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창립 후 20년(1988-2007) 발전과정

        이은숙(Eunsook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1

        Since its foundation,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has mainly dealt with the issues such as Koreans' traditional perspectives on geography, perceptions about environment, Korea's history and culture embedded in the cultural landscape, and the restoration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ical phenomena. During the initial ten years, the active research of th korea's traditional geography of the Association became the well-established area of Korean studies. The following ten years of the Association were devoted to studies of old map, Feng Shui landscape and the building of general system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t the same time, one observes an increase of the studies adopting the cultural and ecological approach as a way to address environmental problems. To connect modern human geography and traditional geography, there have been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toponyms or contemporary diaspora. Young geographers in particular have been trying to use cultural-political or social-economical approaches regarding historical changes in society and culture, and to apply systematic approaches to the formation of culture. 1988년 창립이후 한국문화역사지리확회는 한국인의 전통적 지리관, 전통적 환경지각 방식, 문화경관에 각인되어 있는 우리역사와 문화, 과거 문화역사지리적 현상의 복원 등을 주요과제로 삼았다. 처음 10년 동안은 한국의 전통지리학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국학연구의 한 분야로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 다음 10년 동안은 고지도나 또는 풍수경관 등 전통지리학연구의 증가와 함께 종합적 체계구축을 위한 노력을 하여 왔다. 한편 환경문제의 대안으로 문화생태학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가 증가되었으며, 현대 인문지리학과 전통지리학의 연결방안의 하나로 다학문적 접근을 시도한 지명 연구, 현대 디아스포라 연구 등 많은 성과를 올려TEk. 특히 젊은 지리학자들을 중심으로 방법론적 대안으로 신문화지리학적 접근, 사회와 문화의 역사적 변동에 대한 문화정치적 접근, 사회경제적 접근, 문화 형성에 대한 구조적 접근도 시도되고 있다.

      • KCI등재

        이찬과 한국 현대문화ㆍ역사지리학의 정립

        홍금수(Kewmsoo H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4 문화 역사 지리 Vol.26 No.1

        현대 문화ㆍ역사지리학의 개척자인 이찬은 1923년에 황해도 연백에서 출생하여 평양사범학교와 서울대학교를 거치며 근대지리학의 내적 토대를 다진다. 이후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로 유학의 장도에 올라 버클리 학파의 일원인 니펜에게서 문화ㆍ역사지리학의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전수받는 한편, 도작문화에 관한 연구로 1960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귀국하여 현대지리학 1.5세대에 기대되는 교육, 연구, 국제 활동을 활발히 펼친다. 이찬의 문화지리학은 문화요소의 기원, 전파, 분포에 맞추어져 있으며 시간적인 변화를 중시하기 때문에 동시에 역사지리흑에기도 했다. 지도교수를 통해 시우어 지리학과 크뢰버 인류학을 섭렵한 까닭에 문헌보다는 야외 조사에 비중을 둔 경험적인 연구를 지향하였다. 중부지방의 민가를 조사하는 단계에서 니펜의 물질문화분석법을 원용하고, 한국지리학시를 개관하는 중에 국학으로서의 지리학에 관심을 환기하고 고지도의 중요성을 역설했으며, 도작에 관한 연구를 통해 역사지리 연구방법을 체계적으로 구현하였다 한국문화역사지라학회, 『문화역사지리』, 다방면에서 활동 중인 후학은 이찬의 유산이자 한국문화ㆍ역사지리학 발전을 위한 소중한 자산이 되고 있다. Born in a pastoral countryside in 1923 Chan Lee had learned and practiced geograph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efore flying over to Louisiana State University for his post-graduate work. He was awarded Ph.D. for the thesis A Culture history of rκe with special reference to Louisiana in 1960 under the guidance of the Berkeley school's cultural geographer Fred B. Kniffen. Lee's cultural geography which laid emphasis on the origin, diffusion and distribution of cultural traits took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geography with the addition of time dimension.Exposed to Sauerian culture history of landscape morphology and Kroeberian ethnography Chan Lee emphasized fieldwork in practicing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s is exemplified by the researches on folk housing, rice cultivation, and various other topics. Chan Lee left behind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nd disciples as his enduring legacy.

      • KCI우수등재

        The Shaping and Progress of Korean Historical Geography Since 1945

        Keumsoo Hong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4

        현대 역사지리학은 일제강점기 일본 여러 대학의 지리역사과에서 수학한 1세대 지리학자, 특히 노도양의 선구적인 활약에 힘입은 바 크며, 1960년에 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이찬에 의해 본격적인 출발과 비약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었다. 사우어의 문하생인 니펜의 지도를 받은 연유로 이찬은 답사와 문헌자료에 입각한 버클리 학파의 방법론을 한국에 이식하였으며, 1988년에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를 창립하여 과거의 지리와 지리적 변화에 관심을 가진 학자의 역량을 결집하는 구심체로 삼았다. 2세대 학자가 양산된 1980년대 이래 한국 역사지리학은 케임브리지 학파의 단면법의 성과를 수용하면서 연구의 활성화를 기하고 있으며, 주제와 방법론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Korean historical geography as a distinct subset of modern geography began with the pathbreaking efforts of Do-Yang Roh in the second half of the 1940s. He was joined in 1960 by founding father Dr. Chan Lee who carried with himself the Berkeley geography he learned from Fred Kniffen, his advisor, and Robert West at Louisiana State University. Dr. Lee, the single-most important figur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ical geography, founded in 1988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in order to pull together those interested in past geographies and geographical change. Korean historical geography took off in the 1980s when large numbers of doctoral theses were produced domestically and abroad and British cross-sectional methodology added. Diversity in research theme and methodology characterizes present-day Korean historical geography.

      • KCI등재

        하나의 산, 두 개의 이름 : 북악산/백악산과 남산/목멱산을 중심으로

        김순배(Sun-Bae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2 문화 역사 지리 Vol.34 No.1

        본 연구는 한국의 지명 경관을 구성하고 있는 산 이름의 변천 유형과 경합 현상을 북악산/백악산과 남산/목멱산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산 이름의 변천 유형을 분석한 결과 언어적 변천, 지리-문화적 변천, 그리고 정치-사회적 변천 유형과 각각의 하위 유형들로 구분되었다. 둘째, 일제강점기에 표기 변화된 산 이름에서는 5가지의 변화 경향, 즉 방위 지명의 증가, 3자식 지명의 증가, 후부 지명소의 통일, 쉽고 좋은 의미의 한자 표기, 그리고 지명소의 음운 도치 경향이 발견되었다. 셋째, 경합 지명인 북악산/백악산과 남산/목멱산을 대상으로 사례 조사한 결과, 조선시대에 공식 지명이었던 백악산과 목멱산이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북악산과 남산으로 공식 지명이 뒤바뀌는 과정을 문헌 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현재까지도 하나의 산에 두 개의 이름이 각각 혼용되면서 일정한 경합 지명으로 공존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상징 지명이 표상하는 소리와 의미가 정체성의 혼돈을 유발하면서 다양한 모습의 지명 경관으로 경험되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oponymic changes and contestations which construct a toponymic landscape through analyzing mountain toponyms, Bugaksan / Baegaksan and Namsan / Mongmyeoksan. Firstly, there are three types in the changes of Korean Mountain names, that is, linguistic changes, geographical-cultural changes, and political-social changes. Secondly, it is found that there are five change patterns in terms of mountain names which include increases in Cardinal points toponyms, trisyllabic toponyms, standardization of the rear morpheme, inscribing Chinese characters with easy and good meanings, and inversion of toponymic morphem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onclusion, in relation to contested toponyms, the social status as an official and nonofficial name between the official names, Baegaksan and Mongmyeoksa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Bugaksan and Namsan as the formal name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been reversed. Consequently, until the present day, these two contested toponyms have coexisted with each other within a same place, and have been concurrently experienced as various namescapes and identities by social subjects who prefer their own symbolic toponym to the other dual name.

      • KCI등재

        공주(公州) ‘인물 지명’의 지역성

        최명진(Myoung Jin Choi)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2 문화 역사 지리 Vol.34 No.1

        이 연구는 인물 지명을 통해 지역성을 탐색해 보려는 시론적인 목적이 있다. 인물 지명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 지역의 잘 알려지지 않았던 역사적 사건부터 새로운 인물 발굴까지 다양한 단서를 찾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역 인물의 활동이 지명에 투영되고 있음을 지역사의 측면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사적 특수성이 짙은 공주(公州)를 대상으로 인물로 인하여 유래된 지명만을 선별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공주에는 모두 167건의 인물 지명이 확인되었고, 몇 가지 유의미한 정황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지명들의 지리적 위치는 주로 금강에 인접한 곳에 집중도가 높았으며, 대다수의 지명 유형은 마을 이름이었다. 지명 속 등장인물들은 이름을 알 수 있는 인물과 성씨에 관련된 정보만으로 파악되는 인물로 나누어졌다. 인물들을 분석해 보니, 공주에 가장 많은 지명을 가진 인물은 고려말 조선초 탄압을 피해 공주에 피신했던 개성 왕씨였다. 지명 속 등장인물의 활동 분야는 문무 관리, 성씨, 학자·선비 등 총 12개의 유형이 확인되었다. 이중 문무 관리와 성씨가 지명 유래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인물로 유래된 지명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인물의 활동과 지명유래가 일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밝혀낼 수 있었고, 지명을 통해 공주의 역사와 문화가 거쳐온 지역적 특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a introductory purpose to explore locality through place names of person. The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palce names of person is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unexpected results such as the local historical events that were not well known, and the discovery of new people and forces of local.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history that the activities of the locals are reflected on the place names. Therefore, this research conducted a study on Gongju with strong historical specificity by selecting only the place names derived from people. As a result, 167 place names were identified in Gongju, and several significant circumstances could be identified. The geographical locations of the place names were concentrated in places adjacent to the Geumgang River, and the majority of the types were village names. According to the people-related place names analysis, the people who had the most place names in Gongju were the Wangs of Gaeseong, who fled to Gongju to avoid oppression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A total of 12 types of characters in the place names were identified, including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of historical period, family name, and scholars. Among them, it can be seen that family name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origin of the place names.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review of the place names derived from people in Gongju,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ies of the characters and the place names had a certain connection, and traces of Gongju’s history and culture were also identified through the place names.

      • KCI등재

        미국 남장로회의 한국선교회 소속 선교사 묘지의 지리정보 구축

        송현숙(Hyunsuk S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2 문화 역사 지리 Vol.34 No.1

        본 논문은 호남지역에 산재된 53개 선교사의 묘지에 대한 지리정보를 구축한 연구이다. 1892년 한국에 전래된 미남장로회 선교사 묘소에 대한 지리정보 DB를 구축하여 선교사들의 묘지 현황을 파악하고 묘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묘지 정보제공 및 자료 공유를 목적으로 하였다. 향후 모니터링 시스템인 묘지 DB가 필요하며, 정보의 활용성, GIS와 연계한 원활한 분석, DB의 확장성을 고려한 선택적 DB도 재검토되어야 한다. DB 선정은 데이터, 데이터 용량, 연산속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종류, 빈도, 활용을 고려한 데이터의 순위화가 중요하다. 묘지의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 묘적 정보를 확보하는 동시에 체계적 관리가 가능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is a study that established geographic information on 53 missionary cemeteries scattered in the Ho Nam reg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atus of missionaries’ graveyards, efficient management of cemeteries, and research, provide information, and share data by establishing a geographic information DB on missionary graves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which was introduced to Korea in 1892. In order to utilize the cemetery DB, a monitoring system is needed in the future, and selective DB considering the usability of information, smooth analysis linked to GIS, and scalability of DB should also be reconsidered. The reason is that DB selection is directly related to data, data capacity, and computational speed, so it is important to rank data in consideration of data type, frequency, and usability. The database of cemetery geographic information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and systematically manage grave information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 KCI등재

        나혜석의 구미여행기와 모빌리티 이론의 접목 : 교통과 젠더의 측면에서

        정은혜(Eun-Hye Chou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2 문화 역사 지리 Vol.34 No.1

        본고는 한국 여성 최초로 1년 8개월 간 서구 국가를 여행했던 나혜석의 구미여행기를 모빌리티 이론과 접목하여, 나혜석 여행기의 텍스트와 그의 풍경화 속 재현공간을 대상으로 다음의 내용을 분석·검토하였다. 첫째, 교통수단과 경계적 감각의 모빌리티로서, 특히 기차와 기선을 통한 서구적 문물 체험과 역과 객실 등 사이공간에서의 경험은 기동 관람 시각을 통해 경관을 묘사하고 있으며, 국경 경유시의 경험은 지역적 차이로 표현하고 있다. 둘째, 경험과 일상을 통한 젠더 모빌리티로서, 나혜석은 구미여행을 통해 도시의 낭만적 연애와 자유로운 여성의 삶을 경험하고 젠더에 대한 자각과 함께 젠더적 모빌리티를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빌리티 경험이 반영된 나혜석의 풍경화를 통해 스페인, 파리 등 재현공간이 주는 의미를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변모시키는 동인으로서 해석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review the followings based on Na Hye-seok’s ‘Western Travel Writing’ and representational space in her landscape paintings by integrating the theory of mobilities into the travel text. She was Korea’s first feminist author who wrote the long travel sketch (1 year and 8 months). First, in terms of the mobility of liminal senses and transportation, experience of western culture through trains and steamers and experience in interspace such as railway stations and train cabins described landscapes through a motorized sightseeing vision while experiences in transiting national border regions were expressed with a regional difference. Second, for gender mobility via daily routine and experiences, Na Hye-seok underwent romantic love and liberal women’s lives in cities and formed mobility in awareness of gender. Lastly, the meaning of representational space such as Spain and Paris was interpreted as a motive to form and change identity through her landscape paintings which reflect mobile experiences.

      • KCI등재

        예측의 장소 : 일본 감재 공동체의 구성

        이강원(Kangwon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2 문화 역사 지리 Vol.34 No.1

        예측의 장소는 장래의 사건을 상기시키는 현재의 장소, 사물, 사건의 네트워크이다. 예측의 장소를 통해서 지역사회의 구성원들은 예측된 사건을 공유하고 같은 운명에 처한 ‘우리’를 상상한다. 나아가 예측의 장소는 예측의 정치가 전개되는 매개자이다. 장래의 사건을 구조화하고 방향지우면서 특정한 집단이 지배적 예측을 제시하는 한편, 다른 집단은 대항 예측을 제시하며 협의·갈등하는 과정이 예측의 정치이다. 예측의 장소를 매개로 전개되는 예측의 정치는 공동운명에 처한 ‘우리’, 그 운명을 염려하며 대비하는 ‘우리’를 협의하는 일이기에 공동체의 상상적 구성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그래서 예측의 장소는 공동체의 운명을 상상토록 하는 정치적 매개자이며, 예측의 정치는 어떤 것이 공동운명인지에 대한 ‘공통감각’을 공유하는 코스모폴리틱스라고 할 수 있다. 예측의 장소개념이 지닌 잠재성을 시험하기 위해서 이 연구는 일본의 지진 쓰나미 예측에 대비하는 지역사회의 감재활동 사례를 제시했다. 우선, 1995년 한신아와지대진재와 2011년 3.11동일본대진재 사이 교토시에서 구축되어 온 예측의 장소로 자주방재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이를 통해서 예측을 매개로 구성되는 예측의 장소 개념이 예측에 대비하는 감재공동체에 적용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다음으로, 예측의 장소를 매개로한 예측의 정치라는 관점을 통해서 2011년 3.11 이후 2030년대의 난카이해구지진에 대비하는 시코쿠 도쿠시마현의 쓰나미대피탑 사례를 다루었다. 그럼으로써 예측의 장소가 재난에 당면한 지역의 여러 집단이 공동체의 미래에 대한 공통된 상상을 협의하는 정치이며, 그 과정에서 현재의 감재 공동체가 구성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A place of prediction is the network of current places things and events that remind us of future events. Through the place of prediction members of a community share the predicted event and imagine the “us” facing a common fate. The place of prediction becomes the mediator through which the politics of prediction unfolds. Politics of prediction is when one group proposes a dominant prediction by structuralizing the event and setting the direction, and another group presents a counter-prediction and begins a process of negotiation or conflict. Thus, the politics of prediction is the cosmopolitics, that is, the sharing of a ‘common sense’ of our common fate. To test the potential that the concept of the place of prediction has, this study tooked as case studies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of local communities preparing for earthquakes and tsunamis in Japan.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case of the place of prediction constructed in the city of Kyoto between the 1995 Great Hanshin earthquake and the 2011 March 11 Great East Japan earthquake. Through this case, the study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s of prediction that were composed of predictions as their mediator. Second, this study looked at the case of Shikoku, Tokushima region, as it prepared for the Nankai Trench Earthquak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s of prediction mediated by the places of prediction.

      • KCI등재

        구약성서 창세기의 반정주적(反定住的) 세계관

        김흥순(Heungsoon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2 문화 역사 지리 Vol.34 No.1

        이 연구는 구약성서 창세기에 기술된 정주관을 고고학 및 역사신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인문학적 시각에서 고찰한다. 이 연구는 차일드의 잉여산물설을 토대로 농경, 정주, 도시형성을 전체 도시화 과정의 일부로 이해한다. 이 연구는 에덴 동산과 실낙원, 가인의 후예와 문명, 바벨 성읍의 붕괴, 아브라함 일가의 유랑과 정착, 소돔의 몰락 등 일련의 이야기를 통해 창세기가 일관되게 반정주, 반농업·친유목, 반도시, 반권위, 반국가의 세계관을 설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인식은 BC 600~540년경 바빌론 포로기 유대인들의 바빌론 정주 경험의 산물로 추정된다. 바빌론으로 끌려간 유대인들은 노예 또는 농노로서 바빌론의 찬란한 농업문명 건설에 투입되어야 했고, 이 과정에서 지배자 및 정주·농업문명에 대한 적대감과 종말론적 신앙에 대한 염원을 갖게 되었다고 판단된다. 유대인들의 반정주, 반농업, 반국가의 세계관은 이후 팔레스타인 정착과 농경생활의 진전을 통해 다소 바뀌지만, 반도시의 인식만은 확고하게 견지됨을 구약성서 전반의 내용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반도시적 인식은 이후 서구 기독교 문화권의 반도시적 세계관의 일단을 이루게 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int of view of settlement of Genesis in the Hebrew Bible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based on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theological achievements. Based on the surplus product theory suggested by Gordon Childe, this study regards cultivation, settlement, and urban formation as the whole process of urbanization. This study, through a series of stories of the Garden of Eden and Paradise Lost, the descendants of Cain and the civilizations built by them, the collapse of the town of Babel, the wanderings and settlements of the Abraham family, and the fall of Sodom in Genesis, identifies the consistent point of view that is anti-settlement, anti-agricultural and pro-nomadic, anti-urban, anti-authoritarian, and anti-state. This perception is presumed to result from the experiences of the Jews during the Babylonian exile around 600-540 BC. The Jews who were taken to Babylon were forced to be put into the construction of Babylon’s splendid agricultural civilization as slaves or serfs. The series of worldviews mentioned above changed somewhat through the Jews’ settlement in Palestine and the promotion of agricultural life. However, it can be confirmed that only the anti-urban perception is firmly maintained. Hereafter, this anti-urban awareness has formed a part of the anti-urban worldview of Western Christian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