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동 성폭력 피해특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조영란,홍해숙 한국과학수사학회 2014 과학수사학회지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성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성폭력피해아동과 가해자의 특성에 따른 아동성폭력 피해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대구시에 소재한 아동성폭력전담센터에 등록된 만 13세 미만 성폭력 피해아동의 사례 206건을대상으로 IBM SPSS 18.0 버전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피해아동의 성별에 따라 피해유형, 피해지속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피해아동의 피해당시연령에 따라 피해유형, 피해횟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아동의 장애유무에 따라 피해유형에서, 가족형태에 따라 피해유형, 피해지속기간 및 피해횟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가해자의 연령에 따라 피해유형, 피해횟수, 피해시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피해아동과 가해자와의 관계에 따라 피해지속기간, 피해횟수, 피해장소 및 피해발생시각에서 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 아동성폭력 피해특성에 따른 보호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이윤호(Lee Yoon Ho),이금형(Lee Kum Hyoung) 한국범죄심리학회 2007 한국범죄심리연구 Vol.3 No.2

          아동성폭력은 피해아동으로 하여금 정신장애 등 심각한 후유증을 겪게 하여, 피해아동은 성장과정에서 심각한 사회부적응 현상을 보이며 그 피해가 평생에 걸쳐 지속되게 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아동성폭력의 정의와 이론적 배경을 먼저 살펴본 후, 아동성폭력의 유형과 성폭력 피해아동의 심리적ㆍ 행동적 특성과 피해아동이 자주 보이는 증상을 검토하고, 13세 미만 아동성폭력 발생현황과 경찰청원스톱 지원센터 취급 아동성폭력 사건 분석결과를 통해 아동성폭력의 발생 등 세부현황을 살펴본 뒤, 아동성폭력 발생 및 증가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동성폭력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BR>  아동성폭력은 밀행성과 피해아동 진술의 비일관성ㆍ비논리성으로 인한 법정 증거배제로 가해자가 증거부족으로 무죄판결을 받는 등의 사례가 있고, 가해자의 성적 습벽으로 인한 재범율이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성폭력의 대응방안으로 성폭력 피해아동 행동ㆍ진술분석제 및 아동심리전문가 참여제 도입, 성폭력 유전자 정보은행 구축,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 아동성폭력 범죄자 교정치료센터 설치, 아동성폭력에 대한 공소시효 정지, 치안시스템 강화, ‘어린이 안전구역’지정 및 운영, 여성아동청소년 경찰지원센터설치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Sexual Violence Victims & The Countermeas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countermeasures of child sexual violence by analys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sexual violence victims and the statistics of child sexual violence.<BR>  Child sexual violence happens Secretly, and the statements of Child Sexual Violence Victims are not consistent and logical. Therefore some accused have been sentenced innocent in a court because evidences are not enough. There are many repeated offenders, because many offenders have pedophilia.<BR>  This study looks over the causes of child sexual violence, and suggests some programs to reduce & punish child sexual violence offender efficiently, like Analysis of actions & statements of child sexual violence victims, Expert - Participation System, DNA Data-bank for Sexual Criminal Investigation, Electronic Monitoring Ankle Bracelet, Sexual Criminal Offender Cure Center, Suspension of Prescription, Strengthening Public Security System, Children Safe Zone, etc.

      • KCI등재

        아동학대 관련 그림책에 나타난 학대유형과 피해아동의 특성

        이은영,전유영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ype of abu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abused child in picture book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ing these books as an instructional media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ild abuse. For this study, fifteen picture books on child abuses published in Korea were selected and analyzed each texts and illustrations according to five types of abuse, including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sexual abuse, neglect, and co-occurrence abuse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abused child based on criteria which was shown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National Child Protection Agency(2018). As a result, the type of child abuse represented in picture books are sexual abuse most, followed by emotional abuse, physical abuse, neglect, and co-occurrence abuse. Next, the characteristic of the abused child in picture books about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sexual abuse, and co-occurrence abuse was mainly shown fear・scare. And then depress・sadness were highly represented in picture book about neglect. This study has implications of selecting and using picture books for prevention, early intervention, and treatment of abused child or publishing picture books about child abuse later. 아동학대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교수매체로서 그림책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에 나타난 학대유형과 피해아동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출판된 아동학대 관련 그림책 15편을 선정하였고, 신체학대, 정서학대, 성학대, 방임, 중복학대의 학대유형과 보건복지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18)이 제시한 피해아동의 특성을 준거로 글과 그림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림책이 다루고 있는 아동학대 유형은 성학대가 가장 많았고, 정서학대, 신체학대, 방임, 중복학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신체학대, 정서학대, 성학대, 중복학대 관련 그림책에서 나타난 피해아동의 특성은 두려움・공포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방임을 다룬 그림책에서는 우울・슬픔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아동학대 교육을 위해 그림책을 활용하고, 아동학대 그림책을 기획, 출판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학대발생가정 유형화와 발달단계별 특성

        김기현,유비,김경희 한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학 Vol.72 No.3

        In developing and providing intervention for families where child abuse occurs, it is important to assess and consider the families’challenges and resources. characteristics.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abuse characteristics such as types, frequency and severity. This study has classified abusive families based on psychosocial challenges and resources as well as the detailed abu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examined whehter the profile of abusive families differed by the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The study utilized administrative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child abuse database system’. The study found that: 1) regardless of childrens’ developemtnal stage, high-risk families having multiple psychosoical challenges and experiencing serious maltreatment could be identified; 2) children growing up in multi-problem families showed elevated level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Parental stress as well as rate of recurrence of abuse were higher in multi-problem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nd clin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아동학대 개입에는 학대가 발생한 가정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별 특성을 총체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정은 아동의 생활세계이자 현 아동보호체계의 실질적인 서비스 개입지점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논의들은 피해의 유형과 빈도 및 심각성과 같은 피해특성을 중심으로 아동학대를 이해해왔다. 본 연구는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 중 가정 내 발생 학대사례를 피해특성과 학대행위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으로 유형화하고 피해아동 발달단계에 따라 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기·아동전기 및 후기·청소년기의 사례에서 고위험 수준의 피해특성과 가정의 심리사회적 문제가 동시에 출현하는 집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신체학대와 중복학대 및 알코올과 가정폭력문제들이 중복된 집단과, 단일유형의 학대라 하더라도 전술한 가족문제를 가진 집단들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행위자의 양육관련 스트레스와 아동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 및 재학대발생의 빈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학대발생가정에 대한 이해와 후속 서비스 지원에 관한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다.

      • 가정폭력 피해 아동발달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미향(Mi hyang, Go)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9 No.1

        가정폭력은 가족구성원간의 권위, 위계에 의해 폭력의 정당성이 쉽게 인정되며, 반복적이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특수성이 있다. 가정폭력의 피해아동은 가정에서 가장 취약한 위치에 있는 주 피해자로서 미래의 삶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가정폭력은 우울, 불안, 사회적 위축, 신체적 증상과 감은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심리적 고통이 주요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정서적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은 아동의 인성형성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다. 가정폭력은 주로 남성이 폭력행동을 먼저 시작하면서 발생하는데, 2016년 여성가족부 가정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부부폭력이 일어나게 된 주된 이유는 여성과 남성, 부부폭력 피해와 가해 경험 모두에서 ‘성격차이’와 ‘경제적인 문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자녀 학대는 지난 1년간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방임의 순으로 나타나 유형별 학대행위 중 하나라도 자녀에게 행사했음이 조사되었다. 여성긴급전화 1366이나 상담소 및 보호시설 등 지원기관에 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주된 이유는 ‘부부간에 알아서 해결할 일인 것 같아서’, ‘폭력이 심각하지 않다고 생각해서’로 나타나 가정폭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적극적인 서비스 개입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특히,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개입이 미비한 원인은 부모들이 자녀들을 소유물로 간주하여 체벌에 대해 합리화하는 것이며, 아동학대에 대한 ‘가족비밀’, 아동 스스로 자신을 주장할 수 없는 취약성으로 인해 가정폭력의 심각성으로 인한 사회적 개입이 용이하지 못하는 점이다. 이처럼 가정폭력은 사회폭력의 반영이기도 하지만 그 자녀에 있어서는 폭력에 대한 학습의 장으로 영향을 미쳐서 성인이 된 후에 많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아동기의 가정폭력 경험은 학업과 교사 및 또래관계, 낮은 자아존중감, 불안, 우울, 분노, 중독의 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와 관련이 있어 그에 따른 예방적 차원의 서비스 개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의 피해아동을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지역사회와 학교에서 가정폭력에 노출된 피해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정서와 행동 그리고 건전한 성장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실시에서 유용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There are specificities to domestic violence. That is easily recognized as legitimate due to authority and hierarchy among family members, and that takes place in a repeated and sustained way. Children who suffer from family violence are major victims who are most vulnerable in their families, and this experience exercises a fatal influence on their future lives. Domestic violence is likely to provoke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social withdrawal or physic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pain also is one of major symptoms of emotional issues that are triggered by it. All the problems might take a huge toll on children s character building. Family violence occurs mainly when men start to show violent behaviors. According to a survey of domestic violence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2016, the most dominant causes of marital violence are differences in personality and economic problems irrespective of whether they were husbands or wives or whether they were victims or assailants. The most common child abuse over the past year was emotional abuse, followed by physical abuse and non-intervention. At least one out of the different types of abuse behaviors was used in these families. The major reason that they didn t ask support organizations for help including women s emergency hotline center 1366, counseling centers or shelters was that they thought it should be resolved by themselves and their spouses, and another major reason was that they didn t consider it to be serious enough. Therefore it s required to raise social awareness of domestic violence, and more active service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Specifically, there isn t adequate intervention in child abuse, because parents regard their children as one of their possessions and rationalize corporal punishment on the ground of it. In addition, child abuse is viewed as a family secret, and children aren t yet old enough to be self- assertive. For these reasons, it s not easy to offer social intervention in spite of the gravity of domestic violence. Family violence is a reflection of social violence, and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 child to learn violence, which may cause a lot of problems in adulthood. As family-violence experience in childhood is linked to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like academic difficulty, poo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s, low self-esteem, anxiety, depression, anger and addiction, preventive service intervention is desperately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how each local community and school should conduct a program to facilitate the sound emotional and behavioral growth and development of victim children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 KCI등재

        빅데이터 융합분석을 통한 아동학대 감소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황준수,임종윤,권순영,노규성,이주연,Hwang, Jun-Soo,Lim, Jong-Yun,Gwon, Sun-young,Noh, Kyoo-Sung,Lee, Joo-Yeou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10

        최근 인천의 어린이집 사건, 원영이 사건 등 아동학대 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아동학대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며, 국내만의 문제도 아니다. 국가 통계 데이터 포털에 의하면, 19세 이하의 인구는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아동학대 신고건수는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신고 이후의 상담건수는 큰 변동 없이 일정한 수준이다. 아동학대 문제의 심각성으로 인해 관련 연구와 대책에도 불구하고 더 악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학대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아동학대에 관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아동학대 감소방안을 제안하였다. 가설 검정 결과 학대 행위자의 특성, 아동 특성이 아동학대의 영향, 근로형태가 아동학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교육 및 경제적 지원 대책 등 아동학대 감소방안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problem of child abuses has become a big social issue. According to national statistics data portal, the population under 19 years old is shrinking trend, but the number of child abuse is increasing day ever. However, the number of counseling after calling is a constant level without large fluctuations. Due to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s, child abuse is even worse despite the research and countermeasures. This study designed a study model on the child abuse based on a preliminary study and suggested plans for reducing child abuse through the big data analytics. When we see a result of test of the hypothesis, abuse actor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employment type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 abuse. Based on such analysis, this research has suggested ways to reduce child abuse, including educational and economic support measures.

      • KCI등재

        성학대 피해자 아동의 법적 개입에 대한 발달심리학적 고찰

        이승진(Lee, Seungjin) 한국피해자학회 2012 被害者學硏究 Vol.20 No.1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concerning the effects of legal involvement on child victims of sexual abuse and maltreatment reveals first that children are able to take part in legal proceedings, which includes getting on the stand and testifying in cour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key findings from a number of emerging bodies of recent research related to this issue specially in developmental psychology. It provides a brief description of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f children most like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legal system as victims of or witnesses to serious crime. It was also discussed findings concerning children’s reactions across ages to legal involvement, both initially and over time. Throughout this paper, it describes procedural modifications and interventions that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legal involvement on children, particularly focused on the literature and actual case examples from the United Sates and the United Kingdom. Finally, significant suggestions are offered for future research needs in Korea in terms of the ways in which reasonable and desirable legal involvement on children who severely experienced maltreatment or sexual abuse.

      • KCI등재

        성폭력 피해아동의 폭로에 관한 연구

        김은희(Kim, Eun-Hee),박재옥(Park, Jae-Ok),이향아(Lee, Hyang-Ah) 한국피해자학회 2011 被害者學硏究 Vol.19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ables associated with disclosure and to examine predictors of non-disclosure in a sample of male and female children with self-reported experiences of sexual abuse including peer abuse. A sample of 1,019 elementary school students(5th, 6th grade) were examined with a questionnaire concerning characteristics of the sexual abuse, anxiety, depression, perceived parental support, teacher and peer affiliations, and intelligibility of sexual violence. In this study a subsample is used that consists of all participants who reported experience of sexual abuse and who answered to questions about disclosure of the abuse(74 girls and 144 boys).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it was less likely for girls to disclose if they had experienced 2∼5 times frequently abuse occasions, perceived their parents as non-supporting or if they understand general concept of sexual abuse. Boys were less likely to disclose if they had experienced abuse by a peer, perceived poor peer relationships or if they had poor understanding of safety rules and coping to prevent sexual abuse. Differences in disclosure patterns for girls and boys indicate that a gender perspective is helpful when developing guidelines for education. For girls, it is important to educate they ought not to have feeling of responsibility and to blame themselves for sexual abuse. For boys, a lot of knowledge about sexual violence should be offered. And since peers are the most common receivers of abuse information, programs for supporting peers ought to be developed.

      • KCI등재

        초등학생 저학년과 고학년의 성폭력 피해특성 차이와 상관관계

        조영란,김지은,박경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15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6 No.2

        Purpose: This study is attempt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abuse victimization in low- and hig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furthermore to help develop appropriate preventive educational programs against sexual abuse by grad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56 sexual abuse victims who wer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visited the Child Sexual Abuse Response Center in D City during the period from 2010 to 2012. Differences in general and victimization-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low and high graders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ow and high graders in two variables: offender-victim relationship, and the type of sexual abuse. Offender-victim relationship was in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uration of victimization (r=.576, p<.001), frequency of abuse (r=.546, p<.001), location (r=-.479, p<.001), and time (r=.435, p<.001). The type of sexual abuse was in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requency (r=.175, p=.029) and time (r=.261, p=.001). Conclusion: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preventing sexual assaults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 in victimization-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low and high graders. In addition, such programs should be applied fittingly to the learners’grade, gender, and cognitiv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