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개신교 내한 선교사들의 한국 무속 이해: 1884~1910년까지

        윤은석 한국교회사학회 2018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내한 선교사들이 한국 무속신앙을 어떻게 이해 했는지를 보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지금까지 몇몇 연구자들이 선교사들의 한국 무속 이해를 간략하게 언급하였고, 선교사들의 한국 종교 이해를 다룬 연구도 있었다. 그러나 무속신앙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한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초기 선교사들이 무속신앙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하나의 창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선교사들이 인식한 한국 종교 체계 속에서 무속신앙의 위치를 다룬다. 한국인들이 무속신앙을 어떻게 느꼈다고 선교사들이 인식했는지도 다룬다. 한국인들의 무속신앙 인식에 따른 다양한 행동들도 분석한다. 한국인들의 무속신앙 속에서 선교사들이 기복주의를 발견했음도 살펴본다. 악귀와 관련된 다양한 무속신앙의 치유방법들이 선교사들에게 목격되었음도 살펴본다. 그리고 선교사들이 무속신앙을 비판적으로 인식하며 대결의 대상으로 삼았음도 확인한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문헌연구이다. 선교사들은 한국 선교 경험을 토대로 책을 저술하였고, 편지, 잡지, 일기를 통해 그들의 무속신앙에 대한 견해를 드러냈다. 이러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선교사들의 이해를 분석하여 정리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what the understanding on Korean shamanism of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in Korea is more comprehensive. Until now, some scholars referred to understanding on Korean shamanism of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in Korea simply, and there was a study on missionaries’s understanding on Korean religion. However, we can’t find the systematic analysis focusing on shamanism. In that sense, this study provides a window to check how early missionaries understanded the Korean shamanism. This thesis treats the position of Shamanism in the religion system of Korea that missionaries recognized. It treats what missionaries perceived Koreans’ feeling about shamanism. It analyzes various behaviors based on the Koreans’ recognition on shamanism. It ascertains missionaries found shamanic fortune belief of Korean shamanism. It is treated for missionaries to have observed various healing methods of shamanism related to evil spirit. And it identifies missionaries viewed shamanism as a target of confrontation in the critical recognition on that.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is thesis is literature review. Missionaries wrote books on a basis of missionary experience in Korea, and revealed their opinion about shamanism through letters, journals, and diaries. This thesis will analyze these materials and arrange the missionaries’ understanding on the shamanism.

      • KCI등재

        한국무속에 대한 인격교육적 해석

        趙延浩 韓國宗敎敎育學會 2003 宗敎敎育學硏究 Vol.16 No.-

        이 글에서는 한국무속을 인격교육 관점에서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오래도록 탄압 받아 오면서도 무속이 한국에서 유구하게 전승될 수밖에 없었던 문화적 배경을 살펴보고(제Ⅱ장), 이어서 무당의 신앙심(제Ⅲ장)과 인격확립과정(제Ⅳ장)을 살펴보았다. 연구자의 현지조사 결과에 의하면, 무속은 한국문화의 소산으로서 여타의 고등 종교 내지 철학이 상대적으로 소홀히 지나친 한국인 삶의 한 영역을 관장하며 맺힌 것을 풀어주는 종교문화적 장치였고, 무당은 한국무속을 문화적으로 학습한 사람이며, 개인적 삶의 이력으로부터 무속 신에 대한 의식이 남다르게 형성된 사람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무당 신앙심의 바탕인 신(神)은 한국역사 속에서 정제된 위인이거나 돌아가신 부모와 같은 조상이거나 인간이 범접하기 힘든 천지자연이기 때문에 독실한 신앙 대상이 되기에 유리했으며, 강신무에게 있어서 신(神)이란 신앙 대상인 동시에 그들 자신의 삶을 관장하는 가치관이다. 그래서 강신현상은 인격이 변화되는 현상이고, 성무과정은 인격이 바뀌는 과정인데, 이 인격변화는 ‘거듭남의 고난[신병]’을 계기로 ‘인격이 전환’하여 ‘새로운 인격을 확립’하는 과정이다. 교육학의 관점에서 보면, 강신무의 인격확립은 강신을 계기로 조절작용을 통하여 새로운 단계로 도약한 것이기에, 이 인격변화는 초월적 인격전환을 예증하는 교육적 자원으로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Shamanism that is Korean indigenous religion and cultural foundation, in terms of Moral Character Education. To accomplish it, this paper includes Cultural Background of Korean Shamanism and Shamans(Chapter Ⅱ), Korean Shamans' Faith(Chapter Ⅲ), and Korean Shamans' Character Formative Process(Chapter Ⅳ). Based on my exploratory study of Korean Shamanism, the results are as follows: Korean shamans‘ possession process was analyzed as a natural pattern of changing character involved in Korean culture. It was found that any informant did not intend to be a shaman disparaged in Korean society before inevitably becoming one. However, they had several common factors before initiation; they were brought up in religious families, experienced shamanic rituals, and learned already the faith of gods in Korean culture. It is in Korea that they were born, grew up, became shamans at crises of life, put their faith in Korean native gods, and have had their transcendent belief and thought. Therefore, shaman's faith was made slowly and unconsciously, was exposed at serious bodily/mental crises called Shin-Byung meaning god-disease, and thence has functioned as core to life. In fact, the gods are Korean geographical designations, historical persons, and shaman's late-parents, -grandparents, -great-grandparents, and even the founder of Korean people. So the gods can be interpreted as the symbols of traditional cultural faith and Korean shaman's personal value system. Also, the Korean Shamans' character formative process can be explained in short form as "ises ⇒ qualitative change ⇒ confirmation of new character"The change having arisen in the Korean shamans' characters can be deduced as the result of strong faith. Shamans live mainly according to the authority of their gods, that is to say mind-centered mechanism, instead of their bodily sensation. So genuine shamans can be interpreted as successors and learners of transcendent characteristic formation which has been inherited in Korean culture.

      • 지역 무속장단의 의미

        홍태한(Hong, Tea-han) 한국음악문화학회 2019 한국음악문화연구 Vol.14 No.-

        이 글은 지역에 미미하게 남아있는 무속장단의 의미를 살핀 글이다. 현재 한국의 무속은 몇몇 권역으로 구분되는데 서울굿, 황해도굿, 호남굿, 동해안굿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권역별 의미를 탐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속에 남아있는 지역 무속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인식 아래에 인천시 강화군 교동도의 무속과 강원도 태백의 무속을 살폈다. 두 지역 모두 전승자가 많지 않아 전승이 이어질 수 있을지 미지수이다. 두 지역 무속장단의 특징을 실제 굿 연행을 중심으로 살핀 후 두 지역 무속의 장단이 인접 지역과는 구별되는 특징이 있음을 밝혔다. 이처럼 지역 무속이 남아있음은 그 지역의 문화가 독자적인 영역을 가지고 있었다는 의미로 장단은 그러한 것의 대표적인 징표가 된다. 또한 한국의 무속이 지역별로 구분되는데 뚜렷하게 단정적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지역별 중첩을 보이면서 점차 변화하면서 지역별로 나뉘는 모습을 보인다. 교동굿은 황해도굿과 사울굿의 중첩 부분에 있으면서 두 지역 무속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각 지역에 존재하는 무속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은 문화 다양성 확보를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다. 사라지고 있는 지역 무속에 관심을 기울일 때이다. This article has taken a look at the implication of shaman rhythm that is vaguely remained in the region. The current shamanism of Korea is classified into a few regions with the representative guts of Seoul-gut, Hwanghaedo-gut, Honam-gut and Donghaean-gut. It is important to seek for implication of each region, but it is also imperative to have the interests in the regional shamanism remaining within the region. In this article, it has taken a look at the shamanism of Gyodong-do, Ganghwa-gun, Incheon City, and shamanism of Taebaek, Gangwon-do under such perception. These two regions do not have many people in succession that it is largely unknown if such a succession can be continued. After taking a look at the actual shaman danc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haman rhythm for two regions, the rhythm of the shamanism for the two regions is shown to have the characteristics to distinguish from the adjacent regions. In this attribute, remaining local shamanism has the meaning for the regional culture to have the exclusive territory which is the representative symbol for such matters. In addition, the shamanism of Korea is classified for each region and it displays the appearance to divide for each region with gradually change to display the overlap for each region, not just conclusively and clearly classifying the same. Gyodong-gut is in the overlapped part of Hwanghaedo-gut and Saul-gut while taking a role to connect the shamanism in both regions. As such, having an interest on the shamanism existing in each region is required for securing diversity of culture. This is the time to pay attention to the local shamanism that has been diminished.

      • KCI등재

        현대 한국무속의 비인간 길들이기

        김동규 종교문화비평학회 2023 종교문화비평 Vol.43 No.43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 of the word ‘Monster’ in the religious studies, particularly in the study of the plurality of contemporary Korean shamanism. While ‘Monster’ embodies the ‘uncanny’ and represents a malfunction in an existing classificatory system as well as an epistemological rupture, it ultimately leads to be deification or demonization in the realm of religion. I call this process of deification or demonization ‘domestication,’ a term borrowed from actor-network-theory(ANT). Various deities in the Korean shamanic pantheon are non-human agents that constitute not only an interpretive framework of clients’ painful experiences, but also a shamanidentity, which differentiates contemporary Korean shamanism from ‘Western modern shamanism.’ In addition, the idea that they can intervene in human affairs locates Korean shamanism in an ambiguous space in Korean public culture. In this article, rather than treating these divinities as independent entities, I define them as products of networking process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agents. This process differentiates between non-human agents, such as ‘gods who should be worshiped,’ and ‘inauspicious spirits that should be exorcised.’ Here, I would suggest that Korean shamanic ritual traditions and performances are a laboratory in which non-human agents are domesticated. In the space, a shaman’s uncanny experiences with spirits are also classified. By introducing some cases, I will analyze two different modes of networking processes, such as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that occur between the two agents. I believe that some of ideas from ANT offer significant insights for understanding the dynamics and plurality of Korean shamanism, even though it is not designed to explain religious issues. 이 글은 ‘괴물’이라는 문화적 표상이 종교연구, 구체적으로 현대 한국무속의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가지는 의미를 탐색한다. 기존의 인식론적 균열이자 분류체계의 오작동을 표상하는 ‘괴물’은 ‘이상한 것’ 혹은 애매성의 표상으로 종교의영역에서 신성화되거나 혹은 악마화된다. 필자는 이 과정을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의 아이디어를 빌어 ‘길들이기’로 개념화한다. 한국무속에서 다양한 신적 존재는 일종의 비인간 행위자로서, 고객의 문제들을 설명하는 설명틀과 더불어 인간행위자인 무당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나아가 현대 한국의 무속문화를 구성한다. 이런 특성들로 인해서 현대 한국무속은 근대적 분류체계에 부합하지 않는 애매성을 갖기도 한다. 네트워크 이론에서는 비인간행위자를 분류하는 작업을 번역 과정으로 정의하는데, 필자는 ‘모셔야 할 신’과의 양성적 관계와 ‘쫓아내야 하는잡귀 잡신’과의 음성적 관계 맺음이 무속의 번역 과정을 구성하는 것으로 보았다.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의 네트워크 안에서 비인간 행위자는 때로는 ‘모셔야 할신’이 될 수도 있고 일시적이지만 ‘쫓아야 할 잡귀 잡신’이 되어 사회적 의미를지니는 실재가 된다. ‘길들이기’를 통해서 행위자 네트워크를 구성하지 못한 대상은 무의미하기에 사회적 실재일 수 없다. 무속의 신령체계는 무속의 종교적 성격을 분석하는 기존의 연구에서 다뤄졌지만, 이 글에서는 무속의 신격을 독립적인실재(entity)로 검토하는 대신,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로 구성된 네트워킹의 산물로써 설명한다. 아직 정의되지 않은 무당의 사적인 신령 체험이 길들여지는 ‘실험실’은 무속의 의례적 전통과 연행으로 전제하며, 몇 가지 사례를 통해서 무속전통에서 발견할 수 있는 네트워킹의 양상을 검토한다. 행위자 네트워크이론은신적인 존재와 같은 종교적 표상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은 아니지만, 이이론 속 몇 가지 아이디어들은 현대 한국무속의 역동성과 다양성을 설명하는 데 통찰을 제공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현대 한국무속은 인간 행위자인 연구자와무당, 비인간 행위자인 신령과 ‘전통무속’의 담론이라는 혼종적 행위자 네트워킹의 산물이기 때문에, 현대 무속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작업은 이런 혼종적 행위자들 간의 네트워킹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요청한다.

      • KCI등재

        서양 선교사와 근대한국 민속연구 제1의 물결

        육영수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4 한국학연구 Vol.- No.72

        A predominant view on the genesis of modern Korean Folklore is that it was an unfortunate queer product of competition and corroboration between Japanese bureaucrat-scholars and Korean nationalist intellectuals. Haunted by the ghost of origins, most scholars tend to ignore or underestimate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Western missionaries who collected and studied Korean folk materials ahead of Japanese and Korean scholars. This article intends to rediscover and reappraise Western missionaries’ indispensable contributions to collecting and researching Korean folklore during its very embryological stage. The main body of the article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half traces how Western missionarie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had laid the groundwork for the birth of modern Korean folklore in the various fields such as proverbs, folktales, traditional festivals, and shamanism. The latter half examines academic legacy and influence of G. H. Jones and H. B. Hulbert, both of whom played critical roles in taking shapes of modern Korean folklore, but overlooked and underestimated by most previous studies. The main sources of analysis are the English monthly/academic magazines/journal published in Korea, including The Korean Repository, The Korea Review, and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The author arrives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estern missionaries were very important personnel who had constructed solid and respectable foundation of Korean folklore fields and thus worth mentioning in historiography. Second, most Western missionaries discussed in the article were not value-neutral observers but shared Western-centric prejudice that evaluated peculiar Korean folklore/tradition as inferior in the chain of cultural evolution by distinguishing modern-central-rational Western civilization from primitive- local-superstitious-oral mentalité of ‘Koreaness’. Third, there remains a very difficult task of re-writing the whole genealogy of modern Korean folklore studies, which would reveal disruptive collisions and/or overlapping wrinkles existing among the First Wave launched by Western missionaries, the First-Half Wave re-fabricated by Japanese bureaucrat-scholars, and the Second Wave embraced by Korean intellectuals. 한국 근대민속학의 발생학적인 기원을 일본제국이 뿌린 불량한 식민주의의 싹을 뽑아버리고 건강한 민족주의 영양분으로 품종 개량ㆍ접붙이기해서 얻은 달고도 쓴 열매로 인식하는 것이 국내 학계의 지배적인 연구 경향이다. 이런 시각에서 일본 관제 학자와 한국인 지식인에 앞서서 한국 민속자료를 채집ㆍ탐구했던 서양 선교사들의 학문적인 성과는 과소평가 되거나 무시되었다. 근대한국 민속연구의 초창기를 선도했던 서양 선교사의 역할과 학문적인 영향을 재조명함으로써 선행연구의 양적인 공백과 질적인 약점을 보완ㆍ수정하려는 것이 이 논문의 기본목표이다. 본문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전반부에서는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일단의 서양 선교사들이 어떻게 근대한국 민속연구의 기초공사에 주춧돌을 보탰는지 속담, 민담, 세시풍속, 신화, 무속 등 여러 분야에 남긴 발자취를 추적한다. 후반부에서는 한국 근대민속학의 창출과 개척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대부분 선행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조지 존스(G. H. Jones)와 호머 헐버트(H. B. Hulbert)에 초점을 맞춰 이들이 생산했던 학문적 성과와 그 역사적 유산을 되짚어 본다. 주요 분석 사료는 한국(조선)에 체류했던 서양 선교사들이 간행ㆍ참여했던 영어 월간지/학술지 코리안 리포지터리 , 코리아 리뷰 , 영국왕립아세아학회 한국지부 트랜잭션 등이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 선교사들이 남긴 한국 민속연구의 발자취는 생략하거나 무시해도 될 타자의 시각이 아니라 꼼꼼히 재발견되어야 할 한국 근대민속사의 전사(前史) 또는 도입부이다. 둘째, 알렌, 아담스, 존스, 헐버트 등은 전통과 근대, 문명과 야만, 중심ㆍ중앙과 지방ㆍ향토, 이성과 미신, 기록문화와 구술문화 등의 이분법적인 구별 짓기를 통해 한국민속을 인류 문명의 진화론적인 연쇄 사슬에 꿰맞춰 넣는 서구중심주의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셋째, 서양 선교사가 선창했던 ‘근대한국 민속연구 제1의 물결’과 서로 밀고 당기며 일본 관제 학자가 식민 담론으로 (재)창출한 ‘제1.5의 물결’과 한국 지식인이 민족 담론으로 다시 띄운 ‘제2의 물결’이 만드는 단절과 연속의 주름살을 실증적으로 관찰해야 할 매우 어렵고도 절실한 과제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 KCI등재

        한국 전통춤과 음악에 드러난 중국의 초(楚)문화 양상

        방수경(Xiuqing Fang),류은주(Eunjoo R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3

        한국 전통 춤은 우선, 심미적 이상으로 ‘대상무형, 천인합일(大象無形, 天人合壹)’의 이념을 추구하고, 심미적 품격으로는 ‘정중유동, 동중유정(靜中有動,、動中有靜)’의 특징을 추구한다. 춤 동작의 방식 면에 있어서는 섬세하고 조화로운 특성을 추구한다. 특히, 숨결과 염력, 지체와 영혼의 조화가 어우러지는 ‘이기대동, 이의대행(以氣帶動, 以意帶行)’을 한국 전통 춤의 특유한 성격으로 구분 지을 수 있는데, 이러한 춤 이면의 이상, 품격, 특징에서 드러난 한국 전통 춤은 특정 문화 정신을 숭상하고 그들만의 예술을 구현해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춤에 있어서 사람들이 추구하는 정신을 반영하거나 삶을 구현할 때, 또는 예술화할 때 초(楚)문화 무속·도선(道禪) 사상을 흡수하여 발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 전통 판소리와 무악(巫樂) 등에서도 중국의 초문화 영향을 찾아볼 수 있으므로 한국 춤과 음악에서 드러나는 한국 고유의 정신과 초문화의 사상들이 어떻게 융합되어 전승되어 오고 있는지 예술사적인 흐름에서 두 문화의 연관성을 해독하는 것이 필요함을 인지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국내에 미비했던 연구 분야인 한국 무용 및 음악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예술에서 발견되는 중국의 초문화의 영향력을 역사학적이고 심미적인 접근을 통해 밝혀내고자 한다. 나아가 두 나라의 문화적 가치가 서로 연계되고 융합되었던 과거의 모색을 통해 현재와 미래의 문화예술 발전에 필요한 시사점을 던지고자 한다. Overall, Korean traditional dance has pursued Daesangmuhyeong (大象無形)-the idea that a huge shape is intangible-and Cheoninhapil (天人合壹)-the idea that heaven and people are united-as an aesthetic ideal. On the other hand, it has followed the characteristics of Jeongjungyudong (靜中有動)-the idea that miraculous enlightenment is thoroughly investigated in silence-and Dongjungyujeong (動中有靜)-the idea that serenity is in the movement-in the aesthetic dignity. The delicate and harmonious feature has been chased in its dance motion. In particular, the unique natur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s distinguished as Igidaedong (以氣帶動) and Iuidaehaeng (以意帶行), which means that breath and psychokinesis, as well as body and soul, are in harmony. Korean traditional dance revealed in the ideal, dignity, and characteristics lying behind it has revered the particular cultural spirit and given shape to their intrinsic art. This means that we can see the spirit that people sought as reflected in their dance or was manifested by being fused with the supercultural shamanism and Doseon idea related to geomancy, when people realized or sublimated their lives in art. Since we can also find the effect of Chinese superculture in Korean traditional pansori and shaman music, I recognized the need to interpret the connection between two cultures in the flow of art history, in particular, how the Korean unique spirit and supercultural ideas foun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dance were blended and passed on. Henc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hinese superculture, which can be found in Korean traditional art based on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music (domestic research on this is inadequate) using the historical and aesthetic approach. Furthermore, I would like to deduce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development of the present and future culture and art by searching the past when the cultural value of the two was linked and fused.

      • KCI등재후보

        "한국적인 영화" 담론과 전통 연행예술의 접합에 대한 소고(小考)

        강성률 ( Kang Seungryul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6 아시아영화연구 Vol.9 No.1

        이 논문은 ``한국적인 영화`` 담론과 전통 연행예술의 접합에 대해 고찰했다. 한국영화사라는 긴 시간에서 보면, 구미(歐美)에서 유입된 영화를 조선적인 또는 한국적인 상황 속에 담으려는 노력들이 몇 있었다. 그것은 한국영화를 해외에 수출하려는 전략이기도 했고, 해외 영화제에서 수상하려는 시도이기도 했으며, 해외에 한국영화를 알리려는 도전이기도 했다. 이런 노력들에는 우리의 고유한 연행예술을 구미에서 도래한 연행예술인 영화와 어떻게 접목할 것인지 고민한 흔적들이 필연적으로 녹아있다. 결국 한국적인 영화 담론에는 서구에서 유입된 영화를 한국적인 영화로 만들려는 노력이 있었다는 것이다.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 조선영화인들은 조선영화를 해외에 수출하기 위한 전략으로 ``로칼 칼라`` 담론을 만들었다. 하지만 그것은 조선의 향토적인 상황을 영화 속에 그려 일본에 수출하려는, 다소 수동적인 전략이었다. 1970년대 ``영상시대``의 전략은 한국적이면서 우주적인 소재를 영화 속에 그려 해외영화제에서 수상하는 것이었다. 이들은 실제로 윤회 사상을 바탕으로 하면서 탈춤과 무속을 결합한 영화를 만들었지만, 난해한 형식 실험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1990년대 이후 임권택은 속칭 ``판소리 3부작``을 연출하면서 판소리와 영화의 접합을 시도했다. 이 영화들은 흥행에도 성공하고 해외영화제에도 소개되었지만 판소리의 원리를 영화로 제대로 살려냈는지에 대해서는 영화마다 평가가 다르다. This paper examines to combine traditional performance art with discourse on a Korean film having ``Koreanness``. For the long time of Korean film history,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include the context of Chosun/Korea into a film, which had been imported from the West. These seemed to be a strategy to export a Korean film to a foreign country, an attempt to make them win awards at a international film event, and a challenge to draw them overseas attention. These attempts essentially include concerning about how our own performance art could be connected with Western performance art, that is a film. Eventually, discourse about a Korean film shows that there are exertions to make a film change from the West into ``Korean.`` In a sense, Chosun film makers made ``the local color`` discourse in the 1930s of Japanese colonial era, as a strategy in order to export Chosun film overseas. However, it is somewhat passive way, exploiting local images of Chosun into films to export them to Japan. Yengsang-sidae in the 1970s aims to express both Korean and cosmic material in their films, and then to win awards at 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y actually made a film with which combines talchoom(Korean traditional mask dance) and Shamanism, based on metempsychosis or Samsara(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but turned out to be fail because of their quite esoteric experiment. Im Kwon-taek since 1990`s has combined pansori with his films, directing ``pansori trilogy.`` Although these films were both hit at the box office and were introduced through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it has mixed evaluation by a film how well the principal of pansori were embodied in his film.

      • KCI등재

        한국지명의 문화적 특징에 대한 예비 토론

        윤홍기(Hong-Key Yo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2 문화 역사 지리 Vol.24 No.3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항목을 중심으로 한국지명의 문화적 특징을 개관하여 보고자 한다. 1. 현재 한국의 공식 지명은 한자로 된 지명이 그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그 중 상당수가 중국의 지명을 그대로 빌린 느낌이 강한 지명이다. 한국 토박이 말 지명은 대체로 공식지명에서 밀려나 비공식 토속지명으로 전락하였다. 2. 전통적으로 한국지명에는 유명한 사람의 이름 (제왕이나 영웅들의 이름)을 지명에 붙여서 기념하는 경우가 없었다. 조상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않는 전통에서 유래된 것이다. 3. 전통적으로 한국의 지명은 지형지물, 경관의 특징을 나타내는 이름들이 많다. 4. 한국 지명에는 한국의 종교신앙을 표현하는 이름들이 흔하다. 그 예로 와우산, 용수산과 같이 풍수신앙을 표현하는 지명과, 당산동과 같이 무속신앙으로 부터 유래된 지명, 불암산 같이 불교신앙을 표현하는 이름 및, 효자동처럼 유교 가치를 반영하는 지명을 들 수 있다. 5. 전통적으로 한국문화에서는 시가지 길 이름을 붙이지 않았다. 오직 최근래에 길 이름들이 붙여졌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lace names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following aspects: 1. Sino-Korean names: Official Korean place names(e.g., the official names of administrative regions and cities) are Hanja (Sino-Korean) in origin. Sino-Korean place names often represent that these place names were directly imported from China or were adapted from Chinese names. 2. Traditionally, no places were named after great personalities: Traditionally no Korean place names of cities or administrative regions were named after national heroes or kings as a form of honouring and respecting them. This tradition must be from the Korean custom of avoiding the direct referance to one’s ancestors or great personalities by their first name. 3. The majority of indigenous Korean place names represent local landmarks or landscape characteristics 4. Korean place names are often associated with major religious beliefs. For instance, place names such as Wausan(Mountain of a reclining cow) and Yongsusan(Mountain of a dragon head) indicated people’s geomantic(fengshui) beliefs, while Puramsan(Mountain of a Buddha Head) was associated with Buddhism, and Hyojadong(Village of a filial son) represents society’s Confucian ethos. 5. Traditionally city streets in Korea were not named. Only after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to Korea were streets named.

      • KCI등재후보

        여성 무당생애사를 통해 본 무속 전승의 변화 양상

        문혜진(Mun, Heajin) 무형유산학회 2022 무형유산학 Vol.7 No.1

        현대 한국사회는 고도로 산업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무속은 성행하고 있으며 무당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의 과도한 경쟁체제 속에서 무당들은 신도들을 유치하기 위해 철저히 점복 시장상황에 발맞춰 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통 무당과 차별화된 새로운 경향의 무당들이 양산되고 있다. 시장의 상품처럼 점복이나 부적을 대중의 요구에 맞게 전문화 · 세분화시키기도 하며, 신문 · 잡지 · 텔레비전 프로그램 · 인터넷 등을 적절히 흥보로 활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무속의 전승방식(입무, 무업, 교육)의 변화로서 무당의 삶의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서 파악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통적인 무업 전승방식을 경험한 무당과 현대 변화된 무업 전승방식을 경험한 무당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급격히 현대화된 한국사회에서 무당이 전통적인 무업과 합리적인 무업 사이에서의 그들의 협상방식과 변화양상을 그려내고자 한다. 현대 무속의 전승방식에 있어서 무당의 입문 방식은 전통 방식과 비교할 때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현대화로 인해 교통통신이 발달하면서 단골권이 해체되었으며, 이로 인해 내림굿 전에 단골을 형성하기 위해 연행했던 쌀걸립과 쇠걸립의 입문의례가 사라졌다. 또한 단골권의 해체로 인터넷 홈페이지나 각종 광고를 통해 단골을 형성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전통적인 신부모와의 학습 관계의 단절로 인해 첨단기기나 CD · 서적, 청배무당을 통해 굿을 독학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이나 굿학원을 다니기도 했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사제관계인 신부모와 신자식 관계의 단절로 인한 편리하고 신속해진 무업 학습 및 상업적 목적의 신내림굿의 증가는 무속 전승방식의 변화와 무당의 대량 양산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무속의 전승방식의 변화는 ‘가짜 전통’이 아니라 한국 종교현상으로서 무형문화재 보유자를 넘어서 일반 무당들의 생애사를 통해 연구가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 In highly industrialized modern Korean society, shamanism is prevalent and shamans are increasing. In the excessive competition system of modern society, Korean shamans are thoroughly keeping pace with the market situation to attract customers; as a result, a new kind of shaman differentiated from traditional shamans is emerging. Like market products, fortune-telling or amulets are specialized and subdivided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and newspapers, magazines, TV programs and the Internet are appropriately used for publicity. As this phenomenon is a change in the transmission of Korean shamanism, i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stories and voices of the shaman’s lif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delineate the negotiation and changes between traditional and rationalized shaman’s practices, through the oral life history of a shaman who experienced the traditional shaman’s practice and two shamans who experienced modem shaman’s practice. In the transmission of modern Korean shamanism, initiating rite of the shaman has not changed much compared to the traditional rite. However, Dangolgwon, the area where a shaman managed the congregation, was dismantled by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due to modernization; the initiating rites such as Ssalgeollib and Soegeollib performed to make believers disappeared. In addition, because of the dissolution of Dangolgwon, a tendency to form regular customers using Internet homepages and various advertisements emerged. Because of severance of the traditional learning relationship with the spiritual mother, modern shamans tried to learn shaman’s ritual through cutting-edge devices, CDs and books. They not only learned shaman’ ritual working with other professional shamans but also learned that attending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ining Center or the Gut Academy. Like this, the convenient and quicker learning of Korean shaman’s practice because of the severance of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child and spiritual parent and the increasement of commercial Naelim-Gut(initiating rite) are leading to a change in the transmission of Korean shamanism and the rapid increasement of shamans. This changes in the transmission of Korean shamanism are not a ‘fake tradition’ but a Korean religious phenomenon; as a result, it might be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through the oral life history of ordinary shamans beyond the holder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 KCI등재

        김열규의 한국문학 연구의 의의

        양진오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0 No.-

        In this thesis, I discuss the significance of Kim Yeol-gyu's research on Korean literature using three books as examples. First, Kim Yeol-gyu's 『Korean Folklore and Literature Study』 is the first example of Kim Yeol-gyu's study of the source of Korean literature. In this book, Kim Yeol-gyu considers folklore as the main concept of exploring the source of Korean literature. In this book, folklore is regarded as a concept that proves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in a mythological critical context. In this book, Kim Yeol-gyu redefines the concept of folklore and discusses the origin of Korean literature with precise theories. This book is meaningful in providing the Korean literary community with theories and concepts of myth criticism and mysticism, as well as major concepts of religion, anthropology, and psychoanalysis. Second, Kim Yeol-gyu's 『Korean Myth and Shamanism Research』 is a book that discusses the global universality of Korean mythology. In this book, Kim Yeol-gyu discusses the global universality of Korean mythology through Siberian shamanism. However, in Kim Yeol-gyu's book, the world is not a concept that refers to the context of Western Europe. The world is a concept meaningful to the mythical image and structure of Northeast Siberia. In this book, Kim Yeol-gyu newly identifies the value and meaning of Korean mythology and shamanism in the context of global universality. Third, Kim Yeol-gyu's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a book that announces that Kim Yeol-gyu's research on Korean literature is shifting from the work of theorizing to free prose that points to the vein of Korean art. Kim Yeol-gyu's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differs from the general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hich means the history of literature. Kim Yeol-gyu's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the overall hermeneutics of the source of Korean literature. Kim Yeol-gyu consistently publishes books that explore and discuss the source of Korean art before and after the publication of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