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사회 환경교육의 발전 과정: 『환경교육』을 통해 본 사회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장미정,임수정,전푸름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3

        On the 3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o analyze different development periods and to derive insights for future studies. Out of 789 published articles (since 1989) from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56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related articles were analyzed using the following nine criteria: year of publication, author's affiliation,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 agent of education, educational goal, education target, place of education, and form of education. The result reveals that the number of articles that are related to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is lower than general or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related one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studies in educational program take up the majority whilst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research has a relatively small portion. The research trend in educational agents and location of education is foun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relevant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ies. Educational targets, on the other hand, have been simultaneously affected by changes in civil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school curriculum. In regard to the form of education criterion, non-formal education is shown as the majority. Lastly, the ratio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has been balanced in the recent years;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remarkably outnumbered in the past. Overall, it is said that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has developed with keen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al and social changes, national/local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ies as well as evolving school curriculum. In order for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o have a complementary influence in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expand its research base to explore and interpret the diverse values of current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take place outside of the formal institutions. 이 연구는 (사)한국환경교육학회의 창립 30주년에 즈음하여, 학회지 『환경교육』에 게재된 사회 환경교육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 환경교육의 시기별 발전 과정에 대한 고찰,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89년부터 현재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789편의 논문가운데, 사회 환경교육 관련 논문 156편을 대상으로 9가지 영역별 분석(게재 연도, 저자 소속, 연구 방법 연구 주제, 교육 주체, 교육 목표, 교육 대상, 교육 장소, 교육 형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사회 환경교육 관련 논문은 일반 환경교육이나 학교 환경교육에 비해 편수가 적고, 프로그램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이론/철학 연구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교육 주체와 교육 장소적 특성에 따른 연구동향에서는 환경교육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 대상과 관련해서는 민간환경단체의 변화와 학교 교육과정의 영향을 동시에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육 형식과 관련해서는 비형식 교육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과거에는 질적 연구의 비율이 현저히 높았으나 최근에는 양적 연구의 비율도 높아져 양적, 질적 연구 편수가 비슷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반적으로 사회 환경교육은 환경적/사회적 변화와 함께 국가/지자체의 환경교육 정책 및 학교 교육과정 등의 정책의 변화에도 민감하게 상호작용하며 발전해온 것으로 파악된다. 향후 사회 환경교육이 환경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상호보완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제도권 밖에서 벌어지는 역동적 교육활동의 의미를 탐색하고 해석할 수 있는 연구기반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 방안: 종로지역을 사례로

        이은숙,정희선,장은미 국토지리학회 2007 국토지리학회지 Vol.41 No.1

        본 연구에서는 문학공간을 체계적으로 발굴하여 일반 사람들이 한 장소의 특성을 다각도로 체험하고, 장소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동시에 장소마케팅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의 강점은 특정 장소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방문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점, 다양한 유형의 공간 기술을 바탕으로 한 장소 이미지 형성, 장소성 형성 과정에 대한 이해 증진, 장소에 대한 기억 형성과 의미 체험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욱이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은 문화산업의 발달, 문화소비층의 확대,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위치기반서비스 기술의 발달 등에 기인하여 그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지리교육·문학교육으로서의 유용성이 커서 지속적 장소발전전략으로 성공가능성이 크다. 종로지역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 방안으로는 문학공간 답사코스 개발, 문학관 설립, 작가와 문학작품을 활용한 이벤트 개발, 문학공간 커뮤니티 사이트 구축 등의 하드웨어적 자원과 소프트웨어적 자원 개발이 고려될 수 있다. 문학공간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의 성공을 위해서는 지방정부의 정책·제도·재정 상의 지원과 지역주민의 참여가 필수적이며, 지방정부, 지역단체, 지역주민의 네트워킹과 파트너쉽에 바탕을 둔 추진주체와 지역의 자연·인문환경, 역사적 발전과정, 장소성 등에 맞는 추진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strategic ways of place marketing utilizing literary space as a case study of Jongno area in Seoul. Literary space shapes positive images of place, enables readers to share individual experiences and values of place, delivers the meanings of a certain environment, increases the level of awareness of specific places, and defines unique identities of place. The strengths of place marketing based on literary space, therefore, can be found from the fact that literary space is able to easily attract visitors to certain places, to form positive images of place on the basis of various descriptions of place in literary works, to increase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placeness-forming process, and to create a strong memory of place. Service methods of providing information on literary space are getting diversified mainly owing to the development of culture industry and technologies related to location-based services and ubiquitous computing along with the diversification of leisure activities. Strategic ways of place marketing utilizing literary space include not only expanding physical resources but also inventing event programs, such as organizing literary tour programs, establishing literary museums, developing event programs with elements related to novelists, poets, and literary works, and building literary community sites on the internet. Institutional as well as financial supports from local government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place marketing practices are the most essential factors of successful place marketing in addition to forming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establishing clear goals of regional development.

      • KCI등재

        디자인과 로봇공학 융·복합 체험교육의 교육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

        장연화(Jang, Yon-Hwa),반자연(Ban, Ja-yuen),이윤희(Lee, Yun-Hee),한혜련(Han, Hae-Ryon),이주형(Lee, Ju-Hyeo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3 No.2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of 21st century, `Creativity which is the cor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has been 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it. As a result, the convergence educational programs, as know as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become more and more needed to children for cultivating creativity. As a follow-up study on STEAM program combining robotics and design for children developed by Design Promotion Committee of KID, this study intends to modify and reanalyze the program and to seiz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groups of university students as mentors and children as men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lthough the importance of STEAM education is highlighted, short-term educational programs tend to consist of only the contents of each field: design or science. Second, pre-training and mentoring were helpful to both mentors and children. Third, Children expanded the perception of STEAM concept and increased their interests in career. Mentors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STEAM education, and were very satisfied with team activities which gave a new experience of working with other field of people. Therefore, this program provide to children an experience of logical thinking, having interests on uninterested field, and encouraging teamwork. Also, it provides to mentors a chance to develop their potential and experience, and set up a new vision fo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