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만물류 구성요소의 평가에 관한 연구

        여기태(Gitae Yeo),정현재(Hyunjae Jung),김재영(Jaeyoung Kim) 한국항만경제학회 2011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7 No.3

        우리나라 항만물류의 경우 중국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몰동량 처리실적에서 순위를 내주면서 항만물류 경쟁력 자체에 심각한 우려를 받고 있어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마련이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항만물류의 내부 및 외부 요구 항목들을 파악하고 이들 항목의 중요도 가중치 및 순위를 파악하여 개선의 노력을 집중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항만물류를 좀 더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만물류를 구성하는 내·외부 요구항목들의 중요도 가중치를 산정하기 위해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내부 구성요소들 중에서는 보관 및 하역시스템(0.288)의 중요도 가중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항만물류정보시스템(0.210), 내륙연계시스템(0.189), 선박 입출항 시스템(0.184), 선박 접이안 시스템(0.129)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부 요구 항목들 중에서는 물류관련비용(0.366)의 중요도 가중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서비스여건(0.128), 지역적 연계성(0.118)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2007년과 2011년에 항만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가중치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연도별 가중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부 구성요소의 경우 2007년에는 항만물류정보시스템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외부 요구항목의 경우 물류관련비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지역적 중심성이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2007년과 2011년에 항만물류의 환경이 변화됨에 따른 결과라 판단된다. Recently, the rankings of Korean container ports in terms of container handling cargo volume were plunged down due to the emerging Chinese ports. The efficient container ports strategies which increase container port competitiveness were requested. In this respect, it is urgently required to draw out constituent factors for Port Logistics, weigh these factors, and finally focus on improving the suggested factor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weight and priority values for ‘inner consisted factors’ and ‘outer requested factors’ of port logistics by using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As for the analysis regarding the inner consisted factors, the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a storage and handling system (0.288) as the first rank; an information system of port logistics (0.210) as the second rank: an inland intermodal system (0.189) as the third rank: a ship’s entering and departuring system (0.184) as the fourth rank, and a ship’s berthing system (0.129) as the fifth rank. In terms of analysis regarding outer requested factors. the results came out as follows: a logistics cost (0.360) as the first rank; a port service (0.128) as the second rank; a connectivity (0.118) as the third rank: a hinterland condition (O,116) as the fourth rank; an convenience (0. 106) as the fifth rank: a regional center (0.095) as the sixth rank, and an availability (0,077) as the seventh rank. For analyzing the priorities changes in constituent factors, the comparison of results between the year 2007 and the year 2011 was done. As the results,. among inner consisted factors. ‘information system of port logistics’ was ranked first in the year 2007 while ‘a storage and handling system’ becam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year 2011. Among the inner consisted factors. however, the logistics cost was the important factor in 2007 and 2011, respectively.

      • KCI등재

        광양ㆍ부산항의 항만물류배후단지 효율성 분석

        박홍균(Honggyun Park) 한국항만경제학회 2011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7 No.1

        글로벌 물류기업의 경쟁이 심화되어가고 있어 핵심역량분야에 관한 비교우위의 확보가 필요하다. 글로벌기업은 공급연쇄관리 측면에서 핵심거점을 위한 전략을 수행하기위하여 항만물류배후단지를 거점화한다. 항만배후물류단지는 지속 가능항 물동량을 확보 할수 있어 부가가치가 창출과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오늘날 항만 물류배후단지의 물류시설과 서비스를 보다 체계적이며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경영의 효율성을 높여야한다. 정부는 항만물류배후단지에 관련하여 축소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세계 경제자유구역중 우리나라는 마산자유무역지대(FTZ)만이 24위이다. 본 연구는 어느정도 물동량을 확보하여야하며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항만물류배후단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CCR과 BCC모형의 효율성이 100%로 나타난 가장 효율적인 항만물류배후단지는 광양항의 경우, 로지스올인터내셔널㈜ 아이씨모터스㈜, 부산항의 경우, 부산신항 CFS(주), 신대륙물류㈜, SI로지스틱스, 한진케리,로지스틱스㈜이 있다. 부산항은 IRS 5개 CRS2개 DRS16개이다. 광양항은 IRS 5개 CRS2개 DRS16개이다. CCR 모형 분석에서 물동량을 확보하여 매출액을 증가시켜야 하는 기업으로 부산항에 비하여 광양하은 더 많은 항만물류배후단지가 지속 가능한 물동량 확보에관 세부적 전략을 추구하여야 한다. 전체 단순 평균으로는 부산과 광양 440%이상의 물동량확보가 요구된다. 우리나라 항만 배후단지는 국제적환경에 맞는 시장 맞춤형 항만 배후단지를 조성하여 기업의 적극적 수용이 요구되고 있다. 항만 물류배후단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항만별 배후단지의 차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It's vital to establish the competitive comparative advantage as the competitions among global logistics companies have become fierce. The global companies, hence, must innovate their Port Hinterland to hub and spoke in a view of SCM. The Port Hinterland significantly affects its local economy and value added. The task of the Port Hinterland nowadays is to improve its efficiencies by utilizing logistics operations and services. The Korean government has planned to reduce the scale of the Port. The CCR and BCC matrices show that there are nine efficient companies: two companies in Gwangyang Hinterland and five companies in Busan Hinterland, though Masan FTZ was only ranked on the 24th, on the rank of world FTZ. This paper aims at finding the cargo volume necessary for achieving the maximum efficiency. This research proposes an appropriate strategy to keep a certain amount of cargo volume stable and presents the Port Hinterland differentiation strategies of Gwangyang and Busan.

      • KCI등재

        항만물류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부산, 인천, 울산을 대상으로-

        이민규 ( Min Kyu Lee ),이기열 ( Ki Youl Lee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6 해운물류연구 Vol.32 No.2

        항만물류산업은 수출입 화물의 운송 및 물류활동을 통한 부가가치의 창출 등 항만도시의 지역경제를 구성하는 근간이 되고 있다. 최근의 항만정책은 항만지역산업의 변화를 반영한 항만별 특화 전략을 수립하는 방향으로 추진 중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2013년 기준 지역산업연관표를 적용하여 주요 지역별 항만물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즉,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뿐만 아니라 부가가치 순이입 측면에서 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화하였다. 분석 결과, 울산 항만물류산업의 생산유발효과가 타 지역 항만물류산업과 비교해서 가장 높지만, 타지역 생산유발률이 34.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산과 인천의 경우 항만물류산업이 부가가치 이입 효과가 높은 산업으로 평가되었다. 분석 결과는 지역별 항만물류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항만물류산업의 지역 경제적 중요성을 제시하는 데 활용 가능하다. 본 연구는 항만물류분야에 부가가치 순이입 분석을 최초로 도입함으로써 항만물류 연구의 범위를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Generally, ports represent a significant national infrastructure to ensure speedy and seamless transportation of import and export cargoes. For instance, 99.7% of the volume of import and export cargoes in Korea has been handled by maritime transportation. The port logistics industr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by generating added value and employment. As of late, the Korean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formulates the port policy for developing specialized ports in harmony with the change of regional industries. Especially, the port logistics industry should be developed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with regional linked industries. Such situation drives the need for an analysis of the regional economic impacts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Thu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regional economic impacts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using regional input-output (I-O) analysis focused on Busan, Incheon, and Ulsan. We use the original benchmark 2013 regional I-O tables obtained from the Bank of Korea. For port logistics-based analysis, original tables are aggregated into 4-region and 31-sector tables. Specifically, production, value-added, and employment inducing effects, as well as net trade in value-added are intimately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the production inducing effects of the regional port logistics industry range from 1.7730 to 1.9783. Given that 65% of induced effects of logistics industry in Ulsan are generated from industries in this location, the industry is likely to be very dependent on industries in other regions. "Port logistics," "petroleum and coal products," "business support services," "electricity, gas, and steam supply," and "wholesale and retail trade" rank high in the sectoral inducing effects of port logistics. With regard to net trade in value-added, port logistics industries in Busan and Incheon generated positive values respectively, but the industry in Ulsan showed the opposite sign. It should be noted that net trade in value-added allows researchers to capture added values transferre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contrary to value-added inducing effects. Analysis results will offer valuable information on the regional economic importance of port logistics industry for building the master development plan on nationwide ports. Especially, net trade in value-added will serve as a new indicator for describing the industrial status of the regional port logistics industry. In additio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of efficient strategies for constructing the regional port logistics clusters. The sectoral linkages in a regional economy can provide the framework for identifying leading industries in the regional economy and for grouping the industries into spatial clusters. In light of academic research, introducing net trade in value-added using I-O analysis to the port logistics field for the first time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expanding the range of the port logistics research. We expect this study to motivate future research with respect to the economic impacts of port logistics industry.

      • KCI등재

        중국 무역과 항만물류의 상호의존성 연구 -VAR모델을 중심으로-

        로요,이성준 한국물류학회 2017 물류학회지 Vol.27 No.6

        Logistics industry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level. Ports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while acting a central role in international trade, commodities, warehousing and transport. Therefore, international freight transport is an important part of global economic and trade. In China,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s a key industry, and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China's trade and national economy. Based on VAR model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variance decomposition, using Eviews 8.0 to do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of import trade. export trade and modern port logistics. The statistical values used in the empirical study were collected from China Yearbook and the Chinese Harbor Yearbook(1995-2016).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tabl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import trade, export trade and modern port logistics. Modernization construction of port logistics are promoted by the growth of Chinaʼs trade scale. According to the result, Finally, some suggestions for developing modern logistics and promoting foreign trade of China are proposed. 물류산업은 국가 경제발전 수준의 중요한 측정 지표이다. 특히 항만 물류산업은 국민경제의 지속적인 발전과 직결되 는 국제무역 상품의 저장과 운송의 중심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제 화물운송은 세계 경제와 무역의 중요한 부분이다. 중국의 경우에도 항만물류산업은 주요 기간산업으로 중국의 무역과 국가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VAR모형을 이용하여 중국 무역과 항만물류의 상호의존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연 구에 사용된 통계 수치는 1995년-2015년도 중국연감과 중국항만연감을 이용하였다. 실증연구결과에 따르면 중국의 대외무역과 항만물류발전은 상호 장기적인 보완관계가 매우 현저하게 작용하는 반면 에 단기적으로는 관련 기여도가 낮고, 대외무역이 항만물류에 대한 촉진 작용이 미흡하지 않기 때문에, 대외무역과 항 만물류 간의 단기적 영향이 장기적인 균형관계를 유지시키는 정도가 높지 않는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결과에서 얻은 시사점은 중국정부와 중국의 항만물류기업에 대한 제안으로 항만물류 표준화 시스템을 완벽 히 하고 항만물류 원가를 절감시키고 주요 항만, 특히 국제해상운송 컨테이너 및 물류항만의 복합운송 물류시설 건설 을 강화하여 국제상품의 운송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각 지역과 항만과의 연계 및 통관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

      • KCI등재

        부산 항만물류산업의 실태에 관한 연구

        류형근(Hyung Geun Ryu),김봉수(Bong Su Kim),이홍걸(Hong Girl Lee),양원(Won Yang),이철영(Chul Yong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8 No.5

        본 연구는 부산시의 항만물류산업의 실태분석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항만물류의 개념 및 기능에 기반을 두고 항만물류산업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실태분석을 한 결과, 부산시 항만물류산업은 업종별 편중이 극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게다가 항만물류산업의 전형적인 산업인 하역과 보관업이 다른 업종에 비해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항만물류산업이 부산시의 지역경제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나 외부로의 유출에 대한 조사가 좀 더 정확히 조사된다면 일반적이 예상과 달리 그다지 크다고 볼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결과로부터, 항만물류산업이 지역경제에 보다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항만물류에 반드시 필요한 산업이나 영세성을 면치 못하는 다수의 업종에 대한 다양한 지원과 종합적인 육성책을 마련해서 물류산업전체의 균형적인 활성화 대책의 수립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부산시의 항만물류산업은 관련업종에 따라 서로 다른 여건과 실적이 매우 다르므로 종래의 포괄적 차원의 지원책보다 차별화된 지원책의 수립이 효과적으로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ctual condition of port logistics industries in Busan. For this, this research identified port logistics, based on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port and logistics, and then, divided them into six categories, transportation, cargo candling, storage, service, packing, and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e paper are,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uch differences among industries, in revenue scale, and number of employee and firm. Secondly, it indicated that actual occupation rate of these industries in was necessary to build different policies according to competitiveness level of firms, and strategies to promote many firms with low occupation rate.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항만물류인력 수급전망과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한철환 한국물류학회 2005 물류학회지 Vol.15 No.1

        지난 2003년 8월 정부는 「동북아 물류중심 추진로드맵」을 발표하여 물류전문인력 양성을 동북아 물류중심 7대 추진과제 중 하나로 선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 항만물류 소요인력을 예측하고 이들을 양성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항만물류 소요인력예측을 위해 기존항만시설 소요인력에 대해서는 계량분석을 사용하였고, 신규항만에 대한 소요인력은 향후 항만개발계획을 토대로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오는 2011년까지 항만물류인력은 약 28,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동북아 물류중심화 전략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신규소요인력의 조속한 충원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신규인력의 충원과 더불어 항만물류인력 양성시 향후 해운항만산업의 환경변화를 고려한 소양을 갖춘 인력양성이 더욱 중요하다. 이를 위해 대학 및 대학원의 항만물류전공과정 설립, 하역업체들 공동의 자체교육프로그램 개발실시, 산학일체형 교육과정 개설, 업계 및 관련기관 전문가의 겸임교원제, 항만물류기업 인턴쉽 제도 등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의 개선 및 신설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future demand and supply of port-logistics man power in Korea and suggest some promotion strategies. For this aim, the paper adapts dual approaches such as econometric method and qualitative analysis to forecast future man power in Korean port-logistics industry. The results shows that Korea needs about 28,000 persons including skilled technicians and port-logistics specialist until 2011. To train and educate this amount of man power, we should consider following aspects; first of all, we need to set up new specialized port logistics course i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Second, we should establish training programs to promote well grounded port-logistics specialists under the rapidly changing world shipping and port industry. Establishment of port operators' in house training program and expansion of academic and industrial collaboration program can be recommended for this purpose. Last but not least, government should take the initiative to accomplish this object.

      • KCI등재

        항만 연계물류를 위한 스마트 기술에 관한 연구

        원승환(Seunghwan Won),이언경(Eonkyung Lee)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1 전자무역연구 Vol.19 No.2

        연구목적: 싱가포르항,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독일 함부르크항과 같은 세계적인 선진 항만들은 스마트 기술의 적용을 위해 경쟁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항만은 해운, 항만, 내륙 물류 이해 관계자 간의 정보 공유가 부족하다. 디지털화된 물류 데이터의 수집과 연계가 어려워서, 전체 공급사슬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분석과 개선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항만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사슬의 디지털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스마트 기술을 제안하여 적용을 지원하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항만 관련 물류 프로세스를 조사한 다음 주요 문제점을 도출한다. 이후 항만 연계물류를 위한 주요 스마트 기술의 개념과 사례를 소개한다. 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도입이 필요한 항만 물류 스마트 기술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전체 연구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미와 향후 방향을 논의한다. 결과: 항만 연계물류의 문제점, 항만 연계물류의 스마트 기술과 적용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항만을 중심으로 공급사슬의 디지털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스마트 기술을 도출해보았다. 도입이 필요한 항만 연계물류 관련 스마트 기술을 화물 지능화, 연계운송 효율화, 연계운송 자동화의 세 영역으로 나눈 후, 영역별로 기술을 제안하였다. 독창성/가치: 지금까지 스마트 항만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국외 항만의 상황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는 스마트 항만 관련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항만은 선진 항만에 비해 자동화뿐만 아니라 해운-항만-내륙 물류 주체 간 정보 공유가 미흡하다. 디지털화된 물류 데이터의 수집과 연계가 어려워, 공급사슬 전체의 운영 효율화를 위한 분석과 개선에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항만 연계물류 문제점을 기반으로, 항만을 중심으로 공급사슬의 디지털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스마트 기술을 제안한다. Purpose: Advanced global ports, such as Singapore Port, Port of Rotterdam in the Netherlands, and Port of Hamburg in Germany, are competing for the application of smart technologies. Contrastingly, Korea s ports have insufficient information sharing between shipping, port, and inland logistics stakeholders. It is difficult to collect and link digitized logistics data;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analysis and improvement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entire supply chai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ort the application by proposing core smart technologies that enabl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port-centric supply chain. Composition/Logic: In this study, first, we investigate the port-related logistics processes, and then establish the main problems. Second, we introduce the concepts and examples of major smart technologies for port-centric logistics. Based on the above analyses, we propose smart technologies for port-centric logistics that need to be introduced in Korea. Finally, the study is summarized, and the implications and opportunitie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Findings: Through the problems, smart technologies and application examples for port-centric logistics, we derive core smart technologies that enabled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port-centric supply chain in Korea. After dividing the smart technologies related to port-centric logistics into three areas: intelligent cargo, efficient port-centric transportation, and automated port-centric transportation, technologies are proposed for each area. Originality/Value: As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smart ports so far have been conducted in overseas ports, studies related to smart ports suitable for Korea are lacking. Compared to advanced ports, Korean ports have insufficient autom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between shipping, port, and inland logistics stakeholders. It is difficult to collect and link digitized logistics data;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analysis and improvement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entire supply chain. This study proposes core smart technologies that enabl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port-centric supply chain, based on the problems of port-centric logistics in Korea.

      • KCI등재

        부산·진해 신항 현황 분석을 통한 항만물류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최영문 ( Young Moon Choi ),김라윤 ( La Yun Kim ) 한국유통물류정책학회 2021 유통물류연구 Vol.8 No.1

        최근 정부가 발표한 ‘2030 항만정책 방향 및 추진 전략’에 따라 시행되고 있는 부산 및 진해 신항이 동북아시아 지역의 핵심 항구로 발전하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지역경제 중심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부산 신항은 진해, 마산, 통영, 고현 등 인근 항만과의 클러스터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나 부산 신항을 제외한 항만은 과잉경쟁 등으로 발전에 많은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이런 상황에서 국내외 선진 주요 항만들의 사례를 분석하여 강점 및 쟁점을 분석함으로써 지역 항만물류산업의 발전 원동력과 발전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 신항과 인근 지역항만의 항만물류산업 현황을 분석하고, 해외 주요 항만에 대한 고찰을 통해, 부산 신항 개발의 문제점 인식과 경쟁력 강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 항만물류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부산신항의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으로, 부산신항 물류창고 단지 내 글로벌 물류기업 유치강화, 물류 창고에 대한 정부의 투자 및 지속적 관심 필요, 배후 단지의 추가적 물류 창고 부지 확보, 독자적 행정 서비스 구축, 물류창고단지 내 입주 기업의 수혜조건 완화, 투자형태의 다각화, 종합물류 기지와 복합적 교통시설 확충, 배후도로 확장, 입주업체 서비스 요구 수용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동 지역 항만물류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상생 방안을 강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develop Busan and Jinhae New Port, which are being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recent ‘2030 Port Policy Direction and Promotion Strategy’, as core ports in Northeast Asia and to grow into a regional economic center that creates high added value, improvements in various fields are needed. In particular, Busan New Port is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clusters with nearby ports such as Jinhae, Masan, Tongyeong, and Gohyeon, but ports except Busan New Port are showing many limitations due to excessive compet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ases of major domestic and overseas ports and analyze the strengths and issues to prepare the development engine and development plan of the regional port logistics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port logistics industry in Busan New Port and nearby ports, and examined the major overseas port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Busan New Port development and factors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thereby suggesting ways to revitalize the local port logistics industry. As improv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Busan New Port,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attraction of global logistics companies in Busan New Port warehouse complex, to invest in and continue the government’s interest in logistics warehouse, to secure additional logistics warehouse site, to build independent administrative service, to ease the benefits of enterprises in logistics warehouse complex, to diversify investment forms, to expand comprehensive logistics base and complex transportation facilities, to expand back roads, and to accept the needs of tenant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the region and to find ways to win.

      • 항만물류산업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중심으로

        류형근(Hyung Geun Ryu),김봉수(Bong Su Kim),이홍걸(Hong Girl Lee),양원(Won Yang),이철영(Chul Yong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 No.-

        본 연구는 부산시의 항만물류산업의 실태분석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항만물류의 개념 및 기능에 기반을 두고 항만물류산업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실태분석을 한 결과, 부산시 항만물류산업은 업종별 편중이 극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게다가 항만물류산업의 진형적인 산업인 하역과 보관업이 다른 업종에 비해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항만물류산업이 부산시의 지역경제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나 외부로의 유출에 대한 조사가 좀 더 정확히 조사된다면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그다지 크다고 볼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결과로부터, 항만물류산업이 지역경제에 보다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항만물류에 반드시 필요한 산업이나 영세성을 면치 못하는 다수의 업종에 대한 다양한 지원과 종합적인 육성책을 마련해서 물류산업전체의 균형적인 활성화 대책의 수립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부산시의 항만물류산업은 관련업종에 따라 서로 다른 여건과 실적이 매우 다르므로 종래의 포괄적 차원의 지원책보다 차별화된 지원책의 수립이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a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ctual status of port logistics industries in Busan. For this, this research identified port logistics, based on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part and logistics, and then, divided them into six parties, transportation, cargo handling, storage, service, packing, and information.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uch differences among industries, in revenue scale, and number of employee and firm. And it was indicated that actual occupation rate of these industries in regional economy was not high, except for transportation related industries. Finally, from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different policies according to competitiveness level of firms, and strategies to promote many firms with low occupation rate.

      • KCI등재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Introduction Decision Factor In Korean Port Logistic Industry

        성소망(So-Mang Sung),박승락(Seung-Lak Park),성옥석(Ok-Suk Sung) 한국국제상학회 2016 國際商學 Vol.31 No.3

        녹색공급사슬관리에 관한 연구는 제조기업 뿐만 아니라 항만물류기업에도 중요하다. 특히 제조기업의 물류를 이행하는 항만물류기업의 녹색공급사슬관리는 내부의 효율성의 측면보다는 화주의 요구와 정보의 규제에 의하여 이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녹색공급사슬관리와 관련한 항만물류기업의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을 적절히 반영하여 연구였으며, 향후 이러한 물류의 변화, 발전에 관한 사항에 주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항만물류산업의 녹색공급사슬관리의 도입 결정에 관한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항만물류산업의 변화와 발전적 요인 및 운영전반에 걸친 녹색공급사슬관리의 도입 결정과 전략적 운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항만물류산업과 물류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항만물류산업과 물류기업의 녹색공급사슬관리의 도입과 결정에 따른 물류기업간의 표준체계와 정부의 정책적요구, 소비자들의 요구, 외부적인 요인 등에 따라 항만물류산업의 녹색공급사슬 도입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항만물류산업은 녹색물류의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인 과제의 실천과 통합물류체계 구축 및 물류효율화, 물류서비스, 인프라구축, 물류보안 강화 등의 내용으로 경쟁력 있는 전략적 물류관리체계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항만물류산업의 녹색공급사슬관리의 도입에 있어, 정부의 정책적인 노력과 항만 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 소비자의 요구를 통한 운영적, 관리적 차원의 효율성과 효과성에 주목한 관련 물류산업과의 연계성 있는 협업관계, 상호교환, 정보공유, 신뢰의 관계를 통한 표준체계 개발과 운영의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춰 표준체계 개발과 함께 정보시스템의 일원화를 통한 연계성 있는 발전이 주목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aims to highlight social interest and responsibility about enterprise s environment administration according to demand of green logistics and global environment problem more and more. Gradually the existing factors such as green administration, green logistics, and green growth and etc. are strengthened and in the practitional dimension, it seems to bring change of growth and development.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green logistics system needed the new operational strategy which includes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in supply chain management of harbor logistics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paper has empirically analyzed about how introductive decision and strategical operation influence in change od harbor logistics industry and developmental factor and general operation in the base on the existing study on introductive decision of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in harbor logistics industry. Results :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such as survey of harbor logistics industry and logistics enterprise, we can be seen different appearing green supply chain introduction of harbor logistics industry according to outside factor, consumer s demand and government s policy demand and inter logistics enterprise s standard system which corresponds decision and logistics introduction of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and of harbor logistics industry. And it shows that competitive strategical logistics management system is urgent as the contents which are strategical assignment practice and integrative logistics system construction and logistics efficiency, logistics service, infra set up, logistics security strengthening and so on, for achievement of green logistics vision and target by harbor logistics industry. Conclusions : This Paper has consequently studied the introduction of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of our nation s harbor logistics industry. As a link of harbor infra construction and governmental policy effort notes that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the managemental dimension through consumer s demand. So it can be noted to develop with connectivity through unification of information system and with standard system development to fit global trend of standard system development and operation through trusted relationship, information sharing, inter conversion,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connectivity of related logistics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