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프랑크푸르트학파와 신칸트학파의 문화분석(연구) 방법론― 문화철학과 문화비평의 상관성의 관점에서

        신응철 대동철학회 2004 大同哲學 Vol.24 No.-

        이 글은 인문학 분야의 다양한 문화분석 및 문화연구의 방법론들 가운데, 특별히 철학에서 프랑크푸르트학파와 신칸트학파의 입장을 선명하게 드러내고, 나아가 이러한 문화분석 방법론의 현실적 의의를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다. 필자가 여기에서 두 입장을 상호 분석하여 비교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다. 언뜻보면, 두 입장은 만날 수 없고 융합될 수 없는 이질적인 논의 영역으로 비춰질 수 있다. 그렇지만 문화분석에 대한 두 진영의 논의에서, 그러니까 사회과학과 인문과학간의, 혹은 사회철학과 문화철학간의, 아니면 문화비평과 문화철학간의 논의에서 사실은 상대방의 논의를 인정하고, 또한 동시에 그것을 자신들의 논의의 전제로 삼을 때에만, 각 진영은 자신들의 고유한 입장을 보다 설득력 있게 주장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필자는 판단하고 있다. 바로 이 같은 이유에서 프랑크푸르트학파와 신칸트학파의 문화분석의 방법론을 상호 비교 고찰하여 그 의미를 되새겨보고, 그것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ethod of the analysis of culture between the School of Frankfurt and Neokantianism, especially focused on the viewpoint of the philosophy of culture and the criticism of culture. In terms of the School of Frankfurt, we will deal the viewpoint of Horkheimer, Adorno, Marcuse, and Benjamin. And relating to Neokantianism, we will discuss the viewpoint of Kant, Herder, and especially Cassirer. We know that the School of Frankfurt is interested in the criticism of ideology of mass culture, while the Neokantianism is interested in the origin, process, and future of culture. In this study, we will clarify a common feature and difference, and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analysis of culture, especially, relating to correlation with the philosophy of culture and the criticism of culture.

      • KCI등재

        프랑크푸르트학파 100년의 역사와 ‘이성-자유-비판’ 패러다임의 전환

        문성훈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3 사회와 철학 Vol.- No.46

        올해로 프랑크푸르트학파가 100주년을 맞았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산실인 ‘사회연구소’가 설립된 지 100년이 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100년의 역사를 이어온프랑크푸르트학파를 하나의 학파로 규정할 수 있는 이유를 규명할 뿐만 아니라, 그동안 제시된 다양한 이론을 하나의 학파로 묶을 수 있는 이들 상호 간의 관계를 해명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프랑크푸르트학파가 ‘이성 실현을 통한 자유실현’이라는 규범적 이상 하에 이성, 자유, 비판 개념으로 구성된 특수한 이론 복합체를 제시했다고 보면서, 호르크하이머, 하버마스, 호네트로 이어지는 비판이론 변천사를 각기 노동, 소통, 투쟁 개념에 기초한 패러다임 전환으로 해석할 것이다. This year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rankfurt School, because it has been 10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al Research Institute,” the birthplace of the Frankfurt School. This paper aims not only to demonstrate, why the Frankfurt School, which has continued its history for 100 years, can be defined as a single academic tradition, but also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ous theories that can bind them into one school. To achieve this aim, the paper argues that the Frankfurt School presented a unique theoretical complex composed of the concepts of reason, freedom, and critique, under the normative ideal of “realizing freedom through realizing reason.” It interprets the evolution of critical theory, which continues through Horkheimer, Habermas, and Honneth, as a paradigm shift based on the concepts of labor, communication, and struggle.

      • KCI등재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물화’ 개념을 통해서 본 소비자본주의 시대의 교육 비판

        조나영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role that education can play for a better society by diagnosing the phenomena of consumer capitalism in the 21st century based on “reification,”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critical theory led by the Frankfurt School. Metho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e first stag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ification and irrational and unjust phenomena in our lives, and analyzed the discussions of reification by intellectuals of the Frankfurt School. And In the second stage, the properties of reification were examined based on how the concept of reification that critical theorists of the Frankfurt School illuminated may become a mechanism for societal critiqu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ification and the role of education in its critical practice were also examined. Results: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educational issues, including social problems arising from the development of consumer capitalism, through a discussion of reification and proposed a foundation for reflection that can critically discuss the meaning of education in forming positive self-relationships, the value of mutual respect, and culture. Conclus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iden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s and expanded the horizons of education by systematizing the genealogy of critical theories on the concept of reification from the 20th century to the 21st century and illuminating the direction of modern education. 연구목적: 이 연구는 프랑크푸르트학파가 주도한 비판이론의 핵심 개념인 ‘물화’를 토대로 21세기의 소비자본주의와 상품물신화, 탈인격화 현상을 진단함으로써 교육이 이전보다 나은 사회를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소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 목적에 맞추어 이 연구는 크게 두 단계로 연구를 진행된다. 첫 단계에서는 우리 삶 속에서 드러나고 있는 비합리적이고 불의적인 현상이 물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주목하고 20세기 이후 이를 이론적으로 검토해 온 프랑크푸르트학파 지식인들의 물화 논의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물화 개념을 처음 제시한 루카치와 그에게서 영향을 받은 프랑크푸르트학파 1세대(호르크하이머, 아도르노), 미국망명기의 활동가와 2세대 비판이론가(마르쿠제, 하버마스), 그리고 21세기의 3세대 비판이론가(호네트)의 물화 인식을 주요 문헌을 통해 확인한다. 이어 두 번째 단계에서는 프랑크푸르트학파 비판이론가들에 의해 조명된 물화 개념이 어떻게 사회를 비판하는 기제가 되는지를 토대로 물화의 속성을 파악한다. 그리고 물화가 교육학적으로 어떤 함의를 지니고 있으며, 그 비판적 실천을 위한 교육의 역할은 무엇인지 연구한다. 연구결과: 이로써 이 연구는 소비자본주의와 상품경제의 발달로 나타나는 사회 문제들을 포함해 교육 현안을 물화 논의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인간의 긍정적인 자기 관계 형성과 상호존중의 가치와 문화 조성을 위한 교육이 무엇인지를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성찰의 토대를 제시한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20세기에 이어 21세기까지의 물화 개념에 대한 비판이론의 계보를 체계화하고 그에 따라 현대 교육학의 지향점을 조명함으로써 교육학의 이론적, 실천적 토대와 그 지평을 확장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학파 형성의 조건

        박홍규 영남퇴계학연구원 2014 퇴계학논집 Vol.- No.15

        이 글은 서양에서 학파가 형성되는 조건과 우리의 그것을 비교 검토 한다. 먼저 서양에서 나온 세 가지 유형의 학파, 즉 도시 단위의 빈학파, 연구소와 서클 단위의 프랑크푸르트학파와 부다페스트학파, 대학 학과 단위의 시카고학파에 대해 살펴보면서 학파의 성립조건을 검토한다. 빈 학파는 빈을 무대로 여러 학문 예술 분야에서 생겨났지만 사실은 그 모 두를 하나의 학파라고 해도 좋을 정도의 상호관련성을 갖는 것들이었다. 프랑크푸르트학파와 부다페스트 학파는 그런 빈학파보다는 작은 규모였지만 본질적으로는 마찬가지였다. 시카고학파는 주로 시카고대학의 경제 학과를 중심으로 한 것이지만 역시 여러 학문 분야와 관련된 것이었다. 그러나 이 세 학파는 학문 분야에서 혁명적이라는 점 때문에 학파라고 불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 역사적 의의가 크다. 가령 빈학파 는 철학, 경제학, 법학 등 여러 분야에서 20세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었다. 마찬가지로 프랑크푸르트학파는 철학과 사회학, 부다페스트학 파는 문학과 예술사와 사회학, 시카고학파는 경제학 등에서 혁명적인 사 고전환을 초래했기에 학파라고 불리는 것이다. 도시 차원에서는 정치보다 문화. 특히 다문화가 욕망되며 그 속에서 세계시민주의적 다양성과 실험성이 새로운 학파를 낳는 조건을 형성했 다. 대학의 관료주의에서 벗어나기 위해 성립한 연구소 단위의 학파도 자율성, 세계성, 다양성, 정신성을 그 형성의 조건으로 삼았다. 이는 학 과 단위의 학파가 성립하는 조건인 엄격한 직업윤리, 진정한 학문에 대 한 굳건한 믿음, 진보를 위한 유일한 기준으로서의 학문적 우수성, 비판 정신에 입각한 열성적 토론 문화, 캠퍼스의 2차원적 고립성이라는 점에 서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여러 조건들은 한국의 학문 풍토 에 현저히 결여된 것들이다. 학파란 혈연?지연?학연 등의 편협성, 동질성, 근친교배와 무관한 것이어야 함에도 한국의 학파란 바로 그런 것을 조건 으로 하여 형성된다. 그런 조건을 극복하지 않으면 한국에는 참된 학파 가 성립할 수 없다.

      • KCI등재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양면성과 유럽중심주의 문제

        한상진 한국이론사회학회 2024 사회와 이론 Vol.47 No.-

        이 글은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양면성을 밝히고 유럽중심주의 시비를 살피려는 것이다. 양면성의 하나는 100년에 걸친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제도화 과정을 가리키며, 다른 하나는 이 학파가 초창기부터 자신을 호명한 비판이론이라는 독특한 성격을 갖는 학문발전을 가리킨다. 둘은 서로 연계되어 있지만 구별된다. 어느 학파건 제도화 과정은 창립, 도전, 성장, 쇠락 등의 과정을 거치기 마련이다. 반면 비판이론은 이론과 실천의 통일을 지향하는 독특한 학문 패러다임으로서 확립되려면 근본적인 이론혁신이 불가결하다. 100년의 시간을 통해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2024년 현재 제도로서는 상당히 안정된 상태지만, 비판이론은 아직 적지 않은 난제에 둘러싸여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을 밝히는 것이 이 글의 첫 번째 목표다. 두 번째 목표는 프랑크푸르트 학파를 유럽중심주의 반영으로 보는 남반부 사회학의 시각을 다루는 것이다. 이를 위한 기본적인 개념 틀로서 이 글은 비판이론의 3가지 구성요소로서 비판 개념, 변혁주체와 실천방법, 미래의 규범적 대안을 구별했다. 또한 유럽중심주의의 3가지 차원으로서 지식의 사회적 구성에 관한 서술적 차원, 지식의 수용과 활용에 관한 실용적 차원, 그리고 서구를 선진사회로, 비 서구를 후진사회로 보는 평가적 차원을 구별했다. 이런 개념 틀로 볼 때, 유럽중심주의 시비는 비판이론에 내포된 미래의 규범적 대안과 유럽중심주의의 평가적 차원이 만나는 지점에서 가장 날카롭고 선명하게 제기될 수 있는 쟁점이다. 프랑크푸르트 학파 제1세대는 이런 시비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그러나 제2세대를 대표하는 하버마스는 비판의 규범적 토대를 정립하는 과정에서 미완의 근대성 개념을 옹호했고 소통절차의 보편성을 주장했기 때문에 유럽중심주의 시비의 한 복판에 설 수 있는 개연성이 커졌다. 따라서 이 글은 100년에 걸친 역사에서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양면성을 밝히면서 비판이론이 처해 있는 난제의 하나로서 유럽중심주의를 둘러싼 시비를 엄밀한 개념적 척도에 의해 규명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at clarifying the dual dimensions of the Frankfurt School and the Eurocentrism debate. For this purpose, it identifies the following three elements of critical theory: critique, agency of change, and the future alternative. Additionally, it highlights three aspects of Eurocentrism: the descriptive aspect of how knowledge is socially constructed, the pragmatic aspect of how it is received and applied, and the normative aspect, which treats non-Western cultures as backward and the West as enlightened. The normative priority of the West tends to give rise to a robust criticism of Eurocentrism. The first generation of the Frankfurt School is mostly exempt from this charge. However, Jürgen Habermas, who represents its second generation, has worked to reconstruct critical theory, supported the idea of (incomplete) modernity, and defended a universal approach to communicative rationality. These two factors of modernity and universalism have fueled a controversy over Eurocentrism. Therefore, this article looks at the Frankfurt School’s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ver a century and explains why Haberma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its founders such as Horkheimer, Adorno, and Marcuse, and was criticized for being Eurocentric. After a thorough examination, the paper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criticism mostly stays at the descriptive level of Eurocentrism rather than addressing its pragmatic and normative problems. A thorough critique may be feasible though more research is necessary.

      • KCI등재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사회철학과 스포츠비판

        조성식 한국체육철학회 2011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9 No.4

        The Frankfurt School, the most representative academic circle among neo-Marxist schools, paid a great attention to the critiques of capitalist societies in which human beings were heavily restricted and strongly manipulated, and looked for the human beings' autonomy and liberation. The School's social philosophy centered around the critiques of the instrumental reason and the capitalist cultural industry, and attempted to argue for the subjective and interpretive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methodology. With the epistemological standpoint of the School,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mporary sport dominated and controlled by the capitalist codes and norms. First, today's sport has been a form for increasing the instrumental reason; professional sport is a culmination of professionalization and specification derived from the specified division of labor for the productivity, utility, and efficiency. Athletes pursue the material values and rewards rather than the aesthetic values and their process for effort and devotion, and sport organization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operational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based upon the capitalistic principles. Second, today's sport is criticized as a form of the capitalist cultural industry; sporting products seemed to be the consumers' false consciousness and then serve as an opiate for the mass who are forced to forget social problems and to become the one-dimensional people. Sport industry tends to deal with their people in terms of industrial mechanism; people used to be members of sport but they were customers and now are consumers who just pay money for sport. Third, the School's social philosophy suggests the critical interpretive methodology including the history, dialectics, and totality of society; in this standpoint, the human beings' social behaviors are viewed as subjective, interpretive, and sophisticated ones rather than superficially observed ones. Finally the School' social philosophy seem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our critical perspectives about human imprisonment round sport and to become a practical body of knowledge about sport studies. 이 연구는 네오마르크시즘의 대표적 학파인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적 사회철학을 검토하고, 이들 학파가 가지는 자본주의사회의 스포츠 비판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세 가지 핵심적인 비판 인식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스포츠비판을 가늠하였다. 첫째, 자본주의사회 스포츠에서의 도구적 이성의 팽배를 비판하였다. 스포츠는 효율성, 효과성, 유용성의 측면에서 움직이며, 이러한 원리가 스포츠의 전문화 및 특수화로 전개됨을 비판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선수들은 특정 종목, 특정 포지션에 적합하도록 훈련받게 되는 구속적 상황을 경험하게 되고, 그러한 상황에서 인간의 자유와 해방은 쇠우리에 구속되게 된다. 스포츠조직도 고도의 생산성, 즉 승률의 상승에 초점을 두고 선수와 코치를 관리하며, 그러한 과정에서 선수와 코치의 인간적 주관성은 무시된다. 둘째, 스포츠는 자본주의의 문화산업으로 비판받는다. 영화나 음악과 같은 대중문화산업의 하나로 스포츠산업은 기존의 스포츠팬을 성원에서 소비자로 취급하게 되고, 자본주의적 상품이 되어버린 스포츠를 단순히 소비하게 되는 존재로 다루게 된다. 이러한 문화산업은 소비를 통해 허위의식을 만들어 내고, 비판적 이성은 더욱더 마비되는 일차원적 존재로 인간을 전락시킨다. 셋째,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방법론적 사회철학은 기존의 실증주의, 행태주의적인 피상적 방법에 대한 거부를 표명하고, 해석주의, 역사성, 변증법, 총체성의 개념을 과학의 방법론에 적용하여 오늘날 스포츠비판연구에서 의미있는 관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프랑크푸르트 학파와 멘케의 이성 비판

        강동원 서양근대철학회 2022 근대철학 Vol.20 No.-

        이 글은 오늘날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3세대 계승자로 분류되는 크리스토프 멘케(Ch. Menke)의 미학적 이성비판의 기획이 초기 비판이론의 작업을 어떻게 계승하고 있는지를 다룬다. 우선 멘케가 그의 최근 저서 『미학적 힘』에서 전개한 바 있는, ‘능력’과 ‘힘’이라는 개념들을 중심으로 한 근대 미학의 재구성이 검토된다. 능력의 미학이 실천적 주체의 개념을 철학사에 각인시킨 계몽으로 이해된다면, 힘의 미학은 그러한 주체의 자기확신을 붕괴시키는 계몽의 계몽으로 이해된다. 아울러, 이러한 재구성 작업은 자율성과 지고성의 개념에 근거한 이성비판의 기획과 동형적인 구조를 갖고 있음이 입증된다. 멘케의 기획은 비판의 대상과 비판의 방법 모두에서 초기 프랑크푸르트 학파를 계승하고 있다는 견해는 정당화될 수 있지만, 동시에, 멘케는 방법적 부정주의의 원칙을 등한시함으로써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급진성을 훼손한다.

      • KCI등재후보

        문화산업론과 문화산업 연구의 계보학

        김성은(Kim, Sung-e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Adorno와 Horkheimer의 문화산업 개념 제시 이래 문화산업론의 변화와 전환, 한국에서 문화산업 연구의 전개 등을 계보학적으로 성찰하였다. 문화산업 개념은 유네스코의 연구를 계기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철학적 개념인 ‘단수로서의 문화산업’ 대신 ‘복수로서의 문화산업’, 즉 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산업체를 가리키게 되었으며, 문화산업론은 문화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 전략을 세우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1970년대 이후 문화산업 연구의 중심지는 철학, 사회학에서 경영학, 경제학 쪽으로 옮겨가게 되었으며, 특히 문화경제학이라는 새로운 분과 학문의 영향력이 커졌다. 또한 문화산업의 부가가치가 크게 증대함에 따라 각국의 정부에서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문화산업의 발전 전략 연구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문화산업의 시장가치에만 집중하는 획일적인 연구 경향을 비판하고 다원적,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 역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산업 연구에서 경제적 분석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더라도 문화산업의 사회적 영향력과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문화산업 연구의 일반적 경향에 대한 다양한 비판들을 검토한 후 향후 문화산업 연구의 확장과 발전을 위해서 첫째, 실증적인 연구를 다양한 문화 이론과 결합시킬 것, 둘째, 문화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것, 셋째, 연구 대상을 미디어산업에 국한하지 않고 일상의 상업화된 문화적 환경들까지 연구 범위를 확대할 것 등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flected genealogically historical changes or conversions of the theories about culture industry since Adorno and Horkheimer’s idea of ‘Culture Industry’ presented and the representativ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in South Korea. It was occasioned by UNESCO’s significant studies that concept of ‘cultural industries’ pointing to various industries that exist in reality replaced ‘culture industry’, Frankfurt School’s philosophical concept. In addition the mainstream of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was changed direction to observ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industries and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m. As a result,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have been led by business administration or economics instead of philosophy and sociology since 1970s. Also the new discipline called ‘cultural economics’ has grown bigger and led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Depending on the added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is higher, governments began to be involv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studies about strategy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But they are still occurred the criticisms that the recent studies have only to concentrate on the market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and the arguments that we need more pluralistic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thembecaus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eir social value and influence, even though acknowledging the fact that economic analysis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a few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after examining the various criticisms about the general trend of recent studies. First, empirical researches must be combined with the various cultural theory. Second, it is need to strengthen the study about workers of cultural industries. Finally, it is desirable to widen studies to the overall cultural surroundings commercialized instead of being limited to the media industries. 본 연구는 Adorno와 Horkheimer의 문화산업 개념 제시 이래 문화산업론의 변화와 전환, 한국에서 문화산업 연구의 전개 등을 계보학적으로 성찰하였다. 문화산업 개념은 유네스코의 연구를 계기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철학적 개념인 ‘단수로서의 문화산업’ 대신 ‘복수로서의 문화산업’, 즉 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산업체를 가리키게 되었으며, 문화산업론은 문화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 전략을 세우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1970년대 이후 문화산업 연구의 중심지는 철학, 사회학에서 경영학, 경제학 쪽으로 옮겨가게 되었으며, 특히 문화경제학이라는 새로운 분과 학문의 영향력이 커졌다. 또한 문화산업의 부가가치가 크게 증대함에 따라 각국의 정부에서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문화산업의 발전 전략 연구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문화산업의 시장가치에만 집중하는 획일적인 연구 경향을 비판하고 다원적,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 역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산업 연구에서 경제적 분석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더라도 문화산업의 사회적 영향력과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문화산업 연구의 일반적 경향에 대한 다양한 비판들을 검토한 후 향후 문화산업 연구의 확장과 발전을 위해서 첫째, 실증적인 연구를 다양한 문화 이론과 결합시킬 것, 둘째, 문화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것, 셋째, 연구 대상을 미디어산업에 국한하지 않고 일상의 상업화된 문화적 환경들까지 연구 범위를 확대할 것 등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flected genealogically historical changes or conversions of the theories about culture industry since Adorno and Horkheimer’s idea of ‘Culture Industry’ presented and the representativ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in South Korea. It was occasioned by UNESCO’s significant studies that concept of ‘cultural industries’ pointing to various industries that exist in reality replaced ‘culture industry’, Frankfurt School’s philosophical concept. In addition the mainstream of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was changed direction to observ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industries and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m. As a result,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have been led by business administration or economics instead of philosophy and sociology since 1970s. Also the new discipline called ‘cultural economics’ has grown bigger and led the studies of cultural industries. Depending on the added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is higher, governments began to be involv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studies about strategy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But they are still occurred the criticisms that the recent studies have only to concentrate on the market value of cultural industries and the arguments that we need more pluralistic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thembecaus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eir social value and influence, even though acknowledging the fact that economic analysis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has a few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tudies about cultural industries after examining the various criticisms about the general trend of recent studies. First, empirical researches must be combined with the various cultural theory. Second, it is need to strengthen the study about workers of cultural industries. Finally, it is desirable to widen studies to the overall cultural surroundings commercialized instead of being limited to the media industries.

      • KCI등재

        지식 사회학적 견지에서 이데올로기에 대한 학술사적 고찰: 마르크스부터 초기 프랑크푸르트학파까지

        김지원,이승현 한국행정사학회 2022 韓國行政史學誌 Vol.55 No.-

        지식사회학적 견지에서 이데올로기를 연구한다는 것은 학문적으로 지식의 존재 제약성을 이론으로 정립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즉 이것은 이데올로기에 대한 역사적・사회학적 연구로서 과거는 물론 현재에 나타난 지식들을 통해서 그 ‘존재의 제약성’을 규명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존재의 제약성이란 이론과 실제의 괴리를 말하며, 많은 사회 사상가들이 그 괴리를 좁히려 다채로운 프레임을 통해 논리를 전개하고 있음을 잘 안다. 이 글은 만하임의 지식사회학적 입장에서, 이데올로기에 대한 지식의 존재 제약성을 지금까지의 역사적・사회적으로 제고된 논의들을 중심으로 학술사적인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이를 통해 이데올로기를 다루는 다양한 프레임의 옳고 그름을 가리기보다는 이것의 다양한 의미를 사회적・역사적 맥락에서 보여줌으로서 시대별 사회의 철학사상을 엿볼 수 있는 개기가 되어 이데올로기에 관한 이론의 스팩트럼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상기한 취지에서 이 글은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독일 이데올로기로부터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사회이론까지를 다뤘다. 이 글에서 다루는 연구주제를 짧은 지면을 통해 모든 것을 다루기는 어려웠지만 최소한 이 글은 역사적으로 이데올로기의 논의에 남을만한 변곡점들을 선행연구를 통해 선별해내 다룸으로서 이데올로기의 “시대 진단학”이라고 할 수 있는 지식사회학의 면모를 조금이라도 갖추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