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음악교육의 발전과정 19세기말에서 현재까지의 역사적 흐름을 중심으로

        함희주 ( Hee Ju Ham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3 예술교육연구 Vol.11 No.1

        본 논문은 19세기말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음악교육의 역사적 흐름을 정리한 것이다. 중점 주제는 시대적 흐름 안에서 학교음악교육이 국가적, 사회문화적, 정치적 변화와 함께 어떻게 발전되었는가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음악교육의 발전과정을 구분하는 시기는 모두 7기로 구분하였다. 각 시기 구분과 핵심 주제어를 제시 한 근거는 국가 정책적 요인을 근거로 나타난 사회 문화적 변화와 그에 따른 교육정책 음악교육현황 등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제1기에서 제6기까지 시기구분과 핵심적 주제어는 이러한 사실을 배경으로 제시하였고, 제7기는 시기 구분에 적합한 핵심 주제어를 정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시기와 2000년대 이후의 음악교육으로만 표기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먼저 배경적으로 각 시기별로 국가정책, 사회문화적 현상,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개정, 인물 등을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음악교육발전에 공헌한 인물들은 먼저 각 시대에서 활동하면서 음악교육 발전에 공헌했던 학자들을 선두로 제시하였고, 이후 1980년대 이후에서 2000년대 이전까지 외국에서 수학하고 한국음악교육계에서 중요한 역할중인 현존하는 대표적 학자들의 영향과 그들의 업적들을 부분적으로 소개하였다. 결론 부분에서 한국음악교육의 미래적 전망에 관해서 간략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미군정 시대의 한국음악교육 실태: 1945~1948

        문경숙 한국음악교육학회 2014 음악교육연구 Vol.43 No.3

        본 연구에서는 해방직후에 실시된 미군정(1945.9-1948.8)이 당시의 한국음악교육 실상을어떻게 평가하고 어떤 정책을 시도했으며 무슨 결과를 가져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미국측 요원 3인의 기사 자료, 군정청의 활동보고서, 당시 발행된 공문서 및 음악 교과서 등의 사료를 검토하였다. 해방 직후 미군정은 교과서 발행, 교사재교육실시 및 음악활동지원 등 가시적인 분야에 행정력을 집중해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경성음악학교 사범과 신설(1946.2) 등 몇몇 의미 있는 시도가 무산되었고 군정기간 중 음악교수요목개발을 외면해버린 것 등은 미군정이 제도적개선 의지가 미약했음을 말해주는 사례들이다. 2년 11개월이라는 시한부 군정으로서는 한국음악교육의 새로운 정책개발에 손 댈 여유가없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음악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오늘날 한국음악교육가들이 당면한 최대의 과제이다.

      • KCI우수등재

        한국영유아음악교육의 역사적 회고

        김영연(Young-Youn Kim) 한국음악교육학회 2020 음악교육연구 Vol.49 No.1

        본 연구는 한국 영유아음악교육 발전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지난 110여 년 간의 유아교육역사에서 드러난 음악교육의 역사를 회고하였다. 유치원교육과정, 관련도서, 간행물과 특별한 사건을 변곡점으로 사진자료와 함께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동기(1910년대 초~1970년)에는 최초의 석사논문 발행 외 특별한 사건은 없었고, 도약기(1971~1999년)에는 자료집, 전문도서와 학술논문 발간, 음악연수 실시 등 유아음악교육 발전에의 노력이 활발했으며 팽창기(2000~2019년)에는 다양한 전공과 학위취득 경로에 따라 연구물이 양산되었다. 2019년 이후 재도약기에는 영유아음악교육의 학문적 전문성과 정체성 확보를 위해 인접 학문과의 융복합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예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Korea during the past 110 years. By researching relevant literature with pictures, the representative things or events like the proclam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teacher training workshops, and the publication of the professional material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were selected as remarkable historical points. As a result, the whole history was divided into four terms: First a birth period from 1910s through 1970, the second an attack period from 1971 through 1999, and the third a quantitatively blooming period from 2000 through 2019, and the period of rebirth from 2019 and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