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상 필수유지업무제도에 관한 고찰

        김동훈(Kim Dong-Hu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東亞法學 Vol.- No.50

        노사관계 선진화 입법의 일환으로 2006. 12. 22.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노동관계 및 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조법’이라고 한다)에 의하여 필수공익 사업의 직권중재제도가 폐지되고, 대신 필수공익사업에 항공운수사업과 혈액 공급사업을 추가하고, 필수공익사업에 필수유지업무제도를 도입하며, 일반적으로 금지되는 대체근로와 도급을 필수공익사업의 경우 그적용을 배제하고 파업참가자의 50%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허용하였다. 이에 필수유지업무 제도 관련 규정들은 2008. 1. 1.부터 시행되고, 정부는 2007. 11. 30. 노조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필수유지업무의 범위를 10개의 필수공익사업별로 구체적으로 규정하게 되었다. 필수공익사업의 직권중재제도가 해당 근로자들의 단체행동권을 본질적으로 침해하여 위헌인 상황을 극복할 목적으로 이루어진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개정이 필수유지업무 제도와 대체근로를 도입함으로써 오히려 운영 및 해석 여하에 따라서는 노동위원회가 직권중재에 회부하지 않으면 정당한 쟁의행위를 할 수 있었던 기회조차 봉쇄함으로써 노동기본권의 관점에서는 더 후퇴할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필수공익사업의 각 사업장에서는 필수 유지업무 협정의 체결문제가 현안으로 되고 있지만 필수유지업무 제도는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되는 제도이고, 입법례적으로 이에 부합하는 선례도 없는 형편이어서 아직 이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나 지침이 없는 상황에서 많은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필수유지업무제도의 도입경위와 그 의미와 내용, 적용범위 등을 살펴본 후 필수공익사업의 해당여부, 유지하여야 할 서비스의 수준정도, 이의 불복절차 등이 아직 정리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이에 대하여 정리를 하고 나아가서 입법상 불비한 점과 문제점에 대하여 현재의 진행과정에 비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서 필수유지업무제도는 시행된 지 일천하여 축적된 판례가 없어 법해석상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필수유지업무의 조기 정착을 통해 필수공익사업장의 노동기본권 보장(쟁의권 보호)과 공익의 조화를 도모하면서 결론에 갈음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필수유지업무제도에 대한 법리 검토

        이준희(Jun Heui Lee) 한국노동연구원 2008 노동정책연구 Vol.8 No.2

        필수유지업무제도가 200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으나, 기본적인 필수유지업무의 개념에 대한 논쟁으로부터 시작하여 아직까지도 수많은 쟁점들이 명확하게 정리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필수유지업무제도의 운영을 위해 반드시 해명되어야 할 쟁점들을 발견하고, 그 쟁점들을 현행법의 한계안에서 가장 합리적으로 인식하고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작성되었다. 필수유지업무제도에 대한 일관된 해석을 위해서는 필수유지업무의 개념과 필수유지업무협정의 법적 성격의 규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필수유지업무 개념이 국제사회의 보편적인 필수서비스 등의 개념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고, 필수유지업무협정의 법적 성격이 단체협약과 어떻게 구별되는지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으로부터 각 쟁점에 대하여 접근하였다.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to discover the issues of essential minimum services system in Korea, and find measures to utilize the system in a proper way. To understand the system with a consistent view, it is important to clarify two points. One point is that the definition of the essential minimum services in Korea is different from the essential services or the minimum service of the ILO. And the other point is that the essential minimum services agreemant in the Trade Union and Industrial Relation Act 2006 should not be dealt with the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Getting a clear picture of those two points mentioned above is the start and the groundwork of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체육필수시설 담보신탁을 근거로 한 매각 절차와 인수인의 체육시설업자 권리·의무 승계 여부

        박재억 사법발전재단 2019 사법 Vol.1 No.47

        「체육시설의 설치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체육시설법’이라 한다) 제27조 제1항은 상속과 합병 외에 영업양도의 경우에도 체육시설업의 등록 또는 신고에 따른 권리·의무를 승계한다고 정하고, 제2항은 경매를 비롯하여 이와 유사한 절차로 체육시설업의 시설 기준에 따른 필수시설(이하 ‘체육필수시설’이라 한다)을 인수한 자에 대해서도 제1항을 준용하고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체육시설업자의 영업이나 체육필수시설이 타인에게 이전된 경우 영업양수인 또는 체육필수시설의 인수인 등은 체육시설업과 관련하여 형성된 공법상의 권리·의무뿐만 아니라 체육시설업자와 회원 간의 사법상 약정에 따른 권리·의무도 승계한다. 체육시설업자가 담보 목적으로 체육필수시설을 신탁법에 따라 담보신탁을 하였다가 채무를 갚지 못하여 체육필수시설이 공개경쟁입찰방식에 의한 매각(이하 ‘공매’라 한다) 절차에 따라 처분되거나 공매 절차에서 정해진 공매 조건에 따라 수의계약으로 처분되어 체육필수시설이 일괄하여 이전되는 경우에 회원에 대한 권리·의무도 승계되는지 문제가 된다. 대상판결은 담보신탁을 근거로 한 수의계약에 따라 골프장 토지와 건물인 체육필수시설이 일괄하여 이전된 경우 그 인수인이 체육시설업자의 입회금반환채무를 승계하는지가 문제가 된 사안이다. 대법원은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해 이러한 경우에도 체육시설법 제27조의 문언과 체계, 입법 연혁과 그 목적, 담보신탁의 실질적인 기능 등에 비추어 체육필수시설의 인수인은 체육시설업자와 회원 간에 약정한 사항을 포함하여 그 체육시설업의 등록 또는 신고에 따른 권리·의무를 승계한다고 판단하였다. 대상판결은 체육필수시설이 일괄하여 인수인에게 이전되는 경우 회원에 대한 권리·의무도 승계된다고 보는 것이 법률의 목적에 부합하고, 담보신탁에 따른 공매나 수의계약으로 체육필수시설이 이전된 경우에도 회원에 대한 권리·의무의 승계를 인정하는 것이 문언해석에도 부합하며, 이러한 해석은 입법 연혁과 경위에서 알 수 있는 입법자의 의사에도 부합한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또한 담보신탁의 기능 등에 비추어 그에 따른 공매 등은 저당권 등 담보권 실행을 위한 경매 절차 등과 구별하여 다루어야 할 만큼 실질적인 차이가 없고, 담보신탁을 근거로 한 공매 절차에서 도산격리 효과를 일부 제한하여 체육필수시설의 인수인에 대해 입회금반환채무를 포함한 권리·의무의 승계를 인정하는 것이 이익형량의 관점에서도 타당하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대상판결은 체육필수시설에 관한 담보신탁계약에서 정한 공매나 수의계약으로 체육필수시설이 일괄하여 이전되는 때에 체육필수시설의 인수인은 체육시설업자와 회원 간에 약정한 사항을 포함하여 그 체육시설업의 등록 또는 신고에 따른 권리·의무를 승계한다고 판시한 최초의 판결이다. 이 판결로써 체육시설업자와 이용관계를 맺은 다수 회원의 이익을 보호하려는 체육시설법 제27조의 입법 목적을 실현하는 데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Article 27 Parag. 1 of the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Sports Facilities Act (hereinafter “Sports Facilities Act”) provides that the rights and obligations are inherited upon the registration or reporting of the sports facility business not only in cases of inheritance and merger but also in cases of business transfer. Furthermore, the Act stipulates under Parag. 2 that Parag. 1 applies mutatis mutandis to a person who acquires essential facilities in compliance with the facility standards for sports facility business (hereinafter “essential sports facilities”) through an auction or other similar procedures. In a case where businesses of sports facility business entities or essential sports facilities are transferred to others in the above manner, a transferee of the business or a person who acquires the essential sports facilities succeeds to not only the rights and obligations under public law, created in relation to the sports facilities business, but also the rights and obligations arising from a private agreement forged between the sports facilities business entity and its members. Where a sports facility business entity creates a security trust of the essential sports facility for security purposes in accordance with the Trust Act, but fails to pay back a loan it borrowed against the relevant essential sports facility, the pertinent essential sports facility may either be sold by means of open competitive bids (hereinafter “public sale”) or by a negotiated contract pursuant to the conditions of public sale prescribed at the public sale proceedings, through which it is transferred en bloc. What becomes a matter for concern is whether the rights and obligations towards the members of the pertinent essential sports facility are inherited as well. The subject case pertains to a question of whether an acquirer of the essential sports facilities, including the golf course land and buildings, which are transferred en bloc pursuant to a negotiated contract based on a security trust, succeeds to the sport facility business entity's obligation to return a security deposit for membership. In an en banc decision, the Supreme Court of the Republic of Korea held that a person who acquires the essential sports facility also succeeds to the rights and obligations upon the registration or reporting of a sports facility business, including the matters agreed upon between the sports facility business entity and its members, in light of (i) the language and text and the structure of Article 27 of the Sports Facilities Act, (ii) its legislative history and its purpose, and (iii) the practical function of a security trust. The subject case cited the following as the grounds for its determination: (i) it conforms to the legislative purpose to deem that the rights and obligations towards the members are inherited by the acquirer of the essential sports facility transferred en bloc; (ii) it is more aligned with the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law to deem that the rights and obligations towards the members are inherited where the essential sports facility is transferred by a public sale or a negotiated contract based on security trust, and such an interpretation is consonant with the legislative intent demonstrated through the legislative history and process. Furthermore, the court argued that there is no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a public sale based on security trust and an auction procedure for exercise of a security right, such as a mortgage, in light of the function of security trust, and that it is more reasonable from the standpoint of balancing of interests to restrict, to some extent, the effect of bankruptcy remoteness in a public sale proceeding based on security trust, thereby recognizing the succession of the rights and obligations, including the obligation to return a security deposit for membership, by a transferee of an essential sports facility. The subject case marks the first ruling explicitly stat...

      • KCI등재

        병원사업에 있어서 “필수유지업무”에 관한 법리적 검토

        박경춘 대한의료법학회 2009 의료법학 Vol.10 No.2

        This paper is to discuss essential business of hospital business. While the labor world and ILO made continuous recommendation for improvements towards the compulsory arbitration system along with the controversy over unconstitutionality of the system,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system is constitutional on December 23, 1996(90hunba19) and on May 15, 2003 (2001hunga31). Despite this decision from the Constitutional Court, there has been much controversy over whether the compulsory arbitration system infringes the rights of collective action against the principle of trade union & labor relations adjustment which allows Commissioner of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to decide on submission of arbitration by virtue of his/her authority in case where industrial disputes take place in the essential public-service businesses. The revision on the above provision was closely examined from the year 2003 and an agreement was made on the abolition of the compulsory arbitration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essential business with a grand compromise among labor unions, employers and the government on September 11, 2006 followed by revision(Essential business system enacted on January 1, 2008) of the Trade Union &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on December 30 in the same year. Accordingly, in order to perform the essential business, parties to labor relations must have an agreement or obtain a decision by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before taking industrial actions. This paper firstly examined the concept of essential public-service businesses and essential business, legal meaning of essential business, procedures for making agreement and decision and legal effects. Secondly it intensively explored a theory against the principle of the legality which was raised from some part of society. In other words, it is claimed that a theory against the principle of the legality is not consistent with the rule of legislation and some abstract wording is against void for vagueness doctrine because part of crime constitution requirements is delegated to the Presidential Decree or to consultation among parties to labor relations. But analysis on the rule of legislation and void for vagueness doctrine reflected in the decisio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led that argument for a theory against the principle of the legality is not reasonable. Close examination was done on a formal act of essential business agreement and necessity of prior agreement before submission of decision to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which might have difficulties in performing work. In addition, an example agreement on hospital essential business is attached to help you understand this paper better.

      • KCI등재

        必須公益事業의 代替勤勞 許容에 關한 硏究

        이창진(Lee Chang-Jin)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法學論叢 Vol.18 No.-

        2006.9.11 선진화 방안이 노사정에서 전격 합의되고 국회를 통과하여 개정 입법하였다. 지난 2006.12.30. 법률 제8158호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 일부 개정되었는데. 그 중 가장 대폭적인 개정이 있었던 부분은 필수공익사업에서의 쟁의행위의 제한에 관한 것이다. 국내외적으로 노동자들의 파업권을 원천적으로 봉쇄한다는 비난을 받아오던 필수공익사업에서의 직권중재조항을 폐지하는 대신공익과 파업권의 조화를 이룬다는 이유로 필수공익사업의 범위를 확대하고, 그 필수공익사업에서의 쟁의행위시에도 반드시 유지ㆍ운영되어야 하는 필수유지업무를 도입하고, 또한 필수공익사업에서 쟁의행위가 발생한 경우 파업참가자의 50/10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체근로를 허용하는 것이 그 주요내용이라고 할 것이다. 이번 노사관계 선진화 입법내용에서 개정배경을 보면 필수공익사업의 직권중재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필수공익사업중 필수유지업무 대상이 아닌 업무의 경우 파업이 전면 허용되어 공익보호의 관점에서 보완방안 마련이 필요하여 개정한다는 취지이며, 노사대등성 확보를 통해 필수공익사업의 파업시 공익보호를 강화한다는 기대효과도 있다. 외국에서는 사용자의 영업의 자유차원에서 쟁의행위 기간중의 대체인력 사용에 대해 일반적으로 제한을 두지 않고 있으며, ILO는 대체근로와 관련하여 일관된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으나 업무중단에 의해 긴박한 위기가 초래될 수 있는 서비스 내지 산업에 한하여, 그 정상적인 운영을 보장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만 허용될 수 있다는 입장과 입법 가이드라인에서는 파업참가 근로자가 복귀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쟁의행위 기간 중에도 사용자는 사업을 계속 운영할 자유를 가지며 이러한 자유에는 원칙적으로 채용의 자유가 포함된다. 다만, 현행 노조법은 쟁의권 보호의 차원에서 당해 사업과 관계없는 자(이하 외부인이라 함)를 채용하거나 대체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그리고 파업으로 근로관계는 일시적으로 중단될 뿐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파업종료후 근로자의 복귀가 보장된다. 그렇지만 근로자들에 대한 쟁의권 보장과 사용자에 대한 사업 계속의 자유 보장이나 공익 보호간에는 적절한 균형이 유지되어야 하고, 어느 한쪽에 대한 과도한 제한이나 침해는 허용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적어도 외부인에 의한 일시적 대체근로를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필수공익사업의 필수유지업무에 대해서는 파업중이라도 공익을 위해 그 업무의 중단이 초래되어서는 아니 되며 이를 위해 대체근로가 허용되어야 한다. 그리고 일반(민간)기업의 경우 대체근로를 제한하는 현행법의 내용은 전체적인 노사간의 힘의 균형 확보라는 차원에서 유지되어야 하나, 궁극적으로 향후 성숙된 노사관계 바탕에서는 대체근로를 법으로 제한할 필요 없이 노사 자율에 맡겨 단체협약 등 자치법규를 통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An advancement program for labor-management relation had been dramatically agreed at the Tripartite Committee of labor, management and government on Sept. 11, 2006 and legislated with amendment after being passed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Parts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had been amended as the Law No. 8158 on Dec. 30, 2006, of which the most drastic amendment was the restriction on the dispute activities for the essential public utilities . It main contents could be explained that instead of abrogating the compulsory arbitration term for the essential public utilities that had been criticized from domestic and abroad as it fundamentally blocks up the right to strike of the labors, it expands the scope of the essential public utilities as a reason to harmonize the public interests and the right to strike, introduces the essentially maintained services to be necessarily maintained and operated even when the dispute activity is performed on such essential public utilities, and permits the substitute labor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exceed more than 500/100 of the participants into the strike when any dispute activity occurs on such essential utilities. The background of amendment on the legislation contents of this advancement program of the labor-management relation intends to amend the term sinc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omplement program in view of protecting public interests when the strikes against the services that are not subject to the essentially maintained services from the essential public utilities are completely permitted as the compulsory arbitration term was abrogated, and has an expected effect to reinforce the protection of public interests through securing equality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upon dispute activity on the essential utilities. The foreign countries generally do not restrict on using the substitute labors during dispute period to the context of free sales of the employer, while ILO doesn't have any consistent standards related to the substitute labors but maintains standpoints that for such services or industries that may cause any emergent crisis due to stopping of works, it may be permitted only when it is required to ensure a normal operation, and that as a guideline of legislation, it is required to guarantee the right to return to the work for the labors who have participated to the strike. During the dispute period, the employer has a freedom to continue to operate its business and such freedom includes the one to employ in principle. However, the current Labor Union Act restricts that it may not employ or substitute any one who has no relation to the business (hereinafter referred to "outsider") to the context of protecting the right to dispute. In addition, from a point of view that the labor relation does not end but temporarily stops due to the strike, the recovery of the labors is guaranteed after finishing the strike. Nevertheless it is required to maintain a reasonable balance between guarantee of the right to dispute for the labor and guarantee of the freedom to continue business for the employer or protection of the public interests, and any excessive restriction or infringement to anyone party shall not be permitted.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likely to say that at least to permit the temporary substitute labor by the outsiders would be a desirable direc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essentially maintained services from the essential public utilities shall not be caused any interruption of works even in striking and shall be permitted for the substitute labors for the public interests.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general (private) businesses, the terms of the current law to restrict the substitute labor are to be maintained to the context of securing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labor and management, however, eventuality it would be desirable to manage it through the self-regulations such as a collective agreement

      • 필수유지업무제도 운영상의 쟁점 및 과제

        최현수(Choi Hyunsoo)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1 노동연구 Vol.21 No.-

        필수유지업무제도는 노ㆍ사ㆍ정 이해당사자 모두가 수긍할 만한 취지로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병원사업에서는 협정을 체결해야 할 대상 사업장 중 30%(2009년 말 기준)가 협정을 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노동위원회의 결정을 받은 대부분의 병원사업장에서 행정소송이 진행 중에 있으며, 심지어 필수유지업무제도 자체의 폐기 주장과 헌법소원까지 제기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필수공익사업장 중 가장 많은 병원사업의 필수유지업무 유지ㆍ운영수준, 협정 체결의 경과, 체결현황, 필수유지업무의 자율협정 체결사례 및 노동위원회의 필수유지업무 결정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노조법시행령 제22조의2(필수유지업무의 범위) [별표 1] 관련, 현재 필수유지업무로 규정된 업무 외에 非필수유지업무 중 재활치료업무, 병원 전산업무, 원무관리업무의 포함가능성에 대한 검토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근로자의 단체행동권과 기업(병원)의 재산권ㆍ영업권은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권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는 점에 이론(異論)이 없다. 그러나 그것이 국민의 생명과 신체의 안전이라는 기본권(공익)과 충돌할 경우에는 기본권 중의 기본권이라 할 수 있는 생명과 신체의 안전이 우선적으로 보호되어야만 한다. 노ㆍ사 모두가 인식해야 할 것은, 필수유지업무제도를 도입한 근본 이유는 노ㆍ사 당사자의 권리를 보호하려는 것이 아니라, 공익과 제3자인 일반국민의 생명과 신체의 안전을 보호하려는 것임을 상기해야 할 것이다. The Minimum Service system was introduced in January 1st 2008 and has since been implemented in Korea. The Minimum Service system was established by the agreement of Tripartite-workers, employers, and the government in the need for reflective consideration of the “ex officio arbitration” system that, when industrial disputes arose from essential public services, allowed a state to previously or fully restrict labour union’s right of collective action and to force to terminate those disputes. This study analyzes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s decisions on the levels of minimum services to be maintained and provided in the hospital industry. The study looks at how reasonable and professional such decisions are, the level of balance between the public interest and the right to collective action, the degree of compliance with minimum service agreements to identify problems and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 KCI등재

        필수유지업무제도의 운영상 문제점과 법·제도 개선방안

        문무기(Moon, Moo-gi)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연구 Vol.62 No.1

        필수유지업무제도는 노동기본권(파업권)과 공공의 이익 사이의 조화·균형을 모색하기 위하여 종전의 직권중재제도를 대신하여 새롭게 도입된 제도이다. 그런데 10여 년간 노동현장에서의 시행 과정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근로자들의 파업권을 실질적으로 형해화(形骸化) 할뿐만 아니라, 저항적 성향의 노동운동의 존재 자체를 위협하는 커다란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부작용 및 현실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필수유지업무제도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으로서, 먼저 노동위원회 필수유지업무 매뉴얼의 개정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필수유지업무 결정 신청의 당사자 범위 내지 그 적격성을 엄격히 제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노동위원회의 관할범위를 중앙노동위원회 중심으로 재조정하는 한편, 특별조정위원회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적극적으로 제고하여야 한다. 아울러 특별조정위원회 개최 전 조사방식 및 처리기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필수유지업무 결정의 정당성을 확보함으로써 노동기본권(파업권) 보장의 실효성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개정 사항으로는 먼저, 필수공익사업의 개념에서 국민경제 침해라는 요소를 배제하여야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에 대하여 필수유지업무 협정체결 의무를 부과하고, 필수유지업무 유지율의 상한을 합리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중앙노동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필수유지업무 결정 절차를 진행토록 하는 한편, 필수유지업무심의위원회(가칭)와 같은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기구를 조직·운영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The Essential Services Maintenance System had introduced for harmony and equilibrium between the Right to Strike and Protection of Public Interest, removed Compulsory Arbitration Scheme. But the Distortion in course of beginning Operation in the past 10 years, has revealed not only the loss of Workers’ Right to Strike but also the threat to Forfeiture of Resisting Labor Movement in Public Sector. For getting over the distortion or operational problems, the Amendment of Essential Services Maintenance Manual has required for National Labor Relations Committee. Especially, the restriction of Contracting Parties in Application of Essential Services Maintenance Decision, the resettlement of Jurisdiction Sphere of Labor Relations Committees will be required. And the specialty and impartiality of Mediation Committee for Essential Services Maintenance should be improved greatly. The improvement of Investigation Methods and Period Reduce of Mediation Committee, the establishment of Legitimacy of Essential Services Maintenance Decision will improve practical effect of Fundamental Labor Rights. For the Amendment of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the notions of National Economy should be eliminated in the concept of Essential Public Services Enterprises. And the Duty of the conclusion for Essential Services Maintenance Agreement would be needed to impose to Employers. The setting up an upper limit of Sustenance Rate for Essential Services Maintenance, taking the lead National Labor Relations Committee in Essential Services Maintenance Decision Process, running a neutral Council for Essential Services Maintenance System would be considered for the amendment of law too.

      • 필수설비이론과 지적재산

        김병일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07 Law & technology Vol.3 No.4

        ‘필수설비이론(essential facility doctrine)’이란 어떤 사업에 필수설비를 보유한 자가 경쟁자에 대하여 평등 또는 합리적인 조건으로 그 설비를 제공해야만 하고, 당해 설비의 접근을 부당하게 거절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독점금지법상 위반이 된다는 이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업자에게는 거래상대방의 선택에 대한 자유가 인정되므로 단독의 거래거절은 원칙적으로 위법이 되지 아니하지만, 필수설비이론에 의하면, 필수설비를 보유한 독점기업은 다른 기업의 활동에 필수적인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강제될 수 있다. 필수설비의 제공거절은 기존의 사업자가 시장으로의 신규참여자에 대하여 주로 사회간접자본의 투자에 의해서 형성된 철도망, 지역적 전기공급망, 공항시설, 전화망, 통신망 등의 제공을 거부한 사안에서 특히 문제가 되었다. 최근에는 필수설비 개념을 SW나 기술표준과 같은 무형부분까지 확장하고자 함에 따라 지적재산권법과 경쟁법간에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왜냐하면 필수설비이론은 필수설비 보유자의 재산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고 해당설비에 대한 투자유인을 감소시킬 소지도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우선 필수설비이론의 의의와 전개과정을 미국과 유럽의 판결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어서 지적재산분야에서의 필수설비론의 구체적인 의의와 그 한계를 최근 사례에 기초하여 살펴본다. The Application of the essential facilities doctrine to intellectual property has been criticized in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and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recently had to reconsider application of Sec. 2 Sherman Act and Art. 82 EC, respectively, to situations concerning a refusal to deal. Both decisions adopt a narrow reading of former case-law and thereby restrict the possibility to invoke antitrust and competition laws in situations in which a market-dominant right holder refuses to license an intellectual property right to competitors. his study examines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ruling in IMS Health GmbH & Co OHG v NDC Health GmbH & Co KG (C-418/01) on the circumstances in which a compulsory licence of intellectual property will be ordered, looking at whether the ruling has extended the doctrine of compulsory licensing and considers the implications of the US Supreme Court ruling in Verizon Communications Inc v Law Offices of Curtis V. Trinko LLP for the future alignment of essential facilities and compulsory licensing in the US. This study further advocates not only cautious application of antitrust and competition laws whenever market imperfections make it impossible for competitors to attack the dominant position of an incumbent firm with new and innovative products, but deliberate solution to balanc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competition law.

      • KCI등재

        노조법상 필수유지업무제도에 대한 소론(少論)

        박은정(Eunjeong Park) 한국노동연구원 2009 노동정책연구 Vol.9 No.2

        본고는, 노조법상 대체근로허용에 관한 법규정을 포함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필수유지업무 관련 법규정을 이해하면서 분석하고자 하는 글이다. 그래서 먼저 필수유지업무제도의 이해를 위하여 필수공익사업 및 필수유지업무 자체의 개념과 규정체계를 분석하였다. 이것은 필수유지업무제도 관련 법규정의 타당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나서 필수유지업무협정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와 함께 필수유지업무협정이 체결되지 않을 경우 진행되는 노동위원회의 결정절차의 성격을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로, 필수유지업무제도의 기초가 된 ILO의 필수서비스와 최소서비스 개념을 살펴봄으로써 현행 필수유지업무제도가 국제노동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필수유지업무와 형사책임의 문제 및 필수유지업무 관련 법규정에 대한 죄형법정주의 위반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모두 현행 노조법규정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이다. 물론 본고에서 다룬 주된 네 가지의 논점 이외에도 여러 가지 복합적인 절차적 문제들을 추가해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고는 논의의 범위를 제한하여, 절차적 문제보다는 그 이외의 것들에 대하여 초점을 맞췄다.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exiting laws of Korea concerning the minimum services to be maintained, including the provisions permitting replacement in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First of all, it analyzes the concepts and systems of provisions of the essential public works and minimum services to be maintained themselves to understand the minimumservices-to-be-maintained system as well as to verify adequacy of the laws concerning the minimum-services-to-be-maintained system. Secondly,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decision procedure of labor relations committees which kicks in when agreements on minimum services to be maintained is not concluded. Thirdly,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s of essential service and the minimum service of ILO forming the basis of the minimum-services-to- bemaintained system, and thereby checks whether the current minimumservices-to-be-maintained system satisfies international labor standards. Finally, it studies the problems of essential service and criminal liability and the laws concerning minimum services to be maintained violating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 All of these problems are to be raised when checking the existing provisions of 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Of course, it is possible to analyze various complex procedural problems apart from four of the main issues pursued in this paper. This paper, however, sets limits on the range of discussion to focus on the problems other than the procedural ones.

      • KCI등재

        COVID-19 재난과 필수노동자: 필수노동자 개념틀과 지원정책 제안

        이승윤,백승호 참여연대 2022 시민과세계 Vol.- No.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nceptual framework to define essential workers, and to propose policies to support essential workers at the level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o this end, the concept of essential workers and policy support measures used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ajor countries were reviewed. In this study, policies of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and Canada were reviewed as countries that provided policy support for essential workers at the time when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began to spread, and then Korea's legislation and support policies were review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cussions on essential workers, first, essential workers shared the conceptual properties of ‘workers who must appear physically at the workplace’ or ‘workers working at the forefront of the risk of COVID-19 infection’.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o define essential workers based on two criteria: whether it is an essential business and the inevitability of face-to-face work. Based on these criteria, it is suggested that the designation of essential industries should be comprehensively determined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but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policy support targets in consideration of the industrial composition and scale of the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in this study, the policy direction to support essential workers was proposed by dividing the support policy at the daily level and the support policy in times of disaster. 본 연구의 목적은 필수노동자를 분류하고 정의하기 위한 개념적 틀과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차원에서의 필수노동자 지원정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필수노동자의 개념에 대한 국제기구 및 주요국, 그리고 한국에서의 논의를 살펴보고, 필수노동자가 어떻게 정의되고 범주화되는지 검토한다. 다음으로, 구체적으로는 주요국의 필수노동자 지원정책과 한국의 필수노동자 지원정책 내용을 살펴본다. 국내외에서 필수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입법과 정책적 논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한 결과 먼저 필수노동자(Essential worker)는 ‘노동 현장에 물리적으로 나타나야만 하는 노동자’, 혹은 ‘COVID-19 감염위험의 최전방에서 종사하는 노동자’라는 개념적 속성을 공유하고 있었다. 다만, 필수노동자의 어떤 속성에 보다 초점을 두는가에 따라 서로 다르게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필수업종 여부와 대면 노동의 불가피성이라는 두 가지 기준으로 필수노동자를 개념정의 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필수업종의 지정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포괄적으로 결정하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는 해당 지자체의 산업구성 및 규모를 고려하여 정책적 지원 대상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 차원의 지원정책과 재난 시기의 지원정책으로 나누어 필수노동자 지원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