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수 해기인력 확보를 위한 승선근무예비역 제도의 유지ㆍ발전방안 연구

        장유락(You-Rak Jang),이영수(Young-Soo Lee),이윤철(Yun-Cheol Lee) 한국해사법학회 2018 해사법연구 Vol.30 No.2

        The public and even those who works in maritime industries are recognized that “Sea power is the naval power.” However, Alfred Mahan, who is firstly used a term of ‘Sea power’, said in his book that “The history of Sea power is mainly the history of the Navy, but not all of it”. Also, he said that “Shipping power in peace time and Naval power in war time are developed mutually and strengthened Sea power”.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ipping and the navy are complementary. Furthermore, sea, the basis of Sea power, is defined as a global commons such as sky and space, and it is evaluated that only humans can operate and control it. Therefore, the key task and main factor of a success for securing Sea power in the future is assuring human resources. Human resources of Shipping power is a maritime workforce. Comparing with inland workforce, maritime workforce have a lots of duty to be followed of public law in order to achieve a safety of life and property at sea and protection of marine environment. Although, maritime workforce have a unbalanced labor relationship and there is limited opportunity to resolve complaints. Therefore, the avoidance working on board has been increasing. The Merchant Marine Reserve System is a complement to this phenomenon. Merchant Marine Reserve plays a role of national interest such as energy transportation, acquisition of foreign currency and experts in related industries. They are also in charge of supplying military supplies, transporting troops and daily necessity and civilians for sustaining national func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refore, here I suggest, for sustaining and developing Merchant Marine Reserve’s role, the establishment of the maritime workforce into the military force as follow. First, Chapter 4 Service of active duty and etc, Section 2 Full-time Reserve and Merchant Marine Reserve must be divided into separate section and be specified operation plan and procedures.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detailed rules of the wartime exception, which should contains the procedure and the plan for the mobilization of Merchant Marine Reserve. Third, the problem of the current private class of Merchant Marine Reserve is assigned as a reserve officer or a non-commissioned reserve officer under wartime exception must be solved. National Sea power is decided by Shipping power in peace time and Naval power in war time. Shipping power, along with the naval power, is one of the pillar of National Sea power. The maritime workforce, which is man power of the shipping, is a driving force of Shipping power in peace time and able to be a naval force immediately in the emergency situation. Therefore, in order to Republic of Korea to become a maritime power in the new era of 21 st century, it is necessary to secure stable supply of the highly skilled and trained maritime workforce through the Merchant Marine Reserve System. 현대사회의 대중과 해양산업에 종사하는 이들조차 ‘ 해양력은 해군력이다.’ 라고 인식하고 있다 . 하지만 해양력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미국의 해군장교 알프레드 마한은 그의 저서에서 “ 해양력의 역사는 주로 해군의 역사이지만 전 부는 아니다.” 라고 밝히고 있다. 평시의 해운력과 전시의 해군력이 상호 순환적인 관계로 발전하여 해양력을 강화시켰으며, 해운과 해군의 관계는 상호보완적 이라고 하였다. 해양력의 근간인 바다는 하늘과 우주공간 등과 같이 세계적 공유물로 정의되고 있으며, 세계적 공유물의 실질적인 지배와 운용은 사람만이 가능하다고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해양력 확보를 위한 핵심과제이자 성공 요인은 인적자원의 확보라 할 수 있다. 해운력의 인적자원은 해기인력이다. 해기인력은 해상에서 인명, 재산 및 해양환경의 안전을 달성하기 위해 공익적 차원의 법적 규제를 받게 된다. 더욱이 일반근로자와 달리 노사관계가 불균형적이고,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며 고용환경이 불안정하여 해기직을 기피하는 현상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보완해주는 제도가 승선근무예비역제도이다. 승선근무예비역은 에너지수송, 외화획득, 연관산업 전문가로 활약하며 국익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또한, 비상시 민 · 관 · 군의 수요에 따라 물자보급과 병력수송 그리고 국가기 능 유지를 위한 물자와 주민수송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해기인력의 이러한 역할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병력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승선근무예비역제도의 복무규정을 담고 있는 병역법 제 4장 현역병 등의 복무 제 2절 상근예비역 및 승선근무예비역의 복무규정을 별도의 독립된 절로 구분하여야 한다. 둘째, 병역법의 전시특례 세칙을 규정하여야 한다. 셋째, 이병으로 제대하는 승선근무예비역이 전시특례에 따라 예비역 장교 또는 부사관 병적으로 편입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국가의 해양력은 평시의 해운력과 전시의 해군력의 우세로 좌우된다. 해운력은 해군력과 더불어 국가 해양력의 한 축으로, 해운력의 인적자원인 해기인력은 평시 해운력의 원동력이자 전시 해군전력으로 즉시 활용 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21 세기 신 해양시대에 해양력을 바탕으로 해양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하여, 승선근무예비역제도를 통한 우수해기인력의 안정적인 확보가 필요하다.

      • 중국의 도련선(島鏈線) 전략에 대한 지정학적 해석

        이영형(Yeoung Hyeong Lee)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18 한국과 국제사회 Vol.2 No.1

        본 논문은 해양력이 동아시아 해양공간에 미치는 지정학적 파장과 그 성격의 문제를 다룬다. 마한의 도서국가지배론에서 강조되고 있는 해양력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 해양력의 지정학적 성격을 파악한다. 이러한 인식과 함께, 21세기 현재 중국이 도련선 전략을 통해 태평양으로 진출하고 있는 지정전략적 성격과 그 파장의 문제를 조사한다. 지난 20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일본이 해양력에 기초해서 동아시아 해양공간에서 세력권 확장을 기획하는 대동아공영권 정책을 구체화했고, 21세기에는 중국이 도련선 개념을 구체화하면서 동아시아 해양공간을 관리하려는 지정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중국의 도련선 전략이 미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반발에 직면해 있는 상황에서 한국외교의 해양세력 의존정책이 21세기 현재에도 유용한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This paper covers the issues including geopolitical effects of sea power on sea space in East Asia and its nature in a perspective of the past and the present. This paper analyzes the significance of Sea Power which is emphasized in Mahan s Theory of Insular Dominance and grasps the geopolitical nature of Sea Power. Along with this awareness, it deals with the problem of designated strategic phenomenon that is spreading to the Pacific Ocean with the concept of the Island Chain in China in the 21st century. Around the turn of 20th century, Japan materialized the policy of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which was planned to expand power sphere in sea space in the East Asia based on sea power and China took shape of the concept of Island Chain in the 21st century, which has divided sea space in East Asia. Under the circumstance that China s policy of island chain faced the resistance from countries in the East Asia as well as the USA, the question about whether Korea s policy of depending on sea power is valuable even in the 21st century has been raised.

      • KCI등재

        중국 내 ‘해권(海權)’에 관한 담론 연구

        안슬기(Ahn, Seul-Ki)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9 亞細亞硏究 Vol.62 No.2

        본 논문은 중국이 내륙강국에서 해양강국(海洋強國)으로의 전략적 전환을 모색함에 있어서 그 사상적 근거를 제공하는 해권(海權) 담론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학자들은 서구의 해양력 개념을 도입하고 학습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개념이 중국의 전통적인 해양사상과 외교 전략에 부합하지 않음을 인지하였고, 이는 곧바로 독자적인 개념 정의에 대한 고찰로 이어졌다. 해권과 관련된 담론들은 크게 해권 개념이 중국에게 필요한 것인가, 해권은 어떻게 운용되는가, 해권 운용의 최종적 목표는 무엇인가라는 세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각각은 해권의 중요성에 관한 논쟁, 해권의 운용범위에 관한 논쟁, 해권 운용의 향후 방향성에 관한 논쟁으로 발전하였다. 시진핑 지도부 출범 이후 ‘해양강국’ 전략을 실행하기 시작하면서 해권은 제해권 획득을 강조하는 마한의 해양력 개념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 중국 내에서는 ‘중국 특색의 해권’과 ‘마한의 해양력’ 개념이 공존하는 양분화 된 구조가 형성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discourse regarding sea power in China, which lays the ideological foundations for China’s pursuit of being a maritime power. Chinese scholars, in learning a Western concept of sea power, realized that it is incongruent with China’s traditional maritime ideology, and thus began to contemplate how to develop China’s own sea power concept. Discourse regarding sea power has been developed in an attempt to find an answer to such questions as whether the concept of sea power is necessary; what is sea power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nd what is the ultimate goal of China’s operation of sea power. These questions led to fierce disputes on such topics as significance of China’s sea power; the scope of its oper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of it. Since President Xi took office and adopted a maritime power strategy, a new idea has emerged among young scholars, ascertaining that the China’s concept of sea power should be converted into Mahanian sea power which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obtaining the command of the sea. As a result, the two concepts of the “sea power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nd of “Mahanian sea power coexist in China.

      • KCI등재

        해양의 이익과 해양력에 관한 연구

        염철의,김상구 해양환경안전학회 201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8 No.3

        해양은 지구상에서 제일 큰 물의 지리적 단위이다. 해양에 관한 국제법은 <유엔 해양법협약>으로 이는 지구상에서 유일한 <지구 헌법>이다. 동 협약에 의하여 세계 1/3의 해양이 연안국에 속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해양의 이용권과 관리권을 연안국 중심으로 관할권을 주어서 연안국의 관할범위가 넓어지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의 권력범위는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즉, 해양국토도 육지국토와 마찬가지로 한 국가의 중요한 물질적 조건이 된 것이다. 따라서 현재는 해양에 대한 전력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하게 되었다. 이제 해양은 국제 경제와 국제정치 및 군사투쟁의 중요한 무대로서 한 국가의 권익, 자원개발 및 이용에 관한 분쟁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분쟁을 해결하려면 강대한 종합적 국력과 함께 해양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해양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해양경찰력으로 나타났다. The oceans are the largest body of water geographical unit in the earth.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said of the international law, countries on the international law must have four elements: 1) settled residents; 2) determined territory; 3) a certain degree of government organizations; 4) the sovereignty. The country's basic rights are: 1) the right to independence; 2) the right to equal; 3) the right to jurisdiction; 4) the right to self-protection. UNCLOS as the only one of the "Constitution of the Earth" on the earth, the implementation of its entry into force make about 1/3 of the world's oceans should be assigned to the coastal states, in the use and management of ocean gave the coastal states the center jurisdiction, the coastal states' jurisdiction sphere had been expanded, the power comparison among all countries in the world had new changes. The ocean territory, like the land territory, is the most major material condition of a country. The ocean's strategic status is extremely important, is the important stage of th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struggle, there are many disputes about the rights and interests, resources an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n the oceans. To resolve these disputes is bound to depend on a strong comprehensive national strength, including politics, economy,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powerful marine force, in which maritime police plays an important role.

      • KCI등재

        A Study on the Marine Interests and Marine Force Theory

        염철의,김상구,Yan, Tie-Yi,Kim, Sang-Goo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 201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8 No.3

        The oceans are the largest body of water geographical unit in the earth.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said of the international law, countries on the international law must have four elements: 1) settled residents; 2) determined territory; 3) a certain degree of government organizations; 4) the sovereignty. The country's basic rights are: 1) the right to independence; 2) the right to equal; 3) the right to jurisdiction; 4) the right to self-protection. UNCLOS as the only one of the "Constitution of the Earth" on the earth, the implementation of its entry into force make about 1/3 of the world's oceans should be assigned to the coastal states, in the use and management of ocean gave the coastal states the center jurisdiction, the coastal states' jurisdiction sphere had been expanded, the power comparison among all countries in the world had new changes. The ocean territory, like the land territory, is the most major material condition of a country. The ocean's strategic status is extremely important, is the important stage of th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struggle, there are many disputes about the rights and interests, resources an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n the oceans. To resolve these disputes is bound to depend on a strong comprehensive national strength, including politics, economy,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powerful marine force, in which maritime police plays an important role. 해양은 지구상에서 제일 큰 물의 지리적 단위이다. 해양에 관한 국제법은 <유엔 해양법협약>으로 이는 지구상에서 유일한 <지구 헌법>이다. 동 협약에 의하여 세계 1/3의 해양이 연안국에 속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해양의 이용권과 관리권을 연안국 중심으로 관할권을 주어서 연안국의 관할범위가 넓어지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의 권력범위는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즉, 해양국토도 육지국토와 마찬가지로 한 국가의 중요한 물질적 조건이 된 것이다. 따라서 현재는 해양에 대한 전력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하게 되었다. 이제 해양은 국제 경제와 국제정치 및 군사투쟁의 중요한 무대로서 한 국가의 권익, 자원개발 및 이용에 관한 분쟁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분쟁을 해결하려면 강대한 종합적 국력과 함께 해양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해양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해양경찰력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탐라’와 ‘제주’의 해양문명사적 성찰

        주강현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3 탐라문화 Vol.0 No.42

        Tamla' and 'Jeju' is often mixed. However, bother, the combination of two names' Tamla era ' and 'Jeju era' of long-term give us a real perspective history of this island. The history of the Tamla is still mystery untill now. First, this island is essent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an 'island' is that it should be. The Maritime power of Jeju is very strong,but we know a little. Tamla shipbuilding and sailing can be demonstrated in several articles. If we find archeological heritage or wrecked ship at submarine,we can rewrite history, but untill now we can find. From this perspective, I can point up many Maritime power of jeju; marine network of wind power and navigator, the Kuroshio currents through natural and human hypothesis on the voyage. In conclusion, in this study my major viewpoint is cocentrate on the islands, but as a member of the Pacific Northwest and emphasize on a identity of Jeju. ‘탐라’와 ‘제주’는 자주 혼용․혼효되고 있다. 그러나 두 명칭을 굳이 병용함으로써, ‘탐라시대’와 ‘제주시대’의 장기지속적 관점이란 논지를 마련하면서 동시에 그 명칭에 담겨진 차별성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탐라’와 ‘제주’ 명칭은 그 시대를 달리하면서도 계기적 연속성을 지녔기 때문이다. 탐라에서 제주로 이어지는 장기간의 역사를 전체사로 이해하자면 통시적이고 구조적인 분석틀에 기초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탐라’라는 섬의 역사는 아직 迷宮이다. 첫째, 당연한 주장이지만 섬은 본질적으로 ‘섬’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해야한다는 점이다. 둘째, 탐라의 해양력에 관한 실체이다. 탐라의 해양력도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이 드물다. 여러 기사에서 탐라의 조선술과 항해술을 입증할 수 있다. 기사에서는 조선술이나 항해술이 일체 등장하지 않고 있으나 탐라의 해양력이 일정 수준이었음을 암시하고 있다. 셋째, 육지에 딸린 섬인가, 주체적인 섬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탐라의 해양적 동력과 바람의 네트워크, 쿠로시오를 통한 자연과 인간의 교섭, 항해전문가로서의 성주에 관한 가설 등을 사례로 들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육지에 딸린 섬’이 아니라 북서태평양의 일원으로서 제주, 즉 주체적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

        ‘大運河時代’(1415-1784), 중국의 商業과 邊境 정책

        조영헌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4 사총 Vol.81 No.-

        본 논문은 유럽의 ‘大航海時代(the Age of Maritime Expansion)’에 해당하는 15-18세기에 중국의 경제를 物資流通이라는 렌즈를 통해 새롭게 평가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실험적으로 1415년부터 1784년까지의 370년을 ‘大運河時代’(the Age of Grand Canal)라는 분석의 틀(analytic frame)로 제시했는데, 이 시대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대운하시대’란 대내적으로 首都로의 국가적 물류 체계인 漕運이 북경과 항주를 남북으로 연결하는 대운하로 일원화된 시기를 지칭한다. 즉 조운에 있어 海運이 금지된 시기이다. 둘째, 대외적으로는 他國과의 물류가 海禁 정책과 朝貢 체제의 기조 하에 밀무역 혹은 국가권력의 통제 하에 이루어지는 제한된 무역의 틀을 유지했다. 즉 국가 주도의 적극적인 대외 교류는 아니지만, 제한된 형식이나 사적인 방식의 대외 교류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대운하시대 중국은, 국가가 주도하거나 후원하는 해양 진출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면서 해양력(sea power)이 상대적으로 약했던 시기였다. 하지만 국가 주도의 해양력의 증대가 없어도 중국은 18세기 후반까지 세계 경제의 ‘공장’이자 ‘시장’의 역할을 충분히 감당했을 뿐 아니라, 교역과 이윤의 욕망 역시 대운하를 중심으로 한 국내 네트워크를 통해 충족되었다. 대운하시대 물자유통의 특징은 두 가지 역학(dynamics)의 긴장과 갈등이 지속적인 절충(negotiation) 속에서 형성되었다. 즉 안보(security)를 최우선 가치로 생각하는 국가 권력의 지향성과 이윤(profit) 추구를 최우선 가치로 실천했던 상인들의 이해관계라는 두 가지 역학 사이의 절충이었다. 서북 변경 지역과 동남 해양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대외 무역과 상업에는 안보적 고려가 강하게 개입되어 있었다. 물론 19세기가 되면 대운하시대까지 유효했던 국가권력의 안보와 지역 상인들의 이윤 사이의 절충이 효력을 상실했다. 인공수로인 대운하가 가진 장점이 한계에 도달하면서 운하 경제는 해안 경제로 변화되었다. 문제가 있다면 그것은 18세기 중반까지 효력을 발휘하던 대운하시대 안보와 이윤 사이의 절충 논리가 19세기까지 큰 변화 없이 이어지면서 시대 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 것이다. 즉 한때의 강점이 약점의 근원으로 바뀌는 ‘기술적 속박(technological lock-in)’이라는 역설이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로 접어들면서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1415년에서 1784년까지의 370년 동안의 중국은 ‘대항해’에 대한 의지가 단순히 결여된 시기로 볼 것이라 아니라, 외부적인 ‘대항해시대’에 대응하는 ‘대운하시대’라고 평가할 것을 제안해본다. This paper attempts to re-evaluate the Chinese economy during the 15th to 18th centuries, a part of Europe’s ‘the Age of Maritime Expansion’ through the lens of materials circulation. In order to do so, this paper presents an analytic framework for the 370 years between 1415 and 1784 as ‘the Age of the Grand Canal’. This period has two distinct characteristics. First, the ‘Age of Grand Canal’ refers to the period, when the domestic grain tribute transportation system for capital became unified into the Grand Canal that connects Beijing in the North to the lower Yangze Delta(Jiangnan) in the South. This means that the domestic grain tribute transportation system restricted maritime transport. Second, for the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system, the maritime ban policy and the tributary system established the basis for state control in limiting foreign trade. In other words, the official foreign trade of the states was not so active, whereas other limited forms of trade, such as private trade and smuggling trade, were actively practiced during this time period. During this age, the sea power of China was relatively weak because of the effective repression of the state-led or state-sponsored marine expansion. However, even without an increase in the state’s sea power, China fulfilled its role as the leading ‘market’ or ‘factory’ of world economy until the late 18th century. Also, all the desire for trade and profit was satisfied through the Grand Canal, the domestic transport network.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circulation during this age were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two dynamics: tension and conflict, illustrating the negotiation between the state that pursued security as its top priority and the merchants who sought profit as their main concern. A concern for security was strongly involved in the foreign trade and commercial activities in both the Northwest borders and the Southeast coast regions. In the 19th century, the negotiation between the state’s security and the merchants’ profits from this age underwent a decline in their effectiveness. The advantages of the Grand Canal as an artificial waterway had reached its limits and resulted in a transformation from the canal economy to the coastal economy. The situation was such that the negotiation between the state’s security and the merchants’profits from the ‘Age of Grand Canal’, which functioned effectively up to the mid-18th century, failed to adjust to the changes of the 19th century. In other words, the paradox of ‘technological lock-in’, i.e., the shift from strength to weakness over time, arose between the late-18th century and the early 19th century. Thus 370 years from 1415 to 1784 in China may not be simply seen as the period of a lack of commitment to maritime expansion, but rather a counterpart of ‘the Age of Maritime Expansion’, which is designated ‘the Age of Grand Canal’.

      • KCI등재후보

        당의 해양력과 고구려 - 당의 2차 침공(647년) 이후를 중심으로

        서영교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3 유라시아문화 Vol.8 No.-

        645년 고구려 정복에 실패한 당태종은 2년 후 신하들과 고구려 재침을 위한 논의를 했다. 수군으로 지속적인 상륙전을 감행하여 고구려를 약화시킨 후에 전면 공격을 하자는 결론을 내렸다. 647년 5월 이적의 육군이 고구려 남소성 등을 공격하였다. 고구려 지원군이 그쪽으로 진군해갔고, 이는 당 수군의 작전에 양호한 여건을 제공했다. 그해 7월에 우진달의 함대가 요동반도의 석성(장하의 성산산성 부근에 상륙하여 그 지역을 일대 혼란의 도가니로 만들어 놓았다. 648년 설만철의 함대가 압록강에 들어섰고 강을 거슬러 올라가 박작성에 도착하였다. 고구려군이 패배하여 박작성주 소부손이 전사했다. 그 와중에 오골성과 안시성에서 출발한 고구려 구원군이 도착하면서 6만의 병력이 뒤엉켜 싸우는 난투극이 벌어졌다. 같은 해 4월 오호도(발해만 황성도)의 진장 고신감이 고구려 역산 지역에 상륙하여 싸움이 벌어졌다. 당의 무작위 공격은 고구려를 곤란하게 만들었다. 육지에서 적의 공격을 기다리는 것은 수동적이었다. 어디를 공격해 올지 몰라 방어의 밀도와 효율성이 저하되었다. 예상 방어지역은 확장되어 갔고, 그러면서 거의 모든 해안지역이 소모를 강요받았다. 동시에 당은 대규모의 수군 증강을 단행했다. 648년 7월-8월 검남도(사천성)와 월주, 무주, 홍주에 황제의 선박 건조 명령이 하달되었다. 해선과 쌍방선 1100척을 건조하게 했으며, 9월에 강남 12주에서해선 3백 50척을 더 만들게 했다. 당의 수군 증강이 인위적인 후천적 요인이라면 그것을 가능하게 한 선천적 요소도 당 내부에 있었다. 중국은 항구에 적합하고 해양개척에 용이한 배후지가 매우 거대하다. 강회지역에는 수상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많고, 그들은 수로를 통해 부를 추구하고자 하는 습성이 있었다. 649년 5월 29일 당태종이 사망하면서 수군 증강은 일시 정지되었지만, 아버지로부터 잘 훈련된 수군, 적재적소에 건설된 해상병참기지들, 숙련된 선박공장들로 들어찬 거대한 조선소들과 이를 운영ㆍ관리하는 시스템을 물려받은 당고종은 그것을 더욱 발전시켰다. 660년 당고종은 병력 13만을 태운 1800척의 함대를 보내 10일만에 백제를 멸망시켰고, 661년 7월에 소정방이 이끄는 수군을 대동강에 상륙시켜 평양성을 포위했다. 그리고 663년 8월 28일 당수군은 백촌강에서 왜국함대 400척을 전소시켰다. 당수군에 대항한 고구려 수군 활동이 어느 기록에도 보이지 않는 것은 무엇을 반영하는 것인가. 647-648년 당수군이 고구려 연안지역을 유린하고 다녔고, 661년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가 평양성을 포위했는데도 그러했다. 수군 증강은 막대한 재정이 소요된다. 수명이 7년 정도인 선박은 요새보다 소모성이 강하며, 일정 수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조선을 해야 한다. 고구려가 당과 함대 건조경쟁을 할 수 없다. 연개소문은 수군 증강을 국정과제로 선택하지 않고 비대칭적 대항책으로 일관했다. 그는 새로 성을 쌓고 성책을 증설ㆍ수리하는데 열중했다. 그 결과 해상에서 불확실성이 증가했다. 이는 수로로 연결된 대성(건안ㆍ비사ㆍ욕이ㆍ평양)들 사이의 물류에 타격을 주어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켰을 것이다. 당의 제해권 장악이 고구려가 기울어지는 요인 가운데 하나였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论后冷战时代韩国海洋安全战略演变及中国因素: 以防御性现实主义视域下的海权为中⼼

        蔡捷(Cai Ji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4

        해양은 한 국가의 발전과 성장의 지속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으며, 특히 동아시아 지역의 안보차원에서 해양을 둘러싼 문제는 그 중요성이 꾸준히 증대되어 왔다. 특히 세계 연안국들이 자국의 실정에 알맞은 해양안보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이, 동아시아 해상강국으로 한국이 부상했고, 현재 세계 각국의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 해군은 20년이 지난 지금 급격하게 성장했고, 동북아 해양강국으로 자리매김 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해양안보전략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과 한국의 군사논리 발전, 전략 범위 등이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에 대해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이 해양안보전략을 책정하거나 해군력이 증강할 때,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는 것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I장에서는 탈냉전기 한국 해양안보전략 연구가 지닌 의미를 설명하고, 선행연구 및 ‘방어적 현실주의 이론 시야 하의 해양력’이라는 분석틀을 제시한다. 제Ⅱ장에서는 한국 해양안보전략 변천 과정의 이행과 특징을 전략 방향 조정과 전략 범위 변화라는 두 가지 축으로 개관한다. 제Ⅲ장에서는 탈냉전기 한국 해양안보전략 변화 과정에 존재하는 중국으로부터의 요인을 고찰한다. 주로 중국 국방정책과 군사교리 발전 및 이어도를 둘러싼 한중 양국의 대립과 해상교통로의 중요성에 대해 분석한다. 제Ⅳ장에서는 결과적으로 한국의 해양안보전략 변화에 중국 요인이 작동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어적 현실주의 이론 시야 하의 해양력’이란 구조에서 한국 해군력 강화와 한미동맹 강화를 초래하며, 현재 한국의 대양해군 전략과 미국의 ‘아시아 회귀’ 전략이 동북아 지역의 군비경쟁을 불가피하게 만들어 해양충돌 가능성이 커진다고 본다. 본 연구를 통해, 해양권익 분쟁을 둘러싼 한중 간 대립의 단면을 보고 우리가 21세기 양국 간 전략적 소통 및 해상협력을 어떻게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경제의 발전과 효익 상의 상생을 도모할 수 있을지 시대적 과제로서 숙고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The ocean has been a vital role for a country’s development and growth.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the issue about the ocean and its security in East Asia have been steadily highlighted. South Korea has emerged as an East Asian powerful nation and receives a lot of attention from around the world while coastal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striving to establish ocean security strategy based on their situations. The South Korea Navy has grown rapidly over 20 years and settled as ocean powerful nation in Northeast Asia.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nduct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South Korea’s ocean security strategy, and how South Korea’s military logic development and strategic scope have changed. Adding to this, it would be a great importance to analyze the main factors when South Korea sets up ocean security strategy or strengthens its naval power.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1 explains the meaning of research on post-cold war era of South Korea’s ocean security strategy and presents a framework for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and “sea power from the point of view of defensive realism theory”. Chapter 2 outlines the implem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process of South Korea’s ocean security strategy in two: “Coordination of strategic direction” and “Change of strategic scope.” Chapter 3 considers the Chinese factors that are found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South Korea’s ocean security strategy during the post-cold war era. It focused on analyzing the confront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with China’s defense policy, development of military doctrines, and Ieodo Ocean and the importance of ocean transportation routes. Lastly, chapter 4 shows that Chinese factors are related to changes in South Korea’s ocean security strategy. “Sea power from the point of view of defensive realism theory” leads to strengthening South Korea’s naval power and South Korea-United States alliance, and the U.S. “Return to Asia” strategy make arms race inevitable in Northeast Asia,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ocean collision. For us living in the 21st century, it is regarded that it is our task to consider how to strengthen strategic communication and ocean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it is thought to be a task of the times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ocean economy and co-prosperity in terms of benefits considering the aspect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over the dispute of ocean rights and interests as shown in this study.

      • KCI등재

        승선근무자의 병역법 논란과 비상대비자원법에 따른 역할수행 방안

        이영수(Youngsoo Lee),임요준(Yojoon Lim),이윤철(Yuncheol Lee) 한국법학회 2018 법학연구 Vol.72 No.-

        최근 국방개혁에 따른 병력감축과 대법원의 양심적 병역 거부 무죄 판결에 이어 병역법의 한 수단인 대체복무제가 국민적 관심으로 논쟁이 뜨겁다. 이와 관련된 여러 의견수렴에 있어서 반드시 지켜야 할 기준은 공정성과 형평성이다. 그 중 형평성은 대체복무제도의 성패를 가늠하는 중요한 열쇠이며, 무엇보다 현재 군 복무 중인 젊은이들의 사기(士氣) 저하가 국방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가비상사태 및 재난시 국가생존의 지속능력을 유지시키는 조선해운분야의 선박과 전문인력 등에 있어서 경영난의 침체와 저임금 외국노동자에 의해 시장의 점식되고 있다. 이에 병역법 상 승선근무예비역 제도의 관리상의 문제점이 심각한 수준으로 치닫고 있으며, 복지와 인권의 사각지대로 자리잡아 제도상의 보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병역법에 대한 재진단과 향후 비상대비자원법 등이 국가안보와 해양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고 ‘승선근무예비역’의 형평성을 군사적 역할의 정당성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concerns the militarization of Merchant Marine Reserve for the naval force. The mobilization of merchant seamen in the history from Korean War to Iraq War exemplified the importance of merchant marines in sealift, and militarizing merchant marines and supporting mobilized merchant vessels have been pivotal for the victories in war. In times of war, Merchant Marine Reserve is thus expected to conduct roles as an irregular military component in modern warfare, and furthermore to serve as the fourth military force to assume strategical, operational, and tactical roles.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se strategical, operational, and tactical roles of merchant marines as military force and navy reserve fo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