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습조직과 조직 창의성 활성화 요인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구정모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4 경영컨설팅연구 Vol.14 No.3

        기업의 생존과 성장이라는 관점에서 조직 창의성의 증진은 경영활동의 최우선 순위로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조직 창의성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서의 학습조직 관련 요인에 대한 많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조직 수준에서의 학습과 창의성이 어떠한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규명한 실증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조직을 활성화하는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수준별 요인들이 조직 창의성을 진작하는 요인과 갖는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학습조직 구축요인을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요인이 조직 창의성 촉진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특히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구조요인이 사람요인과 조직 창의성 촉진요인 간의 인과관계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 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마케팅/프로모션 서비스기업의 구성원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구성원이 인식하는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은 모두 조직 창의성 촉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구조요인은 사람요인과 조직 창의성 촉진요인 간의 인과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조직 창의성을 진작하기 위해서는 학습조직 활성화에 기여하는 개인과 조직 수준의 요인들을 조직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진작하거나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기업체의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학습전이간의 관계 :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위계적 관계를 가정한 모형을 중심으로

        현영섭,김준희 안암교육학회 2005 한국교육학연구 Vol.11 No.1

        학습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학습을 위해서 조직의 문화가 형성된 상황에서 조직원은 학습한 내용을 더욱 잘 활용할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하여 학자들은 긍정적 연구결과를 제시해왔다. 그렇다면 조직이 학습조직으로 구축될 경우 학습조직의 어떤 요소가 학습전이의 발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해서는 학문적 연구가 최근 들어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하고 이러한 이유로 학문적 논의 또한 풍부하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조직과 학습전이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학습조직은 학습이 가장 중요한 조직활동으로 여겨지고 이를 위해서 다양한 지원시스템이 운영되고 문화가 구축된 상태를 의미한다. 학습전이는 훈련이나 교육을 통해서 학습한 내용을 직무상황에서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조직 구축요인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제시되었고 이 가운데 Watkins와 Marsick의 통합적 모형에서 제시된 7개의 학습조직 구축요인을 사람수준과 구조수준으로 구분하여 학습전이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보험계열에 종사하는 289명의 조사대상자를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사람수준의 학습조직 구축요인 가운데 지속적 학습, 대화와 질의, 권한부여, 구조수준의 학습조직 구축요인 가운데 시스템연계와 체화된 시스템이 학습전이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조직 혁신성의 발현과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창의적 조직풍토, 학습조직 구축요인, 조직 혁신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구정모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9 기업경영리뷰 Vol.10 No.2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effect of creative climate and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DLO) on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To examine the effect of relations among creative climat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DLO), and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this research established following research topics: topic 1) how creative climate affects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topic 2) how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DLO) affects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it is turned out that creativity stimulants have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creativity obstacles of creative climate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Second, people level of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DLO)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However, structural level of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DLO) have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To sum up,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reativity stimulants and creativity obstacles of the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people level and structural level of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DLO) could be optimized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depending on the feature and conditions under the job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경영환경의 미래와 변화에 대한 불명확성과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커지고 있는 경쟁적 경영환경에서 기업조직은 창의성과 혁신성을 바탕으로 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국내외 시장에 내놓음으로써 경쟁에서 생존해 나갈수 있는 동력을 갖게 된다. 그동안 조직의 혁신성 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는데, 4차 산업혁명의 변혁기를 맞아 최근에는 조직의 환경적인 요소로서의 창의적 조직풍토와 학습조직 구축요인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많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조직풍토및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혁신의 실행역량을 의미하는 조직 혁신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상위 그룹사 산하에 있는 광고대행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립된 가설을 검증한 결과, 연구대상인 구성원이 지각하는 창의적 조직풍토 내 지원요소와 방해요소는 모두 조직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사람요인은조직 혁신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에 반하여, 구조요인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의 혁신성을 제고하고 진작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내에 창의적 조직풍토의 지원요소와 방해요소, 그리고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을 기업조직이 가진 특성과 상황에 적합하도록 활성화 또는유연화하거나 일부 제한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는 연구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기업에서 창의적 조직풍토 및 학습조직 구축요인을 활용하여 경영성과 제고에 주요 역할을 하는 조직 혁신성을 진작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 기업현장에서의 실천적인 관점에서 각 요인을 활성화하거나 제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인사관리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구정모(Koo, Jung Mo)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4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요인으로서 인적자원의 개발과 관리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인적자원개발(HRD)과 인적자원관리(HRM) 활동이 조직의 재무성과와 유효성 증진을 위한 선행요인이라는 점은 많은 연구를 통해 규명되어 왔으며 인적자원에 대한 전략적 수준에서의 논의가 활성화되면서 HRD 와 HRM 의 기능이 갖는 역할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조직성과 향상에 있어 두 영역이 어떠한 관계를 갖는 지에 대한 실증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주요 변인으로서의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인사관리 효과성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HRD와 HRM 영역이 갖는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조직의 인적자원의 개발과 관리에 대한 포괄적 시각을 견지하기 위해 성과와 학습으로 대변되는 HRD 패러다임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조직 구축요인을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들 요인이 인사관리 효과성과 갖는 관계를 가설적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 S그룹 5개 계열사의 Senior Manager급 이상 관리자 3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72개의 유효 표본을 활용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은 모두 인사관리 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구조요인은 사람요인과 인사관리 효과성 간의 인과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인사관리 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학습조직을 조성하는 개인과 조직 수준의 요인들을 구분하여 그 관계를 설정하고 조직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수준별 요인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eople level 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on HRM Effectivenes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tructural level 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that mediates the two variables.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383 directors and senior managers who are in managerial positions, had been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ople level 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has significant impacts on HRM Effectiveness. Second, structural level 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has also an impact on HRM Effectiveness. Third, people level 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positively influences on HRM Effectiveness when partially mediated through structural level 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on the theoretical aspects is that it showed that both of people and structural level 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re precedence factors on HRM effectiveness. It means that this study expanded the field of study of learning organization from the relation of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to the field of HRM.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on the practical aspects i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give a political direction for companies having problems on building specific policies with regard to vitalizat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within them. Therefore, this study showed a meaningful approach which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HRM effectiveness in the workplace of organizations. Especially, it turned out the strategic functions of HRD and HRM should be promoted through creating and promoting its scheme and system developing and managing its employees from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s on its human resources.

      • KCI등재후보

        광고대행기업의 구성원이 인식하는 창의적 조직풍토와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구정모(Jung-Mo Koo),송해덕(Hae-Deok Song)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4 창조와 혁신 Vol.7 No.1

        As the studies o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which affects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are actively conducted, the interest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has been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has an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what the role of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is as a mediator between these relationships, based on to the questionnaire to the employees in advertising agencies. As a result, both creativity stimulants and creativity obstacles in the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make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The people level in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made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the structural level showed a negative effect. And it showed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creativity stimulants and creativity obstacles in the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people level and structural level in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should be activated and optimized to promote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depending on the feature and condition in the organization and employees' job characteristics.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기업에서는 조직의 혁신을 진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직의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져 왔는데, 최근에는 조직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창의적 조직풍토와 학습조직 구축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두 요인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조직의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한 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원요소와 방해요소로 구분되는 창의적 조직풍토가 조직이 가진 혁신의 실행능력을 의미하는 조직 혁신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그리고 이러한 관계에서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으로 구분되는 학습조직 구축요인은 어떠한 기능을 하는 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그룹사 산하광고대행기업 구성원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광고대행기업의 구성원이 인식하는 창의적 조직풍토의 지원요소와 방해요소는 모두 조직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사람요인은 조직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구조요인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조직 구축요인은 창의적 조직풍토의 방해요소와 조직 혁신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조직 혁신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조직풍토의 지원요소와 방해요소,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을 조직의 특성과 상황에 적합하도록 활성화하거나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광고대행기업의 구성원이 인식하는 창의적 조직풍토와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구정모(Jung-Mo Koo),송해덕(Hae-Deok Song)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4 창조와 혁신 Vol.7 No.2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기업에서는 조직의 혁신을 진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직의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져 왔는데, 최근에는 조직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창의적 조직풍토와 학습조직 구축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두 요인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조직의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한 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원요소와 방해요소로 구분되는 창의적 조직풍토가 조직이 가진 혁신의 실행능력을 의미하는 조직 혁신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그리고 이러한 관계에서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으로 구분되는 학습조직 구축요인은 어떠한 기능을 하는 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그룹사 산하광고대행기업 구성원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광고대행기업의 구성원이 인식하는 창의적 조직풍토의 지원요소와 방해요소는 모두 조직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사람요인은 조직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구조요인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조직 구축요인은 창의적 조직풍토의 방해요소와 조직 혁신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조직 혁신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조직풍토의 지원요소와 방해요소,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을 조직의 특성과 상황에 적합하도록 활성화하거나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As the studies o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which affects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are actively conducted, the interest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has been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has an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what the role of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is as a mediator between these relationships, based on to the questionnaire to the employees in advertising agencies. As a result, both creativity stimulants and creativity obstacles in the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make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The people level in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made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the structural level showed a negative effect. And it showed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creativity stimulants and creativity obstacles in the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people level and structural level in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should be activated and optimized to promote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depending on the feature and condition in the organization and employees' job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학습조직으로서의 학교 ― 중등학교의 조직학습 촉진 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

        김영화,김경화 한국교육사회학회 2005 교육사회학연구 Vol.15 No.3

        이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의 조직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다층분석방법을 적용 하여 분석하였다. 70개 중?고등학교 867명의 교사의 질문지조사 응답 결과에 대하여 학교수준 투 입요인인 학교의 배경적 특성 및 학교와 교육청?지역사회 등 외부 환경의 관계, 그리고 과정요 인인 학교의 구조와 문화가 학교의 조직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조직학습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수준 투입요인은 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평균 사회경제적 지위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로서 학생들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학교가 지역사회의 시설 및 인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수록 학교의 조직학습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 과정변 인 중에서는 실험정신을 촉발하는 문화와 지식의 전이능력이 조직학습 수준에 유의미한 정적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정신을 촉발하는 문화와 지식의 전이능력에는 학교수준 투입 변인 중 교육청과의 관계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교육청과의 관계는 이 두 과정변인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학교의 조직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factors influence o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learning of secondary schools, employing hierarchical linear mode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867 teachers in 70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were surveyed. In hierarchical linear models school background characteristics, relationships between school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school district offices and communities and school structures and cultures were included as well as teacher background characteristics. The school whose students’ average socioeconomic status was higher and which utilized the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of communities more actively, showed a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learning. Among the factors of school structures and cultures, ‘the culture of promoting experimental spirits of teachers’ and ‘the capacity of transferring knowledge’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learning. Since relationships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and between schools and school district offic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ulture of promoting experimental spirits of teachers’ and ‘the capacity of transferring knowledge,’ we could infer that those relationships had indirect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through the two factors of school structures and cultures.

      • KCI등재

        보육교사의 배경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리더십,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교사의 효능감 비교 연구

        윤영순(Yun, Young Soo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군집을 분석하고 보육교사 배경 군집에 따라 속한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학습조직 구축요인,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시에 위치한 사립 민간어린이집 교사 307명을 대상으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교사효능감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 배경에 대한 군집분석결과 최종적으로 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3개의 군집은 작은 규모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와,큰 규모의 어린이집의 고경력 및 저경력 교사로 나뉘었다. 그 결과, 첫째,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군집유형에 따라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하위요인인 지속적인 학습기회, 팀 학습, 비전공유와 임파워먼트, 지식 공유시스템,조직과 환경과의 상호연계, 전략적 리더십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보육교사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효능감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lusters of childcare teachers on the transformationalleadership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abilities to build learning organizations and teacherefficacy in childcare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of 307 teachers in private childcarecenter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provided questions about the director s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and teacher efficacy. As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n teacher backgrounds, three types of clusters were derived. Thethree clusters were divided into teachers working in small centers, and high and low-careerteachers working in large center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was a difference i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daycare center director’s according tothe cluster and the background variable of the childcare teachers. Second, it was found that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arning organization’s building factors and sub-factors. Thesefactors include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 team learning, vision sharing and empowerment,knowledge sharing systems, mutual connection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its environment, andstrategic leadership.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of the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

        특수학교의 교사들이 인식한 조직학습 역량구축 정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문미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perceived by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 school on teacher efficac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f 330 teachers working in 9 special education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Kyounggi, and finally 291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3.0 (Korean version) was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 Factor analyses,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dd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ears’ teaching exper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Second, after control for years’ teaching experience, the capacity of organizational learning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 finding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needs specific supports for teachers with less teaching experience to increase teacher efficacy. Second, special education schools can increase teacher efficacy by revitalizing the capacity of organizational learning. Finally, the study discussed some implications for HRD theory and practice. 본 연구는 특수학교의 교사들이 인식한 조직학습 역량구축 정도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330명으로부터 자료 수집을 하였고, 요인분석, 기술통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경력은 교사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경력을 통제 후,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은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의 하위요소 중 공유된 비전과 협력, 참여적 의사결정 순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 중 리더십, 개인개발, 피드백은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경력이 증가할수록 교사효능감이 향상된다. 둘째, 교사의 교직경력과 무관하게 특수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조직학습 역량구축 정도는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