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미국경찰채용의 필기시험과 시사점에 관한 연구

        오규철 ( Kyu Chul Oh ) 한국경찰학회 2014 한국경찰학회보 Vol.16 No.1

        최근 강력범죄와 소위 4대악 등 증가하는 치안수요에 대처하기 위한 경찰인력의 부족으로 경찰공무원에 대한 대규모 증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경찰채용 시험제도는 필기시험과 체력검사의 균형적 평가, 필기시험의 공개출제, 경찰직무적격성검사(PMAT)의 도입 등에 의한 다차원적 평가체제의 구축 등 합리적인 평가를 위한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필기시험에 있어서는 시험과목의 빈번한 변경, 문제의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의 단편성 등 여전히 잔존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이 연구에서는 미국경찰채용 필기시험의 특징을 고찰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우리나라 경찰채용시험에 있어서 그 형식적인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필기시험의 보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필기시험을 중심으로 미국경찰 채용시험제도의 절차적 개요를 파악하고, 미국 경찰채용 필기시험의 출제형식·유형·평가요소 등을 고찰함으로써 직무분석에 기초한 특화된 측정도구의 개발, 일반교양과 직무적성평가의 조화, 일관성 있는 필기시험제도, 채용과정과 교육훈련의 연계성 강화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Big-scale increase of police officers has been pursued due to lack of police officers to cope with increasing demands of public orders including violent crimes or 4 major crimes in Korea. In addition, considerable improvement has been achieved in Korean Police Officer Recruitment Test System for reasonable evaluations including balanced evaluation of written test and physical strength examination, open examination of written test, introduction of PMAT(PoliceMan Aptitude Test), resulting in construction of multi-dimensional evaluation system. However, there still remains problems and limitation in written test including frequent change of test subjects, fragmentary feature of contents and forms of questions. In light of thi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eature of written test for recruitment of police officers in USA, to identify meaningful suggestions, and further to explore directions for supplementation of written tests in Korea, which has failed to get out of its red-tape framework.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process of police officer recruitment test system of USA focusing on written test, explored the form, type and evaluation items of written test, and presented suggestions for development of specialized measurement tools based on job analysis, balance of general education and aptitude evaluation, consistent written test system, and reinforced connection of recruitment process, education and training.

      • KCI등재

        변경되는 경찰채용시험의 출제범위에 관한 연구 : 형사소송법 중심으로

        정연균(Jung, Yeon Gyun) 한국공안행정학회 2021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0 No.3

        The police officer recruitment test, especially the written test, for selecting excellent talents has been through numerous revisions since the enactment of the <Police Officer Appointment Ordinance> on January 9, 1969. In order to perform the duties of the police stipulated in Article 3 of the <Act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National Police and Self-Governing Police>, it is said that selecting the right talen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ere are written tests, physical fitness tests, and interview tests in the recruitment test. The written test will be completely reorganized and implemented from 2022. English and Korean history will be implemented as a test system, and police studies, criminal law, and constitutional subjects will consist of a written test.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hanging scope of the Police Recruitment Test under this background. In particular,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e scope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subject, which evaluates criminal procedures that may infringe upon citizens fundamental rights. Prior to the change,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Law> subject covered the entire criminal procedure, that is, investigation-trial-execution, but in the changed police recruitment exam, what is limited to the criminal procedure part, that is, the investigation procedure part, in charge of the police is changed. It is the core of the scope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of the Police Recruitment Test. This study will first look at the general part of the Police Recruitment Test, especially the Police Recruitment Test, which will be changed in 2022, and specifically mention the range of questions for each subject, especially the <Criminal Procedure Law> subject. This study analyzes the tendency of questions in the <Criminal Procedure Law> subject recently taken in the Police Recruitment Test, and suggests the range of questions in the <Criminal Procedure Law> subject suitable for the changing police recruitment exam. As it is a newly implemented subject reorganization, there may be many trials and errors, but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of little help.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경찰공무원 채용시험, 특히 필기시험은 1969년 1월 9일에 근거규정인 <경찰공무원임용령> 제정 이후 수많은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3조에 규정된 경찰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에 맞는 인재를 선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채용시험에는 필기시험, 체력시험, 면접시험이 있지만 경찰임무의 기본적 수행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는 것은 필기시험이라고 할 것이다. 필기시험은 2022년부터 전면 개편되어 시행될 예정인데 영어, 한국사는 검정제로 시행되고 경찰학, 형사법, 헌법과목은 필기시험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하에 변경되는 경찰채용시험의 출제범위에 관한 연구로서 특히, 국민의 기본권 침해우려가 있는 형사절차를 평가하는 <형사소송법>과목의 출제범위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변경되기 전인 현행 <형사소송법>과목은 전체 형사소송절차 즉, 수사-공판-집행부분이 출제범위였는데 변경되는 경찰채용시험에서는 경찰이 담당하는 형사절차부분 즉, 수사절차부분에 한정되는 것이 변경되는 경찰채용시험의 형사소송법 출제범위의 핵심이다. 본 연구는 먼저 2022년에 변경되는 경찰채용시험, 특히 순경채용시험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살펴보고 구체적으로는 과목별 출제범위, 특히 <형사소송법> 과목의 출제범위에 대해 언급하려고 한다. 최근 경찰채용시험에서 출제된 <형사소송법>과목의 출제경향을 분석하고 아울러 변경되는 경찰채용시험에 적합한 <형사소송법>과목의 출제범위를 제시하고자 한다. 새롭게 시행되는 과목개편인 만큼 여러 시행착오가 있겠지만 본 연구가 조그만한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경찰채용시험의 개선방안

        석청호 ( Cheong Ho Seok ) 한국경찰학회 2010 한국경찰학회보 Vol.12 No.1

        경찰의 임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경찰조직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훌륭한 경찰자질과 발전가능성을 가진 지원자들을 경찰관으로 선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오늘날 모든 민주주의 국가들은 경찰채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격성을 갖춘 지원자를 선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끔 일부경찰관의 범죄나 비리 등이 언론에 보도되어 경찰신규채용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다. 우리나라도 최근 발생했던 경찰관 범죄사건 등은 이 점에 있어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이런 배경하에 현행 경찰신규채용, 특히 일반경찰의 순경채용시험과 관련한 문제점을 분석해보고 그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현행 경찰채용시험의 경우 필기시험에 상당한 비중을 두고 있으나 지적능력이 경찰현장에서의 직무수행과의 관계는 검증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여러 분야로 구분하여 채용시험을 실시하지만 각각의 채용시험 목표가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아 시험과목 및 채용조건 등이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한해 여러 차례 구분하여 신규채용하고 있는 경찰시험의 경우 채용부문별로 시험목표를 명확하게하여 시험과목이나 절차 등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의 경찰채용 필기시험과목은 직무수행에 필요한 전문부문에 치중하고 있다. 그래서 필기시험과목 구성에 있어 교양영역과 전문영역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전문영역 위주의 시험과목 일부를 줄이고 교양위주 과목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시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경찰관 위주의 출제방식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시험방식에 있어서도 현재객관식 시험 방식은 응시자의 종합적 사고력이나 가치관, 태도 등을 알아 볼 수 없기 때문에 주관식 시험을 통해 이런 요소들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경찰채용과정에 있어 부적격자를 배제하기 위해 4단계별 조치방안으로서 1단계로 종합적성검사후 필기시험 기회부여, 2단계 윤리의식제고를 위한 필기시험과목 추가, 3단계 면접시험 강화, 4단계로 신임경찰교육과정에 있어 부적격자 배제장치가 필요하다. Achieve police`s duty effectively and to select supporters who police organization to develop first of all honorable police officer quality as policeman is important. So, today, the all democracy countries are trying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olice employment and select supporter who equip eligibility. Nevertheless, remind the importance of a new police officer employment because some police officer`s crime or irrationality etc. is reported in the press. Police officer crime etc. that occurred recently our country is not exception in this point. This study analyzed current a new police officer employment, especially problem regarding general police`s a new police officer`s employment test and presented the improvement direction as following under this background. First, put weight that is considerable in written exam in the case of current a new police officer`s test but intellectual capacity with the performance of duty at police spot relation verify. And execute examination for service dividing by several territories, but each examination for service target has not been categorized clearly and subject for examination and hiring specifications etc. have not been categorized clearly. So, do definitely test target by employment part in occasion of police test that is doing new hiring dividing frequently year and need to differentiate subject for examination or formality etc. Second, current police officer employment written exam`s subjects is focusing in a specialism that is necessary in the performance of duty. So, need to reduce subject for examination some of turf putting first to solved imbalance of culture area and turf in written exam and establish newly culture putting first subject. Third, need to depart in setting a problem mode of policeman putting first to improve test effectiveness. And present objective test method in test method need to verify these factors through management way test because can not know candidate`s comprehensive thinking faculty or sense of values, attitude etc. Finally, a written exam opportunity department after comprehensive aptitude test in 1 step as action plan by 4 steps to exclude person disqualified for in the new police officer employment process for second-stage ethics consciousness add, 3 steps personal interview strengthen, need person disqualified for exclusion device in the new police officer training course in 4 steps.

      • KCI등재

        경찰공무원 채용 필기시험 과목개편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연수 ( Kim Yeon Soo ),이상훈 ( Lee Sang Hun ) 한국경찰학회 2019 한국경찰학회보 Vol.21 No.1

        이 연구는 2018년 학계와 수험가의 주요 관심사항이 된 경찰공무원 채용 필기시험 과목개편안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필기시험 과목개편안 도출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역대 정부의 공무원 인재상 변화 및 치안정책 변천과정을 토대로 경찰채용 필기시험 과목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또, 과목개편 논의의 배경과 추진경과, 과목개편안에 대한 의견수렴 과정 등에 대해서도 기록하였다. 경찰청이 제시한 필기시험 과목개편안에 대해 경찰간부후보생시험, 일반순경 공개경쟁채용, 경찰행정 경력경쟁채용 등으로 구분하여 검토 하였다. 또, 논쟁의 핵심이 되었던 헌법의 필기과목 도입에 대한 도입 필요성 내지 목적을 다른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는 점, 과목의 타당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한 바 없는 점, 대학의 경찰관련 학과의 교육과정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점, 경찰개혁위원회의 도입권고에 대한 경찰의 무비판적 수용 등 많은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찰 인재상 내지 공직가치에 대한 충분한 사전논의가 없는 상황에서 경찰개혁위원회의 권고에 떠밀려 시작된 이번 개편안 논의는 헌법과목 도입에 관한 상당부분 양보한 면도 없지 않으나, 관련 학회의 의견수렴이나 현장경찰관의 참여, 그리고 대국민공청회라는 일련의 공론화 과정을 거쳤다는 점에서는 의미 있는 성과라고 평가된다. 덧붙여 채용필기시험 과목개편과 함께 각 과목별 출제범위의 설정, 경찰행정 경력경쟁채용시험 응시자격의 재정비 등 후속과제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critically the revised draft of the written examination for the police officer who became a major concern of academics in 2018, and to propose a revised writing test subject with validity and reliability. First of all, we examined how the written examination subject changed based on the change of personnel policy and police policy of past government. In addition, the background of the discussion on the revision of the course, the progress of the course, and the process of collecting opinions on the reform of the course were also recorded. The examination of the revised draft of the written test subject present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was divided into the examination of the candidates for the police lieutenant, the recruitment of general police officers, and the recruitment of police administration career competitors. In addition, the Constitutional Law, which was the core of the controversy, can be achieved in different ways,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has not been scientifically verified, and that it ha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 related departments. And the uncritical acceptance of the police's recommendation by the police reform committee. The discussions on reforming the examination course for police officers are meaningful achievements in that they have undergone a series of public discussions. However, in the absence of sufficient preliminary discussions on the value of police officers or public officials, it is worried that this revision plan will become another deterioration due to the acceptance of uncritical recommendation.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중간시험이 학습잡념과 노트필기 및 학습 성취에 미치는 영향

        서일보 ( Ilbo Seo ),강이철 ( Echeol K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4

        이 연구는 분절 당 7-8분 정도의 온라인 학습콘텐츠 4개를 학습하는 동안 학습 과정 중 학습내용과 관련된 시험치기 학습활동이 학습 과정(학습잡념, 노트필기)과 학습 성취(즉시시험, 지연시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114명(실험 1: 45명, 실험 2: 69명)을 대상으로 무선할당 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통해 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과정에 충실히 참여한 109명(실험 1: 42명, 실험 2: 6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1에서 중간 활동의 조건에 따라 분절 1-3 동안 강의 콘텐츠를 학습 후 중간시험을 치는 실험집단(n = 21)과 4번째 분절의 즉시시험만 치는 통제집단(n = 21)으로 나누어 진행했다. 실험 2에서는 분절 1-3 동안 재학습을 하는 실험집단 2(n = 23)를 추가하여, 연산 문제를 푸는 통제집단(n = 22)과 중간시험을 치는 실험집단 1(n = 22)과 같이 세 집단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피험자들은 중간 활동 조건에 따라 학습을 진행하면서 학습 단계가 끝날 때마다 학습잡념이 발생했는지에 대해 응답했고, 학습 종료 후 제공한 학습자료에 핵심내용을 작성하였는지 확인하였다. 학습 성취는 분절 1-3까지 학습을 하는 동안 집단 간 상이한 중간 학습활동이 분절4의 시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절 4의 즉시시험과 2주 후 지연시험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험 1에서는 중간시험을 치는 실험집단이 연산 문제를 푸는 통제집단보다 낮은 학습잡념과 우수한 즉시시험, 지연시험 결과를 얻었다. 실험 2에서는 연산 문제를 푸는 통제집단의 학습잡념이 가장 높았고, 즉시시험에서는 재학습을 하는 실험집단 2와 중간시험을 치는 실험집단 1이 높았고, 2주 후 지연시험에서는 중간시험을 치는 실험집단 1이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는 온라인 학습 콘텐츠 내 중간시험 삽입이 학습잡념을 낮추고 학업 성취를 높여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polated testing on the learning process(mind wandering, note-taking) and academic achievement(immediate test, delayed test) while taking a video-recorded lecture that was divided into four segments(7-8 min each). A total number of 114(exp. 1 = 45, exp. 2 = 69)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the data of 109(exp. 1 = 42, exp. 2 = 67) students who fully participated were used for analysis. In experiment 1, half of the students were tested after each lecture segment(experiment group = 21), and the other half were tested after the fourth lecture segment(control group = 21). The experiment 2 was conducted in three groups, as experiment group 2(n = 23) which re-studied during segments 1-3 was added to the control group (n = 22) that solves the arithmetic problems, and the experiment group 1(n = 22) that took the intermediate test. While learning according to the intermediate activity conditions, subjects responded to whether mind wandering occurred at each end of the learning phase and checked whether they wrote notes on the learning materials provided after the learning was completed. Learning achievement was compared with the immediate test of segment 4 and the delayed test after 2 week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fferent intermediate learning activities on the test of segment 4 when learning up to segments 1-3. As a result, in experiment 1, the experimental group(tested) obtained lower mind wandering and higher immediate test and delayed test results than the control group(non-tested). In experiment 2, the mind wandering of the control group(non-tested) was the highest, and in the immediate test, the experimental group 2(restudy) and the experimental group 1(tested) were higher. In the delayed test after 2 weeks, experimental group 1(tested) obtained excellent results. These two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the simple act of interpolating online lectures with memory tests can help students sustain attention to lecture content in a manner that discourages task-irrelevant mind wandering, and improves learning results.

      • KCI등재

        중등체육교원 임용시험제도의 필기평가에 대한 발전방향

        이종형(Lee, Jong-Hyoung),이광재( Lee, Gwang-ja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중등체육교원 임용시험제도의 필기평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임용시험제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교육행정가, 교육전문가, 체육행정가, 체육전문가 등의 전문가들이 중등체육교원 임용시험제도의 필기평가에 대한 현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개선의 방향을 예측하였다. 3차례에 걸쳐 반복된 델파이 설문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문항 출제 시 검증되고 일반화된 이론을 출제하고, 시대에 맞는 현실적인 문학개발이 필요하다고 예측하였다. 둘째, 교육 현장과 연계된 문항을 출제할 수 있도록 개발·연구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전공 필기시험의 출제 범위를 중요도에 따라 반영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출제 위원 선정 방법에 있어서 현직교사의 출제 참여 비율을 높여야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다섯째, 임용시험 중 필기평가에 대한 정확한 체점 기준을 마련하고, 정답을 공개하여 투명성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여섯째, 학생들의 생활지도 능력이 평가 될 수 있는 문항이 개발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a new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of the written examination system for employ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f secondary schools, by grasping the present problems through extensive analysis of the present examination system. Four different professionals, such as Education administrators, professionals of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ors and professionals of physical education,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written examination system and predicted desirable improvement policie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and the conclusion was as follows: First, questions should be based on generally verified theories and contemporary, realistic questions are required. Second,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required to create suitable questions related to the actual education field. Third, the reflection percentage of a range of possible questions should be consistently maintain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levels. Fourth, with regard to selection of committee members that make questions, the ratio of present teachers in attendance should be increased. Fifth, the precise grading standard of the written examination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correct answers should be disclosed in a clear manner to the public. Sixth, questions for evaluating a teacher's ability to provide personal guidance for students is required.

      • KCI등재

        공무원 채용시험 합격자 선발의 적실성 개선 방안 - 6급 이하 국가직공무원 공개경쟁 채용시험을 중심으로 -

        강태구 국회입법조사처 2018 입법과 정책 Vol.10 No.1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theoretical relevance a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the personnel selection process in Public Personnel Management. The research results show the fact that it is impossible to be both optimal and relevant personnel selection system without cohesive checking of the followings. First, the capabilities of an organization can not exceed the capabilities of its members. Thus,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to select excellent candidates accurately. Second, the interview screening process is insufficient to assess the capacity of candidates and to select the right officials for the government. Third, the following points in the ordinance should be improved for public personnel hiring and test: ① The trade-off between the provision of step-by-step test and the provision of the selection criteria needs to be resolved. ② The principle of ‘the same applicant group and the same selection criteria’ should be applied to all candidates. ③ The decision of the interview committee members should be reflected directly on the last selection process. ④ The selection process and criteria should be classified in detail by rank and serial. ⑤ A comprehensive selection model which can reflect the candidates’ efforts and capab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to work for the government. 공직에 대한 사회적 평가가 매우 높아짐에 따라서, 정부는 공무원 공개경쟁 채용시험을 단계별로 엄정하게 관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무원임용시험령>의 개정을 통해서 합격자 결정 기준을 세분화하는 등 합격자 선발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관리하고자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공무원 채용시험의 최종 합격자 선발 과정과 판정 기준은 ① 면접시험의 독자적인 선발 기능, ② 면접위원의 현장평가 성적의 반영 방법, 그리고 ③ 최종 합격 결정 기준 등의 측면에서 합격자 선발의 적실성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공무원임용시험령>을 재개정하여, ① 단계별 시험 시행 규정 조항과 합격 결정 과정 및 기준 관련 조항 간의 상충관계 해소, ② 면접시험의 독자적 선발 기능의 정립, ③ ‘동일한 응시자 집단, 동일한 기준 적용’ 원칙을 통한 합격자 결정, ④ 직급별・직렬별 합격자 결정 기준의 별도 규정화, ⑤ 면접위원 현장평가 결과의 합격자 결정에의 직접적인 반영 등을 통해서 공무원 공개경쟁 채용시험 응시자의 공직 열망과 노력이 종합적으로 수렴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등체육교사 임용 시험 체제에 대한 연구

        박종률(Jong Lyoul Par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8 No.4

        이 연구는 중등체육교사 임용 시험 체제에 대해 진단하고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9년도 이후 진행되어 온 임용 시험 문항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시행과정에서 노출된 선발고사로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1차 선다형 필기 시험은 인지적 목표 영역의 편중, 특정 교과 영역의 높은 출제 비중, 기본 이수 과목의 중복 출제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2차 논술형 시험은 출제 내용이 특정 과목에 편중되었고, 응답 제한형 중심의 문항이 출제되었으나 문항 형식면에서는 점차 다양한 형식을 사용하고자 의도하였다. 3차 시험 전형은 지역별로 전형 내용에 차이가 있었으며, 실기 평가 내용도 차이가 많았지만, 다양한 실기 능력을 평가하려는 방향으로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임용 시험의 문제점으로는 전문성 있는 출제위원 및 선발위원의 선정, 출제 문항 구성의 적합성 부족, 3차 시험의 운영 절차 및 방법의 비적합성, 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의혹 등을 제시하였다. 이이 따른 개선책은 임용 시험의 타당성 및 공정성 제고, 전문성갖춘 출제, 선발, 채점위원의 확보, 전형별 선발인원 비율의 확대, 체육특기자 특별채용 제도에 대한 개선, 장기적 관점에서 학제의 검토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and identify improvements of middle school PE teacher appointment exam system. Appointment test questions which has been performed since 2009 were analyzed, problems which were exposed during the executions were induced and the improvements were proposed. From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irst exam which was a multiple choice test was biased to cognitive goal area and specific subject area. Furthermore, basic courses were dealt with redundantly. In the second exam, which was essay type exam, the subjects were biased to specific subject area and Limited Answer Type questions were asked. However, it intended to introduce various formats in terms of question types. In the third exam, there was differences in exam contents as well as practical technique appraisal between regions. However, it seems that there have been changes to appraise various practical techniques. The issues of the appointment exam were found such as appointment of examiners or recruiters with expertise, insufficient suitability of the exam questions, non-properness of the procedures and the methods of the third exam and suspicion against the fairness of the appraisal. The improvements were proposed such as the improvement of validity and fairness of the appointment exam, exam questions and recruitment process with expertise, securing the scoring committee, expansion of quota per exam, improvement of special recruitment of student athletes and review of the schooling system from the long term perspective.

      • KCI등재

        개정된 경찰채용시험과목에 대한 고찰

        정연균 ( Yuen Keoun Jung ) 한국경찰학회 2015 한국경찰학회보 Vol.17 No.1

        경찰의 직무는 대한민국의 사회를 유지하고 형성하는데 있어서 없어서는 아니되는 중요한 직무이고, 이 직무를 수행하는 경찰공무원의 직무수행능력도 아주 중요하다. 그러므로 경찰의 직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국민의 신뢰를 얻는 경찰관의 채용이 더욱더 중요시 된다. 이 연구는 이런 배경에서 현재보다 나은 경찰관을 채용하기 위해서 현행 경찰공무원 채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 연구는 채용부분에서 소개되는 여러문제점들 중 순경공채에서의 시험과목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소개하였다. 순경공채에서 시험과목변경의 문제점으로 소개되는 것은 첫째, 고졸출신의 취업장려정책으로 도입된 국어, 사회, 과학, 수학과목이 과연 경찰채용시험으로서 적합한 것인가이다. 둘째, 위 시험과목이 기존 시험과목(영어, 국사는 제외)과 선택제로 운영되기에 이 과목으로 인해 선발된 경찰공무원이 경찰업무에 적합한지도 문제가 된다. 셋째, 위 시험과목으로 선발된 경찰관의 업무부적응로 인한 이직문제도 앞으로 심각한 문제로 도래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찰채용시험과목변경에 한정해서 도출된 위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고졸취업장려정책으로 도입된 국어, 사회, 과학, 수학과목이 폐지되어야 한다. 정부의 고졸취업장려 정책은 정책적 측면에서 어느정도 이해가 되지만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경찰공무원 임용에 솔직히 도움이 되지 않는 과목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둘째, 경찰업무는 막연히 생활을 하기 위한 직장의 개념으로 접근해서는 안 되는 직무이므로 경찰에 호의적이고 적성에 맞는 인재를 선발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경찰채용에서 특채를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더욱 전문적인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 경찰업무에 적합한 시험과목으로 개편이 필요하다. The performance of police officers is important to keep social order in Korea and in the same time, the capability of police officers is also significant. Therefore, employment of police who is fully able to do performance of police officers plays a crucial rule in terms of building public trust. Considering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employment of police, finding problems with this system and then suggests improvement plan. Especially, this study is designed to focus on problems of police constable employment system and suggest better ways. Problems of open employment for police constable include whether it is right or not to adapt subjects-Korean, Social study, Science and Mathematics as employment tests for prospective police constable in order to encourage those who graduate from high schools. Second, it can be a problem, if those who pass the test are relevant to do police performance because such test subjects as mentioned above can be alternative to existing test subjects(except English and Korea history). Third, their turnover who can not be adept in police performance is a kind of serious problems. In order to alienate these problems caused by change of test subjects in police employment system, first of all, subjects mentioned above like Korean, Social study, Science, and Mathematics should be excluded. Although it is partially understandable that the government implements job encouragement policy for high school graduate, this changed system could not help to employ prospective police officers who are required to be professional. Second, extent of special employment should be wider than now, because police performance should not be regarded as general concept of other jobs, so it is required to employ those who are quite relevant to police performance. Third, it is necessary to reform test subjects that are relevant to select more talented people.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test subject for police employment, but when the police, even partially, improve the current system that is criticized, it could be beneficient to employ more police officers who can receive public tru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