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한성부(漢城府)에서의 호구단자(戶口單子), 준호구(準戶口) 작성 과정에 관한 再考

        문현주 한국고문서학회 2013 古文書硏究 Vol.42 No.-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한성부의 호구 문서를 검토하여 작성자, 작성 과정의 변화, 담당자 등에 대한 실증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본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글을 모르는 평천민이나 양반의 경우 호구단자와 준호구를 타인(주로 外人)에게 대리 작성시켰으며, 글을 아는 양반의 경우라도 제3자에게 쓰도록 한 경우가 있었는데 대리 작성자가 대개 집안사람의 범위는 넘지 않았다. 部 단위 서사자의 차출 여부는 현재로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조선 전기와 달리 후기에는 戶首가 호구단자를 제출한 이후 준호구도 추가로 작성하여 제출하는 것이 법식이었다. 이후 문서 작성 과정의 간소화, 즉 호구단자 2장과 준호구 1장을 제출하던 관행에서 호구단자 1장만을 제출하는 것으로 변화하게 되었는데 이에 대한 배경으로서 1차적인 것은 거두어들이는 單子紙가 백성들에게는 부담이 됨과 동시에 한갓 관료 개인의 이익으로 돌아간다는 의론이 있기 때문이었다. 2차적으로는 단자를 걷는 번거로움으로 인한 별도의 서원 차출 비용 부담과 그들의 농간을 들 수 있다. 한성 5部 간에도 문서 작성 과정의 간소화 시점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현재로서 알 수 있는 것은 동부의 1774년뿐이다. 간소화 이후 문서의 양식은 동일 식년 같은 契 안에서도 달랐으나 현재 남아있는 한성부 준호구의 거의 대부분은 連書 형태이다. 이는 경주부의 경우 간소화 이후 列書 형태로만 작성되었던 것과 다른 점이다. 한편 경주에서의 간소화 시점은 1738년이었는데 한성부 동부는 1774년이니, 한성부가 외읍인 경주보다 36년이나 늦다. 한성부에서 호구단자 수합부터 호적대장의 등서에까지 소요되었던 시일은 8개월 정도였다. 이후 작업 기한의 촉박 등으로 인하여 호구단자의 상식년 수합이 결정되면서 문서 작성상에 변화가 나타났다. 실제로 준호구 1장을 올리는 것은 ``상식년``이면서, 문서의 시면과 기두어에는 ``식년``의 연호를 썼던 것이다. 현재 남아있는 준호구의 대부분은 이처럼 식년(또는 상식년)에 호적 작성의 일련의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호적 실무를 담당한 것은 행정 체계의 최하위 단위인 방의 管領과 계의 任掌이었다. 각 계의 임장은 직접 가호마다 호구단자를 걷으러 돌아다녔는데, 단자 수합에 문제가 발생하면 部의 主簿와 書員까지 벌을 받았다. 실질적으로 호구단자를 걷는 일은 가장 말단인 각 계에서 임장이 하는 업무이지만, 전체적인 호적 업무에 있어서는 한성부를 중심으로 하여 部-坊-契의 임원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한국 근대 호적의 호주 및 가족 구성 – 1906년 한성부 호적을 중심으로 –

        이정선 서울역사편찬원 2016 서울과 역사 Vol.- No.92

        This study reviews the early process of the organization of the family in the family register(戶籍) with regard to the introduction of the family-head system (戶主制) by analyzing examples found in the Hansŏngbu(漢城府) in 1906 as well as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Korea’s modern family register. The term ‘family-head(戶主)’ first appeared in the Royal Order for Census(戶口調査規則, 1896). However, the Royal Order for Census, designed to register current cohabiters based on houses, was more akin to a resident registration system; meanwhile, the notion of the family-head was closer to the householder of a family. In addition, the decision as to who would become the family-head among the cohabiters and who would become cohabitant relatives(同居親屬) was not always based on the agnatic principle(宗法). One can find examples of non-agnatic family compositions in the 1906 Hansŏngbu family register. Such examples include fathers or elder brothers described in the family register of their sons or younger brothers, sons registered in the family register of their mothers, and sons-in-law listed in the family register of their family-in-law as the cohabitant relative. The reorganization of the members of the family register based on the agnatic principle beg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more specifically around 1915. The Census Registration Law(民籍 法, 1909) defined the family(家) to be included in the family register as the family-head and the other members(家族). And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ŏn changed The Census Registration Law as the family registration system, via the modification in 1915.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ŏn excluded non-agnatic family compositions that had been recognized in the past, reorganizing them in accord with the agnatic principle. As such,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ŏn introduced the family-head system in colonial Korea by transforming the family into a branch of the 본고에서는 한국 근대 호적의 법제적 특징 및 1906년 한성부 호적의 기재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호주제가 도입되면서 호적상의 호주 – 가족 관계가 종법에 따라 구성되는 초기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호구조사규칙(1896)에서는 호주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지만, 개념상 가옥을 기준으로 현주 동거자를 등록하려 한 호구조사규칙은 주민등록제도에, 호주는 세대주에 가까웠다. 또한 동거자 중 누가 호주가 되고 누가 그의 동거친속이 되는지도 반드시 종법에 따라 결정된 것은 아니었다. 1906년 한성부 호적에서도 남성 호주의 호에 아버지나 형이, 여성 호주의 호에 아들이, 혹은 장인이나 장모의 호에 사위가 동거친속으로 기재된 비종법적 가족 구성이 확인되는 것이다. 호적의 구성원들이 종법에 따라 재편된 것은 일제시기, 그 중에서도 1915년을전후해서였다. 민적법(1909)은 민적의 구성원을 호주와 그의 가족으로 정의했고, 조선총독부가 1915년의 민적법 개정을 통해 민적을 대한민국의 호적법과 유사한 사법적 신분등록제도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사상속을 중심으로 하는 부계 친족 집단을 조선 가족제도의 핵심으로 간주하여, 그때까지 민적에 존재했던 비종법적 가족 관계를 직권으로 배제하고 종법에 따라 재구성한 것이다. 조선총독부는 이로써 호주와 가족으로 구성된 家를 부계 친족 집단의 분파로 만들고 그를 단위로 호적을 편제함으로써, 호주제를도입하고 이외의 가족 유형들을 호적에서 배제하였다.

      • KCI등재

        한성부 중서 견평방에서 가택 칸수의 변화를 통해서 살펴본 「호구조사세칙」(1896)의 적용 양상-1903년과 1906년의 견평방 1통에서 23통까지를 대상으로-

        조윤오,우동선 한국건축역사학회 2019 건축역사연구 Vol.28 No.6

        This study explores the application aspect of The detailed rules of Census (1896) through the change of Kan numbers in Gyeonpyeong-bang. Although Gyeonpyeong-bang was a high-priority area because of its location, it was difficult to trace the operation of the urban situation due to lack of data. This study is focusing on restoring space and society in the Gyeonpyeong-bang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type of houses and the number of Kan listed in the family register of Hanseong-bu. The detailed rules of Census sets out provisions for the family registry and the rules of making Tong. Especially when it comes to the rules of making Tong, this rule deals with the code of making ten Hos into one Tong.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status of the Tong into three types: uncompleted Tong, exceeded Tong without vacant Ho number, and exceeded Tong with the vacant Ho number. Since these three types of Tong are in the process of change towards the complete Tong with 10 Hos, they were thought to be able to demonstrate the specific application of the rules.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a case study that expands the point of existing research on the Tong making rules, which was not focused relatively on restoring urban conditions at that time,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exceptions that deviated from the Sipgajaktong rule. 연구에서는 중서 견평방 내 가택의 칸수 변화를 통하여 「호구조사세칙(1896)」의 적용 양상을 살폈다. 「호구조사세칙(1896)」에서는 호적과 작통에 대하여 규정하였다. 특히 작통에 대해서는 열 개의 가호를 1개의 통으로 만드는 십가작통의 규칙을 설명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견평방의 통을 십가작통의 원칙에 비추어 불완전한 통, 가번호가 있고 10호 내 결번호가 없는 통, 가번호가 있고 10호 내 결번호가 있는 통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이 세 가지의 통 유형은 십가작통을 향한 변화의 과정에 있기 때문에, 작통법의 구체적인 적용 양상을 실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합호가 일어난 가호에는 앞 통호번을 부여하며, 통간의 합호인지, 통내의 합호인지에 따라서 결번호의 발생 여부가 결정된다. 둘째, 분호가 일어난 경우에는 근접한 결번호의 존재 여부와 개수에 따라 통호번 편성의 방식이 달라진다. 셋째, 이거에 의한 통호번의 편성은 가번호와 10호 내 결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일어난다.

      • KCI등재

        조선 후기 한성부민의 호적자료에 보이는 시입의 성격 -한성부 주민의 주거 양상을 구명하기 위한 일시론-

        임학성 ( Im Hag Seong ) 한국고문서학회 2004 古文書硏究 Vol.24 No.-

        Hmeong-Bu(漢城府) as the metropolis of Choseon dynasty and central administration was in charge of conducting the census of the population, thus when taking the census of the population, it complied with regulations more strictly than any other regions. Therefore there are detailed and various records about the new buildings, purchasing, renting of the house and house-moving, which are terms related to the life style of residents in the census register of Hmeong-Bu.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he term of Seeyip(詩人) expresses in the relation to those of the various life style of residents records. The results that tried to analyze the census register data of Hmeong-Bu related with Seeyip shows that thls term appeared in the first written data after moving within Hmeong-Bu. However, Seeyip was not always recorded whenever moving, the condition of the house at that time was crucial to whether it was recorded or not. Generally two people-the tenant and the landlord who was related to the house were families, relatives or those who had some connection. Consequently Seeyip was the record method of the census register that was Written when someone moved into the empty house of others (including relatives) by means of purchasing or renting and reported it. The term of Seeyip was closely related to the conditions of the houses in Hanseong-Bu referring to. Government officials often seized a house of general residents illegally because the shortage of land(垈地) was very seriou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which occurred by the centralization of the population therefore it was hard for them to find a house to live in. Therefore the term of Seeyip was closely related to the conditions of the houses in Hanseong-Bu. Legal right of the transference into others house could be obtained by writing Seeyip on the census register data.

      • KCI등재

        방언 화자 분석을 위한 인구 관련 문헌 소개 -20세기 초 이전을 중심으로-

        이옥희 우리말학회 2017 우리말연구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riefly introduce the population related documen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luidity and hometown of the speakers of the late modern Korean language and to suggest ways of using these data. If the temporal variation and transitive changes can not be explained intonationally, they can be approached by extrinsic factors, such as the fluidity of the speaker. The remnant and extinction of the dialects in the modern Korean language period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numerical increase or decrease of the corresponding speaker, which is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 the flow of language change. In order to analyze a dialect speaker, a speaker, in other words, a population-related document is needed. We have been having <HanseongbuHogudanja>, <GwangmuHojeok>, <Hogu Danja>, <ChosunMoongwabangmok>, <DaehanjeagukGwanwoniryekseo> etc since 14th century. These materials are population - related materials that can be directly or indirectly found in the information of the speaker as documents or documents published in the government or the government from 14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rough Joseon Dynasty. It is significant that the modern method of census can help analyze the speaker from the nineteenth centur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hese materials and suggest ways and limits of their use. 이 글은 후기 근대국어 시기 방언 화자의 유동성과 출신지를 파악 하는데 필요한 관련 문헌을 소개하고 이들 자료의 활용 방안을 간략히 모 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 언어공동체 내에서 혼재하는 다양한 지역 방언 화자들은 지역 내의 언어 상황이나 변화에 영향을 주게 된다. 방언 의 공시적 변이나 통시적 변화를 언어내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경우, 언 어외적인 요인, 이를테면 화자의 유동성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근대국어 시기의 방언형들의 잔존과 소멸은 해당 방언 화자의 수적 증감을 통해 추 정할 수 있으며, 이는 언어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방언 화자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화자와 관련 있는 문헌, 다시 말 해 인구 관련 문헌이 필요하다. 20세기 초 이전 시기의 인구 관련 문헌으 로는 <호구총수>, <한성부호구단자>, <광무호적>, <조선문과방목>, <대한제국관원이력서> 등이 있다. 이 자료들은 14세기부터 20세기 초 사이에 관청에서 간행된 문서들로서 화자의 정보를 직 ‧간접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인구 관련 자료들이다. 이 자료들은 현대적 방식의 인구 조사가 시행되지 않았던 근대시기의 방언 화자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글에서는 이 자료들을 소개하고 활용 방안과 한계를 제시하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