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해양인식 변화와 해양교육에 관한 연구

        김창경,공봉진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3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해양인식 변화와 해양의식 강화를 위한 교육정책을 살펴본다. 특히 해양교육과 관련해서 유치원, 초중등학교, 대학교 및 사회에서 진행되는 사례를 살펴본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해양교육이 유엔과 유네스코에서 목표로 삼고 있는 해양소양교육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2015년 UN에서 채택된 <세계의 변혁: 지속 가능발전을 위한 2030 의제>에서 ‘목표 14’의 주요 내용은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한 해양과 해양 자원의 보호로 지속가능한 발전 촉진”이다. UN은 초증등학교 교육을 통한 해양문화소양 함양을 주요 목표로 하여 해양교육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7년 4월 유네스코는 <전민 해양소양: 해양의 보호, 회복, 지속가능한 이용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제고를 위한 글로벌 전략>을 발표하였다. 중국은 유치원에서부터 대학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해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사회 대중에게도 해양지식 보급을 위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박물관이나 도서관 및 학회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해양소양교육은 중국정부의 해양정책을 반영한 것이다. 중국 정부는 해양 알기, 해양 보호, 해양 자원 이용 등에 대한 교육에서부터 중국 정부가 목표로 삼고 있는 ‘남색 해양의 꿈’, ‘해양대국’, ‘해양강국’ 등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댜오위다오 문제’와 ‘남중국해 문제’ 등 영토 문제에 대한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중국 해양교육은 동부 연해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가 점차적으로 내륙지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학교 외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도 함께 병행되고 있다. 대학에서는 정치사상과 융합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2011년부터 중국 국가해양국은 전국적으로 ‘전국 해양의식 교육기지’를 설립하기 시작하였다. 전국 해양의식 교육기지와 전국 해양과학보급 교육기지는 중국의 남색해양교육(블루 오션 교육)에 힘써 왔다. 2016년에 중국당국은 <해양강국의 소프트파워 향상을 위해, 전민 해양의식 선전교육과 문화건설 ‘13・5’규획>을 발표하며 해양지식을 교과서, 강의실, 학교에 접목하고 기초 해양지식교육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this paper, we examine changes in China’s ocean awareness and education policies to strengthen ocean awareness. In particular, we look at cases related to ocean education in kindergarten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universities, and society.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cean education being conducted in China and the ocean literacy education targeted by the United Nations and UNESCO. China is conducting step-by-step ocean education from kindergarten to university, and providing education to disseminate ocean knowledge to the general public. Ocean literacy education operated by various institutions such as museums, libraries, and academic societies reflects the Chinese government's maritime policy. The Chinese government is conducting a variety of education, ranging from education on learning about the ocean, protecting the ocean, and using ocean resources, to the Chinese government’s goals of ‘Dream of the Blue Ocean’, ‘Ocean Powerhouse’, and ‘Ocean Powerhouse’. In particular, education on Chinese territorial issues such as the ‘Diaoyu Island Issue’ and the ‘South China Sea Issue’ is also provided. China’s ocean education was centered on the eastern coastal region, but is gradually expanding to the inland region. In addition, education that takes place at school and education that takes place outside of school are being carried out in parallel. In universities, education integrated with political ideology is provided. The National Ocean Awareness Education Base and the National Ocean Science Popularization Education Base have been working on blue ocean education in China. China announced <the ‘13・5’ Plan for Public Ocean Awareness Propaganda and Culture Construction> and focused on integrating ocean knowledge into textbooks, classrooms, and schools and strengthening basic ocean knowledge education.

      • KCI등재

        인공위성 고도계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자료를 활용한 유의파고 극값 추정 기법 비교

        우혜진,박경애,변도성,정광영,이은일 한국지구과학회 202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2 No.5

        Rapid climate change and oceanic warming have increased the variability of oceanic wave heights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In addition, the extreme wave heights, such as the upper 1% (or 5%) wave heights, have increased more than the heights of the normal waves. This is true for waves both in global oceans as well as in local seas. Satellite altimeters have consistently observed significant wave heights (SWHs) since 1991, and sufficient SWH data have been accumulated to investigate 100-year return period SWH values based on statistical approaches. Satellite altimeter data were used to estimate the extreme SWHs at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ORS) for the period from 2005 to 2016. Two representative extreme value analysis (EVA) methods, the Initial Distribution Method (IDM) and Peak over Threshold (PoT) analysis, were applied for SWH measurements from satellite altimeter data and compared with the in situ measurements observed at the IORS. The 100-year return period SWH values estimated by IDM and PoT analysis using IORS measurements were 8.17 and 14.11 m, respectively, and those using satellite altimeter data were 9.21 and 16.49 m,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maximum value, the IDM method tended to underestimate the extreme SWH.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extreme SWHs could be reasonably estimated by the PoT method better than by the IDM method. The superiority of the PoT method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of the in situ measurements at the IORS, which is affected by typhoons with extreme SWH event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tability of the extreme SWH estimated using the PoT method may decline with a decrease in the quantity of the altimeter data used. Furthermore, this study discusses potential limitations in estimating extreme SWHs using satellite altimeter data,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WH measurements from the IORS as reference data in the East China Sea to verify satellite altimeter data. 급격한 기후 변화와 해양 온난화에 의해 지난 수십 년 동안 파고의 변동성이 증가하였다. 상위 1% (또는 5%) 파고와 같은 극한 파고는 국지적인 해역 뿐만 아니라 전 지구 대양에서도 평균 파고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1991년부터 인공위성 고도계를 활용하여 유의파고를 지속적으로 관측하고 있으며 통계적 기법을 기반으로 100년 빈도유의파고를 추정하기에 비교적 충분한 자료가 축적되었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서 유의파고 극값을 추정하기 위하여2005년부터 2016년까지 위성 고도계 자료를 활용하였다. 대표적인 극값 분석 방법인 Initial distribution Method (IDM) 와 Peak over Threshold (PoT)를 위성 도고계 유의파고 관측 자료에 적용하고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서 관측된 실측자료와 비교하였다. 이어도 해양과학기 관측 자료에 IDM과 PoT 기법을 적용하여 추정된 100년 빈도 유의파고는 각각8.17 m와 14.11 m이며, 인공위성 고도계 관측 자료를 활용하였을 때는 각각 9.21 m와 16.49 m이었다. 관측 최대값과의비교 분석에서 IDM을 활용한 분석은 유의파고 극값을 과소추정 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IDM 보다 PoT 기법이 유의파고의 극값을 적절하게 추정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PoT 기법의 우수성은 높은 유의파고가 발생하는 태풍의 영향을받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실측 자료를 활용한 결과에서도 증명되었다. 또한 PoT 기법으로 추정된 유의파고 극값의 안정성은 고도계 자료의 감소에 따라 저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공위성 고도계 자료를 활용하여 유의파고 극값 추정시 발생할 수 있는 한계점과 인공위성 자료를 검증할 수 있는 자료로써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자료의 중요성에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첩수역에서의 해양과학조사

        김민철(KIM Min-chul) 서울국제법연구원 2015 서울국제법연구 Vol.22 No.2

        해양의 과학적 · 경제적 이용을 위한 해양과학조사의 수요와 필요성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해양경계가 획정되지 아니한 한반도 주변수역에서는 잠정약정 체제의 미비, 해양과학조사의 개념을 둘러싼 논란 등으로 해양과학조사에 있어 주변국과의 갈등관리가 상시 문제로 된다. 더욱이 단시일 내 최종 해양경계획정협상의 타결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에서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논문은 EEZ 제도의 도입으로 연안국에 인정된 권리들 가운데, 한반도 주변수역에서의 일방적 해양과학조사의 한계에 관한 문제를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설치 · 운영 등 실제 한반도 주변수역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해양과학조사 활동의 적법성 및 기타 관련 문제에 대한 검토 역시 시도해 보았다.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EEZ, conflicts may arise between coastal states in asserting or exercising their rights if the share-to-share distance is less than 400 nautical miles and maritime delimitation has yet to be established between them. Typically, such waters are referred to as ‘overlapping waters’. The waters by which the Korean Peninsula is surrounded constitute ‘overlapping waters’ where a maritime delimit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between the coastal states; therefore, similar issues arise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when it comes to exercising their rights to the adjacent waters of the Korean Peninsula. As for marine scientific research (MSR), there are no provisional arrangements or other cooperative systems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water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his suggests that managing disputes resulting from a unilateral implementation of MSR could emerge as recurring problems for coastal states. Generally it also takes a long time to reach a final agreement for maritime delimitation. Against this backdrop, coastal states need to take heed of Paragraph 3 of Article 74 of the said convention, which connotes the limitation to the exercise of right of coastal states, in carrying out individual MSR activities. Thus, this paper highlights marine scientific research in the overlapping waters adjacent to Korean Peninsula; mainly, touches upon the limitation regarding the unilateral exercise of such right of coastal states and other relevant problems. Furthermore, it tries to examine the legitimacy of the practical activities regarding MSR in the overlapping waters adjacent to Korean Peninsula, such as the installation/operation of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 KCI등재

        분쟁도서 주변수역 해양과학조사 시설물 설치에 관한 해양법적 연구

        김현수(Hyunsoo Kim)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4 독도연구 Vol.- No.16

        최근 한국은 독도 주변에 해양과학연구기지를 건설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독도가 서기 512년부터 국제적으로, 지리적으로 그리고 역사적으로 한국의 고유영토 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독도에 영유권 대한 주장을 여전히 지속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경을 근거로 한국은 이 문제에 관한 일본의 주장에 대하여 반박할 수 있는 법적인 근거를 시급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고에서는 한국정부의 독도 주변 해양과학연구시설 설치에 대한 일본 정부의 제기 가능한 법적 문제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다루게 된다. 이러한 연구결과 본고는 유엔해양법협약, 국가관행 국제판례 등을 기초로 독도 주변 해양과학연구기지 설치에 대한 한국정부의 의사결정에 대한 법적, 이론적 및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게 되며, 동시에 한국이 일본과의 향후 독도 주변 해양과학연구기지 설치에 관한 분쟁이나 갈등 유발시 체계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근거를 제공한다. Recently, South Korea tried to build a marine scientific research facility around Dokdo. However, Japan is still claiming sovereignty over Dokdo even if Dokdo is an inherent territory of Korea since 512 AD internationally, geographically and historically. So, South Korea urgently needs to prepare legal grounds against the possible argument of Japan on that matters. For that reason, this paper is dealing with how South Korea has to response on legal issues which might be rais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marine scientific research facility around Dokdo by the Korean government. Therefore, this paper will suggest legal, theoretical and logical grounds in making decision and promoting of the Korean government on the installation of marine scientific research base around Dokdo based on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State Practice and International Judgments, and at the same time, it makes possible for South Korea to systematically respond on anticipated conflicts or disputes on the installation of marine scientific research base or facilities around Dokdo in the future.

      • KCI등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수온과 위성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와의 비교

        우혜진,박경애,최도영,변도성,정광영,이은일 한국지구과학회 201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0 No.6

        Over the past decades, daily sea surface temperature (SST) composite data have been produced using periodically and extensively observed satellite SST data, and have been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including climate change monitoring and oceanic and atmospheric forecasting.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ccuracy and analyzed the error characteristic of the SST composite data in the se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or optimal utilization in the regional seas. We evaluated the four types of multi-satellite SST composite data including OSTIA (Operational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ea Ice Analysis), OISST (Optimum Interpol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CMC (Canadian Meteorological Centre) SST, and MURSST (Multi-scale Ultra-high Resolution Sea Surface Temperature) collected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6 by using in-situ temperature data measured from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ORS). Each SST composite data showed biases of the minimum of 0.12℃ (OISST) and the maximum of 0.55℃ (MURSST) and root mean square errors (RMSE) of the minimum of 0.77℃ (CMC SST) and the maximum of 0.96℃ (MURSST) for the in-situ temperature measurements from the IORS. Inter-comparison between the SST composite fields exhibited biases of −0.38-0.38℃ and RMSE of 0.55-0.82℃. The OSTIA and CMC SST data showed the smallest error while the OISST and MURSST data showed the most obvious error. The results of comparing time series by extracting the SST data at the closest point to the IORS showed that there was an apparent seasonal variation not only in the in-situ temperature from the IORS but also in all the SST composite data. In spring, however, SST composite data tended to be overestimated compared to the in-situ temperature observed from the IORS. 지난 수십년 동안 인공위성을 통해 광범위하고 주기적으로 관측된 해수면온도 자료를 사용하여 일별 해수면온도 합성장이 생산되고 있으며 기후변화 감시와 해양 대기 예측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인 해역에서 최적화된 활용을 위해 한반도 주변해역에서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의 정확도 평가와 오차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수온 자료를 활용하여 4종의 다중 인공위성 기반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OSTIA (Operational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ea Ice Analysis), OISST (Optimum Interpol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CMC (Canadian Meteorological Centre) 해수면온도 및 MURSST (Multi-scale Ultra-high Resolution Sea Surface Temperature))를 비교하여 각 해수면온도 합성장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수온 자료에 대하여 각 해수면온도 합성장은 최소 0.12℃ (OISST)와 최대 0.55℃ (MURSST)의 편차와 최소 0.77℃ (CMC 해수면온도)와 최대 0.96℃ (MURSST)의 평균 제곱근 오차를 나타냈다. 해수면온도 합성장 사이의상호 비교 결과에서는 −0.38-0.38℃의 편차와 0.55-0.82℃의 평균 제곱근 오차의 범위를 보였으며 OSTIA와 CMC 해수면온도 자료가 가장 작은 오차 특성을 보인 반면 OISST와 MURSST 자료는 가장 큰 오차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와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를 추출하여 시계열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수온 뿐만 아니라 모든 해수면온도 합성장 자료에서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으나 봄철 해수면온도 합성장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수온에 비해 과대 추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 상시진동을 이용한 가거초 해양과학기지의 동특성 추정

        김원술(Kim, Wonsul),이진학(Yi, Jin-Hak),민인기(Min, In Ki),심재설(Shim, Jae Seo) 한국연안방재학회 2017 한국연안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7 No.-

        종합해양과학기지는 해양물리, 해양기후, 해양환경, 해양생물 등의 장기관측을 통해 다양한 연구지원이 가능한 종합 해양학 연구실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해양관측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해양 과학기지 구조물에 대한 구조성능 확보 또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11년 태풍 무이파에 의해 피해를 입은 후, 구조물의 높이를 5m 증고하여 재시공된 가거초 해양과학기지 구조물에 대하여 동적응답 계측시스템을 구축하고, 계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동특성을 분석하였다. 향후에는 장기 계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파랑-구조물 및 바람-구조물 응답 간의 분석 등의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재킷식 해양플랫폼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양구조물 해석 등의 연구결과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수치해석을 이용한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의 해상풍 관측 오차 연구

        임진우(Yim, Jin-Woo),이경록(Lee, Kyung-Rok),심재설(Shim, Jae-Seol),김종암(Kim, Chong-Am)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6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8 No.3

        수치해석을 통하여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 구조물이 대기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기지에 설치된 풍속센서에서의 측정값 오차를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과학기지 형상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였고 수치해석을 위한 격자를 생성하여, Navier-Stokes 방정식 및 난류모델을 적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선정된 자유류의 풍속과 풍향 조건에 대하여 과학기지 구조물에 의해 변화된 유동장을 계산하고, 실제 풍속센서가 설치된 위치에서의 풍속/풍향 정보와 자유류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유류 방향 및 측정 위치에 따른 데이터의 정확도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범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로 관측된 해상풍 데이터의 구조물 간섭에 의한 오차 범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과학기지가 위치한 지점의 정확한 해상풍 데이터 제공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influence of leodo Ocean Research Station structure to surrounding atmospheric flow is carefully investigated using CFD techniques. Moreover, the validation works of computational results are performed by the comparison with the observed data of leodo Ocean Research station. In this paper, we performed 3-dimensional CAD modelling of the station, generated the grid system for numerical analysis and carried out flow analyses using Navier-Stokes equations coupled with two-equation turbulence model. For suitable free stream conditions of wind speed and direction, the interference of the research station structure on the flow field is predicted. Beside, the computational results are benchmarked by observed data to confirm the accuracy of measured date and reliable data range of each measur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wind direc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now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error range of interfered gauge data is possible, which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provide base data of accurate sea surface wind around research stations.

      • KCI등재

        이어도 해양경계획정과 해양주권 국민인식 확산 방안:2016년과 2020년 국민인식조사 비교 분석

        강은정,고경민,김형수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0 평화학연구 Vol.21 No.4

        Korea has been continuing negotiations with China to delimitate maritime boundaries in the sea around Ieo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measures to increase public perception of Ieodo and maritime sovereignty through a survey of the public's perception of Ieodo and Ieodo marine science bases, participation in the protection of marine sovereignty, education, and public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level of perception of Iedo and maritime sovereignty is objectively presented, and based on this, the people's perception of Iedo and Ieodo maritime science bases are raised under competition for jurisdiction with China, and the protection of maritime territories and awareness of maritime sovereignty is strengthen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publicity will be derived. 우리나라는 중국과 이어도 주변해역의 해양경계를 획정하기 위한 협상을 지속해 오고 있다. 이 연구는 국민들의 이어도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해양주권 수호를 위한 참여 및 교육・홍보 등에 대한 인식조사 통해 이어도와 해양주권에 대한 국민인식 증진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어도와 해양주권 의식 수준을 객관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과의 이어도 관할권 경쟁 하에서 국민들의 이어도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 대한 인식을 증진하고, 해양영토 수호 및 해양주권 인식 강화를 위한 교육・홍보 방향을 도출할 것이다.

      • KCI등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가 주변 바람장에 미치는 영향

        심재설,오병철,전인식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3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5 No.2

        이어도 해양과학기지가 주변의 바람장에 미치는 영향을 풍동실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이어도 해양과 학기지에서 관측한 바람자료는 구조물로 인하여 풍속과 풍향의 왜곡이 발생하므로 정확한 풍속과 풍향을 알기 위해서는 관측자료에 구조물의 영향을 보정하여야 한다. 풍속비는 접근풍속의 크기보다는 풍속의 방향과 풍속 관측위치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지 옥상에 설치된 주 관측탑에서의 풍속은 모든 방향에서 접근풍속보다 크며 풍향 왜곡도는 6 ?이내로 나타났다. Influences of Ieodo Ocean Research Station(IORS) on the ambient wind field were investigated through a wind tunnel experiment. To secure accurate wind speeds and directions, distortions due to the structure itself on which wind-measuring devices are to be installe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t was shown that the wind speed ratio was sensitive to wind direction and measuring position rather than approaching wind speed. The wind speed ratios measured at main wind tower were more than B .0 in every approaching direction, and the distortion of wind direction was under 6 ?.

      • KCI등재

        수치해석을 이용한 이어도 기지 구조물이 해수 유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해류 관측 평가 및 보정방안 연구

        홍우람(Hong, Woo-Ram),심재설(Shim, Jae-Seol),민인기(Min, In-Ki),김종암(Kim, Chong-Am)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7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9 No.5

        이어도에 건설된 다목적 해양과학기지에서는 주위 대류 및 해류의 데이터 수집을 통해 기상, 어장예보 등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한 가지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이어도 기지 구조물에 의한 해수 유동의 변화는 과학기지의 관측 데이터에 영향을 주어 정확한 자료 수집을 어렵게 하므로, 이어도 기지 구조물이 주위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유동 정보 관측을 평가/보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해류와 구조물 사이의 상호 작용을 모사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연구, 적용방법을 논의한다. 그 결과, 3차원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수치해석을 통해 이어도 기지 구조물 및 수중암초가 주위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정확한 데이터 측정방법을 제안한다. One of the main function of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s to service the information about the weather and fishing grounds condition which are collected through calibrating convection flow and ocean current around the station. Howev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tation's structure below sea level,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exact flow data.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structure and the method to evaluate and revise the observed data. In this paper, as a basic study, it deals with the algorithm that simulate the interaction between ocean current and the station structure, followed by discussions about the way to applicate the algorithm. Through 3-dimensional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es (using Navier-Stokes equations with K-turbulence model), the influence of the station and submerged rocks are quantitatively evaluated, and we would suggest methods how to obtain accurate flow information from the measured rough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