요인), 고위공무원의 관심과 지원(행동적 요인), 국가회계재정통계센터 직원의 업무전문성(인적역량 요인), 국가회계재정통계센터의 홍보 및 소통(행동적 요인)이 국가회계제도의 수용도에 유의적인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생주의 국가회계제도의 활용도에는 재정관리체계의 구성요인 중 행동적 요인이 유의적인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요인으로 분석하면 고위공무원의 관심과 지원(행동적 요인), 국회 예결위의 관심과 지원(행동적 요인), 중앙관서 회계공무원의 업무전문성(인적역량 요인)이 국가회계제도의 활용도에 유의적인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정관리체계의 제도적 요인(예산지원, 감사시스템, 회계교육시스템)은 발생주의 국가회계제도의 수용도와 활용도에 전반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발생주의 국가회계제도에 대한 수용도는 활용도에 유의적인 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수용도를 높이는 변수가 궁극적으로 활용도를 제고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정부기관, 국회, 학계 및 연구계, 회계전문가 등 재정관리 체계의 구성원들에게 다음과 같은 점들을 시사해 주고 있다. 첫째, 발생주의 국가회계제도에 대한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재정정보시스템의 고도화 등 기술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발생주의 국가회계제도의 수용도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발생주의 국가회계제도에 대한 고위공무원의 관심과 지원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발생주의 국가회계제도의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국가회계재정통계센터 직원들이 국가회계 및 재정분야에 업무전문성을 갖고 관련기관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홍보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국회 예결위의 국회의원과 보좌관들이 재무제표의 결산심의 과정에서 상당한 관심을 갖고 중앙관서 회계 ... In Korea, accrual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was adopted in the fiscal sector of central government from 2009 fiscal year in order to promote a comprehensive and long-term management in public finance sector and seek the advanced fiscal operation. It is the innovative change to introduce and implement the accrual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in the fiscal sector of the Korean government. The fiscal operation could be managed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the accrual government accounting and national resources could be allocated strategically through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fiscal project. So it is necessary to manage and spread the innovative changing process successfully through analysing the factors in the public financial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settle and develop the accrual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in the fiscal sector. This study analysed the importance of several factors in the fiscal management system affecting the implementing performance of the accrual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implemented fully from the 2011 fiscal year. To proceed this study, two variables of the acceptance and the utilisation of accrual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were selected as the implementing performance variables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of accrual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in Korea. Also, the diverse variables concerning the personal, structural-technical, behavior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implementing stage of the accrual government accounting were identified and these factors affecting the implementing performance of accrual accounting were verified statistically.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ehavioral factors in the public financial management system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of the accrual accounting system. Analysing the detailed factors, the technical ability of fiscal information system (structural-technical factor), the attention and support of high level public officers (behavioral factor), operational expertise of personnel in the National Accounting Standard Centre (personal factor), strategy of publicity & communication of the National Accounting Standard Centre (behavioral factor)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of the accrual accounting system. Secondly, the behavioral factors in the public financial management system have also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utilisation of accrual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Analysing the detailed factors, the attention and supports of high level public officers (behavioral factor), the attention and supports of the Committee of Budget & Account in the National Assembly (behavioral factor), the operational expertise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accrual government accounting in the Ministry, Offices etc.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utilisation of the accrual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Thirdly, the acceptance of accrual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utilisation of accrual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This means that even though diverse factors in the public financial management system have a complicated effect on the utilisation of the accrual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the factors which can improve the acceptance of the accrual accounting system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utilisation of the accrual accounting system indirect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to the members of the public financial management system such as the government institutions, National Assembly, academic world & research institutions and accounting professionals etc.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acceptance of accrual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echnical competency of fiscal information system which makes the accrual accounting system operate in the public sector through upgrading and supplementing the function of fiscal...

      • KCI등재

        한국프로야구 구단의 회원과 비회원의 성향 차이 분석: A 프로구단의 사례를 통하여

        김상호 ( Sang Ho Kim ),유의동 ( Eui Dong Yoo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8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한국프로야구 경기 관람객 대상으로 회원유무에 따라 관람결정요인별, 인구통계학적 변인별, 그리고 관람행동적 변인별 차이를 분석하여 회원과 비회원의 성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6년 프로야구 경기장을 방문한 관중들 중 홈팀을 응원한 1,10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실시하였고, 그 결과 불성실한 응답자 46명을 제외한 총 1,054명의 표본을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분석방법은 윈도우형 SPSS 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교차분석 및 카이제곱검정(Chi-square)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 개의 관람결정 하위요인들 중 경기관련요인과 경기장관련요인에서 회원과 비회원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회원이 상대적으로 팀, 선수, 스타플레이 등의 경기관련요인을 보다 더 고려하는 반면, 비회원은 상대적으로 경기장관련요인을 더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람결정요인이 프로야구 경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회원은 경기관련요인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반면 비회원의 경우에는 경기장관련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차이를 보면, 연령, 교육수준, 직업 변인에서 회원과 비회원의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즉 상대적으로 회원은 30세 이상, 대졸출신, 회사원과 자유업 종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네 개의 관람행동적 변인(교통수단, 동행인) 모두에서 회원과 비회원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ifferences between members and non-members on decision factors affecting spectator attendance, demographic profiles, and spectating behaviors. A total of 1,100 subjects were selected by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Finally, a total 1,054 usable data were used after eliminating 46 inappropriate responses. As for the statistical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t-test, multiple regression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ith Chi-square test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2.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between members and non-members on one (product-related factor) out of four subordinate factors under the decision factor affecting spectator attendance. Second, while members tended to perceive that the ``product-related`` factor was most influential on satisfaction about watching professional baseball games, non-members showed that the ``place-related`` factor was most influential.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between members and non-members on three (age, educational degree, & occupation) out of five demographic variables. Fourth,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between members and non-members on all spectating behavior variables (accommodation type, type of accompanying person, method to gather game-related information, and method to purchase game tickets.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적 꾸물거림과 학업성취도에 관한 실증적 인과관계 분석

        이신숙(Shin-Sook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0 No.6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적 꾸물거림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중학생이 인지하는 스트레스 정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중학생의 학업적 꾸물거림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요인, 인지적 요인, 정서적 요인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중학생의 스트레스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연구결과 중학생의 학업적 꾸물거림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요인, 인지적 요인, 정서적 요인이 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에 부분적으로 직접적인 영향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스트레스는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규명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It also analyzed the influences of stress level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First, it examined theoretical and preceding studies and assumed that sub-factor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such as behavioral,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affect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It was assumed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stress had the direct mediating effect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sub-factor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such as behavioral,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had partially direct influence on their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t was shown that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from middle school students’ stress had no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presented policy sugges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as an alternativ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ERP시스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저항 및 변화관리 요인에 관한 연구

        박창기,심수진,한영춘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경영교육연구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ange management and user resistance on the performance of ERP systems. Based on the literature, a research model about the resistance(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nd change management factors which include top management support, IT infrastructure assets, user communication, user training, user participation, and consulting support has been developed.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 individu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nationwide 197 enterprises which have introduced and operated ERP systems. The results of a smartPLS analysis provide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op management support, IT infrastructure assets, user communication, and consulting suppor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pshychological resistance while user training and user participation were related to behavioral resistance. Second, there were strong relationships between resistance and performance of ERP systems. 본 연구는 ERP 시스템 도입 시 추진하는 조직의 변화관리 요인에 의해 구성원들의 저항 수준이 영향을 받게 되며, 이러한 저항 수준은 결국 ERP 시스템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하고 이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ERP 시스템 성과와 변화관리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저항 및 변화관리 요인의 역할에 대한 개념적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시스템을 도입한지 1년 이상 된 197개 기업을 대상으로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변화관리요인은 최고경영층 지원, IT 인프라 자산, 구성원 의사소통, 구성원 교육 및 훈련, 사용자 참여, 컨설팅 지원으로 설정하였고, 구성원들의 저항은 심리적 저항과 행동적 저항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ERP 시스템의 성과는 개인 및 조직경영성과 각각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변화관리 요인 중 심리적 저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최고경영층 지원, IT 인프라 자산, 구성원 의사소통, 그리고 컨설팅 지원으로 나타났으며, 구성원의 행동적 저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구성원 교육훈련과 사용자 참여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원들이 느끼는 심리적 저항 수준은 행동적 저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저항 수준은 모두 개인 및 조직의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언론사 세무조사 보도와 제3자 효과

        한균태(Han Kyun-Tae),차동필(Cha Dong-Pil)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보 Vol.16 No.1

        지금까지 3자 효과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부정적인 혹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여겨지는 메시지에 대해 3자 효과가 강화된다는 사실을 제안하였다. 그렇지만, 언론과 정부간의 갈등관계가 첨예한 가운데 어느 쪽의 주장이 옳은지에 대하여 쉽게 판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은 메시지에 대해서도 3자 지각 현상을 발견할 수 있는가에 관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사회적 쟁점이 되었던 언론사 세무조사의 보도에서 3자 효과가 일어나는지를 검증하는데 있었다. 대학생 및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 지각적 요인과 행동적 요인에 대한 3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 거리에 따른 3자 지각의 크기도 검증하였다. 그러나 세상일에 대한 지각된 지식과 교육수준의 영향은 엇갈린 결과가 나왔다. 즉, 세상일에 대해 남들보다 더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은 3자 효과가 발생하였지만, 교육수준의 설명력은 아주 미약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행동적 요인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Many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the third -person effect would be reinforced by the negative or socially undesirable messages. But there has been little evidence that the effect might be generated by media messages one would have difficulty in judging which one is right or not, just as the theme of this study. According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ird -person effect that others are more affected by media messages than oneself for the press coverage of the tax probe into major newspapers, which is a socially controversial issue. The study hypothesized there would be the third-person effects in the press coverage, but differently at the levels of social distance, self-perceived knowledge about the world and education. We gathered data from a purposive sample of 302 resi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in the Seoul area. As a result, we found robust third-person effects, as expected for both the perceptual and behavioral components. Especially, the effects were likely to be correlated with social distance. In addition, those who perceived to have more self-perceived knowledge about the world than others showed a strong third-person effect. But the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education level on both the components did not seem to confirm the hypotheses. Of course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mainly because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and cross-sectional design, but the results seem to be consistent with ones of past studies on socially undesirable message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자기지도성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홍지명 ( Jimyeong Hong ),박예현 ( Yehyun Par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1

        보육교사의 역할과 자질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교사의 내적 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기지도성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와 자기지도성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J지역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55명이며,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자기지도성과 회복탄력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기지도성은 회복탄력성 및 하위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지도성의 하위 요인 또한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기지도성이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관련 변인이 됨을 밝힘과 동시에 보육교사의 자기지도성과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심리적ㆍ행정적 지원 방안과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육의 질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the importance of the roles and qualities of child care teachers is emphasized, the interest of teachers’ internal factors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5 teachers working in J distric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Second, the self-leadership of the child care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ilience and sub factors, and the sub factors of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ili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elf-leadership of the teacher is a related variable to increase resilience, and it is also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programs and programs to promote self-direction and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and suggests that the quality of child care can be enhanc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청년 졸업자의 취업 성공 결정요인 분석 : 전국 5대 권역을 중심으로

        박준우,여찬구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2 기업과 혁신연구 Vol.45 No.4

        본 논문은 전국을 5대 소재권으로 구분하여 2019년도 대학 청년 졸업자의 취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지역마다 상이한 점이 일부 발생하였지만, 개인적 특성인 나이, 부모의 소득은 취업성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자산은 유의하지만 취업성공에 부(-)의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공의 경우 사회․공학․예체능 계열은 전공이 취업성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육계열 전공은 취업성공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유형에서 교육대는 취업성공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4년제 대학 및 국공립 대학은 취업성공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밖에 취업 준비 행동적 특성으로 직업 능력 향상 교육과 관련 전공 자격증 취득은 취업성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일반 자격증 취득은 취업성공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취업 직종과 목표에 상관없이 단순히 ‘스펙 쌓기식’ 취업 준비는 취업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 외 취업관련 활동 경험으로 SSAT, 공모전, 대외활동은 취업성공에 정(+)의 영향을, NCS, 외모관리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