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연결사회의 등장과 학교교육의 재구성 ‘교육적 연결성’ 가설과 그 정책적 함의

        함승환(Ham Seunghwa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0

        제4차 산업혁명이 촉발한 초연결사회의 등장은 학교교육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초연결사회의핵심 특징은 일상의 사회적 현실이 ‘연결성’ 메타포로 재해석된다는 데 있다. 따라서 학교교육의 일상도 연결성 메타포에 기초하여 재구성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이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NRI 2020 자료와 PISA 2018 자료를 결합하여 73개국의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연결사회로의 진입도가높은 국가일수록 학교환경의 첨단화, 학교경계의 교량화, 교수활동의 섬세화 등의 측면에서 ‘교육적 연결성’을 더욱높은 수준으로 갖추고 있는 경향이 뚜렷했다. 이러한 패턴은 한 사회가 초연결사회로 진입할수록 학교교육 역시교육적 연결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의 동력을 얻을 개연성을 보여준다. 기존에 당연시되던 학교교육의 모습과 새롭게 등장하는 학교교육의 변화 양상 간에 다양한 긴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학교교육 모델의 점증적변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그러한 변화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교육정책의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The emergence of a hyper-connected society is expected to bring about great changes inschool education. A key characteristic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is that everyday socialreality is reinterpreted through the metaphor of ‘connectivity.’ It is thus plausible to expect thatschool education will also be reconstructed based on the connectivity metaphor. This study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is possibility. To this end, patterns from 73 countries wereanalyzed by combining NRI 2020 data and PISA 2018 data. The result clearly showed thatcountries with a higher degree of entry into a hyper-connected society tended to have a higherlevel of ‘educational connectivity’ in terms of the digitalization of the school environment, theexpansion of school boundaries, and the refinement of teaching activities. This pattern suggeststhat as a country enters a hyper-connected society, school education will get a strong drivingforce for change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educational connectivity. Various tensions andconflicts will arise between the traditional model of school education and the new changes inschool education. Effectively inducing incremental changes and stably managing such changeswill be an important task of educational policy.

      • KCI등재

        고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 외적 연결성

        조수미(Su Mi Jo),신인선(In Sun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나타난 수학 외적 연결성 유형을 분석 대상의 연결 소재 및 문제 상황에 따라 맥락과의 연결과 타 교과와의 연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교 수학교실에서 교과 서의 활용으로 창의・융합 능력의 신장을 가능하도록 하는 소재 및 문제 상황을 제시 하는 수학 교과서의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8년 발간된 고등학교 1학년 수학 교과 9종 모두를 수집하여 교과서 내용 전체의 소재와 문제를 대상으로 수학 외적 연결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교과서에서 맥락과의 연결 유형이 타 교과와의 연결 유형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대부분 단원에서 맥락과의 연결 유형은 실생활 맥락과의 연결이 높게 나타났다. 타 교과 와의 연결 유형은 과학/기술 가정 교과와의 연결에 치우쳐 있었다. 이러한 치우침을 개선할 수 있도록 수학교과서에서 다양한 맥락과 교과와의 연결을 제시한다면 수학 교실에서 창의・융합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types of external connections that appeared in tenth graders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connection with context and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mathematics textbook that presents the subject matter and problem situations that enable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convergence ability through the use of the textbook in the school mathematics classroom.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ll nine types of mathematics subjects for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published in 2018 were collected, and the external connection of mathematics was analyzed for the subject matter and problem of the entire textbook.. As a result of analyzing all 9 mathematics textbooks, the type of connection with context appeared more in all textbooks than the type of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and in most units, the type of connection with context was real life. The type of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was biased toward the connection with science/technology home economics. If the mathematics textbook presents connections between various contexts and subjects in order to improve this bias, it is expected that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it will be able to enhance creativity and convergence ability.

      • KCI등재

        위기청소년을 위한 학교 기반 치유적 교육 분석: 라캉의 분석가 담론에 입각한 접근

        어도선,한가을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2 현대정신분석 Vol.24 No.1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discussion-based bibliotherapy class, an after-school program, as one of the efficient therapeutic measures offered to at-risk teenagers from divorced families. If ‘school connectedness’ works well, youth in crisis could be better provided with resources such as meaningful relationships they need to cope with their own psychological problems. In addition, bibliotherapy could help at-risk adolescents to build up a ‘desirable’ concept for how they perceive the new reality caused by divorce. In this case, a Lacanian perspective was also in the same vein. Therefore, relying on Lacan’s ‘Discourse of the Analyst,’ this study explains the healing case of a high school student (Student A) who had participated in a bibliotherapy program operated for adolescents from divorced families. It shows how a school-based education can support a therapeutic program in which ‘education becomes a treatment and, in turn, the treatment becomes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rough a discussion-centered reading-therapy process, a psychological environment equivalent to the ‘Discourse of the Analyst’ had been constructed in Student A, which turned out to help Student A (re)conceptualize more efficiently the tremendous changes and pain resulting from her parents’ divorce. It also shows that a new identity had been formed inside Student A, and it served her to respond more confidently to such new reality in the way that Student A’s new subjectivity becomes more flexible and free from conflicts and anxiety caused by the divorce. This proves that a school-based therapeutic education program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solving the problem of youth at risk. 본 연구는 여러 ‘위기청소년’ 가운데 이혼 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방과 후에 운영되었던 토론 기반 독서치료 수업을 ‘위기청소년’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학교 내 치유 프로그램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교가 다른 공간에 비해 훨씬 안정된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학교 연결성’이 잘 작동되면 위기청소년들이 교사와 또래 친구들과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면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독서치료는 이혼으로 인해 발생된 새로운 현실에 대한 ‘바람직한’ 재개념 설정에 도움이 되며 라캉적 치유와도 그 맥을 함께 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교내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고등학생 A의 치유 과정을 라캉 ‘분석가 담론’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본 연구는 ‘교육이 치료가 되고 치료가 교육이 되는’ 학교 기반의 치유적 교육 프로그램이 어떻게 위기청소년 문제 해결을 위한 실효적 대책이 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었다. 분석 결과 고등학생 A와 참여자 모두 등장인물과의 다양한 심리적 관계를 통해 ‘분석가 담론’에 준하는 심리 환경을 스스로 구축하였고, 점차 이혼의 결과로 생긴 엄청난 변화와 아픔을 회피하지 않고 (재)개념화하게 되면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론을 통해 교사와 동료들과의 ‘협력적 치료’도 깊이 있게 일어나 참여자들 모두 현실의 요구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며, 갈등과 불안으로부터 벗어나 보다 유연한 새로운 자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학교 기반 치유적 교육 프로그램이 위기청소년 문제 해결을 위한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타 교과와 연결된 상황 설정을 통한 함수적 사고 지도 방안

        나경수,최성필 대한수학교육학회 2011 학교수학 Vol.13 No.4

        Functional thinking is a central topic in school mathematics and the purpose of teaching functional thinking is to develop student's functional thinking ability. Functional thinking which has to be taught in elementary school must be the thinking in terms of phenomenon which has attributes of 'connection'- assignment and dependence. The qualitative methods for evaluation of development of functional thinking can be based on students' activities which are related to functional thinking. With this purpose, teachers have to provide students with paradigm of the functional situation connected to the other subjects which have attributes of 'connection' and guide them by proper question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eaching method for functional thinking by situation posing connected with other subject. We suggest the following ways for functional situation posing though the process of three steps : preparation, adaption and reflection of functional situation posing. At the first stage of preparation for functional situation, teacher should investigate student's environment, mathematical knowledge and level of functional thinking. With this purpose, teachers analyze various curriculum which can be used for teaching functional thinking, extract functional situation among them and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functional situation as follows :․Using meta-plan,․Using mathematical journal,․Using problem posing ․Designing teacher's questions which can activate students' functional thinking. For this, teachers should be experts on functional thinking. At the second stage of adaption, teacher may suggest the following steps : free exploration → guided exploration → expression of formalization → application and feedback. Because we demand new teaching model which can apply the contents of other subjects to the mathematic class. At the third stage of reflection, teacher should prepare analysis framework of functional situation during and after students' products as follows : meta-plan, mathematical journal, problem solving. Also teacher should prepare the analysis framework analyzing student's respondence. 함수적 사고는 학교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이고 함수적 사고 지도의 목적은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할 때 초등학교에서 함수적 사고를 지도한다는 것은 함수적 사고의 속성인 지정과 종속의 연관이 내재된 현상을 의미하는 함수적 사고이다. 함수적 사고를 습득했는지에 대한 평가 방법은 함수적 사고의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함수적 사고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는 학생들의 활동이다. 이를 위해서 교사는 함수적 속성을 갖는 타 교과의 내용과 관련된 함수적 상황의 형태의 전형적인 예(paradigm)을 제공하고, 적절한 발문을 통해 안내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타 교과와 연결된 상황 설정을 통한 함수적 사고의 지도 방안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보다 발전된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도 방안은 함수적 상황의 준비단계, 적용단계, 반성단계의 3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에서 지도해야 할 방안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