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인사의 3⋅1운동

        최화정 대각사상연구원 2019 大覺思想 Vol.31 No.-

        Buddhism is a popular religion. For example, most of the Mahayana Buddhist scriptures are preamble to the scriptures with the four kinds of people gathering to hold Buddhist lecture meeting. The preamble begins with “Thus I have heard” describes all surrounding conditions, including when, where, and the audience of the sermon. The March 1st Movement(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vents that occurred when the Buddha's teachings met with modern Korean society, which was led by the Buddhist community. In other words, it was a case involving many Koreans, regardless of men and women, the elderly and boys, monks and ordinary people. In this regard, the “The March 1st Movement and Haeinsa” recorded by Hyodang Choi Beom-sul half a century ago can be found in the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s of Haein temple(Haeinsa) about the following facts on the The March 1st Movement, a historical event of a century ago. First, Hyodang Choi Beom-sul’s memoir about the March 1st Movement in Haein Temple has important historical value. His memoir became the basis of various history books, and later the March 1st movement in Haein temple was mainly dealt with in one small unit. Second,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in Haein Temple, participants continued their independence movements, with a patriotic group ‘Uiyeoldan’ and ‘Mandang’ in Korea and abroad. Shin Cheol-Hue, a mastermind of the Miryang Incident, was engaged in the activities of ‘Uiyeoldan’ in Korea, while Hyodang Choi Beom-Sul planned the assassination of the Japanese Emperor along with Park Yeol and others in Japan. Afterwards, they lived in Dasol temple(Dasolsa) and Haein temple, and secretly provided the foundation for ‘Mandang’, to promote Korean Independence along with various patriots such as Kim Beop-rin and Kim Beom-bu. Third, the March 1st Movement in Haein Temple was based on Haein Local school and Haein elementary school as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s of Haein Temple, Haein Local school was the secondary education course, Haein elementary school was an elementary education course. Since then, many students and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education. For example, Jeong Gwang-ho, then a teacher at Haein elementary School, and Choi Beom-sul, a student at Haein local school, became Constituent Assembly legislators, and participated directly in the founding of South Korea. As a result, if we look at Choi Beom-sul’s a memoir “the March 1st Movement and Haein Temple”, we can know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March 1st Movement were monks and ordinary peoples like the four kinds of people gathering to hold Buddhist lecture meeting in the Mahayana Buddhist scriptures. In that sense, the teachers and students in Haein temple, who understood it and faithfully carried out it, wer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spects of Buddhists. Unfortunately, however, such valuable records of the past do not remain in any material that conveys the history in Haein temple. 불교는 사회적인 종교이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대승경전들은 사부대중이 모여 법회를 여는 것으로 경전의 서분을 이룬다. 이 서분은 경의 첫머리에 “이와 같이 내가 들었노라”로 시작하여 그 경을 설한 때와 장소, 설법의 대상 등 일체의 주변 여건을 서술한 부분이다. 이러한 부처의 대승적인 가르침이 근대 한국사회와 만나서 일어난 대표적인 사건이 불교계가 주도적으로 참여한 3․1운동이었다. 즉 남녀노소와 승속을 막론하고 전 민족적으로 사부대중이 참여한 사건이었다. 그런 점에서 반세기전에 효당 최범술이 기록한 「三․一運動과 海印寺」는 해인사의 지방학림의 근대적 모습 속에서 한 세기 전의 큰 민족적 사건인 3․1운동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효당 최범술의 해인사 3․1운동에 대한 회고가 가지는 사료적 가치이다. 효당의 회고는 여러 독립운동사의 기술에 기초가 되었고, 이후 해인사의 3․1운동은 주로 하나의 소단원으로 다루게 되었다. 둘째, 해인사 3․1운동이후 참가자들은 국내와 국외에서 의열단과 만당 등이 활동을 이어가면서 독립운동을 지속하였다. 대표적으로 밀양사건의 주모자인 신철휴는 국내에서 의열단의 활동을 하였으며 효당 최범술은 일본에서 박열 등과 함께 천황암살을 모의하였는데, 이후 해인사의 말사였던 다솔사와 해인사를 오가면서 만당의 근거지를 비밀리에 제공하여 김법린, 김범부 등의 여러 애국지사들과 함께 독립운동을 하였다. 셋째, 해인사의 3․1운동은 해인사의 근대적 교육기관으로 중등교육과정인 해인사 지방학림과 초등교육과정인 해인보통학교에 근거하였는데, 이후 많은 학생들과 교사들은 독립운동과 대한민국의 건국과 교육에 참여하는 배경이 되었다. 예로 당시 해인보통학교의 교사였던 정광호와 해인사 지방학림의 학생이었던 효당 최범술은 제헌국회에 진출하여 대한민국의 건국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였다. 결과적으로 이상과 같이 반 세기전의 기록인 효당 최범술의 회고인 「3․1운동과 해인사」등을 통해 해인사의 지방학림의 근대적 모습 속에서 한 세기 전의 큰 민족적 사건인 3․1운동을 살펴보면, 뜻밖에도 승속을 아우르는 그 모습은 경전의 법회 속에서 사부대중이 모이는 자리와 같다. 그러한 의미에서 그것을 이해하고 충실히 수행한 해인사 지방학림과 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은 불교인들의 과거이자 현재이고 미래의 모습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그러한 과거의 소중한 궤적은 해인사의 역사를 전하는 『해인사지』의 어디에도 남아있지 않다.

      • KCI등재

        해인사대장경판(海印寺大藏經板)에 포함된 중복경판 및 보각경판의 역사·문화적 성격과 보존방안

        최영호 ( Choy Young-ho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6 文物硏究 Vol.- No.30

        이 글에서는 국보 제32호 해인사대장경판 가운데 포함된 중복·보각경판 실체 와 성격을 정리하고, 해인사대장경판의 전체 수량을 다시 조정하는 현실적 방안 도 진단하였다. 해인사대장경판의 전체 수량은 1914년 조선총독부의 전수조사에서 81,258판 으로 조사·정리된 이후 연구자의 대부분이 그대로 수용하였다. 그러다가 1999~ 2008년에는 전체 수량이 81,350판으로 조사되었으며, 2013년에는 『內典隨函音□』 2판의 발견으로 81,352판으로 확대되었다. 이에 2012∼2013년 및 2015년에 는 객관적인 분석절차·방법으로 다양한 분석지표를 활용하여 해인사대장경판 에 포함된 중복경판, 사간경판 가운데 해인사대장경판의 포함여부,『내전수함음소』의 성격 등을 조사하여 전체 수량을 새롭게 조정할 수 있는 객관적 근거자료 를 확보하였다. 그 결과, 해인사대장경판에 포함된 개별경판의 중복경판 가운데 후대 보각경판은 118판으로 조사되었다. 후대 보각경판은 우왕 7년 이후∼刊經 都監의 운영 전후를 포함하여 1937년까지 최소 7차례나 조성되었다. 그리고 『大 乘瑜伽金□性海曼殊室利千臂千鉢大敎王經』 10권은 溪함 126판과 鷄함 121판의 이중경판이라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해인사대장경판의 전체 수량은 국보 제32호의 현재적 구성범위를 유지하면서 다시 조정할 수 있는 3가지 방안과 함께『내전수 함음소』의 포함여부도 진단하였다. 후대 보각경판의 전체를 제외하는 경우, 일제 강점기에 조성된 보각경판만 제외하는 경우, 보각경판 전체를 포함하는 경우가 3가지 방안이다. 이 가운데 최선의 방안은 다양한 역사·문화적인 성격과 현실적 조건을 고려하여 3번째 경우로 진단하였다. 그러면서 2번째 방안이 채택될 경우 에는 일제강점기에 보각된 36판을 근대문화유산이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별도 로 지정하는 방법도 차선책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내전수함음소』 2판도 『大乘 理趣六波羅蜜多經』 10권의 보완적 텍스트로 편재되어 조성되었으므로 해인사 대장경판의 전체 수량과 국가기록유산 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는 근거도 확인되었 다. 따라서 현실적 조건에서는 전체 수량을 81,352판으로 지정하는 방안이 최선 책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 to totalize the substance & character of a duplicate-woodblock & re-engraved-woodblock that have been included among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and diagnosticate the practical ways that can adjust the total-number of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again. The total-number of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have been investigated by 81,258 woodblocks in the 1914. thereafter, the total-number have been investigated by 81,350 Blocks in the 1999~2008 year, and have been increased by 81,352 woodblocks in the 2013 year. because 2 woodblocks of the Najeonsuhameumso-Sutra(.밫寧뵟돶.) have been discovered in the 2013 year. therefore, we have conducted an objective investigation that can newly adjust the total-number in the 201 2~2013 & 2015 year. as a result, we have confirmed a re-engravedwoodblocks of 118 woodblocks that have been included among a duplicate-woodblocks of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The total-number of the Haein-temple-Tripitaka Printing Blocks can be newly adjusted in three ways. among three ways, the best way is intended for 81,352 woodblocks that included in the re-engravedwoodblocks & the duplicate-woodblocks. because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re-engraved-woodblocks & the duplicate-woodblocks can be reflected, and present conservation-form of the Haein-temple- Tripitaka Printing Blocks can be considered.

      • KCI등재

        신라 말 해인사와 주변 지역 정세

        권영오(Kwon, Young-Oh)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2

        건녕 2년(895년)에 새겨진 해인사 탑지는 모두 4매 6면에 889년에서 895년 사이의 일을 기록하였다. 그중 海印寺 護國三寶 戰亡緇素玉字는 7년간 초적들의 습격에 희생된 56명의 승속인 명단이다. 연이은 흉년에 생존차원에서 봉기한 농민들이 산발적으로 해인사와 주변 사찰, 그리고 사원전을 습격하였지만, 해인사의 존립을 위협할 정도는 아니었다. 920년까지 해인사 주변의 군사적 요충지인 대야성이 건재하였고, 거창성과 강주도 신라의 통제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혼란한 전국을 떠돌던 최치원은 난리를 피해 해인사로 들어왔고, 이후에도 절을 중창할 것을 합의한 것으로 보아 당시 해인사의 치안이 크게 불안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920년(경명왕 4년) 정월에 신라는 사신을 보내 고려와 우호관계를 맺음으로써 반란 세력인 고려를 국가로 인정하였고, 그해 2월에는 강주장군 윤웅이 고려에 항복하였다. 그리고 10월에는 후백제왕 견훤이 대야성을 함락시켰다. 이후 해인사와 그 주변 지역은 한 동안 고려와 후백제의 접전 지역이 되었다. 928년 이후 고려의 통일까지 해인사와 주변 지역은 후백제의 세력권으로 들어갔다. 신라의 붕괴가 가시화되면서 지방 세력의 이탈도 나타나기 시작하였지만, 해인사와 그 주변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게까지 신라의 세력권에 머물러 있었다. 신라 말의 지방 사회 모습을 일면적으로 고정시켜 볼 것이 아니라 지역적인 차별과 역사적 진행과정에 따른 변화 속에서 동태적이고 다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epitaphs of the Haeinsa Pagoda, engraved in 895 A.D., recorded the events that occurred between 889 A.D. and 895 A.D. (in page 6, Chapter 4) Among the events that was recorded are; ‘The list of Buddhist monks and mundane Laymen who died defending the country, a list of treasures at Haeinsa (海印寺 護國三寶 戰亡 緇素玉字)’ and the name of 56 people who were victims of bandits for a period of 7 years. Due to consecutive years of hardship, peasants rose up and attacked Haeinsa Temple and its surrounding area. Their attacks weren’t strong enough to threaten the existence of the Temples. Until 920 A.D., Daeya Castle(大耶城), Geochang Castle(居昌城) and Gangju(康州) near Haeinsa were under the control of Silla. Choi, Chi-won(崔致遠) moved to Haeinsa to evade a bedlam. Because there was an agreement to rebuild the temples, the public order of Haeinsa of the time might not have been unstable. In January, 920 A.D. however, Silla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 with Goryeo(高麗) by sending an emissary. In February of that year, Yoon Wung(閏雄) from Gangju surrendered to Goryeo. A few months later, in October, the forces of Later Beakje(後百濟) captured Daeya Castle. Haeinsa and its surrounding area turned into a battle of field between the Goryeo and some time Later Baekje. Between 928 A.D. and Goryeo’s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Haeinsa and its surrounding area came under the sphere of Later Baekje’s influence. With the crumbling of Silla’s power, Haeinsa and its surrounding area remained in the sphere of Silla’s influence until late in comparison with other areas.

      • KCI등재

        해인사대장경판에 편제된 『內典隨凾音䟽』의 조성성격

        최영호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3

        이 글에서는 해인사대장경판 가운데 포함된 『내전수함음소』 권481·490의 인출 판본 및 권490의 현존 목판에 표기된 기본정보를 정리한 이후, 현존 경판의 진위 여부와 판각 성격도 분석하였다. 해인사와 일본 오오타니대학·조죠지에 소장된 해인사대장경판 인출본 함차 磻·桓함 가운데 포함된 『내전수함음소』 권481·490, 최근 발견된 『내전수함음소』권490의 목판 2판 3장에 새겨진 해당 판본의 서지정보와 각수 덕지, 경판의 외형적인 형태와 구성체계·간행정보 등 다양한 지표를 비교·검토한 이후, 해인사대장경판 가운데 포함된 개별 경판으로서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내전수함음소』권490의 목판 2판 3장이 고종 32년 고려국대장도감에서 해인사대장경판의 편입 개별 경판으로 조성된 사실을 확인하였다. 해인사대장경판 가운데 편제된 『내전수함음소』 권481·490은 개별 권차의 전체가 별도의 독립적인 음의 해석집으로 조성되지 않았고, 해인사대장경판에 편입된 『대위력오추슬마명왕경』 3권 등 磻함의 5종류 경전과 桓함의 『대승이취육바라밀다경』 10권의 마지막 부분에 해당 경전의 음의를 추가·보완하는 목적에서 개별 장차의 경판으로 각각 조성되었다. 이 과정에서는 『내전수함음소』권481·490의 전체 권차 2권 가운데 해인사대장경판에 편입된 해당 경전의 음의 범위에 포함되는 장차의 내용 부분만 선택한 다음, 제1장 등으로 장차를 새롭게 조정하여 개별 장차의 경판으로 간행·보완하였다. 그러면서『내전수함음소』 권481·490는 해당 경판의 조성불사가 시작되는 사전 단계부터 조직적으로 기획되지 않았으며, 더구나 해당 경판의 조성사업이 완성된 이후에 해당 경판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검토한 다음, 관련 음의를 검토·반영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내전수함음소』 권490가 음의의 대상에 포함되는 『대승이취육바라밀다경』10권 가운데 7권보다 1년 앞선 고종 32년 판각·완료되었으며, 『내전수함음소』의 음의 대상 경전에 편입된 경전이름·한역정보 및 경전 배열 순서가 해인사대장경판 가운데 편제된 해당 경전의 경우와 차이를 보이는 사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내전수함음소』의 음의 표제어도 해인사대장경판 가운데 편제된 해당 경판의 본문 내용에서 확인되지 않는 등 완성된 경판을 원천텍스트로 활용하지 못한 사례도 보인다. 해인사대장경판에 편제된 『내전수함음소』 권481·490의 원천텍스트는 송나라 때 간행한 판본을 저본으로 삼았다. 그러면서 고려국대장도감은 13세기 중엽 해인사대장경판의 판각불사에서 권481·490의 권제·판제·간행정보 등의 내용을 새롭게 편집·조성하였다.

      • 최치원의 해인사 인연과 기록에 관한 고찰 -해인사의 기록자 최치원

        한정호 ( Han Jeong-ha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2022 加羅文化 Vol.31 No.-

        최치원이 말년을 보낸 경남 합천 해인사는 그의 은거지 또는 종신지로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 곳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지역학 연구의 차원에서 최치원과 합천 해인사와의 인연과 행적, 그리고 관련 저술들에 대해 짚어보고자 했다. 특히 해인사 기록자로서 최치원의 활동에 초점을 맞춰, 그가 남긴 해인사 관련 기록과 활동을 은둔 이전과 이후로 나눠 살펴보았다. 먼저, 최치원은 함양태수 시절에 여러 차례 해인사에 들러 친형 현준과 희랑대사를 만났고, 승려 승훈과도 각별한 인연을 맺었다. 이는 그의 시문 「희랑화상에게」(895), 기문 <해인사묘길상탑기>(895)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당시 그는 진성여왕에게 나라의 기틀을 바로세우기 위한 <시무십여조>를 올렸지만, 그 개혁안이 시행되지 못하고 자신의 포부를 더 이상 펼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최치원은 관직에서 물러나 은둔하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최치원과 해인사의 인연은 그의 은둔 시기와도 맥을 같이한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최치원은 해인사에 은둔하면서 많은 글을 지었다. 시문과 기문의 저술, 찬문과 승전의 찬술이 그것이다. 그는 기문으로 <신라가야산해인사결계장기>(898)와 <신라가야산해인사선안주원벽기>(900), 시문으로 「가야산 독서당」을 남기고 있다. 또한 그는 찬문으로 「순응화상찬」과 「이정화상찬」, 승전으로 『석순응전』과 『석이정전』, 『부석존자전』, 『법장화상전』(904) 등을 저술했다. The area of Hapcheon Haeinsa Temple in Gyeongnam, where Choi Chi-won spent his last years, is a special place as his hiding place or life-long plac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havior, and related writings with Choi Chi-won and Haeinsa in the dimension of regional studies. Especially, focusing on Choi Chi-won's activities as a Haeinsa recorder, he examined the records and activities related to Haeinsa that he left behind before and after the seclusion. First, Choi Chi-won stopped by Haeinsa several times during the Hamyang governor period and met his brother Hyeonjun and Huirang monk, and made a special relationship with the monk Seunghoon. This is based on the poetic text “To Huirang monk(贈希朗和尙)” and can be guessed through the write a note “Haeinsa Myogiltopography(海印寺妙吉祥塔記)”. At that time, he posted a < Simu Ten Provision(時務十餘條) >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to Queen Jinseong, but his reform plan was not implemented and his aspirations could no longer be unfolded. In this regard, Choi Chi-won has stepped down from government post and became reclusive. In this regard, Choi Chi-won and Haeinsa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his time of seclusion. Next, Choi Chi-won wrote many writings, reclusive of Haeinsa Temple. These are the writings of poetic text and write a note, and hymn nad biographical story of monk. He left the “Silla Gayasan Haeinsa Gyelgyejangi(新羅伽倻山海印寺結界場記)”, “Silla Gayasan Haeinsa Seonanjuwonbyeokgi (新羅伽倻山海印寺善安住院壁記)” and “Gayasan Dokseodang(題伽倻山讀書堂)” as the poetic text. In addition, he wrote “Suneung Hwasangchan(順應和尙贊)”, “Yijeong Hwasangchan (利貞和尙贊)” as hymn, and < SeokSunungjeon(釋順應傳) >, < SeokYijeongjeon(釋利貞傳) >, < Buseokjonjajeon(浮石尊者傳) >, < Beopjanghwasangjeon(法藏和尙傳) > as biographical story of monk. Through this paper, I hope that it will help to understand the cultural assets of Haeinsa as well as the life of Choi Chi-won.

      • KCI등재

        해인사 고려대장경판 인경술(印經術)의 전통과 전승 연구

        한홍익 ( Han¸ Hong-i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7

        해인사 수다라장(修多羅藏)과 법보전(法寶殿)에 소장된 고려대장경판의 인경은 매우 복잡한 절차와 과정을 거쳐야 한다. 쉽게 추진될 수 없는 대작불사(大作佛事)이다. 해인사에서 마지막으로 행한 공식적인 인경은 지난 1968년 12월로서 이때 대장경판 전체를 13질(帙)을 인경하였다. 현재 인경에 대한 방법과 도구 등은 해인사와 특정인에 의해 전승되고 있지만, 매우 특이하고 귀중한 무형유산이라 할 수 있다. 해인사에 전승되어 온 대장경판 인경에 대해 그 역사성과 인경 방법 및 그 과정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제Ⅱ장에서는 해인사 고려대장경판 인경술의 전통과 고유성에 대해 정리하였다. 인경 방법 및 도구 등에 대한 기록이 전해지거나 그 과정을 정리한 바가 없었기 때문에 해인사에 전승되어 온 인경술을 중심으로 준비물, 준비 과정, 절차, 방법 등을 항목별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인경불사에 참여한 인경공(印經工)의 구술과 인경 과정을 찍은 사진을 같이 제시하여 인경술 기록을 체계화 하는데 노력하였다. 그리고 해인사 인경 불사의 역사성과 독창성을 보다 다각도로 파악하기 위해 일본과 중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목판 인경 방법을 상호 비교·검토하였다. 『고려대장경』 인경 방법과 도구 등에 대해서는 현재 해인사 사하촌에 거주하는 인경공 사이에 전해오는 내용을 구술로 정리하였다. 인경 방법과 그 과정은 글로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해인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사진을 적극 활용하여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Ⅲ장에서는 해인사 고려대장경판 인경술의 전승과 기록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인사 『고려대장경』 인경술의 독창성을 이해하기 위해 일본과 중국의 인경 방법을 비교하면서 일본과 중국의 인경 관련 자료는 현지 방문 및 전문가 도움을 통해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지난 700여 년간 해인사에서 전승되어 온 고려대장경판 인경술의 전통과 고유성, 인경 방법 및 도구, 전승에 대해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gyeong(woodblock printings), one of the Buddhist services, requires very complicated processes and procedures from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Sudarajang and Beoppojeon of Haeinsa Temple. Therefore it isn’t an easy buddhist service. The last official In-gyeong was implemented in Haeinsa, in December, 1968. At that time, the 13th print edition was completed of the entire Tripitaka Koreana. Currently, methods and tools of In-gyeong have been handed down by Haeinsa and specific people, which is why it is so unique and precious intangible asset. This study is about historical value, method, and process of In-gyeong passed down by Haeinsa.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as follows; in Chapter II summarizes the tradition and uniqueness of In-gyeong sul(Woodblock printings Techniques) in the Tripitaka Koreana of Haeinsa Temple. ince records of Ingyeong methods and tools were handed down or the process was not organized, preparations, procedures, and methods were classified by category, focusing on Ingyeong techniques that have been handed down to Haeinsa Temple. He tried to systematize the records of In-gyeong by presenting pictures of the oral and In-gyeong processes of In-gyeong Buddhist temples in the past.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and originality of the In-gyeong Buddhist work in Haeinsa Temple from a more diverse perspective, the woodblock In-gyeong method conducted in Japan and China was compared and reviewed. Regarding In-gyeong’s methods and tools of the Tripitaka Koreana, experts' oral tradition has been documented in Haeinsa Sahachon. As there is a limit to document In-gyeong’s methods and processes, In-gyeong related pictures of Haeinsa have been used for better understanding. in Chapter Ⅲ examines the transmission and documentation of In-gyeongsul in the Goryeo Daejanggyeong Plate of Haeinsa Temple.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iginality of In-gyeongsul, Haeinsa Temple, the Korean Tripitaka Koreana, we compared Japanese and Chinese in-gyeong methods, and obtained materials related to Japanese and Chinese in-gyeong through local visits and expert help.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understand concretely and systematically the traditions, uniqueness, methods, tools, and transmission of the Goryeo Daejanggyeong Plate, In-gyeongsul, which have been handed down in Haeinsa Temple over the past 700 years.

      • KCI등재

        해인사대장경판(海印寺大藏經板)의 역사·문화적 공유의식

        崔永好 ( Choy Young-ho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石堂論叢 Vol.0 No.76

        이 글에서는 유네스코(UNESCO)의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해인사대장경판에 담겨진 역사·문화적인 공유의식을 진단하였다. 13세기 중엽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 당시 고려 사람들이 품고 있었던 당대의 공유의식을 정리한 다음,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에 담겨진 공유의식을 진단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조성사업 이후 해인사대장경판에 담긴 공유의식의 확장현상도 살펴보았다.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이 이루어지던 13세기 중엽 고려사회는 잔혹한 몽골 군사들의 침략에 따라 경제적 궁핍과 살상·포로·약탈의 대상으로 극한적인 공포와 위기 상태에 내몰려져 있었으며, 현실적 삶도 더욱 열악한 상태로 치닫고 있는 등 건국 이래 최대의 위기 상태에 직면하고 있었다. 특히 당시에는 고려사회의 핵심적인 전통가치와 상징으로 기능·인식된 불교문화유산과 불교기록유산들도 파괴·훼손되면서 불교계의 위기도 노출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당대 고려 사람들은 민족적 모순과 현실적 삶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대책들 가운데 핵심적인 하나의 통로를 불교와 불교유산의 조성사업에서 모색할 수 있다는 공유의식을 가지고 함께 실천으로 옮기기도 하였다. 불교와 조성불사가 몽골침략과 함께 현실적 삶을 극복할 수 있다는 공유의식을 가지고 실천하였다. 13세기 중엽 조성된 해인사대장경판에는 몽골침략 등으로, 모든 고려 사람들이 겪던 민족적 위기와 현실적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불교적 기원의식과 신념이 담겨져 있었다. 국가 및 국왕·왕실의 안녕, 전쟁종식·외적 격퇴 등의 기원은 13세기 중엽 당대 모든 고려 사람들이 함께 바라던 공유의식으로 해인사대장경판의 조성사업에도 반영되어 있었다. 해인사대장경판에는 이러한 공유의식을 담고 있었으므로, 당대 고려 사람들과 불교계가 조성사업에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조성사업도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해인사대장경판은 조성사업 이후에도 현재까지 거의 온전하게 보존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조성사업의 당시나 이후에도 해인사대장경판에 담긴 역사·문화적인 공유의식이 지속적이고 확장적인 생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가능하였다. 고려사회에서뿐 아니라 특히 성리학적인 지배이념이 확산되고 불교사상이 억제되었던 조선시대에도 국가로부터 나라의 보물이라는 공유의식과 위상을 확보하면서 안정적인 보존 대책도 마련되는 등 우리 민족의 기록유산으로 인식되고 자리매김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대의 남북한에서도 국가적인 보물로서의 위상과 인식을 공유하고 있으며, 더구나 일본사회에서도 중세 이래 근대까지도 불교나 세계적인 보물로 인식되는 공유의식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공유의식으로 해인사대장경판은 2007년 6월 유네스코(UNESCO) 기록 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는 등 우리나라를 포함한 모든 인류의 보편적인 기록유산으로서의 위상과 가치가 공간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sharing―consciousness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that UNESCO has listed as Memory of the World in 2007.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had been carved as a national project in the mid―13th century. at this time, the Goryeo(高麗)-Dynasty was undergoing a brutal invasion of Mongolia. In the process, the whole of Goryeo-people were feeling life threat, were suffering enormous material damage. In addition, Goryeo-society was experiencing destruction of the Buddhist heritage. Goryeo-Dynasty has been experiencing the greatest national crisis and realistic contradictions since its founding. in this realistic environment, the Goryeo-people responded by force to the Mongol invasion. on one hand, they relied on Buddhist beliefs. Goryeo-people carried out Buddhist events and sculptures with Buddhist beliefs. and they wished the stability of the state and the royal family, earnestly prayed for an end of the war(repulsion of Mongolian Invasion) and the well-being of their families. in particular, this origin is inscribed in the Buddhist sculptures that had created in the mid―13th century. therefore, this origin was a shared consciousness of the Goryeo-people in the mid-13th century. A creation project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was also included in such shared consciousness. therefore, the Goryeo-people of the mid-13th century actively &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project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they participated actively and voluntarily with all their heart. the participated people of this creation project included from the king to the common people, were also included all Buddhist sects of the time.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is almost completely preserved to date even after the construction work. this was because the shared consciousness of the time had historical and cultural vitality even after the creation project. in particular, the historical & cultural values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was nationally & continuously shared the Joseon(朝鮮)-Dynasty that the Buddhist faith was suppressed.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treasure in both Japanese colonial rule and modern society. this documentary heritage was also recognized as a national treasure in Japanese society. this documentary heritage has listed as UNESCO Memory of the World in 2007, is now established a universal heritage of world humanity.

      • KCI등재

        13세기 중엽 조성된 대장일람집大藏一覽集의 판각성격

        최영호 한국국학진흥원 2022 국학연구 Vol.- No.49

        이 글에서는 해인사 소장의 대장일람집 권1과 함께 계명대학교 소장 대장일람집 권1 상·중·하에 담긴 기본정보를 전반적으로 분석·정리한 다음, 판본의 계통과 조성 시기·성격을 진단하였다. 해인사 소장 목판 및 계명대학교 소장 판본은 권1의 구성체계와 함께 외형적인 형태, 서체 및 교감 내용, 각수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지표를 정리·비교하여 각각 다른 판본을 저본으로 조성된 별개의 종류로 확정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차별적인 기준지표로 현존 판본의 종류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조선전기 간행 판본 등으로 추정되던 최소 5종류의 판본을 해인사 소장 목판으로 찍은 인출본으로 바로잡았다. 해인사 소장 목판 및 계명대학교 소장 판본의 저본 계통과 함께 조성시기·성격을 분석하는 선행 과정으로 대장일람집의 저술 시기를 다시 확정하였다. 송나라의 초연거사 조영금이 지은 대장일람집서에서도 진실이 1157년의 당해 연도나 그 직전에 대장일람집을 저술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해인사 소장 목판의 대장일람집은 송나라 유오삼랑서국에서 새긴 판본을 저본으로 활용·조성되었으며, 계명대학교 소장의 판본도 송나라 계통의 판본을 저본으로 삼았다고 판단된다. 계명대학교 소장 판본이 해인사 소장 목판보다 본문의 교감에서 오류의 빈도가 적으므로, 후대 조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서 교감의 정확도만으로 조성 시기의 선후 관계를 확정하기 쉽지 않다. 해인사 소장 목판 및 계명대학교 소장의 판본이 13세기 중엽 각각 간행·유통된 사실은 각수의 활동 사례에서도 확인된다. 해인사 목판의 권1을 조성한 각수 황령 등 5명은 고종 24~33년 고려국 대장도감·분사도감에서 해인사대장경판에 편입된 다양한 개별 경판을 판각하였으며, 계명대학교 소장 판본의 각수 정안 등 7명도 고종 24~32년 대장도감·분사도감에서 활동하였다. 이처럼 해인사 소장 목판 및 계명대학교 소장 판본은 13세기 중엽 대장도감이나 분사도감의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조성되었으므로, 해인사대장경판의 외장 가운데 포함될 수 있는 역사·문화적인 가치를 가진다. 계명대학교 소장 판본의 7명 각수 가운데 5~6명이 주인왕호국반야경및 선문삼가염송집의 각수와 중복되므로, 계명대학교 소장 대장일람집은 13세기 중엽 주인왕호국반야경· 선문삼가염송집과 함께 기획·조성되었을 개연성도 있다. 해인사 소장 목판 및 계명대학교 소장 판본을 새긴 각수 조직은 13세기 중엽 해인사대장경판 조성사업을 주도한 대장도감·분사도감의 운영체계와 마찬가지로, 교·속 이원적인 체계로 운영되었다. 아울러 해인사 소장 목판 및 계명대학교 소장 판본은 각기 다른 송나라의 판본을 저본으로 활용하여 고려사회에서 새롭게 ...

      • 曉堂 崔凡述의 獨立運動과 卍黨의 敎育事業

        崔和丁 ( Choi Hwa-jeong ) 경상국립대학교 청담사상연구소 2023 마음思想 Vol.15 No.0

        효당 최범술(1904~1979)은 불교계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이다. 초대 제헌의원을 지낸 정치가이며 현대 한국차문화의 중흥조로 알려져 있다. 효당은 일제강점기에는 국내외에서 동지들과 함께 항일투쟁을 하다가 일제에 검거되어 여러 차례의 옥고를 치렀다. 이후 그는 광복이 되어서는 1947년 미소공동위원회 대한불교단체 대표 · 해인사 주지 · 국민대학 초대 이사장 · 제헌국회 의원을 역임했다. 그리고 해인대학을 설립하고 초대학장을 지냈다. 만년에는 오로지 불교인으로서 평생 전념해 온 원효학설의 복원과 연구에 매진하면서 그의 제자 양성에 힘을 기울였고, 잊혀져 가던 한국 차 문화를 중흥시켜 현대 한국 차문화의 중흥조로 추앙받고 있다. 그러나 근대 불교사에 있어서 1943년의 이른바 ‘해인사사건’으로 대표되는 만당의 항일투쟁에 대하여 그 원인과 자세한 전모는 지금까지 잘 알려져 있지않다. 또한 과거에도 내재적인 관점에서 해인사 내부의 항일투쟁을 기록하고 전한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해인사지방학림 출신인 효당 최범술은 이를 연재물 등으로 후세에 전하였다. 특히 그의 기록들은 3 · 1운동에서부터 만당투쟁에 이르기까지 해인사와 그 말사였던 다솔사에서의 사건의 과정을 일관되게 소상히 전하고 있는데, 그는 유일하게 해인사의 내재적 관점으로 3 · 1운동과 만당의 활동을 연재물로 저술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해인사지방학림 출신인 그의 기록을 중심으로 3 · 1운동 이후 해인사에서 만당의 세력들이 소멸하기까지의 활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효당 이외에도 만당의 기록을 전한 이들은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3 · 1운동에서 이른바 ‘해인사사건’으로 대표되는 만당의 활동에 이르기까지 활동한 중요 인물들이 아니었다. 따라서 해인학림출신으로 해인사의 3 · 1운동을 주도하고 만당의 활동근거지를 다솔사와 그 본사였던 해인사로 확장시켰던 효당의 기록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3 · 1운동 이후 해인사와 그 말사였던 다솔사를 중심으로 독립운동과 교육사업을 통해 해인학림출신들의 만당활동과 그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Hoydang Choi Beom-sul(1904-1979) was a Buddhist independence activist and educator. He was a politician who served as a member of the First Constituent Assembly and is known as a reviver of modern Korean tea cul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was arrested by the Japanese police for his joining anti-Japanese movements with his comrades at home and abroad, and was imprisoned several times. Later, when Korea became independent, he served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Buddhist organization of the U.S.-Soviet Joint Commission in 1947, the head monk of Haeinsa Temple, the first chairman of Kookmin University, and a member of the Constituent Assembly. He then established Haein University and served as the first president of the university. In his later years, he devoted his life to restoring and researching Wonhyo's teaching as a Buddhist, and devoted himself to teaching his disciples, and he is revered as a reviver of modern Korean tea culture. In modern Buddhist history, the cause and details of Mandang's anti-Japanese struggle, represented by the so-called ‘Haeinsa Incident’ in 1943, have not been well known until now. In the past, it was also very rare to record and convey the anti-Japanese struggle inside Haeinsa Temple from an inherent point of view. Hyodang Choi Beom-sul, a graduate of Haeinsa Temple Local School, handed it down to future generations as a series. In particular, his records consistently conveyed the process of events in Haeinsa Temple and its company temple, Dasolsa, from the March 1st Movement to the Mandang Struggle, and he was the only one who wrote as a series the activities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Mandang struggle from an intrinsic perspective of Haeinsa Temple.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activities of Haeinsa Temple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until the extinction of Mandang forces. Of course, Hyodang was not the only one who wrote records about Mandang. However, the others were not important figures who worked from the March 1st Movement to the activities of Mandang, represented by the so-called ‘Haeinsa Incid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yodang's record, as a graduate from Haeinsa Temple Local School, who led the March 1st Movement of Haeinsa Temple and expanded the foundation of Mandang's activities to Dasolsa Temple, is very important.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andang activities and the effects of Haeinsa Temple Local School graduates upon independence movements and educational projects, focusing on Haeinsa Temple and its company temple, Dasolsa,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 KCI등재

        백용성스님의 해인사 및 고암스님과의 인연

        한태식(보광) 대각사상연구원 2013 大覺思想 Vol.20 No.-

        본 논문은 백용성스님의 해인사 및 고암스님과 인연에 대한 것으로, 이 두 가지 주제를 한편의 논문으로 정리한다는 것은 다소의 무리가 있었다. 그러나 두 분의 관계가 해인사를 중심으로 이 루어졌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먼저 용성스님과 해인사와의 인연은 다양하지만, 몇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는 출가본사이다. 용성스님의 재출가의 장소가 해인사 극락암이다. 특히 최근에 밝혀진 자필 기고문인 「나의 참회 록」을 중심으로 출가배경에 대한 인간적인 고뇌를 알 수 있었다. 둘째는 용성스님은 4차의 깨달 음을 얻는데 제3차의 오도송을 정리한 곳이 해인사이다. 셋째는 자신의 깨달음을 전하는 법거량 이 이루어진 곳도 해인사이다. 넷째는 해인사의 대중으로서 출가본사에 보은하기 위해 대장경판 각 보수에 있어서 화주의 역할을 하였다. 용성스님의 법력으로 왕실까지 감동시켜 국가적인 사 업으로 마무리하게 하였다. 다섯째는 약 10회에 걸친 대중법회와 상당법문을 한 인연도 대단히 지중하다. 여섯째는 해인사 금강계단에서 구족계와 보살계의 수계산림을 주관하였다. 문란해져 가는 계율을 중흥시키고, 청정 비구교단의 위상을 정립하였다. 다음으로 용성스님과 고암스님과의 인연에 대해 고찰하였다. 첫째는 고암스님은 18세 때부터 용 성스님과 인연을 맺어 해인사에서 출가하게 되었다. 고암스님이 해인사의 제산스님 문하로 출가 하게 된 배경에는 용성스님의 영향이 많았다. 둘째는 고암스님은 용성스님의 독립운동의 조력자 로서 중국 연변 및 하얼빈 등에 심부름을 다니면서 독립운동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셋째는 고암 스님은 평생을 용성스님의 지도하에 수행정진하였다. 운문선원, 망월사 만일참선결사, 내원사 결사 등에 참여하여 묵언정진하여 깨달음을 얻었다. 22년 동안 시봉하고 지도를 받아 40세에 古 庵이라는 법호를 받고 입실 건당하였으며, 전법수법제자가 되었다. 고암스님은 용성스님 입적 후에 용성스님의 행적비와 부도탑을 수호하기 위해 용탑선원을 건립하였고 재단법인 대각회를 설립하기도 하였다. 더 나아가서 용성스님의 유지를 계승하여 대한불교 조계종의 3차에 걸친 종 정을 맡아 청정수행교단을 이룩하는데 헌신하였다. 이러한 고암스님의 업적의 이면에는 용성스 님의 가르침이 큰 역할을 하였다고 보여진다. First of all, there are many stories about affinity between Yongseong Sunim and Haeinsa though, I've got some points for it. First, it is the temple for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The place where Yongseong Sunim re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is Gueknakam. I could know his humane agony that had become the background of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especially with 『My Repentance Note』, recently unfolded as his holograph. Second, Yongseong Sunim gained 4th enlightenment, the place where he made verses of 3rd enlightenment was Haeinsa. Third, the place where his teachings was spread was also Haeinsa. Forth, as one of Mahasangha, to return his favor to the temple for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he had a role as a fund-raiser to mend the woodcutting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Yongseong Sunim's power of Buddha's teaching moved the mind of Kingdom, they let him finish the work as a national business. Fifth, about 10 times of the Dharma meetings and the high-seat Dharma talks also have a big meaning when it comes to affinity. Sixth, he supervised the assembly for administration of precepts of Buddhism, the full precepts and Bodhisattva precepts, at the diamond precepts platform, Haeinsa. He restored Sila and Vinaya which were getting in disorder, erected position of the clean Bhikkhu's religious body. And the next, I had a consideration about the affinity between Yongseong Sunim and Goam Sunim. First, Goam Sunim had been keeping his affinity with Yongseong Sunim from 18 years old, so he had a chance to enter the Buddhist priesthood at Haeinsa. In the background Goam Sunim became a student of Jesan Sunim at Haeinsa, there was an influence by Yongseong Sunim. Second, as an assistant for Yongseong Sunim's independence movement, Goam Sunim had a role to make independence movement achieved going around Yanbian and Harbin, in China, running errands. Third, Goam Sunim spent his whole lifetime to study following Yongseong Sunim's teaching. Participated in Unmun Seon Monastery, Mangwolsa zen meditation association for 10000days, and Naewonsa association etc, doing a zealous practice with great silence, finally he got enlightenment. For 22 years, he served his teacher, Yongseong and studied teaching, and at the age of 40, he could have the dharma name as Goam, precepts from his teacher, became a disciple who spread the dharma and received the dharma. Goam Sunim established Yongtap Seon Center to protect Yongseong Sunim's memorial stone and the stone monument tower after Yongseong Sunim's death, and also set up an incorporated foundation, Daegak society. Moreover, succeeding to Yongseong Sunim's will, he devoted himself to set up the clean practice religious body as a chief of the Korean Buddhist Jogye Order, 3 times. In such a back side of Goam Sunim's achievement, it seemed that Yongseong Sunim's teaching played a big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