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과후학교 예체능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소미(Lee, SoMi),김은경(Kim, Eun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9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es of children s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arts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s on their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 showed differences partially. In self-esteem, gender did not show difference.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and whether they participate in after school programs or not. On the contrary, there was a difference in gender in terms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and whether they participate in after school programs or not.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ccording to the degre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arts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ccording to the period, frequency and time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ffected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Social self, general self and academic self positively affected relations with teachers in order. Social self, academic self, general self and domestic self positively affected relations with friends in order. General self, social self and academic self positively affected adaptation to classes in order. Lastly, general self, domestic self, academic self and social self positively affected school rules in order. This study confirmed that continuous participation in after school arts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ffects children s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reality, such programs need to be diversely developed and executed so that students class selection right can be guaranteed and students self and sociality can be enhanced in more free and comfortable atmosphere. 이 연구는 방과후학교 예체능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자아존중감에서는 성별은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과 방과후 참여여부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학교생활적응에는 성별은 차이가 나타났 으나, 학년과 방과후 참여여부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방과후학교 예체능교육프로그램 참여정도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서 모두 차이가 있었다. 방과후학교 예체능교육프로그램 참여기간과 참여빈 도, 그리고 참여시간에 따라서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지속적인 방과후학교 예체능교육 프로그램 참여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학생의 수업 선택권을 보장받고, 자유롭고,편안한 분위기에서 학생들의 자아와 사회성을 키울 수 방과후학교 예체능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내외 방과후 교육활동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백병부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xtra-curricula activities on the affectiv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ers using KCYPS data. Specifically, this study uses the school adjustment and the value awareness of school as the index of affective development, and after-schol program in school and Hakwon and Gwaoi out of school as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Major findings are like these. First, the socio-economic status has the independent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and the value awareness of school. In detail, the school adjustment is influenced by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the household income. The value awareness of school is also influenced by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 Secon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or teachers and students,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have th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affective development. Third, whil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school has no significant effects, out of school activities has th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chool adjustment and the value awareness of school. Finally,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school, not to mention out of school activities which are needed to much tuition fee don't contribute to narrow the gap of affective development resulted from the gap of socio-economic status. From these findings, some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ing the need to review the after-school program policy are offered.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교내외의 방과후 교육활동이 정의적 발달에 어떠 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의적 발달 상태를 잘 드러 내 줄 수 있는 변수로 학교생활적응과 학교가치 인식을 설정하고, 이들에 학원과 과외로 대 표되는 교외 방과후 교육활동과 방과후학교로 대표되는 교내 방과후 교육활동이 각각 어떠 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교생활적응도와 학교가치 인식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교생활적응도는 부모의 교육수준과 가구소득 모두로부터 영향 을 받고 있었고, 학교가치 인식은 부모의 교육수준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었다. 둘째, 부모 와의 관계나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적응도와 학교가치 인식에 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생활적응도와 학교가치 인식 모두 부모와의 관계보다는 교사와의 관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내의 방과후학교는 학교생활적응도와 학교가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반면에 교외의 학원과 과외는 이들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외 방과후 교육활동은 물론이고 교내의 방과후학교 도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교생활적응도 및 학교 가치 인식의 차이를 줄이는 데 기여하 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방과후학교 정책을 재검토해볼 필 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체대입시반 학생들의 일상적인 학교생활과 입시준비과정 탐색

        주병하(J00, Byung-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방과후학교 체대입시반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일상적인 학교생활과 입시준비 과정을 통해 그들의 삶을 통찰하는데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교육청 소속 S고등학교 체대입시반 방과후수업에 참여한 남학생 10명 이었다.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과 반성일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 방법(Pattern, 19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체대입시반 활동을 통해 일상적인 학교생활(내신성적, 실기능력, 정신력 측면)에서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지만, 담임선생님이나 일반과목 선생님들은 부정적 인식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친구들은 운동과 공부를 병행한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체대입시반 활동의 참여 동기는 운동을 잘하 고 싶고, 미래에 체육지도자가 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사설학원보다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체대입시반 활동은 1학년 때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응답을 하 였다. 결론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체대입시반 활동을 통해 자신의 꿈을 실현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교육을 통해 체육대학에 진학하려는 고등학생들의 삶을 이해하고, 고등학교에서 진학지하는 체육교사들에게 중요한 진로지도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ormal school-life and college prepar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ho want to enter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For this, 10 high school students at ‘S’ high school located in Kyunggi province in Korea were purposely sampl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ere made to do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uctive category analysis(Pattern, 1980). In this paper, first, the students taught that their paper score, physical skills, mental abilities were higher than before and normal teachers perceived them negatively and their friends realized them friendly and positively. second, on college preparation period, their motivation of participating on P.E. class was that they were good at sports and their dreams were to be a P.E. teachers and soldiers. they preferred to participate in public school after-school program than institution about P.E.. they like to start in after-school class at 1st grade in high school. advantages were good facilities and P.E. programs in high school. difficulties were studying both paper and physical drill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after-school P.E. class and their dreams were P.E. teacher and soldier. In this results, we will respect that public education foundation for the normalization can be expected.

      • KCI우수등재

        방학 중 아동돌봄 프로그램이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선숙(Kim, Sun Suk),임세희(Lim, Se Hee),김민(Kim, M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학 Vol.70 No.3

        본 연구는 빈곤아동의 돌봄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개입해 온 대표적인 민간 비영리법인(G 비영리법인)의 대표적 사업 중 하나인 방학 중 돌봄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에 있는 G 비영리법인에서 시행된 방학 중 돌봄 프로그램 참여대상자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참여에 동의한 880명의 아동과 부모에게 설문을 배포하였고, 이 중 부모 및 아동의 서면동의서가 누락된 응답을 제외한 총 664개(저학년 370개, 고학년 294개)를 실제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은 회귀모형과 상호작용모형을 통해 실시되었고, 아동발달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여 전학년 모형, 저학년 모형, 고학년 모형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학년과 고학년 모형에서는 방학 중 돌봄프로그램에 참여한 횟수가 증가할수록 오히려 학교생활만족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생활만족도가 평균 이상인 고학년 집단의 경우, 돌봄프로그램 참여 횟수가 증가할수록 학업성취도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학 중 돌봄프로그램의 참여는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in one of representative NGOs for child welfare. We analyze survey data for 664 children across 21 branches of that using regression and regresseion model with interaction effect term by analytical techniqu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increase the number of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during the vacation, the more decrease school life satisfac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group whose school life satisfaction is above the average, the more increase the number of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during the vacation, the more increase school life satisfaction. Second,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during va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일본어 말하기 수업 지도 -방과후학교 수업을 중심으로-

        김행영 ( Haeng Young Kim ),윤강구 ( Goo Youn Kang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5 日本語敎育 Vol.0 No.74

        Storytelling allows the student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and it provides growth in interest as well as the ablility to be imaginative. I have applied the storytelling method to my class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participate positively in the class and to be motivated to learn Japanese. During the storytelling process, the students use their imagination of scenes from the story. Students use creativity to reconstruct the story. This benefits the students to naturally obtain basic vocabulary and sentence patters. The roleplaying activity which uses the points stated above as a basis allows the students to have more chances to speak Japanese. The roleplaying activity builds the confidence in students. Students are able to use the colloquial Japanese they learned in real life. The results of the roleplaying activity, the results of repeated learning, proved to raise the confidence of students. The students said that they taught and used Japanese to their friends and family. Therefore,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students are consistent with their interest in Japanese and the Japanese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