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 III 사업보고서

        이경상,서정아,배상률,성은모,김지영,강현철,한영근,장주희,이재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 III에서는 첫째, 전년도말에 조사된 2차년도 조사결과를 펀칭, 데이터 클리닝, 가중치 부여 등의 과정을 거쳐 통계자료로 구축하고, 둘째, 1~2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리서치브리프와 데이터분석보고서를 발간하고, 제2회 한국아동청소년패널학술대회를 개최하며, 셋째, 전년도의 2차 추적조사 실시에 이어 패널표본으로 구축된 청소년 및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3차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년도 조사결과, 초1 패널의 경우, 청소년 96.7%, 보호자 96.0%의 표본유지율을 나타내었고, 초4 패널의 경우, 청소년 95.2%, 보호자 94.2%의 표본유지율을 나타내었으며, 중1 패널의 경우, 청소년 97.0%, 보호자 94.4%의 표본유지율을 나타내었다. 조사후 펀칭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 클리닝을 실시하고 횡단, 종단적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데이터 이용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유저가이드와 코드북을 작성하여 배포하였고, 최종데이터는 SPSS, SAS, STATA등 세 가지 파일로 제작되어 관련 학계에 제공하였다. 데이터 활용과 관련하여 콜로키움을 2회 개최하였고 다층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을 주제로 패널데이터분석방법론 세미나를 1회 개최하였다. 관련 학회들과 공동주최로 제 2회 패널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리서치 브리프를 4회 발간하고, 데이터분석보고서를 4권 발간하였다. 최종데이터를 공개하여 유저들의 논문작성에 자유로이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설문내용을 3차년도 조사에 맞게 수정하였다. 초1, 초4, 중1 패널의 1차년도 확정표본들을 대상으로 3차년도 조사를 9월 말~11월 말에 실시하였다. 표본관리방법과 자료수집방법은 전년도인 2차년도 조사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In this study,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III, the following has been performed. First, the statistical data have been constructed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punching, data cleaning and weighting on the second year investigation results investigated at the end of previous year. Second, the research brief and data analysis report were published using the data of first and second year and the second panel symposium was opened up. Third, the third follow-up research was performed targeting the youths and guardians constructed with the panel sample followed by performance of the second research of the previous year. As a result of second years investigation, the sample maintenance rate of youth 96.7% and guardian 96.0% was shown in case of first grade panel, the sample maintenance rate of youth 95.2% and guardian 94.2% was shown in case of fourth grade panel while the sample maintenance rate of youth 97.0% and guardian 94.4% was shown in case of seventh grade panel. Data cleaning was performed targeting the punched data after the investigation whil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eight have been assigned. The users guide and code book have been prepared to be distributed to strive for convenience of using data while the final data have been provided to the related academic circles after being produced as three types of files of SPSS, SAS and STATA, etc. The colloquium was held twice in relation to using the data while The panel data analysis methodology seminar was held under the theme of HLM and LGM. The second panel symposium was held by joint sponsorship with the related societies. The research brief was published four times and four volumes of data analysis report was published. The final data was made public to be freely used in writing thesis by users. The inquiry contents were modified to become the third year investigation. The third year investigation was performed from end of September to end of November targeting the definite samples of first year in first grade, fourth grade and seventh grade panels. The sample management method and data gathering method were performed the same way as the second year investigation which is the previous year.

      •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Ⅶ

        모상현,이장주,한지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 KCYPS)의 매체영역을 분석한 기초조사 분석보고서로, 크게 두 가지 유형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초4 패널 2010년, 2012년, 2014년의 3차 년도 종단자료를 활용하였고, 컴퓨터 및 휴대전화 이용행태 변화양상과 추이를 파악하는 종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4학년( 초1 패널 4차 년도〈2013〉vs. 초4 패널 1차 년도〈2010〉) 코호트 간 비교와 중학교 2학년( 초4 패널 5차 년도〈2014〉vs. 중1 패널 2차 년도〈2011〉) 코호트 간 비교를 통해 매체이용 특성에 대한 동시대 횡단효과를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 내용을 통해 청소년 매체 정책 수립 방안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이용행태에서 연령이 증가 할수록 컴퓨터 이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감소비율은 남자보다 여자 청소년에게서, 광역시보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에게서 더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사용 장소에 대해서는 연령의 증가와 함께 남녀 성별 특성이 관찰되었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공부 및 학습 관련 정보 탐색 등을 목적으로 한 컴퓨터 사용은 감소 경향을 나타낸 반면, 게임 및 오락을 목적으로 한 컴퓨터 사용은 남학생과 조손가정에서 높은 비율로 관찰되었다. 둘째, 휴대전화 보유율은 연령 증가와 함께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이 관찰되었다. 이용 유형에서 여자는 ‘사진 촬영’, ‘동영상 감상’, ‘음악 듣기’, 남자는 ‘게임 및 오락’에서 높은 비율로 관찰되었다. 휴대전화 의존도는 연령이 증가 할수록, 성별로는 남자 청소년 보다 여자 청소년에게서 높은 비율로 관찰되었다. 셋째, 초등학교 4학년 코호트 간 휴대전화 이용실태 비교에서 2010년에 비해 2013년 코호트에서 휴대전화 보유율이 높게 나타났다. 휴대전화를 용도별로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휴대전화 의존도도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넷째, 중학교 2학년 코호트 간 휴대전화 이용실태 비교에서 2011년과 2014년 코호트 간 휴대전화 보유율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몇몇 이용 유형에서만 차이가 관찰되었다. 휴대전화 의존도의 경우 2014년에 비해 2011년 코호트에게서 높게 관찰되었고, 성인매체 몰입도는 코호트 간 차이보다는 성별 특성에 의한 차이, 즉 여자 청소년보다는 남자 청소년에게서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As a preliminary survey & analysis report which analyzed the media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this study primarily performed two different analyses: First, in the fourth grade panel, 3-year longitudinal data (2010, 2012 and 2014) were utilized. In addition, longitudinal analysis targeted to figure out the current trend and change of computer & mobile phone use patterns were carried out. Second, cohort cross-sectional effects on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use were analyz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fourth grade cohorts (first grade panel-4styear (2013) VS fourth grade panel-1styear (2010)) and between eighth grade cohorts (fourth grade panel-5thyear (2014) VS seventh grade panel-2ndyear (2011)). Based on the said analysis, it attempted to suggest a youth media policy planning scheme and set a direction,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Regarding computer use patterns, the frequency of computer use decreased as age increased. The percentage of decrease was greater in girls and those living Seoul than in boys and adolescents living in local metropolitan cities. When asked where they usually use computer, gender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with increase in age. As age increased, the use of computer for the purpose of getting studying and learning-related information declined. In contrast, the use of computer for game and entertainment purposes was high in men and grandparent-grandchild families. Second, mobile phone distribution rates clearly increased as age rose. In terms of the purpose of mobile phone use, ‛take a picture, ‛watch videos and ‛listen to music were mostly found in girls while ‛game & entertainment was particularly high in boys. Furthermore, mobile phone dependency became more serious as age increased. In terms of gender, it was more common in boys than in girls. Third, according to comparison of mobile phone use between fourth grade cohorts, mobile phone distribution rates were higher in the 2013 cohort than in the 2010 cohort. In addition, the respondents used their mobile device in an active and diverse manner, and their mobile phone dependency was high. Fourth, according to comparison of mobile phone use between eighth grade cohort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mobile phone distribution rates between the 2011 and 2014 cohorts. In fact, difference was detected in few types only. The mobile phone dependency was higher in the 2011 cohort than in the 2014 cohort. In terms of difference in the commitment to adult media, gender was more influential than cohorts. In other words, the commitment was higher in boys than in girls.

      •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2010 Ⅱ 사업보고서

        이경상,백혜정,이종원,김지영,김현주,한영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에서는 첫째, 2010년 1차 조사결과를 펀칭, 최종표본확정, 데이터 클리닝, 가중치 부여 과정을 거쳐 데이터 안내자료와 함께 최종통계데이터로 구축하고자 하였다. 둘째,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콜로키움, 데이터분석방법론세미나, 제1회 패널학술대회를 개최하고, Research Brief와 기초분석보고서를 발간하고자 하였다. 셋째, 2010년의 1차 조사실시에 이어 동일한 청소년 및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2차 추적조사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2010년 1차년도 조사실시결과, 초1패널은 82.0%의 조사성공률을 나타내었고, 초4패널은 85.0%의 조사성공률을 나타내었으며, 중1패널은 87.0%의 조사성공률을 나타내었다. 조사에 성공한 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클리닝을 실시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데이터 이용자들에게 유저가이드와 코드북을 작성하여 제시하고, 최종데이터는 SPSS, SAS, STATA 등 세가지 데이터 파일로 제작하여 이용자들에게 제공하였다. 1차년도 데이터 활용과 관련하여 콜로키움을 2회 개최하였고 잠재성장모형을 주제로 패널데이터분석방법론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그리고 관련 학회들과 공동주최로 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한 제1회 패널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결과를 학술대회 자료집으로 발간하였다. 그리고 리서치브리프를 작성, 발간하였다. 아울러 기초분석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안내자료와 최종데이터를 공개하여 관련 연구자들이 논문작성에 활용케 하였다. 초1 패널, 초4 패널, 중2 패널 확정표본들을 대상으로 9월 중순~11월 말까지 2차년도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2차년도 조사에 맞게 조사내용을 수정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초1 패널의 경우에는 학교방문을 통한 조사로, 초4, 중1패널의 경우에는 개별면접조사의 형태로 실시하였다. 표본관리방법은 전화접촉, 경품행사 진행, 뉴스레터 발송, 패널조사 홈페이지 구축, 이탈위험패널 특별관리 등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This study aims firstly to establish the primary results of 2010 as a final statistical data together with data guides using the methods of punching, setting concluding samples, data cleaning, weighing. Secondly, its purpose is to hold colloquiums, seminars on the methodology of data analysis, and the first panel symposium applying the established data. Thirdly, it purposes to implement a second follow-up survey followed by the first survey in 2010 to the identical adolescents surveyed in 2010 and their guardians. The frst-year survey results in 2010 showed that 82.0% of elementary school first-grade panel, 85.0% of elementary school fourth-grade panel, and 87.0% of middle school first-grade panel were successful with this survey. Data cleaning and weighting was carried out to those successful survey data. Users of the data were given user guides and code books that were prepared and the concluding data were made in three types using SPSS, SAS, STATA, respectively, and were presented to the users. Colloquiums on using the first-year data were held two times and a seminar on the methodology of panel data analysis focusing on latent growth models took place. The first panel symposium using the first-year data under the joint auspices of related academies and the symposium results were published in the form of a symposium sourcebook. And, research brief were prepared and published along with a basic analysis report. Lastly, data guides and concluding data were rendered accessible to pertinent researchers for their thesis preparation use. Those selected elementary school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fourth-grade, middle school second-grade panels were subject to the second-year follow-up survey from the mid September to the end of November. The inquiry contents were modified to become the second-year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visiting schools for elementary school first-grade students and by interviewing individually for elementary school fourth-grade and middle school first-grade students. Telephone contact, gifts-giving events, newsletters distribution, panel survey homepage establishment, special management for potential aberrant panel were implemented as a way to manage samples.

      • 한국아동 · 청소년 패널조사Ⅴ: 기초분석보고서Ⅱ - 청소년 매체이용 실태 및 추이 분석

        모상현,문은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 KCYPS) 의 초4 패널 및 중1 패널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총 3년간의 매체영역 종단자료 활용하여 청소년들의 매체사용 행태가 어떻게 변화 하였는지 그 추이를 파악하고, 배경 변인 별차이와 경향을 파악하여 향후 청소년 관련 매체 정책의 수립 방향과 대안을 마련 위해 수행되어 졌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사용행태의 경우 초중학생 모두 학년이 높아질수록 컴퓨터 사용이 감소하였고, 감소비율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서, 광역시나 시군구보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컴퓨터 사용 용도는 초중등 모두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습 및 학습 이외의 정보 탐색 등의 사용은 줄어드는 경향이 보였으며, 게임 및 오락관련 사용 용도에서는 남학생과 저소득층에서 높은 비율로 관찰되었다. 둘째, 휴대전화 보유율은 초중학생 모두 학년이 높아질수록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비율이 높았고, 서울, 광역시, 시군구 그리고 고소득층, 중산층, 저소득층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휴대전화 의존도는 초4 패널의 경우 학년이 높아질수록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다른 지역보다 광역시에서 높은 비율로 관찰되었으며, 중1 패널의 경우 학년이 높아질수록 여학생 및 광역시와 서울거주 학생에게서 그리고 저소득층에 비해 고소득층과 중산층에게서 높은 비율로 증가하였다. 셋째, 2011년 사이버 비행 경험비율은 47.1%였지만, 2012년에는 37.6%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10% 이상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대부분의 사이버 비행 유형에서 남학생의 경험빈도가 여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 지역 그리고 소득 등 개별 배경 변인 수준과 상관없이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학년이 높아질수록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넷째, 2011년 성인용 매체 사용 응답률이 23.6%였고, 2012년 응답률이 23.2%로 전년도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대부분 성인용 매체 몰입유형에 따른 몰입정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았고 학년이 높아질수록 여학생들의 감소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지역별, 소득수준 별 비교에서는 몰입유형에 따른 몰입정도가 일정하게 관찰되지 않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일정하게 감소하는 추세도 나타나지 않았다. The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KCYPS) which longitudinally surveyed children of elementary panel 4 and middle school penal 1 for three years from 2010 to 201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changing patterns and trend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factors and so the results can later be used in drawing up related youth polities and solutions. The main analysis outcome is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use of computers, the use decreases as the grade goes up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roup and the rate of decrease is bigger with girls than boys, the kids living Seoul than those living in other areas. Also, as the grade goes up, the use of computer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academic or other information decreases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ers, wheres the use of computer for the purpose of game playing and entertainment is increases with boys than girls and with the kids from lower income families. Second, regarding the possession of cell phones, more boys tend to own cell phones than girls, and the kids living in Seoul have more cell phones than the kids living in other areas. The higher the income of the families the kids belong to,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owning a cell phone. The degree of dependency on cell phone is higher among boys than girls, and higher among kid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an those living in the rest of the regions. In middle school panel 1, the dependency rate increases in higher rate among girls more than the boys as they move on to higher grade. Similarly dependency increases faster among the kid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in Seoul than the kids from other areas, and the kids from middle or higher income families than those from lower income families. Third, the rate of cyber delinquency experience rate was 47.1% in 2011 but it decreased by as much as 10% to 37.6% in 2012, indicating the decreasing rate in higher grade. In most cyber delinquency, boys tend to have more experiences than girls and it tend to decrease in general as the kids move on to higher grade regardless of background factors such as sex, regions, and family income levels although with slight differences. Fourth, with the use of adult contents, the rate was 23.6% in 2011 and it changed little in 2012 with 23.2%. Boys tend to show higher level of absorption than girls according to the absorption types for these kind of contents, and girls are shown to decrease in absorption as they move on to higher grade. Regional and family income factors are not shown to be differentiating factors in absorbtion rate according to the absorbtion types and for boys it showed no decrease in the higher grades.

      •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Ⅴ

        황진구,허효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 KCYPS)의 초4 패널과 중1 패널 제1~3차년도(2010년~2012년) 조사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초4 패널)까지와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중1 패널)까지의 체험활동과 문화활동 참여 정도의 변화와 추세를 파악하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1 패널의 3년간 체험활동 영역별 참여정도 변화를 살펴보면, 참여율과 참여 시간은 전체적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봉사 활동과 직업체험활동은 중학교 2학년에 감소했다가 3학년에 다시 증가하는 형태를 보였다. 대부분의 체험활동 참여율이 청소년이 거주하는 지역의 규모가 클수록, 가구 소득 규모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중학교 3년간 희망하는 체험활동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면, 과학?정보 활동, 모험?개척 활동, 환경보존 활동은 학년이 높을수록 희망 정도가 감소한 반면에, 건강?보건 활동이나 교류 활동, 문화?예술 활동, 직업체험활동 등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중학교 3년간 학교내 동아리활동의 참여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에 학교외 동아리활동 참여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지만, 참가에 따른 만족도는 반대로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문화활동 참여율은 6학년이 되는 3년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도시규모가 클수록, 가구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경험율과 만족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중학교 1학년 패널의 문화활동 참여율도 초등학교 4학년 패널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The study is based on data from the research titled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conducted in three years from 2010 and 2012 on elementary students from 4th to 6th grade(elementary panel 4) and middle school students from grade 1st to 3rd(middle school panel 1). The study looks at the changes in patterns in the way the youth participate in experiential and cultural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middle school panel 1, the data on the experiential activities participation rate and the types of the activities shows that the rate of participation and the time spent on the activities decrease as the kids move on to higher grade, although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and job experience activities declines in second year in middle school but starts picking up in the third year. In most experiential activities, the bigger the community the children lives in, and the higher the income of the families the children belongs to, the higher the rate of participation is. Second, with regard to the types of activities preferred by middle schoolers, there is a decrease in preference in activities such as the ones related to science and information, exploration and adventure, environment preservation over the three years, whereas there is steady increase in preferences in these period to activities such as the ones related to health and wellbeing, exchange, culture and art, and job experience. Third,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school clubs increases steadily in the three years of middle school whereas the participation in outside school clubs decreases over the same period, although the expressed satisfaction from participants indicates the higher preferences towards outside school clubs. Fourth, the analysis of the data on elementary panel 4 reveals little change in cultural activities participation rate in the three years up to 6th grade, although girls more than boys, and kids from bigger cities and from families with bigger incomes are shown to have higher participation rate and bigger satisfaction. The data on first year middle schoolers showed similar trend in participation rate of cultural activities.

      • 한국아동 · 청소년 패널조사Ⅴ: 기초분석보고서Ⅰ - 청소년 생활시간 추이 분석

        정은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생활시간 사용 형태 및 연도별 추이를 살펴봄으로 향후 관련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 KCYPS)의 초4 패널과 중1패널의 제1~3차년도 조사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초4 패널의 1차년도(2010년) 원표본인 2,378명과 중1 패널의 1차년도(2010년) 원표본인 2,351명을 세부적인 배경변인별로 횡단면 표준화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생활시간을 세부 9개 영역인 ①수면시간, ②학원 및 과외시간, ③학교숙제 시간, ④학원 및 과외 숙제 시간, ⑤기타공부 시간, ⑥독서 시간, ⑦컴퓨터 및 게임기 오락 시간, ⑧TV 및 비디오 시청 시간, ⑨친구들과 노는 시간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학교 등교일과 비등교일로 구분하여 생활시간 형태를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 첫째, 초4 패널과 중1 패널의 수면시간은 학년이 올라 갈수록 줄어들었으며, 중학생의 경우 평균 8시간 이하의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4 패널과 중1 패널 모두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업관련시간은 줄어들고 여가관련시간은 늘어나는 추이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은 학업관련시간 중 등교일에는 학원/과외 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활용하였고 비등교일에는 기타공부나 독서에 시간을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지역 청소년이 시군구, 광역시 지역 청소년에 비해, 가구소득이 높고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많은 시간을 학원/과외 활동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경우 여가관련시간 중 컴퓨터/비디오 오락에는 남학생이, TV/비디오 시청에는 여학생이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이 낮고 부모의 학력이 낮을수록 청소년이 컴퓨터오락이나 TV시청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patterns of daily activities of the children and the youth and the changes in patterns in these activities over 3 years. The study utilized the data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and used data from‘elementary 4 panel’and‘middle school 1 panel’from Time 1(2010) to Time 3(2012). The analysi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starting sample of 2,378 from the‘ elementary 4 panel’of the first year (2010) and 2,351 from the‘middle school 1 panel’ of the first year (2010) and by applying cross section weighted standard value according to detailed background factors. The study looked at nine categories of activities and separately analyzed the school days and non-school days. The nine categories are ① sleeping ② extra curricular lessons such as after-school (Hakwon) and being tutored ③ homework for school ④ homework for the Hakwon and tutoring lessons ⑤ other study time ⑥ book reading ⑦ playing on the computer and games ⑧TV and video watching ⑨ hanging out with friends. The result shows that first, the time spent on sleeping gradually declines as the children and youth go to higher grade as shown in‘middle school 1 panel’and‘elementary 4 panel.’ The middle schoolers are shown to sleep less than 8 hours in average. Both in‘elementary 4 panel’and‘middle school 1 panel’, as the grade goes up, the time on academic activity decreases while time spent on leisure activity increases. Second, the children and youth spent most time on Hakwon and tutoring during school days, and on extra study and reading on non school days. The children and youth living in Seoul spend more time on Hakwon and tutoring than those living in the other areas. The children and youth in higher income families with better educated parents also spend more time in Hakwon and tutoring than those who are not. Third, in case of middle schoolers, boys tend to spend more time on computer and video games than girls do, while girls spend more time on TV and video watching than boys do. The children and youth from lower income families with less educated families tend to spend more time on computer games and TV watching than those who are from families with higher income and better educated parents.

      • KCI등재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의 동향에 관한 분석

        문성호,문호영,한지연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 of study in which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data that were provid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and then grope after the direction of future panel study. Study subjects were 148 articles―71 scientific ones presented in scientific conferences and 77 ones published in journals―out of 223 ones, which were listed as panel data-used articles on the NYPI homepage, over the period from 2004 to March 2008.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panel of junior high schools, that of primary schools is rarely used. Second, interoperability is low, for staffs in charge do not take part in. However, interdisciplinarity is relatively high, for a number of joint researches among a variety of specialties are carried out. Third, as for the theme of panel data, youth's delinquent behavior sphere occupies 41.9%, and it is followed by occupation/course sphere (27.7%), psychology sphere (18.9%), others (7.4%), and leisure sphere (4.1%) in order. Fourth, as for sub-categories, studies on part-time jobs are far insufficient in the sphere of occupation/course. In the sphere of psychology, youth's self, adaptation, and internal problem are indiscriminately analyzed, but compared to other thematic spheres, this sphere has been studied less. And in the sphere of delinquent behavior, youth's delinquency and deviation have been studied most, whereas youth's specific delinquent behavior has been rarely studied.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as discribed above, implications and direction are discussed for further researche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데이터를 활용한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패널데이터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논문은 2004년부터 2008년 3월 말까지 패널데이터 활용 논문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홈페이지에 게시된 223편의 논문 중 학술대회 주제발표 논문 71편과 학회지 게재논문 77편을 포함한 총 148편이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연구대상을 분석한 결과 중학교 패널에 비해 초등학교 패널의 사용 빈도는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무자의 참여가 없어 협업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다양한 전공간의 공동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져 학제성은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연구 주제는 청소년의 문제행동 영역이 41.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직업·진로영역(27.7%), 심리영역(18.9%), 기타영역(7.4%), 여가영역(4.1%)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직업·진로영역에서는 아르바이트 관련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영역은 청소년의 자아, 적응, 내적문제관련 주제가 고루 분석되었지만, 다른 주제영역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연구되었다. 그리고 문제행동영역에서는 포괄적인 청소년의 비행 및 일탈을 주로 연구하였고, 청소년의 특정 비행 및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초한 연구 함의는 결론 및 논의에서 제시하였다.

      • 청소년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유대이론과 사회학습이론 적용

        윤은정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8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허쉬(Hirsch)의 사회유대이론과 에이커스(Akers)의 사회학습이론을 이용하여 청소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청소년 폭력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국내연구 대부분은 이 두 이론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서 청소년 폭력행위에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초등학교 4학년) 6차 자료를 바탕으로 신체폭력, 언어폭력, 금품갈취(공갈), 강요, 따돌림, 성폭력, 사이버폭력에 해당하는 청소년 폭력행위를 청소년비행 문항에서 추출하였으며, 사회유대이론 중 관여는 학습의 성취가치와 학업시간 관리로 참여는 체험활동과 동아리활동 참여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사회학습이론은 차별적 접촉(폭력친구)으로 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 AMOS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사회유대요인인 관여와 참여는 청소년 폭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유대요인의 관여와 참여는 사회학습요인인 차별적 접촉에 영향력이 있지 않았다. 이는 사회학습요인의 차별접촉은 사회유대요인의 관여와 참여 그리고 청소년 폭력간의 매개하는 영향력있는 요인은 아님으로 나타났다. 사회학습요인은 차별적 접촉을 청소년 폭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 폭력 문제에 유용한 기초자료와 청소년 폭력을 사전에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에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청소년의 학업성적과 비행, 비행친구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이종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청소년의 비행과 비행친구, 학업성적의 높은 상관관계는 많은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세 변인간의 관계가 인과관계인지, 또한 인과관계에 있다면 그 인과성의 방향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는 서로 대립되는 다양한 이론적 관점과 연구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비행 연구의 논쟁적 주제의 하나인 이들 세 변인간 관계를 종단자료 분석을 통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분석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1 패널 제2~3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차지연 패널설계(cross-lagged panel design)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분석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적은 비행에 대하여 부적인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 즉, 청소년들은 비행 때문에 학업성적이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낮은 학업성적으로 인하여 비행을 저지르게 된다. 둘째, 비행과 비행친구는 양방향적인 인과관계에 있다. 즉, 비행친구와의 접촉이 비행을 유발하는 한편, 비행의 경험은 다시 비행친구와의 접촉으로 연결된다. 셋째, 학업성적은 비행친구에 대하여 부적인 인과적 효과를 갖고 있다. 즉, 비행친구와의 접촉으로 학업성적이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낮은 학업성적으로 인하여 비행친구와의 접촉이 증가한다. 넷째, 성적-비행, 비행-비행친구, 비행친구-성적의 인과적 관계는 세 변인을 모두 투입한 통합모형에서도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즉, 학업성적은 비행과 비행친구 모두에 대하여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한편, 그 반대방향의 인과관계는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한국사회에서 낮은 학업성적은 청소년들의 비행과 비행친구 접촉을 설명하는 주요 요인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토대로 청소년 비행 예방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2010 Ⅱ 기초분석보고서

        이경상,백혜정,이종원,김지영,서우석,한영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에서는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2010 1차년도 중1 패널 자료 중 문화활동, 체험활동, 동아리활동, 팬덤활동, 컴퓨터 활용 등 중학교 1학년 청소년들의 활동참여관련 실태를 살펴보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문화활동 참여실태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문화활동 참여횟수의 평균값은 3.43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실태를 살펴보면, 봉사활동을 제외한 다른 체험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36% 미만으로, 전체적으로 청소년들의 체험활동 참여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청소년의 동아리활동 참여실태를 살펴보면, 교내 동아리활동 참여비율은 28.9%, 교외 동아리활동 참여비율은 7.2%로 전체적으로 청소년들의 동아리활동 참여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청소년들의 팬덤 활동은 홈페이지 방문(2.50)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고, 이어서 팬클럽/팬카페 가입(2.16), 책/CD 등 구입(1.99), 댓글 달기(1.83), 방송국/공연장 등 가기(1.56), 동영상 올리기(1.49), e-mail/팬레터 쓰기(1.37), 팬미팅 참석(1.24), 선물보내기(1.22)의 순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컴퓨터 활용실태를 살펴보면, 학습 이외 정보/자료(음악ㆍ영화 등) 이용(3.26)과 게임/오락(3.10)이 높은 이용빈도를 나타냈으며, 이어서 공부/학습 정보검색(2.80), 개인홈페이지 활동(2.48), 채팅/메신저(2.47), 댓글 달기(2.44), 동호회/카페/커뮤니티 활동(2.25), 전자우편(2.01), 온라인 사고팔기(1.88), 19세 이상 사이트 이용(1.24)의 순으로 나타나 청소년들이 컴퓨터를 공부/학습의 용도보다는 주로 음악ㆍ영화 감상, 게임ㆍ오락 등 여가 및 취미생활의 용도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한 정책적 제언으로, 청소년 체험활동 참여증대, 청소년 동아리활동 참여증대, 청소년 단체ㆍ시설과 연계한 청소년 미디어교육 활성화, 청소년 기본계획수립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urvey aims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middle school first-grade juveniles’ participation in activites such as culture activities, experience activities, club activities, fandom activities, and computer utilization using the samples of first-year middle school first-grade panel questioned for ’the Korean ChildrenㆍYouth Panel Survey, 2010’ and propose political advices. As for the youth participation in culture activities, the average frequency of adolescent participation in culture activities was 3.43 demonstrating low frequency rate. As for the adolescent participation in experience activities, the participation rate in activities other than social services was less than 36%, showing that overall youth participation in experience activities was low. The survey on the real state of adolescent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found out that general adolescent participation rate in club activities was low with 38.9% and 7.2% of school club participation rate and outside school club participation rate, respectively. As for the youth fandom activities, visiting websites(2.50) was the highest, followed by joining fan clubs and fan cafes(2.16), purchasing books/CDs(1.99), posting comments(1.83), going to broadcasting stations and concert halls(1.56), posting video clips(1.49), writing e-mail/fan letters(1.37), joining fan meetings(1.24), and sending presents(1.22) in order. As for the adolescent computer use, they showed high frequency for information/materials other than for academic purposes such as musics and movies(3.26) and games/entertainments(3.10), followed by information search for study/learning(2.80), personal homepage activities(2.48), chatting/ messenger(2.47), posting comments(2.44), club/cafe, community activities(2.25), e-mails(2.01), online buy and sell(1.88), visiting sites rated-R(1.24) in order. This demonstrates that adolescents usually use computers to enjoy leisures and hobbies such as music/movie listening, game/entertainment rather than to study and learn. Increasing adolescent participation in experience activities and club activities, vitalizing youth media education associated with youth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using data as a basic sources in establishing basic adolescent plans were proposed as political ad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