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지역의 한국학 현황

        송현호 한중인문학회 2012 한중인문학연구 Vol.35 No.-

        중국 내 한국학 관련 학과와 연구소의 개설은 한중수교와 한류의 영향으로 최근 들어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중국 내 대학에 한국 관련 학과는 외형적 성장을 이루었을 뿐 아 니라 내적인 변화와 성장 또한 만만치 않다. 한국과의 교류가 직접적으로 확대되면서 북한 중 심의 제한적인 한국학이 남한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중국 내 한국학의 전반적이 역량이 강화 되었고, 소수 민족 교육이나 정치 외교적 필요에서 진행되어 국가 정책적인 차원에서 접근되 던 것이 실용적이고 문화적인 차원으로 변화되었다. 여기에 최근 들어 한국의 다양한 기관과 의 교류를 바탕으로 학술적 영역 또한 다양하게 확장되고 심화되고 있다. 현재 중국의 한국학은 다양한 기관에서 매년 개최되는 국내 및 국제 학술세미나, 또는 여 러 연구소가 함께 참여하는 한국전통문화국제학술세미나나 환태평양국제학술세미나처럼 문 학, 어학, 역사, 경제 등을 주제로 하는 한국학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과 범주를 넘나들며 성장 하고 있다. 중국의 한국학 관련 연구 기관은 한국의 언어, 역사, 사회, 문화, 정치, 경제 등 모 든 분야에 걸쳐 한국의 고유한 학문을 연구 개발하는 기관으로, 양국 간의 학술교류를 강화하 여 양국의 우의를 증진시키며, 나아가 동아시아 문명의 정체성을 밝히고 동양문화에 대한 이 해의 폭을 넓히는 역할을 실천적으로 모색하는 도정에 놓여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제 중국 의 한국학은 단순히 국내 한국학을 전파하는 특정한 지역 중 하나에 그치는 소극적인 역할에 머물지 않는다. 해외 한국학의 역량을 확대하는 실천적인 장이면서 동시에 국내 학계와 상호 협력, 교류하면서 국내 한국학의 성과 또한 다시금 확인하게 하는 동반자적 지위에 가까워지 고 있다. 특히, 중국 내 민족 공동체의 정체를 지키고 발전시키고자 하는 학술적 지향을 지닌 조선족 학계의 역할은 남한과 북한의 학술적인 성과를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그 차이를 극복하는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후 통일 시대 한국학을 위한 중요한 역할이 기대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중국의 한국학에 대한 지원과 교류는 앞으로도 꾸준히 지속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지금의 성장이 있기까지 한국 정부나 기업의 지원 그리고 한국 내 학술기관과의 교류가 큰 역할을 한 것처럼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한국학의 수준을 견인함으로써 중국학계에서 한 국학의 위상을 높여할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중국 내 한국학에 대한 냉정한 평가 작업과 지원의 효율성 등을 구체적으로 고민할 필요가 있다. 중국에서 한국학 관련 기관의 역사는 70여년 정도 된다. 그 가운데 연변대학과 중앙민족대 학은 소수민족 교육의 일환으로 중국조선족을 위한 교육을 시행하여 북한이나 한국에 비해 손색이 없는 교육을 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 한국학 연구는 북경대학과 연변대학을 제외 하면 학문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학과가 많이 설치되어 있지만 여전히 한국어 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어나 한국문학 전공자를 제외하면 한국어에 능통한 학자가 부족하여 역사, 철학, 문화, 정치, 경제 분야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략하게 진 행되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한국학 발전을 위해 각종 한국학 관련 기관들의 전문성, 고유영역을 보장하고 네트 워킹을 통해 한국학 발전 사업을 종합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현재 교육과학기술 부(한국연구재단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전번역원), 외교통상부(국제협력단, 한 국국제교류재단, 재외동포재단), 문화체육관광부(세종학당, 국립국어교육원, 문화콘텐츠 진흥 원) 등에서 수행하고 있는 해외 한국학 진흥 사업을 통합하고 조정할 수 있는 전문 운영기관 을 국무총리실 혹은 대통령 직속 위원회(국가 브랜드 위원회, 미래기획위원회)하에 설치하고 그 하위에 부문별 위원회를 구성하여 관련 부처의 기관들과 협력 하에 한국학 종합 발전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다. 아울러 학계 현장에서는 한국어문 중심의 교류를 다양한 학문 분야로 확장하는 융합적 교 류에 힘을 더 쏟을 필요가 있다.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한 학술적 성과가 어느 정도 축적되 고 이를 위한 교류 시스템 또한 다양한 기관에 구축되어 있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을 제외한 분야의 연구 역량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교류가 요구된다. 특히, 역사, 철학, 정치, 경제 등의 분야에서는 한국어에 능통한 연구자들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형편이므로 한국어 교육 중심의 학술 교류가 한국학 전반으로 확대될 수 있는 기회와 계기를 많이 만들어야 한다. 또한 국내 기관의 지원 수준 또한 현실화 할 필요가 있다. 예전 한중수교 직후에는 한국과 중국의 경제적 격차가 상대적으로 커서 적은 비용으로도 지원 효과를 볼 수가 있었다. 하지만 지금 현재 중국의 물가가 우리와 별반 차이가 없으므로 실제 지원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지원 비의 수준을 한국 수준으로 상향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북경대학출판사의 경우 책 한 권의 출판비가 5만에서 10만 위안에 이르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여전히 과거의 중국 물가를 기준으로 출판비를 책정 지원하여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르는 경우가 많다. 이와 함께 중국 한국학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 지원의 내용을 융통성 있게 적용하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 일례로 학술지 번역 사업이나 교주본 작업의 의미를 국내 학문의 기준으로 과 소평가하지 말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그 성과를 확대할 계기를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 특히 조선족 학계의 성과를 국내 한국학의 기준으로 판단하기보다는 중국 학문 조류에 한국학의 저변을 확대한다는 차원에서 전향적으로 판단하고 지원해야 할 것이다. 국내에서 수학 중인 대학원생들에 대한 지원도 이런 차원에서 확대될 필요가 있다. 그들이야말로 중국 한국학의 잠재적인 연구 인력으로 한국과 중국의 학술 교류 사업에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 기 때문이다. 그동안 한국학진흥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시행하고 있는 중핵사업을 비롯해 다양한 기관의 지원과 교류 사업으로 연구와 교육 그리고 이를 위한 연구 인력 네트워크 구축 등 한국과 중 국의 학술적 교류가 전반적, 포괄적으로 진행되면서 중국의 각 지역 내의 한국학을 견인할 장 기적인 비전을 모색하기 시작했고, 학술성과도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성과들을 바탕 으로 한국학의 세계화, 통일시대 한국학의 비전을 수립하기 위해서 중국내의 한국학 연구자들 과 국내 한국학 석학들에 대한 지원이 꾸준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Department and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in China opened to the influence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the wave is growing exponentially in recent years. Korea-related departments in China at the University grew outward beyond the inner as well as change and growth is also formidable. Directly expanding exchanges with South Korea as the center of North Korean Studies of the limited moves to the center of the South, while the overall competency of Korean Studies in China have been strengthened, ethnic done in education and requires political and diplomatic approach in the national policy level, that that was was transformed into a practical and cultural dimension. In recent years, various organizations here in South Korea on the basis of interaction with various academic area also has been extended and deepened. Korean Studies of China is held annually in various organs of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academic seminars, or to participate with several research institutes Korea Traditional Culture and Circum-Pacific international academic semina, literature, language, history, economy, and that the subject of Korean Studies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areas and is growing across the categories. South Korea's Korea-related research institutions in China's language, history, society, culture, politics, economy across all sectors to develop Korea's own academic research institutions, to strengthen academic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o promote the friend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even reveal the identity of the East Asian civilization, culture,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role lies in the way that seeks practically. As mentioned earlier, now just China's Korean Studies in Korea to spread a particular area in one of many countries does not remain a passive role. Studies abroad to expand the capacity of national academic and practical cooperation while at the same time sheets, while the domestic Korean exchanges and also reaffirming that the position is getting closer to a partnership. In particular, the identity of ethnic communities in China who want to keep the development of academic-oriented academic role of ethnic Koreans wi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s a link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while simultaneously buffering action to overcome those differences in mind that you can do Studies in the era after the unification may b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Korean Studies in this regard and support for China's exchanges in the future may need to be continued steadily. Korea until now because of the growth of government and corporate support and exchanges with academic institutions in Korea, as did a large role through ongoing exchanges of Korean Studies Korean Studies at the level of traction phase of the Chinese academia is nopyeohal. To do this sober assessment of Korean Studies in China and support the efficiency of operations, and specifically have to worry about. The history of Korea-related organizations in China is about 70 years. Among them Yanbian University and Centr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as part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Chinese i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performed favorably compared to education is not. However, the Korean Studies at Peking University in China and the Yanbian University, except for the scholarly and systematic study is lacking. Department of South Korea, but still have a lot of mainstream education because Korean. Majored in literature, except for South Korea or South Korea who are fluent in Korean scholar enough history, philosophy, culture, politics, and economics research in the field with a relatively soryak It is true that progress. Thus, various Korean Studies related agencies for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unique areas to ensure a comprehensive business development through networking Studies seemed necessary to proceed with. Current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Korea Research Foundation Classic Translation Institute AK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the Korea Foundation, the Overseas Koreans Found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Sejonghakdang, national language institute, Culture & Content Agency), etc. doing business in the overseas promotion of Korean studies specialists who can integrate and coordinate operational agencies under the Office of the President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or the Commission (Council on Nation Branding, Future Planning Committee) under the installation and in its sub-sectoral committee of relevant ministries and agencies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cooperation to promote the business will be one of the possible ways. Literary center in the field of academics as well as South Korea to exchange a variety of disciplines to expand Interface and Convergence is necessary to devote more power exchanges. Korean Education with Emphasi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it accumulates to some extent also for the exchange system has been built in various organs. However, excep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eld of research capacity is relatively scarce, so a proactive exchange shift is required. In particular, the history, philosophy, politics, economics, and the number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Korean is fluent in Korean education is absolutely lacks a center of academic exchanges across the Korean and the opportunity to expand to have to create a lot of opportunity. In addition, the level of support of domestic institutions also need to realize. Immediately after the old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South Korea's economic disparity as a relatively large low-cost support could see the effect. But now China's current inflation because there is little difference with us to see the effect the actual support of the application fee should be raised to the level of Korea is necessary to level. As an example the case of Beijing University Press book published a volume ratio reached from 50,000 to 100,000 yuan, but China prices in Korea are still based on the publication of the past by supporting the formulation is often followed by practical difficultie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udies of the contents of the business support needs also seems to apply flexible. Translation journals, for example, the meaning of business or domestic 'Gyojubon' work on the basis of the study, do not underestimate the positive assessment, the results will make the instrument is necessary to expand. Academic performance of ethnic Koreans in Korea, especially Korean, rather than judge them by the standards of Chinese Studies in Avian studies to expand the base of support in terms of prospectively and should be judged. Domestic support for graduate students in the mathematics are also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expand. Chinese Studies of their potential as researchers in Korea and China to play an active role in academic exchange programs be responsible because. Meanwhile, Center for Development Studies conducted with the support of core business and with the support of various institutions, including exchange programs, research and education, and research personnel for it, including network deployment overall academic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as China's comprehensive progress of each Studies in the region will drive began to seek long-term vision, academic performance are appearing slowly. Based on these and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Korean reunification era in China in order to establish the vision of the Korean Studies scholars, researchers and support for domestic expectations come true is steadily.

      • 한국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안남일(An Nam Il) 중동유럽한국학회 2014 중동유럽한국학회지 Vol.15 No.-

        본 논문은 중동유럽지역 관련 한국학 연구에 대한 현황을 통해 한국학 연구의 제문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확인되는 학위논문 및 국내학술지논문으로 연구 대상을 한정하였다. '한국학', '유럽', '동유럽', '중동유럽'을 주요 키워드로 삼아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검색한 바, 학위논문 3편과 국내학술지논문 32편을 확인하였다. 우선 한국학의 개념에 대해 재고하고 해외 한국학 동향을 파악한 후, 대상 논문을 해제하여 중동유럽지역 한국학 연구의 문제점을 살펴본바 연구 테마의 유사성, 연구 방법의 도식성, 어문학교육과 문화교육의 횬효성에 대한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바람직한 한국학 연구를 위해 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한 문화교육, 공동 연구교류의 활성화, 한국어교육 연구자의 연구지원 확대 및 국내 연수 교육을 통한 현지 해외 연구 인력 양성이라는 세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paper aims to inspect several problems that Korean Studies research has, through the current situation on it concerned with Middle-East Europe. For this, the subject is confined to graduate thesis and paper in domestic scholarly journal verified through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which is provided by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Taking 'Korean Studies', 'Europe', 'East Europe', and 'Middle-East Europe' as primary keywords, I checked three theses and thirty-two papers in domestic scholarly journal. First, I reconsider on the concept of Korean Studies and grasp trend of Korean Studies. After that, I analyze theses and examine the problems of Korean Studies. From those examination, I found that problems are in the similarity of research themes, diagram of research methods, and confusion betwee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In these respects, for desirable Korean Studies I gave four suggestions : (1) Cultural education based on literacy (2) Activating of exchange in collaborative research (3) Expansion research support for researcher of Korean education and Foreign research manpower training in country. (Korea University)

      • KCI등재

        동아시아 한국학 방법의 모색

        채미화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연구 Vol.17 No.-

        동아시아의 맥락 속에 한국학을 환원시키고 동아시아 시각으로 한국학을 재구축하는 동아시아한국학의 취지는 화해로운 세계를 건설하려는 중국의 지향과 서로 융합된다. 중한수교 이후 전면적으로 흥기된 중국의 한국학은 21세기에 들어와서 중국학파를 형성하여, 이미 자기의 학술역사를 축적하였고 특성화한 연구방향과 연구 방법으로써 해외 한국학연구에서 뚜렷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한국학은 순 학문적인 연구이자 지역학의 성격을 띠고 있다. 중국 한국학의 입각점은 두말할 것도 없이 중국문화이다. 중국의 한국학 학자들은 중국에 입각하여 중국인의 미학관념과 가치관으로 한국의 인문과학을 연구하는 것이다. 중국의 한국학자들 앞에 제출된 과업은 연구시각의 확충이다. 한국학을 한국이라는 본토에서 자생하고 자국에만 영향 주는 문화라고만 여기던 틀에서 벗어나 동아시아의 맥락 속에 놓고 그 종적, 횡적인 관계를 객관적으로 고찰하면서 그것을 중국문화를 비쳐보는 거울로 생각하는 것이 중국 한국학의 동아시아적 시각이 아닐까 한다. 중국 한국학은 중국에 立足하면서도 중국은 항상 문화의 발신자로, 한국은 수신자로 있다는 관념을 극복하면서 한국학에 수용된 중국 전통문화의 변용을 이해하고 그것을 통하여 중국문화에 대한 타자의 시각을 이해하고 反觀적인 측면으로 중국문화의 심층연구를 추진하는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s of East Asian Korean studies, which intends to place Korean studies in an East Asian context, and reestablish the presence of Korean studies from the 'East Asian' perspective, are actually compatible with the aspirations now featured by China, which tries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a peaceful globe. Korean studies in China, which have grown significantly since Korea and China formed a diplomatic relationship, came to witness the formation of the 'Chinese group' in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and have continued to establish their own historical and academical achievements. In other words, Korean studies in China successfully formed an identity of their own, and also obtained a unique place among foreign Korean studies, through developing specialized academic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China's Korean studies feature a pro-academic quality, and also the color of 'regional studies'. The Korean studies in China is also undoubtedly based upon the 'Chinese perspectives' that were bred inside the Chinese culture. Therefore, the Korean scholars in China study the humanity-scientific topics of Korea from no other than the aesthetic perspective and value system generally possessed by a Chinese individual. The task the Chinese scholars engaged in Korean studies should tackle upon in the future, is to broaden their own research perimeters, and employ new perspectives. They should escape their own traditional view, which perceived Korean studies as a cultural asset that originated solel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affected solely the Korean people. Then they should newly review Korean studies and the Korean culture in the context of East Asian history and East Asian culture, which would allow them to examin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hips that had been exhibited by the Koreans and the Chinese, and also to use it as a mirror which would provide the Chinese people with the opportunity to reexamine and rediscover the Chinese culture of their own. Chinese Korean studies will always be based upon Chinese culture and Chinese perspectives, but it should also escape the perspective viewing China as the eternal generator or provider of culture and Korea as the eternal receiving end of that culture. They should try to understand the variations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al aspects embedded inside Korean studies, try to understand the outsiders' view of Chinese culture through such variations, and use such insights to enhance and deepen their own researches and studies of the Chinese culture.

      • KCI등재

        해외한국학에 대한 접근방법 연구 - 한국학의 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

        임형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2

        최근 우리가 논의하는 한국학은 국제화, 세계화라는 관점을 포함하게 되면서 과거의 집합적 학문으로서의 한 국학을 융합적 학문의 대상으로 깊이와 넓이를 더하게 되었다. 하지만 빠른 변화의 흐름으로인해 미처 생각하 지 못한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그리고 미래지향적인 분석이 따르지 못한 점도 있고, 주위를 둘러볼 겨를도 없이 한국학의 국제화와 세계화만을 생각하였을지도 모른다. 본 논문은 먼저 한국학에 대한 우리의 관점과 연구의 방향을 다시금 정의하는 한 호흡을 가져야 할 시간이 필요 함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다음으로 이를 위해 해외 한국학이라는 용어를 통해 국제화와 세계화에 의한 개방적인 한국학의 새로 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있다. 즉, 해외에서 현지 학자들의 시각으로 진행되고 있는 해외한국학, 타자적 관점을 포함하고 있는 한국학, 타자의 필요에 의한 한국학에 대한 개방적 소통의 연구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학은 외향적(Out Bound) 한국학이라는 입장에서 내향적(In Bound) 한국학이 균형 있게 어우러 진, 그리고 외국학과 지역학의 바탕에서 지역성을 넘어서는 한국학으로 강화될 수 있다. Approach Methods for the Study of theOverseas Korean Studies. Focusing on The research methods forsecuring an open-ended nature of Overseas Korean Studie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Culture 11-2, 135-159. The serious expansion of Korean overseasstudy around 2000 and the Korean wave were factors influencingthe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which overseas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studies research overseashave naturally continued. Along with this trend, interest in Koreaboth domestically and overseas is increasing daily. Korean studies encompasses a wide range of academic departmentsconcerned with Korea and is defined as a fusion discipline. There is no doubt that the Korean studies being discussedrecently are broader and more in-depth as a fusion disciplineincluding collected academics from the past while includinginternational and global viewpoints. The goal of this text is to review transformed research fields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Korean studies and changes inviewpoints due to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hroughthe terminology of national studies, Korean studies and overseasKorean studies. Through these, various research into Korean studies underdiscussion recently is classified into domestic or overseas researchand organized with a focus on new viewpoints for the globalizationof researchers' domestic and international Korean studies, aswell as for Korean studies fields regarding research carried outoverseas.

      • KCI등재

        냉전, 민주화 이행 그리고 한국학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40년의 성과와 의의

        김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한국학 Vol.42 No.2

        본 연구는 1978년 개원한 한국학중앙연구원(당시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 개원과 더불어 냉전 하에서 80년대 민주화 이행 이전 시기, 민주화 이행 이후 90년대 후반 그리고 신자유주의적 경쟁체제가 대학과 연구기관에 도입된 현재까지 세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기관으로서 의의를 평가하고, 이후 나아갈 방향에 대한 ‘제언’을 결론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1978년 정문연의 개원은 한국학 연구의 ‘제도적인 틀’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제1기에는 광범위한 국내 연구진의 결합에 기초한 한국학에 대한 학제간 연구, 사전과 분류사 등에 대한 연구, 제2기에는 한국학 기초자료의 수집과 연구 토대, 한국학의 세계화, 사료에 입각한 연구라는 한국학 연구의 제도적 기반을 구축했다. 물론 이는 각 시기별 정부정책, 연구기관의 특수한 문화, 운영 체계의 특수성, 조직원 간의 의사소통과 조직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아왔다. 국민정신교육이 강조되던 시기에도, 민족문화에 기반한 백과사전 편찬, 민속, 구비 그리고 방언에 기초한 전통문화의 발견 그리고 사상사, 사회사, 자료사 대계가 전근대와 근대 시기를 망라하는 동시에, 당대 인문‒사회과학의 거의 모든 분야를 포괄하는 학제간 연구의 기반을 마련했다. 바로 한중연의 존재 의의는 현재 한국학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이었다. 2000년대 이후 한중연의 존재의의는 장서각 자료에 기초한 왕실문화, 고전문학 등에 대한 어학, 문학, 예술, 역사, 사상 등 학제간 연구가 제도화된 연구과제 형태로 정착됐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근대 및 근현대 분야의 각종 사전(공구서), 국내 근현대 1차 자료에 대한 영문번역을 통한 소스북 발간, 고전자료의 현대화에 기초한 다양한 연구의 확장을 들 수 있다. 이들 흐름은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제기했던 민족문화의 개념을 세분화된 차원에서 확장한 연구한 동시에, 개념, 사건 그리고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학 개념의 원천을 탐구한 시도였다. 뿐만 아니라 1990년대 국학진흥사업과 현대사연구소를 통한 근현대자료의 집성, 현대한국구술사연구사업과 구비문학증보사업을 통한 대규모 자료의 집적은 해당 분야에 대한 학계의 관심을 2000년대 확산시켰다. 특히 근현대 시기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지점은 사료라는 역사적 기반을 둔 연구들이 90년대 중반부터 현재 이르기까지 지속되어 오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다양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가 부각되기보다 특정한 정치적 외부 논리에 의해 연구원이 평가되어온 이유는, 정책변화, 기관장 교체 등에 의한 불안정화/대립적 조직문화의 재생산 등에서 기인한 것이다. 1978년 개원 이후 주요한 논쟁은 ‘연구’와 ‘교육’의 비중 간의 긴장이었으며, 연구원의 전망 역시 각종 연구조직, 연구소 개폐, 대학원 직제개편 등을 둘러싼 연구와 교육이란 두 가지 문제를 연결시킬 수 있는 인적, 제도적 자원을 집중해 나아가는 방향을 둘러싼 문제이다. 연구기능과 교육기능을 둘러싼 연구원 성격 규정, 한국학의 범위를 확정하는 문제와 학제적인 한국학 연구, 기관의 자율성 확보, 중점사업 개발의 필요성, 대학원의 특성화, 연구결과의 확산 등 『개원 20년사』에서 제기했던 과제는 여전히 유효하다. 지난 10여 년의 역사를 반추한다면, 향후 연구와 교육의 기본 방향에 대한 구성원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작업이 ... This study focused on the Cold War, the transition to democracy, the late 1990s and the three periods to date, with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evaluating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s a research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nd then reviewing the direction to move forward. The opening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n 1978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reated a “institution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Korean studies. In the first period, the institute built a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Korean studies, includ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based on the combination of broad researchers, dictionary and classification history studies, and the collection of historical source on Korean studies in the second period, and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In the 1980s, the compilation of encyclopedias, the discovery of national culture, and the study of thought history, social history were also conducted. At the same time, it laid the foundation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covering all areas of Korean studies.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2000s, interdisciplinary research based on Jangseogak source has been established in the form of a research project. Secondly, various studies based on the modernization of various dictionaries and classical materials in modern and contemporary fields have been expanded. Such research was an attempt to expand the concept of national culture, while exploring the sources of Korean studies, focusing on concepts, events and source. In addition, the collection of large‒scale research source through the Korean studies promotion project, oral history research project and korean studies on pre‒modern period project has spread the interest of academia in the field. Despite various research achievements since the 2000s, the reason why researchers have been evaluated for certain political logic rather than for their achievements has been because of changes in policy, instability of organizations due to the replacement of heads of institutions, and the reproduction of confront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Over the past 40 years, the main debate within the researchers has been tension over the importance of ‘research’ and ‘education.’ The tasks raised in the 20 years history of the opening of the institute, including stipulating the nature of researchers surrounding research functions and educational functions, establishing the scope of Korean studies, securing autonomy of institutions, the need to develop intensive projects, specialization of graduate schools and the spread of research results, are still valid. Currently, the direction of korean studies should move forward is “link between Korean studies and education” and that it is a specialization through long‒term research that is difficult to do at ordinary universities or other Institute of Korea studies.

      • KCI등재

        체코 찰스(Charles) 대학의 한국학 운영 현황과 과제: 인문대학(Filozofická Fakulta[Faculty of Arts]) 한국학 전공을 중심으로

        황문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한국학 Vol.43 No.2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tudies at Charles University by focusing on the Korean Studies major in the Filozofická Fakulta [Faculty of Arts]. In some cases, it compares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studies and Chinese or Japanese studies. Charles University, which housed Korean Studies since the 1950s, has distinctly maintained its orientation of pursuing Korean Studies for academic purposes when compared to other universities. This article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studies at Charles University can be a useful resource for finding ways to promote Korean studi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beyond Charles University. 이 글에서는 체코 찰스대학 인문대학(Filozofická Fakulta[Faculty of Arts]) 한국학 전공을 중심으로 찰스대학의 한국학 운영 현황을 한국학 학생과 교원 현황, 한국학 강좌 현황, 한국학 관련 기타 현황 등으로 나누어 점검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중국학, 일본학 등과 비교하면서 상호간의 격차가 어떠한지를 파악하기도 하였다. 체코 찰스대는 이미 1950 년대부터 한국학을 운영해 왔을 뿐 아니라 타 대학과 비교할 때 ‘ 학문 목적의 한국학’에 대한 지향을 뚜렷이 유지해 왔다. 따라서 찰스대학의 한국학 운영 현황을 분석한 이 글은 찰스대학을 넘어 중유럽 내지 동유럽의 한국학 진흥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인도네시아에서의 한국학 연구의 회고와 전망 -UI와 UGM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김장겸 ( Jang Gyem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6 東南亞硏究 Vol.25 No.3

        본 논문은 인도네시아의 최고 국립대학인 UI와 UGM의 한국학과의 교수요원, 교재, 커리큘럼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짚어보고, 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비록 두 대학의 한국학과가 개설된 지 올해로 10년이라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한국어와 한국학과를 개설하려는 많은 후발 대학들에게 좋은 길잡이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한다. 인도네시아에서의 한국어와 한국학과 개설은 무엇보다도 인도네시아사회에서 한국어의 수요가 급증하고, 한국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과 무관치 않다. 1,000여개의 한국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과 아울러 수많은 인도네시아인들의 한국으로의 진출과 한류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를 반영하듯, UI와 UGM의 한국학과 개설에 이어 한국학 개설을 희망하는 인도네시아의 몇몇 대학들이 준비단계로 한국어를 선택과목이나 교양과목으로 개설하고 있는 상황이다. UI와 UGM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드러난 한국학과의 최우선 문제점은 전문성을 지닌 교수요원 확보이다. 전문성을 지닌 교수요원의 절대부족이 한국학과의 교재와 커리큘럼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의 세가지 주요 구성요인인 교수요원, 커리큘럼, 강의교재는 상호 분리된 문제가 아니라 긴밀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강의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갖기 위해서는 한국학과 출신들을 교수요원으로 양성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교재문제는 한국의 대학기관에서 출판된 것을 교재를 사용함으로서 인도네시아 학습자의 상황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용어를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UI와 UGM의 한국학과에서 커리큘럼에 알맞은 교재와 교과목 간의 연계성을 지닌 교재를 자체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나아가 한국학과의 교수요원과 한국의 인도네시아어전문가, 그리고 한국어 및 한국학 전문가들이 교재편찬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속적으로 맞춤식 교재를 편찬하는 것이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커리큘럼 문제는 한국어와 한국학에 관련된 교과목을 한국어에 바탕을 둔 한국학 교육에 부합하는 교과목으로 구성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교과목 간에 연계성을 강화하여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지속적으로 보완한다면 인도네시아의 UI와 UGM의 한국학에 대한 전망은 매우 밝은 편이며, 후발 대학들에게 좋은 본보기 또는 모델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감당 할 것으로 확신한다.

      • KCI등재

        한국학을 어떻게 할 것인가

        윤천근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韓國學論集 Vol.40 No.-

        관심만의 한국학, 또는 관심과 애정만의 한국학은 그들의 한국학이다. 애증의 지평 위에 서 있는 관심의 한국학, 또는 관심과 애정의 한국학, 그리고 일체화의 지평 위에 서 있는 관심의 한국학, 또는 관심과 애정의 한국학은 우리의 한국학이다. 미국사람이나 러시아 사람들이 하는 한국학, '그들의 한국학'의 경우, 우리 밖 타자인 그들은 그들 나름의 역사와 문화 등에서 길러진 의식의 토대를 바탕으로 하여 관심, 또는 애정의 작용을 수행한다. 그들의 관심과 애정은 한국학 영역 속의 대상을 포착하며, 그들의 의식의 토대는 그들 나름의 역사와 문화의 전통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그들의 한국학'에서 마련된 한국에 대한 학문은 일차적으로 그들의 삶을 이끌어가는 지남으로 쓰여 지고, 그들의 삶을 위한 자료가 된다. '그들의 한국학'에서 마련된 학문은 이차적으로 우리의 삶을 위한 자료가 되기도 한다. '그들의 한국학'이 생산한 자료는 여러 면에서 '우리의 한국학'에서 생산된 자료와 다를 수 있다. '우리의 한국학'은 한국의 현실 속에서 구체적 삶을 살아가는 주체에 의해 한국이 대상으로 포착되고 학문으로 정리되어 한국적 삶의 현실을 이상으로 가꾸어 가는 자산으로 쓰여 지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우리의 학문은 우리의 삶으로 넘겨져서 한국을 가꾸어 가는 것으로 쓰여지고, 우리의 삶은 보다 절실하고 의미 있는 주제를 떠올려서 학문의 성격과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렇게 '우리의 한국학'은 우리의 학문과 우리의 삶이 서로 교통하고 서로 감응하는 영역이라고 하겠다. 삶으로서의 한국학은 현재 한국의 역사 속에 놓여진다. 현재 한국은 우리의 현실생활이 영위되고 있는 곳이고, 우리의 투쟁과 노력이 투입되고 있는 곳이고,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곳이다. 과거 한국, 그러니까 전통시대의 한국이나 미래의 한국은 현재한국과의 연장선상에서만 나름의 의미를 지니게 된다. 삶으로서의 한국학의 성전은 현재 한국을 포위하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시작된다. 문제점은 무수히 많고, 문제점을 들여다보는 시선은 다양할 수 있다. 현재 한국에서 삶을 살아가는 한국인들은 현재 한국을 포위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자신의 방식으로 포착하고, 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나름의 투쟁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우리가 그 문제점과 얼마나 밀착되어 있느냐에 따라서 우리의 삶으로서의 한국학은 얼마나 건강하고 얼마나 적실한 것인지를 평가받을 수 있게 된다. 오늘날 우리의 한국학은 학문의 모습으로 한정되고, 전통 한국을 해명하는 것에 국한된다. 그것은 지식과 자료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학이다. 한국적 삶의 현실은 소외되고 있는 것이다. 전통을 우리 주변으로 가지고 들어오는 일은 앞으로도 중단 없이 계속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가 수행하는 한국학의 전력이 여기에만 집중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것은 삶과 유리된 지식으로서의 한국학일 따름이기 때문이다. 삶은 언제 어디에서나 가장 중요한 현안문제이다. 삶을 떠나서는 우리는 인간의 역사를 가꾸어 나가는 효과적인 수단을 가질 수 없다. 이곳은 인간의 역사가 갖추고 있는 유일한 전장이다. 그런 삶을 떠나서 책상 위에 사로잡히고, 곰팡내 풍기는 책 속에만 파묻힌다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하기 어렵다. 책상 위와 책 속은 삶의 전장에 공급할 무기들이 만들어지는 곳이다. 중심은 삶의 전장이고, 책상 위와 책 속은 보조라는 점은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우리의 한국학은 전통한국을 대상으로 삼는 것 이상으로 현재 한국을 들여다보는데 공을 들이지 않으면 안 된다. 현대 한국이 갖고 있는 문제점으로 부터 투쟁과 응전은 시작되어야 하는 것이다. 현대 한국이 학문으로 정리되고, 현대 한국의 삶이 그 학문과 유기적 관계를 맺을 수 있을 때, 전통을 들여다보는 것도 나름의 가치를 갖는 것으로 선언될 수 있을 터이다. 우리의 한국학은 문제투성이의 지금의 한국적 삶의 현실과 조금 더 이상으로 다가가 있는 미래의 한국적 삶의 현실 사이에 있다. 한국적 삶을 변혁하고 개혁하는 것이 한국학의 책무이고, 한국적 삶을 변혁하고 개혁하기 위해서는 한국학의 중심이 현재의 한국적 삶의 현실을 가꾸어 가는 데 놓여 져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오늘날 한국적 삶의 현실은 방치되고 있다. 우리는 이 삶을 가꾸어 가는 노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오늘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여기에 있다. 인간의 운명을 고민하는 현대 한국인의 삶으로서의 한국학은 생활철학의 모습을 갖추기를 요청받고 있다고 하겠다. 집단적으로 각성된 생활문화가 인류의 미래를 보장하여 줄 수 있는 지혜를 담고 있기를 요청받고 있는 것이다. 한국적 자본주의의 새로운 문법 역시 이러한 점과 연계되어서 보다 적극적으로 추구될 필요가 있는 것이지만,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응전하기 위해서는 현대 한국의 갈등구조 역시 빠르게 해결되지 않으면 안 될 일이다. An American, or Russian can study about Korea with an interest or love. But they can not over the limit like that. It is only our function to over that limit and advance in upper stage. We, a Korean, can study about Korea by complex consciousness like mixed with love and hatred, or absorption for history and culture of ourself. Koreanology is to study about Korea. In that case, Korea, a term, exactly mean the Korea of modern. But the Korea can not divided like a bread. The Korea is spreaded in whole territory of time. The past is a property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is a dream of the present. Therefore we must concentrate in modern, because the Koreanology is to make the Korea of the present more ideally. In the Koreanology, the ideal is not a ideal of itself, it is the ideal in the history of Korea. The Korea have it's own history, culture, wisdom, and dream. If we want to advance more idealistic, we must introduce the past of the Korea in the present of the Korea, and we must rooted the future of the Korea in the present of the Korea. In the Koreanology, we limited usually our endeavor to study the Korea of past scholastically. It is important, but it is not the main and unique field, but a side and assistance area. The prosecution of studies have not it's own aim, it must pass it's results to the life of Korean of those days. Life is only one which get it's own aim. If something can't have any connection to the life of Korean, it haven't any meaning affirmatively, in the realm of the Korea. This is general in the whole area of humanbeing, and it is same in the Koreanology. in that point of view, the Koreanology must have two area at least, that is, the one is to persuit of learning, the other is to struggle in the life of everyone of Korea of present, the former is to produce the stuff of the latter, the latter is to produce the result of the former, anyone who have conceive about Korea include a foreigner take part in former stage, but in the case of the latter, only a Korean take part in that actual process. In the present day, all of the Korean must endeavor with one's best, and must introduce the history of Korea to more evolved situation. I say, it is the Koreanology. Therefore, in the realm of the Koreanology, the whole capability of us must focused to struggle against to the problem of Korean's society. In these point, the studies about Korea of past, present, future, and the practice of our century, and the efforts of our lifes in everyday, must coincide in one trend, and leaded to product something which requested by the history of Korea or humanbeing in present days.

      • KCI등재

        인문한국학이 나아가야 할 길 : 이념과 제도

        백영서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연구 Vol.17 No.-

        이 논문은 한국학의 개념 및 한국학의 세계화의 의미와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쓰인 글이다. 현재 우리가 쓰는 ‘한국학’에는 ‘조선학’ 혹은 ‘국학’ 그리고 ‘Korean Studies’이라는 두 개의 맥락이 뒤섞여 있고 최근에는 ‘한국학의 동아시아적 정체성’을 중시하는 흐름이 생기고 있다. 미래의 한국학은 이러한 흐름에서 더 나아가 ‘비판적·역사적 동아시아학’의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 한국학이 세계화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타 분과학문과의 소통가능성, 보편성의 지반을 넓힘으로써 전략적 제휴를 모색하는데 힘써야 한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한국학 집중강좌 개설, 동아시아한국학회 창설, 『동아시아한국학』}학술지 개설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In this article, the concept of Korean studies is discussed, along with the meaning of achieving globalization in Koreanology studies. Also intended is to suggest new ways that would be viable in achieving such goal of globalization, in relevant area of studies. The term 'Korean studies', which is currently being used by many people, actually possesses multiple meanings. We can see other terms such as either ‘Joseon studies’ & ‘national studies’, or the term ‘Korean Studies’, being used in similar occasions as well. Nowadays, people are just starting to consider the concept of 'East Asian identity of Koreanology' as a very important subject to ponder upon. The Korean studies in the future should establish an identity as truly 'East Asian' studies armed with critical and historical qualities of its own. And in order for the Korean studies to achieve a truly globalized nature, people involved in those studies should endeavor to strategically concert their overall efforts through many ways, like communicating with other individuals engaged in other areas of studies, and eventually strengthen the universal nature of Korean studies. And to achieve such goals, concentrated classes dealing with East Asian Korean studies should be arranged in schools, a research society of scholars engaged in East Asian Korean studies should be organized, and a bulletin(that could be named as 『East Asian Korean studies』) should be founded as well.

      • KCI등재

        1950~1960년대 인문학 학회지에서의 한국학 연구 구성의 특징 : 개념ㆍ범주ㆍ방법론

        최기숙 열상고전연구회 2011 열상고전연구 Vol.33 No.-

        1950년대는 대학을 중심으로 근대적 학문 체계가 정립된 시기다. 이 때 분과학문 별 학회가 형성되었고, 각각의 고유한 학술 의제를 형성하고 공유하면서 과학으로서의 학문 연구 방법론을 수립해 나갔다. 대학별로 한국학 연구소가 설립된 것도 이 시기인데, 국문학ㆍ역사학ㆍ철학 등 인문학 내부의 분과학문별 전공자가 한국학의 주요한 연구 영역을 구축했다. 이때 한국학의 키워드로 작용한 ‘고전’과 ‘전통’의 개념은 현재까지도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1950~60년대의 인문학 분과학문별 학회지에서는 전근대시기를 대상으로 각 학문 영역의 범주설정과 학문사를 구축하려는 연구 성향을 보여주었다. 국문학의 경우, 학술지에 고전 자료를 소개하고 문학사 서술에 관한 공동 의제를 형성하면서 학문 연구의 대상과 방법론에 대한 쟁점을 형성하고 학술의제를 공유해왔다. 역사학의 경우, 근대적ㆍ과학적 연구방법론으로 조선사를 재구성하고자 했으며, 조선학의 전통 속에서 ‘사학사’를 수립하는 형식으로 학적 성과를 축적했다. 철학의 경우, 학문의 출발이 서양의 개념을 유입한 것이었기 때문에, 한국철학 연구는 서양철학의 방법론을 한국 상황에 적용하는 차원에서 수행되었다. 한국학의 주요 범주를 구성하는 ‘국문학-한국철학-한국사’의 영역은 1950년대에 이미 확정되었으며, 각 학문 분야별 학적 정체성을 형성하려 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역을 넘나드는 학제간 연구 성향이 발견되었다. 이는 전근대 시기의 통합 인문학을 대상으로 한 분과학문별 접근이 사실상 무의미해지는 지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대학 내부의 한국학연구소에서 이러한 학적 경향은 대체로 1980년대까지 지속되었으며, 학술지에서 기획 특집을 구성하면서 인문학 내부의 분과 학문의 학술 의제를 합집합적으로 총합하는 단계를 넘어서, 한국학 의제를 기획하여 분과학문별 학제간 연구를 주도하고 각각의 학술 의제를 한국학을 중심으로 재배치하는 연구 단계로 이행했다. 이러한 한국학 연구는 1990년대에 이르러 방향 전환을 시도하게 되는데 첫째 자료의 전산화, 둘째 분단과 통일을 고려한 한국학의 재구성과 세계화 시대의 한국학의 모색, 셋째 동아시아학으로서의 한국학 연구라는 세 방향의 전망을 제시하고 구현하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It was 1950's that modern academic system was institutionalized in Korean universities. Every dept. of Korean universities was institutionalized at those period, and in each part suggested its own academic topics and came to share amongst each researcher group. By doing so, they began to establish their professional research methodology. The institutes of Korean studies were organized at that time in every university, surrounding dep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Such research sections were sharing the same key words of ‘the classic’ and ‘the tradition’, and those concepts has been some influential effect until now. Most of research topics of the journals of Korean studies were published in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in university dealt with the pre-modern period, especially Joseon period. First, in case of dep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 papers were contributed in journal of Korean studies were about the classical texts with notes and lots of papers dealt with the topics regarding literary history. Second, in case of dept. of history, the researchers tried to recompose of Joseon history with modern academic methodology, and also came to accumulate some study of historiography in the lineage of tradition on study of Joseon, alias JoseonHak. Third, in case of dept. of philosophy, the academic identity was formed according to import the western academic discipline of university. So even in a case of Korean philosophy, the western research methodological styles were adapted by the Korean philosophers who were majoring Korean philosophy. The system of three dept. of college of humanities in Korean universities lik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Korean history-Korean philosophy’ were confirmed in 1950's. Even though each department tried to confirm its own identity, it could be founded some tendency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Such a tendency shows that some approach on the humanities of pre-modern period had some blind spot as long as approaching such a modernistic academic system. Such a tendency was kept until 1980's, and later, in 1990's,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in Korean universities tried to find out their own turning point; computerization of materials, global korean studies, and recomposition of Korean studies as East Asian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