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에 설치된 식물이름표 현황 조사연구 - 광주⋅전남권을 중심으로 -

        김태현,홍문기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4 초등과학교육 Vol.43 No.1

        Thirty-five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and Jeollanam-do were surveyed on the installation status of plant labels.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installation and condition of the plant labels, 12 out of 35 elementary schools were evaluated as “excellent,” 13 as “good,” and 8 as “insufficient.” In some cases, various types of plant labels were installed on various types of plants and were updated continuously, indicating that the school members recognize the plant labels as an important educational tool. Meanwhile, some schools did not have a single plant label. Although plant labels were installed, instances occurred where they were neglected without continuous maintenance and management. Some plant labels were produced and installed by specialized companies, leading to errors in content or inadequate post-installation management, thereby compromising the school landscape. Therefore, we propose an alternative—allowing schools to independently produce and install plant labels. This approach preserves the school’s uniqueness, and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installing sustainable plant labels becomes an active educational tool.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소재 초등학교 35곳을 대상으로 하여 식물이름표 설치 현황을 조사하였다. 식물이름표의 설치 여부 및 상태 등을 종합하여 평가한 결과, 35개 초등학교 중 12곳이 ‘우수’한 것으로, 13곳은 ‘양호’한 것으로, 그리고 8곳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소재지나 역사, 부지 면적, 구성원 규모 등은 식물이름표의 현황이나 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진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양한종류의 식물들에 여러 유형의 식물이름표를 설치하고 계속적으로 갱신함으로써 해당 학교가 식물이름표를 중요한 교구로서 인식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는 경우가 있던 반면, 단 하나의 식물이름표도 설치돼있지 않은 학교들도 있었다. 또한, 식물이름표가 설치돼 있긴 하였으나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이뤄지고 있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는 사례들도 있었다. 전문업체에 의뢰하여 식물이름표를 제작⋅설치한 사례들도 있었으나 그 내용에 오류가 있거나 설치 이후 제대로 관리되질 못해 되려 학교의 경관을 훼손하고 있는 사례들도 있었다. 이에, 학교별 개성을 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형태의 식물이름표를 제작하고 설치하는 과정 자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식물이름표를 자체적으로 제작하고설치하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학교 정원, 식물, 환경을 이용한 생태 미술 교육 프로젝트 연구

        장용석(Yong Sock C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개념, 햅틱(Haptic), 프레리(Freire)의 비평적 교수학, 존 듀이(John Dewey)의 “경험으로서의 예술”을 이용하여 생태미술 교육 프로젝트를 개발, 제시함에 있다. 햅틱(Haptic) 감각은 촉각으로 해석 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햅틱(Haptic)을 단순히 촉각뿐만 아니라 공간, 움직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종합적 감각을 의미한다. 이 생태 미술 프로젝트는 햅틱(Haptic) 감각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시감각(visual sense)적 미술에서 더 나아가 직접 사물을 만져보고 공간을 느끼고 탐구하며 자신과 자연과의 관계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작품의 완성과 결과물 보다는 미술작품의 제작과정에서 미술을 “경험”하고 “느끼는” 미술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미술작품이 원래 의도와 다르게 만들어지고, 예상과 다르게 진행되더라도 그 대안을 모색하거나 다른 방식을 찾아 그 작품의 의미를 만들어 가는데 목적이있다. 이 생태 미술 교육은 교사에 의한 지식 전달 수업이 아닌 어린이 스스로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책을 고민하여 자신의 힘으로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하여 어린이들이 세상에 대해 스스로의 안목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생태미술 교육 프로젝트는 학교 정원이나 자연환경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은 학교 안의 자연을 자세히 관찰하고 탐구며, 평소 무심히 지나쳤던 학교안의 생물들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심이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으로 발전하여 지역 사회 발전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hildren are aware of ecological problems. In fact, when asked recently what the biggest problem is in the world today, almost 50% of children cited ecological problems.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encourage art education as an instrument to address higher concerns about ecological problems and to actively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s suggested. The concept of the haptic?multi-sensory perceptual system (Lee, 2010) in visual culture, Freire’s concept of critical pedagogy, John Dewey’s “art as experience,” and ecology art will be investigated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creating an art project in which children can enthusiastically engage. To the children engaged in the project created with the concept listed above, the process will not only elicit a sense of awareness of ecological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but also a chance to develop social commitment, spiritual growth, and intellectual growth as well.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provides various ecology art education projects using school gardens, plants, and environments to develop a sense of haptic, critical thinking, caring for the nature, and empathy for others.

      • KCI등재

        실과 ‘가꾸기’ 및 ‘환경교육’ 적용을 위한 초등학생 실내조경 도입사례 연구

        김수연(Kim Soo Yeon),곽혜란(Kwack Hye Ran) 한국실과교육학회 200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the natur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 by the creative educational space. We proposed educational space considering of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transform plan into the system of nature image and effective space to implementing cultivation of plants as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elementary school space is designed to have educational spaces like playground space, topiary garden and water garden, which are designed to be flexible in accommodating different time and events. We found that it is very effective to organize horticultural education of elementary program in the interior landscape space. We considered the criteria of green interior at elementary school as the analysis of humanistic and physiological environment. Topiary, indoor fountain, wall garden, terrarium and various kinds of container garden were considered as elements of green interior. Through the elementary school space created by this pla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will have mor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the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