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필드하키 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과 팀 응집력 및 팀 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윤서진,최은영,황승현,장태석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0 코칭능력개발지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필드하키 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과 팀 응집력 및 팀 효과성의 관계를 검증한 후 필드하키 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리더십행동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팀 응집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3월부터 6월까지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필드하키 선수들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총 236부의 자료를 IBM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주요 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성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과 주요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 마지막으로 모형의 적합도 및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과 팀 효과성 관계에서 팀 응집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필드하키 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은 팀 효과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필드하키 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은 팀 응집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필드하키 선수들의 팀 응집력은 팀 효과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필드하키 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팀 응집력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필드하키 팀 조직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서는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과 팀 응집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힘쓰는 필드하키 선수들과 지도자에게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과 팀 응집력, 팀 효과성에 대한 이해와 정보를 제공하며, 심리적 요인의 중요성을 밝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필드하키 활성화를 위한 핵심 과제키워드 도출 : 키워드네트워크분석의 적용

        이금주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이 연구는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필드하키 지도자를 대상으로 필드종목 육성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종목 활성화를 위한 핵심과제 키워드를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드하키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Krkwic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키워드 정제 및 키워드네트워크분석을 위한 매트릭스 행렬을 작성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은 Netminer 4.3.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드하키 지도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필드하키 육성의 문제점에 대한 핵심키워드는 선수수급, 학부모, 진로, 진학, 교육 등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필드하키 활성화를 핵심과제 키워드는 선수영역, 지도자영역, 협회영역, 기타영역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영역별 1순위 핵심과제키워드는 선수영역의 경우 선수선발, 지도자영역의 경우 역량, 협회영역은 기업, 기타영역에서는 아이디어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가 우리나라 필드하키 종목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도출 및 중장기적 발전 과제 수립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blems to derive key task keywords for field hockey activity in Korea. To achieve this go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field hockey coach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prepared using the Krkwic software program to prepare a 1mode-matrix for keyword network analysis. to Network analyze Netminer 4.3 was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key keywords regarding field hockey development problems recognized by field hockey coaches were derived from Recruiting players, parents, career, course, and education. Second, the key task keywords for field hockey activation are divided into the player area, coach area, Korea Hockey Association area, and other areas. Specifically, the key priority keywords for each category were athlete selection in the athlete area, competence in the coach area, and idea keywords in the corporate and other area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rive improvement plans for the activation of field hockey in Korea and to establish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projects.

      • KCI등재

        필드하키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팀 성과의 관계에서 스포츠우리성의 다중매개효과

        임정우 ( Lim Jungwoo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3 스포츠사이언스 Vol.41 No.3

        본 연구는 필드하키 선수가 인식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팀 성과의 관계에서 스포츠 우리성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한체육회에 선수로 등록된 필드하키 선수 2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26.0,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수행된 연구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드하키 선수가 인식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는 팀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필드하키 선수가 인식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는 스포츠 우리성의 하위요인 생활수평, 수행수평, 수행수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필드하키 선수의 스포츠 우리성의 하위요인 수행수직은 팀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스포츠 우리성의 하위요인 수행수직은 필드하키 선수가 인식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과 팀 성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지도자의 민주적이고 자율적인 팀 분위기 형성은 스포츠 우리성과 팀 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팀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과 스포츠 우리성에 대한 내용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multi-mediating effect of sports W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autonomy support and team performance as perceived by field hockey play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37 field hockey players registered with the Korea Sports Council,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AMOS 18.0 programs. The main research result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ader’s support for autonomy perceived by field hockey players has a positive (+) effect on team performance. Second, the leader’s support for autonomy perceived by field hockey players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sub-factors of sports weness, team life-horizontal, team performance-vertical, and team performance-horizontal. Third, the team performance-vertical, a sub-factor of sport weness has a positive (+) effect on team performance. Fourth, team performance-vertical, a sub-factor of sports weness, i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autonomy support and team performance perceived by field hockey players.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eader’s democratic and autonomous team atmosphere has a positive effect on sports performance and team performance. Therefo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the leader’s leadership type and sports personality as a strategy to improve team performance.

      • KCI등재

        필드하키 선수들의 의사소통과 정서조절 및 팀효과성의 관계

        윤서진,최은영,장태석 한국여성체육학회 2019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emotional regulation, and team effectiveness in field hockey athletes. 207 field hockey athletes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responded to questionnaires which consisted of communication, emotional regulation, and team effective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analysis with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significant level of hypothesis verification was set up as α=.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had positive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Second, communic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emotion regulation. Third, emotional regulation affected positively on team effectiveness. Lastly, emotional regulation mediated significantl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team effectivenes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communication and emotion regulation are critical factors for improving team effectivenes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필드하키 선수들의 의사소통과 정서조절, 팀효과성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9년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필드하키 선수들을 비확률 표집방법 중 편의표집에 의해 무응답, 이중기입, 편향적 기입을 제외하고 총 20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IBM SPSS 23.0와 AMOS 23.0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정방정식을 실시하여 다음과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필드하키 선수들의 의사소통은 팀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필드하키 선수들의 의사소통은 정서조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필드하키 선수들의 정서조절은 팀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필드하키 선수들의 의사소통과 팀효과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팀원의 공통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팀 내 원활한 의사소통과 개인의 정서조절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Rasch모형을 적용한 필드하키 선수의 포지션별 경기력 평가모형 개발

        이정재,박재현,전민수,윤효준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by position for field hockey players. Specifically, evaluation variables were selected for each position to evaluate performance of field hockey players, and finally,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variables was developed. In order to select the evaluation variables by posi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preceding research on the field hockey and the open questionnaire for athletes, and then a professional group was formed to select 10 performance evaluation variables by pos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149 field hockey players to calculate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variables, and the difficulty value of the evaluation variables was calculated using the Rasch model. Finally, the weight of the evaluation variable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extended Angoff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attacker's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is Y = 6.00 (positioning) + 5.25 (trapping) + 4.58 (shielding) + 4.10 (press) + 3.98 (forehand shooting) + 3.86 (moving) + 3.50 (dribble) + 3.32 (tackle) + 3.02 (pass) + 1.00 (reverse shooting). Second, mid-fielder’s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is Y = 4.00 (positioning) + 2.95 (man to man) + 2.74 (trapping) + 2.26 (hit) + 2.26 (scoop) +1.80 (moving) + 1.59 (slap hit) + 1.28 (dribble) + 1.00 (tackle). Third, defender’s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is Y = 4.00 (man to man) + 3.85 (pass) + 3.36 (hit) + 2.30 (tackle) + 2.30 (scoop) + 1.89 (press escape) + 1.85 (trapping) + 1.32 (shielding) + 1.30 (slap hit) + 1.00 (push).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fair selection of players as well as improvement of their performance through a reasonable evaluation of players' performance in the field hockey field. 이 연구의 목적은 필드하키 선수의 포지션별 경기력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필드하키 선수의 경기력 평가를 위해 포지션별 평가변인을 선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평가변인의 중요도를 고려한 경기력 평가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포지션별 평가변인을 선정하기 위해 필드하키 선행연구와 선수들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전문가집단을 구성하여 포지션별 경기력 평가변인 10개를 선정하는 절차를 거쳤다. 평가변인의 중요도를 산출하기 위해 필드하키 선수 1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평가변인의 난이도값을 산출하였다. 최종적으로 확장된 Angoff 방법을 적용하여 평가변인의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수의 경기력 평가모형은 Y = 6.00(위치선정) + 5.25(트래핑) + 4.58(쉴딩) + 4.10(프레스) + 3.98(포핸드슛팅) + 3.86(무빙) + 3.50(드리블) + 3.32(태클) + 3.02(패스) + 1.00(리버스슛팅) 이다. 둘째, 미드필더의 경기력 평가모형은 Y = 4.00(위치선정) + 2.95(맨투맨) + 2.74(트래핑) + 2.26(히트) + 2.26(스쿱) + 1.80(무빙) + 1.63(푸쉬) + 1.59(슬랩히트) + 1.28(드리블) + 1.00(태클) 이다. 셋째, 수비수의 경기력 평가모형은 Y = 4.00(맨투맨) + 3.85(패스) + 3.36(히트) + 2.30(태클) + 2.30(스쿱) + 1.89(탈압박) + 1.85(트래핑) + 1.32(쉴딩) + 1.30(슬랩히트) + 1.00(푸쉬) 이다. 이는 필드하키 현장에서 타당한 선수 경기력평가를 통해 공정한 선수 선발은 물론 경기력 향상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여성 운동선수의 월경 특성과 스포츠 경기력: 엘리트 여성 필드 하키선수들의 경험과 인식

        이금주(Kum-Joo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1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3 No.4

        이 연구는 여성 운동선수의 월경 특성과 스포츠 경기력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엘리트 여성필드하키 선수들의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월경의 특성에 따른 스포츠 경기력을 분석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대한하키협회에 등록된 206명(중학생 31명, 고등학생 53명, 대학/일반 121명)의 여성필드하키선수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도구는 여성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수행한 월경특성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이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설문문항을 구성하였고,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내용적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자기응답기입법에 따라 설문을 진행하였고, 미성년 학생 선수들에게는 보호자로부터 동의를 구하였다. SPSS와 NetMiner 프로그램을 분석에 적용하였고, 가설검증은 α는 .0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필드하키선수의 초경 연령을 점차 빨라지며, 20대 이후 대학/일반 선수들이 월경 증상에 대하여 약을 복용하는 방법으로 대응하는 비율이 높다. 둘째, 여성필드하키선수의 경험과 인식을 근거로 분석한 결과 여성 운동선수는 월경에 따라 자신감의 결여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두드러진다. 월경 기간 중 스포츠 경기력 관리를 위한 심리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월경 주기가 규칙적인 여성필드하키선수일수록 월경 기간 중 훈련의 질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건강한 월경 사이클 관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strual characteristics and sports performance of female athletes. Specifically, the sports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nstruation was analyzed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elite female field hockey play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206 female hockey players (31 middle school students, 53 high school students, 121 college/senior players) registered with the Korea Hockey Association.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carried out the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self-response method. SPSS and NetMiner programs were applied to the analysis, and hypothesis testing was set to α as .05. The conclusions of the dl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narche age of female hockey players gradually faster. Second, the negative effects of lack of confidence in female athletes according to menstruation are prominent. Third, the female hockey player with regular menstrual cycle perceived the quality of training more positively during the menstrual period.

      • KCI우수등재

        필드하키 인조잔디구장 만족도 연구 : (국내 설치된 FIH Preferred Supplier 인조잔디구장을 중심으로)

        서일한,김선희,김범 한국체육학회 2022 한국체육학회지 Vol.61 No.3

        이 연구에서는 필드하키 인조잔디구장 실태를 알아보고, 선수들이 인식하는 인조잔디 만족요인과 시설만족 및 재이용의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달성을 위하여 필드하키 선수들을 대상으로 2021년 6월21일부터 7월31일까지 6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410명의 설문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자료를 토대로 하여 SPSS 24.0, AMOS 24.0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기술통계분석,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요인이 시설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자인요인은 시설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력 요인은 시설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설만족은 재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필드하키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함께 안전 및 친환경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동시에 시설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따른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비인기종목으로 머물고 있는 필드하키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을 하였다는 점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 KCI등재

        실시간 GPS 모니터링을 통한 국가대표 여자 필드하키 선수들의 포지션별 움직임 분석(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대비)

        민석기 ( Seok Ki Min ),임승택 ( Seung Taek Lim ),송주호 ( Joo Ho Song ),송홍선 ( Hong Sun Song ),김영수 ( Young Soo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3

        필드하키 경기는 선수들의 유기적인 움직임이 중요하고 포지션에 따른 움직임의 정량화는 전술적인 완성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본 연구는 실시간 GPS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국가대표 여자 필드하키 선수들의 연습경기와 실제 시합의 포지션별 움직임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경기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2014 인천 아시안게임 국가대표 여자 필드하키 선수 15명(수비: 4명, 미드필터:6, 공격수: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시안게임 전 연습시합 10경기와 2014 인천 아시안게임 5경기의 평균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습경기의 경우 3, 4, 5, 6 zone에서 미드필더 > 공격수 > 수비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아시안게임의 경우 3, 4, 5 zone에는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6 zone에서는 공격수 > 미드필더 > 수비수 순으로 나타났다. 쿼터별 포지션 간 총 이동 거리의 변화는 연습 경기보다 아시안 게임에서 모든 포지션에서 증가하였다. 실제시합에서 총 이동거리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GPS 실시간 모니터링은 선수들의 포지션별 움직임을 분석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analysis of movement in elite field hockey players regarding positions using real-time GPS monitoring for compared training game and 2014 Incheon Asian Games. Fifteen elite women field hockey players (Defender: 4, Mid-fielder: 6, and Forward: 5)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re were 2014 Incheon Asian Games Korean national team. Real-time GPS system analysis was completed during 10 training game appearances 5 2014 Incheon Asian Games appear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training game mid-fielder>forward>defender for 3, 4, 5, and 6 zone at speed zone by moving distance, in 2014 Incheon Asian Games forward> mid-fielder>defender for 6 zone at speed zone by moving distance. And moving distance by quarter increased all position in 2014 Incheon Asian Game more than training game. Therefore, These data might be useful to analysis of movement in field hockey players. Moreover improved performance and individual exercise ability by feedback for players distance, heart rate, and exercise trajectory. Thus, Gold-medal won at the 2014 Incheon Asian Games in field hockey.

      • KCI등재

        국가대표 필드하키선수들의 허리의 시각적 상사 척도와 오스웨스트리 및 허리 근력의 스포츠 융합분석

        김현철,박기준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analogue scale(VAS) of the waist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ODI) and the muscle strength of the waist for male field hockey athletes. The VAS and ODI were conducted by self-written evaluation, and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by using DAVID. Pearson correlation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α = .05. The VAS of the waist of male field hockey athletes and the ODI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other VAS and the ODI did not correlate to the strength of the lower back.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exercise program for the rather than strength training during the waist rehabilitation exercise. It is thought that these studies will serve as basic data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treatment and exercise programs for athlet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가대표 남자 필드하키선수들을 대상으로 허리의 시각적 상사 척도와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 및 허리의 근력 간의 상관관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각적 상사 척도와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는 자기 기입식 평가로 진행하였으며, 허리의 근력을 DAVI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피어슨의 적률상관관계를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05로 하였다. 연구 결과 남자 필드하키선수들의 허리의 시각적 상사 척도와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그 외의 시각적 상사 척도와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는 허리의 근력에 어떠한 상관관계도 없었다. 따라서, 필드하키선수들의 허리 재활운동 시 단순한 근력운동이 아닌 새로운 운동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향후 선수들의 치료 및 운동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간헐적 운동 후 타트체리 쥬스 섭취가 엘리트 여자 필드하키 선수들의 회복요인에 미치는 영향

        최민경,정진욱,이기혁,염희옥,박노준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2 체육과학연구 Vol.33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cute tart cherry juice intake on recovery after intermittent exercise in female field hockey athletes. METHODS Sixteen university female field hockey athletes were studied for a total of 3 days. The cohort was divided into 2 groups, placebo group (n=8, PLA) and the tart cherry juice group (n=8, TCJ), Each supplement was consumed 5 times over 48 hours. On the first day of the study, venous blood was collected before the test, and physical fitness variables (20m sprint, 5-0- 5 agility, and Countermovement jump) were perform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Yo-Yo Intermediate recovery test 1 to determine the degree of muscle damage and recovery of physical fitness factors. After all tests on Day 1, supplements (PLA, TCJ) were taken. After 24 hours, venous blood collection was performed, and after 48 hours, venous blood collection and physical element variables were measur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art cherry juice. RESULTS In the TCJ group, a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over time in the 5-0-5 ability among the fitness variable items (p<.001) In Countermovement jump (CMJ),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ver group and time (p<.001). Second, significant effects over group and time were shown in Interlukin-6 (IL-6) among variable items related to muscle damage and inflammation through venous blood collection (p<.05) and LDH (p<.001), and CK (p<.01)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tim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cute tart cherry juice intake after intermittent exercise tends to reduce muscle damage and inflammation-related variables in female field hockey players, which could help them recover quickly, especially after hectic game schedules. [목적] 본 연구는 필드하키 선수들의 간헐적 운동 후 급성 타트체리 쥬스 섭취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었다. [방법] 총 16명의 대학교 여자 필드하키 선수를 대상으로 총 3일 간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그룹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위약 그룹(PLA) 8명, 타트체리 쥬스 그룹(TCJ) 8명으로 총 48시간 동안 각각의 보충제를 총 5회 섭취하도록 하였다. 연구 1일 차에는 안정 시 정맥혈액을 채취한 후, 20m sprint, 5-0-5 agility, Countermovement jump(CMJ)를 실시하였으며 Yo-Yo Intermittent recovery test 1을 통해 모든 선수들의 근육 손상을 유발한 후 또 다시 정맥혈액을 채취를하였다. 1일 차의 모든 테스트가 진행 된 후 각각의 보충제(PLA, TCJ)를 섭취하기 시작하였으며, 24시간 후에는 정맥혈액 채취 실시, 48시간 후에는 정맥혈액 채취 및 체력요소 변인들을 측정하여 타트체리 쥬스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TCJ 그룹에서 체력 변인 항목 중 5-0-5 agility에 있어 시간에 따라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며(p <.001), Countermovement jump(CMJ)에서는 그룹과 시간에 따른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p <.001). 둘째, 정맥혈액 채혈을 통해 근육 손상 및 염증 관련 변인 항목 중 Interlukin-6(IL-6)에서 그룹과 시간에 따른 유의한 효과를(p <.05)보였으며, LDH(p <.001), CK(p <.01)에서는 시간에 따라 염증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필드하키 선수들의 간헐적 운동 후 급성 타트체리 쥬스 섭취가 근육 손상 및 염증 관련 변인들이 감소된 경향을 나타내 회복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특히 국내·외 쉴 틈 없는 경기 일정에서 빠른회복을 도와 경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