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혁명’의 개념 변화에 관한 고찰

        길윤미(Kil, Yoon-Mi),문경자(Moon, Kyung-Ja)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4 동서인문 Vol.0 No.2

        프랑스와 러시아 사회에서 혁명이란 용어는 긴 의미 변화과정을 겪어왔으며 이것이 정치 사회적 혁명이라는 근대적 의미로 정착되는 시기는 프랑스 대혁명을 거치면서이다. 프랑스 대혁명은 러시아 사회에도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혁명 이전에는 익숙하지 않았던 혁명이란 용어가 일상 속으로 들어오게 되고, 러시아 지식인들 사이에서 프랑스 혁명을 연구하여 이를 통해 러시아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건의 추이를 가늠하고자 하는 시도들도 활발해졌다. 그러나 20세기 이후에는 오히려 러시아 혁명이라는 세계사적 사건이 프랑스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1920년 프랑스 공산당의 창당이나 앙드레 지드, 사르트르 등 프랑스 지성인들의 사회주의 혁명과 공산주의에 대한 열띤 논의에서 러시아 혁명과 러시아 공산주의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난다. 프랑스 혁명에 대한 긍정적 해석은 이것이 세계사에 있어 새 시대의 서막을 알린 대 사건이었으며 민중의 정신을 일깨우고 인간 정신의 진보에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 근거한다. 러시아 혁명 역시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혁명으로서 세계사에 대전환을 가져왔으며 세계 발전의 방향을 정립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19세기 프랑스 사회와 20세기 러시아 사회에서 혁명의 의의에 대한 의심과 회의도 결코 적지 않았다. 혁명의 폭력성과 혁명 이후에 뒤따르는 공포 정치를 경험한 두 나라의 민중들에게 혁명은 더 이상 절대적 가치로, 신성한 것으로 남을 수 없었던 것이다. 오늘날 혁명의 개념은 더욱 확대되어 정치성과 무관한 곳에서도 폭넓게 사용된다. 모든 종류의 위선과 억압에 맞서 저항하고자 하는 의지, 삶의 혁신을 꿈꾸는 정신의 자유와 열정의 의미가 혁명 정신 이란 말에 집약되면서 혁명의 긍정적 가치가 다시금 되살아나고 있는 듯하다. In French and Russian societies, the term ‘revolution’ has undergone a long process of change in its meaning and the period in which it began to be used as a contemporary meaning of socio-political revolution was through the French Revolution. The French Revolution had a strong influence also to Russian society. As the term ‘revolution’ that was unfamiliar prior to the French Revolution became commonplace, Russian intellectuals actively tried to evaluate the progress of events occurring in Russia by studying the French Revolution. After the 20th century, however, the Russian Revolution rath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French society. The Russian Revolution’s influence is prominently revealed in the formation of the French Communist Party in 1920 or the heated discussion on socialist revolution and communism by French intellectuals such as Andre Gide and Sartre. The positive interpretation of the French Revolu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was a major event as the prelude to a new era in the world history, while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human spirit and awakening the spirit of people. The positive significance of the Russian Revolution can be found in the sense that it also brought a major transition to the world history as the world’s first socialist revolution and while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world’s advancement. However, there were also many doubts and skepticism about the significance of revolution in the 19th century French society and the 20th century Russian society. For the people of the two countries that experienced the violence nature of revolution and following reign of terror, revolution could no longer remain as an absolute value and a sacred thing. Today, the concept of revolution has further expanded and used extensively in situations unrelated to politics. As the meaning of the determination to resist against every type of hypocrisy and suppression and the freedom and passion of a spirit dreaming of life’s innovation has integrated into the term ‘revolutionary spirit’, it seems that positive value of revolution is reviving once again.

      • KCI등재

        한나 아렌트와 프랑스혁명

        김응종(Kim, Eung-jong) 호서사학회 2016 역사와 담론 Vol.0 No.80

        한나 아렌트는 『혁명론』(1963)에서 자유(freedom), 빈자(貧者), 행복 · 연민 · 동정 같은 ‘새로운’ 심성 등을 중심으로 미국혁명과 프랑스혁명을 비교하면서 프랑스혁명을 평가하고 있다. 이 글은 정치철학자의 성찰을 역사적으로 검토해 본 것이다. 아렌트에 의하면, 프랑스혁명은 공화국을 수립하면서 진정으로 혁명적인 길에 들어섰으나, 최종적으로는 ‘자유의 독재’, ‘덕의 공포’, 공포정치 같은 불법적인 독재와 전제의 나락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아렌트는 빈자들이 혁명에 개입하면서 공화주의적 자유(freedom)가 궁핍으로부터의 자유(liberty)에 자리를 물려주었다고 설명한다. 프랑스에 누적된 고질적인 사회문제가 극단적인 사회전쟁을 일으켰고, 최종적으로 프랑스혁명을 좌초시켰다는 것이다. 아렌트는 무엇이 진정한 혁명인지에 대해 묻는다. 프랑스혁명이나 러시아혁명은 정치적인 혁명을 넘어 사회혁명으로 이어졌고, 이러한 이유에서 진정한 혁명의 지위를 누려온 반면 미국혁명은 식민지 지배로부터의 독립에 그쳤을 뿐 혁명으로 진화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아렌트는 사회문제를 해결한 혁명이 진정한 혁명이라는 통념을 거부하고 공화국의 수립을 진정한 혁명이라고 본다. 이러한 기준에서 보면 미국혁명이 진정한 혁명이다. 나아가 아렌트는 프랑스혁명에서 ‘혁명’이라는 지위를 회수한다. 프랑스혁명은 ‘혁명’으로 시작했으나 ‘반란’으로 끝났기 때문이다. 프랑스혁명은 혁명의 모델이 될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러시아혁명은 프랑스혁명을 모델로 삼음으로써 또 다른 재앙으로 끝나고 말았다. 아렌트는 빈민의 개입이라는 하나의 요인을 통해서 혁명기의 복잡한 상황을 명료하게 정리했으나 단순하다는 평을 면하기 어려우며, 혁명가들의 정치적 수사를 순진하게 받아들이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 그러나 프랑스혁명은 실패했고, 프랑스혁명이 없었더라면 오히려 자유와 권리가 더 많이 보장되었을 거라는 도발적인 진술은 프랑스혁명을 “자유, 평등, 형제애”의 위대한 시민혁명으로 보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폭력, 학살, 공포정치, 전체주의 같은 혁명의 이면을 바라보라는 요구로 받아들일 수 있다. In her On Revolution(1963), Hannah Arendt judges the French Revolution by comparing it with the American Revolution centering around the concepts such as the freedom, the poors, the happiness, the compassion, the pity.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olitical philosopher’s reflections historically. According to Arendt, the French Revolution entered into the real revolutionary stage by establishing the republican regime, but finally fell into the real despotism in the name of the despotism of the liberty, the terror of the virtue. She explains that the republican freedom was replaced by the liberty from the ne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poor in the revolution. The long accumulated social problems gave rise to the social war, and led to the failure of the revolution. Arendt asks what the real revolution is.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Russian Revolution passed from the political revolution to the social revolution, and for this reason, were considered to be the real revolution, while the American Revolution, being suspended in the independence from the colonization, was not considered to evolve toward the stage of the revolution. Arendt criticizes the conventional notions that the social revolution is the real revolution, and argues that the political revolu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an regime should be the real revolution. Futhermore, Arendt recalls the title of the revolution from the French Revolution, because it begins as the revolution, only to fail as the revolt. The Russian Revolution, by following the model of the French Revolution, turned out to be another disaster. Arendt epitomized the complicated situations of the French Revolution with the help of the notion of the intervention of the poor. Her arguments are too simple to get over the historical analysis. She often appears to be trapped in the rhetorical expressions of the revolutionaries themselves. Nevertheless, her challenging discourses that the French Revolution failed and that the liberty and the equality would have been better accorded without it lead us to look the French Revolution beyond the conventional notions of the “liberty, equality, fraternity”. Now is the time to see the other sides of the French Revolution such as the violence, the massacre, the terror and the totalitarianism.

      • KCI등재

        버크와 페인 - 프랑스혁명에 대한 엇갈린 예언

        김응종(Kim, Eung-jong)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7

        버크와 페인은 혁명의 탈선을 목격한 역사의 증인이다. 버크는 유구한 역사와 전통으로 빛나는 프랑스의 왕정 체제가 혁명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보고 대중독재와 전쟁, 그리고 장군의 지배를 예견했다. 버크의 예언은 정확했다. 페인은 아메리카에서 일어난 공화주의 혁명을 프랑스를 넘어 전 유럽에 확산시키려한 이상주의자였다. 그러나 그는 프랑스혁명이, 한나 아렌트가 말했듯이, 정치혁명에서 사회혁명으로 비화되어 파국을 맞이할 것임을 내다보지 못했다. 혁명은 로베스피에르의 전제정으로 전락했고, 공화주의자 페인은 감옥에 갇혔다. 버크가 혁명에 반대한 것은 프랑스가 왕정 체제를 유지하면서 의회를 구성하고 의회에서 법을 만드는 영국식 입헌군주정 체제로 발전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버크 자신이 휘그당 하원의원이었으며 의회제를 옹호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1791년 9월 공포된 프랑스 최초의 헌법은 입헌군주정을 채택하여 버크의 기대에 부응하는 듯했으나 프랑스혁명이 이 단계에서 끝나는 것은 불가능했다. 아메리카혁명과 달리 프랑스혁명은 사회혁명과 반혁명 그리고 전쟁의 공격을 받았기 때문에 과격해지지 않을 수 없었다. 페인은 아메리카혁명과 프랑스혁명에 직접 참여한 혁명가이며, 인민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헌신했다. 그러나 그의 고귀한 이념은 프랑스에서는 실현되지 못했다. 프랑스혁명은 대중독재와 공포정치로 전락하고 말았다. 또한 프랑스혁명은 전 유럽적인 혁명으로 확산되어 평화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도 무산되었다. 혁명전쟁은 정복전쟁으로 변질되어 유럽을 고난에 빠뜨렸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버크와 페인이라는 두 역사적 증인, 두 ‘예언가’를 통해 혁명의 실상을 살펴보았다. 혁명은 버크가 예언한 대로 공포정치와 군사 독재로 막을 내렸다. 페인은 버크가 예견한 바로 그것 때문에 고초를 겪었고 좌절했다. 페인의 공화주의 예언은 단기적으로는 아니었지만 장기적으로는 실현되었다. 역설적이지만, 페인을 절망의 구렁텅이로 몰아넣은 인물은 공화주의자 로베스피에르였다. 페인이 보기에 혁명을 파괴한 인물은 로베스피에르였다. 혁명을 사회혁명의 단계로 진화시킨 혁명가, 청렴한 혁명가, 덕(virtue)의 혁명가 등과 같은 아름다운 수식어는 공포정치가 로베스피에르에게는 어울리지 않는다. Burke and Paine are historical witnesses of the deviation of the Revolution. Burke predicted mass dictatorship, war, and general dictatorship when he saw the collapse of the ancient French monarchy and its long-lasting traditions. Burke"s prediction was correct. Paine was an idealist who tried to spread the Republican revolution of America across France and across Europe. However, he didn"t expect the French Revolution, as Hannah Arendt said, to be shattered into a social revolution. The Revolution degenerated into dictatorship of Robespierre, and republican Paine was put in jail. Burke opposed the Revolution because he believed that France could develop into a British constitutional monarchy that would maintain the monarchy, form parliament and make laws in parliament. We need to remember that Burke himself was a Whig Member of Parliament and he defended the parliamentary system. France"s first constitution, which was proclaimed in September 1791, seemed to live up to Burke"s expectations by adopting a constitutional monarchy, but it was impossible for the French Revolution to end at this stage. Unlike the American Revolution, the French Revolution had to become violent because it was attacked by a social revolution, a counter-revolution, and a war. Paine was a revolutionist who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American and French Revolutions, and he devoted himself to liberty and peace of the people. But his lofty ideology did not materialize in France. The French Revolution turned into a mass dictatorship and the Terror. The hope that the French Revolution spread to all European revolutions and establish peace there was also lost. This is because the revolutionary war turned into a war of conquest and made Europe difficult. This article, through two historical witnesses, Burke and Paine, two “prophets”, looked at the reality of the revolution. As Burke predicted, the revolution ended with the Terror and military dictatorship. Paine was troubled and frustrated by exactly what Burke predicted. Paine"s republican prediction came true in the long run, not in the short term. Ironically, it was republican Robespierre who drove Paine into the depths of despair. In Paine"s view, it was Robespierre who destroyed the revolution. Sublime reputations such as the revolutionist who evolved a revolution into a stage of social revolution, the pure revolutionist, and the virtuous revolutionist are not suitable for the Terrorist politician Robespierre.

      • KCI등재

        알베르 마티에와 러시아 혁명

        박윤덕 한국프랑스사학회 2018 프랑스사연구 Vol.- No.38

        This article explores the life and scholarship of the prominent historian of the French Revolution, Albert Mathiez, and investigates how this critical thinker viewed World War I and the Russian Revolution. In doing so, it particularly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Mathiez’s observation of these two important events influenced his own research and interpretation of the French Revolution. As the student of Aulard and director of the Historical Institut of the French Revolution at the Sorbonne, Mathiez first started to study the French Revolution through the lens of the history of religion. Yet the troubles that he had with his advisor later led him to establish the Society of Robespierre Studies and the journal Revolutionary Annales, and to expand his research agenda to the political, socio-economic, and military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The intellectual journey of Mathiez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orld War I and the Russian Revolution. He focused o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French Revolutionary War and World War I, as well as the convergences between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Russian Revolution. In fact, Mathiez tried to draw relevant lessons from the French Revolutionary War in a way that would shed light on the unfolding of World War I. This made him very critical of the policies of the French government of the time. In his view, the Russian Revolution was inspired by the French Revolution and learned from it, but fallen into a dictatorial regime that suppressed democracy and freedom with the rise of Stalin. Mathiez ultimately remained an independent historian as he rejected the dogmatic approaches of marxist historical methodology. 이 논문은 저명한 프랑스 혁명사가인 알베르 마티에의 삶과 학문을 살펴보고, 그가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제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혁명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그리고 자신이 목도한 전쟁과 혁명이 그의 프랑스 혁명사 연구와 해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마티에는 소르본의 프랑스 혁명사 강좌주임인 올라르의 제자로서 혁명의 종교사 연구로 프랑스 혁명사 연구에 입문하였지만, 스승과 불화를 겪으면서 로베스피에르 학회를 설립하고 학술지 『혁명 연보』를 창간하고, 혁명의 정치사, 사회사, 경제사, 군사사로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였다. 이러한 마티에의 학문적 여정은 제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혁명이라는 대사건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혁명전쟁과 1차 대전, 1789년의 혁명과 러시아 혁명의 유사성에 주목하였다. 프랑스 혁명전쟁의 역사에서 전쟁 수행에 도움이 될 만한 교훈을 찾고자 하였는데, 이는 당시 프랑스 정부의 정책에 대한 신랄한 비판으로 이어졌다. 그가 보기에, 러시아 혁명은 프랑스 혁명에서 교훈을 얻고 영감을 받았지만, 스탈린 체제의 등장과 함께 자유와 민주주의를 억압하는 독재로 전락하였다. 그는 마르크스주의적 역사방법론의 교조적 변형을 거부하면서 독립적인 역사가로 남았다.

      • KCI등재

        프랑스 혁명과 전쟁

        박윤덕(Youn-Duk PARK) 한국프랑스사학회 2014 프랑스사연구 Vol.- No.30

        혁명과 전쟁은 불가분의 관계인 것처럼 보인다. 근대의 혁명들은 전비 마련을 위한 증세와 함께 시작되었고, 기존체제 안에서 해소될 수 없는 긴장이 무장투쟁으로 발전하면서 절정에 달했다. 혁명 프랑스는 신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모든 정복 전쟁을 포기했고, 인민주권과 민족자결의 혁명이념은 프랑스가 반혁명 세력에 맞서 혁명을 지킬 수 있게 해주었다. 혁명전쟁은 왜 일어나는가? 혁명이념 자체가 프랑스와 그 이웃 국가들 사이의 전쟁의 필연적인 원인은 아니었다. 유럽은 이미 잉글랜드의 입헌군주제, 프랑스의 절대왕정, 스위스의 공화정과 같은 다양한 정치체제가 공존하는 것을 지켜 봐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혁명전쟁의 원인은 프랑스가 혁명 이념에 따라 한층 더 효율적인 국가로 부활할 가능성이 커지자, 유럽의 열강들이 전통적인 국가체제의 작동 원리에 따라 힘의 논리에 호소하게 되었다는 사실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Revolution and war seems to go hand in hand. Modern-days revolutions usually start with the levy of heavy taxes to finance wars, and breaks out when the unsolvable tensions plaguing the existing system are turned into armed conflicts. Well aware of these facts, the Revolutionary France attempted to maintained its newly established system by abandoning conquest wars, and the revolutionary ideas of popular sovereignty as well as self-determination enabled France to protect the Revolution from the Counter-Revolutionary powers. Then, why did revolutionary wars break out? The revolutionary ideas were not necessarily the root cause of the wars between France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Europe have had the experience of different states systems-including, England’s constitutional monarchy, France’s absolute monarchy, and Switzerland’s Republic-coexisting on its land. The cause of the Revolutionary Wars is to be found in the fact that France, now equipped with its revolutionary ideas, was reemerging as a fully efficient and competitive country that would rival other European countries. Operating under the traditional mechanisms of balance of power and the fight for the hegemony of their own political system, France went into war with other European countries who saw France as a reviving threat.

      • KCI등재후보

        프랑스 혁명의 이행 원리: 평등

        권혁남 ( Hyeok Nam Kw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1

        본 연구는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게 된 배경과 혁명의 전개 과정, 결과를 개괄함으로써 혁명 정신으로서 작용한 ``평등``의 이념을 살펴보았다. 혁명이 추구한 ``평등``의 이념이 우연과 우발성이 개입된 프랑스 혁명의 전체 과정에서 궁극적으로 의도한 바를 충분히 달성하였는지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프랑스 혁명의 진정한 의의를 재고해 보는 것이 본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우선 혁명이 구(舊)체제(Ancien Regime)를 개혁한 역사적 사실과 그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프랑스 혁명의 근본정신인 ``평등``의 정신이 혁명 과정에 어떤 작용을 낳았으며 혁명의 상황과 결과는 평등의 정신과 얼마나 부합하였는지를 순차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프랑스 혁명은 결코 부르주아 계급만의 계급투쟁이 아니었으며, 광범위한 계층이 참여한 ``민중의 혁명``이자 ``농민의 혁명``이었다. 여기에서 프랑스 혁명의 중대한 의의를 발견할 수 있는데, 바로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민중과 대중이 처음으로 역사의 주역으로 등장했다는 점이다. 다양한 혁명 주체가 거의 동등한 수준의 영향력을 발휘하여 혁명의 업적을 이루어냈다는 점에서 프랑스 혁명은 가히 ``평등의 혁명``이라 할만하다. 특히 평등은 사회의 일부 계층에 부와 권력 등이 다시 귀속되거나 불균형적으로 분배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성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프랑스 혁명은 귀족의 특권을 타도하였다는 면에서, 그리고 ``인간의 평등``이라는 정신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는 면에서 완전한 평등화를 이룩하지 못하였다 하더라도 평등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혁명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프랑스 혁명은 정치적 권리의 주체를 다양화하고 평등의 원리를 명문화했다는 점에서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는 자신의 운명과 사회와 역사를 개척해 나갈 능력이 있음을 확인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는 점에서 세계 역사에 큰 획을 그은 사건이었다. This study, by dealing with the background of the French Revolution, its progress, and results, examined the ideal of ``equality`` which worked as the spirit of the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the ideal of ``equality`` pursued by revolutionaries was ultimately realized fully in the whole process of the revolution where various chances and contingencies were intervened, and, based on it, to revisit the true significance of the revolutio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historical facts in which the revolution overturned the ancien regime and it unfolded further, and, investigated how the spirit of ``equality`` served in the revolutionary progress, and how much the revolutionary situations and results matched the spirit of equality. The French Revolution was not simply the class struggle only for bourgeois class, but ``the people`s revolution`` and ``peasants`` revolution` where a wide range of classes participated in. We can find a significance of the French Revolution in this respect, that is, grassroots and mass emerged as the main actors of history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In the respect that various groups of people influenced the success of the revolution to almost equal extents, the French Revolution can safely be called as ``revolution of equality``. In particular, equality served as an instrument to prevent wealth and power from returning to a small number of people again, and being distributed unequally. In the respects that the revolution overthrew privileges of aristocrats, and that it was based on the spirit of ``human equality``,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volutions in history of equality, even if the revolution did not realize equality perfectly. In addition, the revolution was an epochal event because it served as an opportunity to prove that humans are capable of exploring their destinies, society, and history, as well as expanding the groups of those who had political rights, and stipulated the equality principle.

      • KCI등재

        프랑스 만화와 68혁명

        한상정 프랑스학회 2019 프랑스학연구 Vol.0 No.88

        Nous nous intéressons à la représentation des événements de Mai 68 en bande dessinée, ainsi qu'à la manière dont ceux-ci ont influé la bande dessinée comme leur propre genre. Les années 1960 ont été marquantes pour la bande déssinée française, période sous laquelle la bande déssinée française a commencé à acquérir une forme de légitimité culturelle comme genre artistique. Notre recherche suggère que l'influence des événements de 68 sur ce changement s’est plutôt montrée indirectement, dont la cause est davantage attribuable à l'atmosphère sociopolitique de l'époque induite par ces événements. En ce qui concerne la manière dont Mai 68 comme thème est traité en bande déssinée, nous pensons pouvoir relever quatre grandes catégories. La première introduit les événements en son décor; une seconde se réfère implicitement aux événements en introduisant ces motifs majeurs; une troisième inclut les événémenets dans la trame narrative, tandis que la dernière catégorie les traite comme sujet principal. L'analyse nous conduit d'ailleurs à remarquer qu'en se rapprochant de notre époque contemporaine, les reproductions directes du thème de Mai 68 tendent à être remplacées par une glorification historique de ces événements. 프랑스 만화계는 1960년대의 만화계를 진정한 문화적 혁명의 시대였다고 자평한다. 이는 즉각적으로 문화혁명이라고 평가되는 68혁명과의 상관성에 대한 질문을 야기하게 만든다. 이 양자의 관계는 현실적 그리고 재현적 층위에서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시 만화계의 이러한 변화를 분석한 결과, 현실적 층위에서 만화계의 변화는 68혁명과의 직접적인 상관성보다 시대적 사회적 분위기의 역할이 더 강했다. 재현적 층위에서 68혁명은 만화작품 속에서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68혁명의 장식적 재현, 68혁명 자체는 부재하나 68혁명의 대표적인 사유들이 등장하며 간접적으로 68혁명을 떠올리게 하는 방식, 68혁명이 스토리의 일부로 등장하는 것, 68혁명 자체를 설명하거나 재현하는 경우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작품 속에서 68혁명이 구체적인 모습은 사라지고 신화화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는 점은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이다.

      • KCI등재

        프랑스 반혁명 연구의 동향:서부지방 농민반란 연구를 중심으로

        양희영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2 동국사학 Vol.52 No.-

        20세기 초까지 프랑스 반혁명 연구는 수적으로 많지 않았고, 동시에 정치적이고 논쟁적인 성격이 강했다. 특히 서부지방 농민반란을 연구하는 역사가들은 반란이나 반란 진압에 직접 참여한 이들의 진술에 의존하면서 그러한 진술에 스스로를 동일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20세기 들어 역사가들은 점차 반란 지역의 특정한 경제구조와 국면에서 기원하는 계급갈등을 중시하고 혁명기 과세와 종교정책에 대한 농민의 실망이 반란의 원인이라고 보게 되었다. 이러한 시각은 특히 1960년대에 발달한 일련의 지방사 연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 대표적인 예는 폴 부아의 사르트 도 연구, 찰스 틸리의 멘에루아르 도 연구, 마르셀 포슈의 방데지방 연구이다. 농민반란의 기원과 구조적 원인을 탐구하는 이러한 연구들은 특권층의 음모를 강조하는 공화파 역사서술과 구체제에 대한 농민의 충성을 주장하는 왕당파 역사서술 모두로부터 거리를 두었다. 1980년대에는 기원과 구조에 대한 강박에서 벗어나 혁명과 반혁명의 진행 자체 또는 반혁명의 정치사에 주목하는 연구들이 나타났다. 동시에 반혁명 반란을 ‘제노사이드’로 규정하는 반혁명적 역사서술도 다시 출현했다. 이러한 역사서술은 대중매체의 호의적 반응에 힘입어 반혁명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환기시켰다. 이 논문은 다양한 개성과 성과를 보여준 이러한 프랑스 반혁명 연구의 동향을 검토하고 혁명의 또 다른 얼굴로서 반혁명 연구가 지향할 앞으로의 진로를 모색해보았다.

      • KCI등재

        프랑스혁명과 가톨릭교회의 수난

        김응종(Kim, Eung-jong) 호서사학회 2017 역사와 담론 Vol.0 No.83

        중세 이래 가톨릭은 국교로서의 특권을 누려왔다. 그러나 혁명으로 왕정이 붕괴되고 공화국이 수립되자 오랜 기간 왕정과 공생해오던 가톨릭교회 역시 붕괴를 면하기 어려웠다. 이 글은 프랑스혁명기에 진행된 가톨릭교회에 대한 박해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성직자민사기본법, 선서, 탈그리스도교화 등으로 가속된 박해에 의해 수많은 신부들이 수난을 당했다. 처음에는 성직자민사기본법에 선서하기를 거부한 신부들이 수난의 대상이었다. 혁명 전의 전체 성직자 가운데 절반 정도가 선서를 거부했고, 선서거부신부 가운데 절반 정도가 망명을 떠났거나 유형에 처해졌다. 탈그리스도교화가 진행되면서 선서신부들도 처벌을 받아, 선서신부 가운데 절반이 신부직을 떠났다. 성당은 폐쇄되었고 미사는 금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교 문화 자체가 파괴되었다. 반혁명전쟁에 가담하여 저항한 신부는 극소수에 불과했다. 1794년 7월 테르미도르 정변으로 공포정치가 끝나자 야만적인 반달리즘도 끝났고 가톨릭교회에 대한 박해도 완화되었다. 1801년 나폴레옹은 콩코르다를 체결하여 신앙의 자유를 부여했다. ‘인권선언’과는 반대로, 프랑스혁명은 종교의 자유를 부여한 것이 아니라 종교를 박해했다. 혁명은 선서거부파는 물론이고 선서파도 박해했으며, 나아가 프로테스탄트교회, 유대교회 등 일체의 종교를 박해했다. 기존의 종교는 미신에 불과했고, 프랑스혁명이 계시이자 섭리이자 진정한 종교였다. 혁명과 가톨릭교회의 대립은 두 종교의 대립이었고, 당시 혁명가들이 말했듯이, 두 광신의 대립이었다. 프랑스혁명이라는 종교는 ‘다른’ 종교와 양립하기를 거부했다. 이런 점에서, 프랑스혁명은 구체제와 다르지 않았다. Since the Middle Ages, the French catholic church has enjoyed a status of the national religion. But as the Revolution of 1789 broke down the monarchy, it was impossible for the catholic church which was in the symbiotic relationship with it to avoid the collap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persecution of the catholic church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Innumerable priests suffered the persecution through the Civil constitution of the clergy, the obligatory oath, and the dechristianization. At first, the priests who refused to take oath were the target. About the half of the total number of the clergy before the Revolution refused to take oath, and about the half of these priests immigrated to the foreign countries or suffered the deportation. As the dechristianization proceeded, the priests who took oath were included in target of the persecution. Approximately the half of these priests resigned from the priesthood. The churches were closed, and the masses were interdicted. The christian culture itself was destroyed. A few priests resisted by force and arms to the persecution. The greater part of the priests suffered martyrdom. As the Thermidor 9 terminated the Terror, the savage vandalism was also terminated and the religious persecution was weakened. In the end, in 1801, Napoleon gave the religious freedom by contracting the Concordat with the pope. In spite of 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en and the citizen” the French Revolution did not give the religious freedom but persecuted the religion. The Revolution persecuted not only the catholic church including the constitutional church, but also the protestant church and the judaic church, in short all the religions. For the revolutionaries, all the revealed religions were no more than the superstitions. The French Revolution itself was, for them, the revelation, the providence, the true religion. The fight between the Revolution and the catholic church was that of two religions, and as the revolutionaries conceded, that of two fanaticisms. It is that the religion of the French Revolution refused to coexist with other religions. In this sense, the French Revolution was not different from the Ancient Regime.

      • KCI등재

        정치적 기회주의에 대한 역사학적 접근

        권윤경(Yun Kyoung KWON) 한국프랑스사학회 2015 프랑스사연구 Vol.- No.33

        이 논문은 프랑스혁명사연구소 소장인 피에르 세르나의 『변절자들의 공화국』을 통해 혁명사의 새로운 흐름을 돌아보고자 한다. 세르나는 정치적 변절이나 기회주의를 단순히 도덕적으로 단죄할 것이 아니라 위기의 시대에 나타난 집합적 정치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역사학적 틀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세르나는 ‘바람개비(girouette)’로 표상되는 변절자라는 인물상이 혁명 이후 프랑스 정치와 문화에 만연했는데, 이것이야말로 근대 프랑스 정치사를 관통하는 핵심이라고 말한다. 변절자라는 인물상이 부상한 것은 ‘중도’를 표방한 엘리트 국가 관료층이 정권들의 부침 속에서도 계속 행정권을 장악했기 때문이었다. 세르나는 프랑스사의 고질적 문제는 흔히 말하는 좌우파간 대립이 아니라 오히려 행정권을 장악한 이들이 정치적 중립성의 이름으로 국가폭력을 동원하여 좌우파를 탄압함으로써 민주주의적 논의와 토론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데에 있다고 말한다. 혁명기 총재정부가 이 ‘극중도(extreme centre) 공화국’을 낳았으며, 이는 이후 나폴레옹의 세례를 거쳐 이후 프랑스 정치 문화를 지배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세르나는 혁명기 정치문화사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정치적 변절주의에 대한 역사학적 접근을 통해 우리에게도 비교사적으로 유익한 관점을 제공해 준다. This article looks into the new trends in the studies of the French Revolution by a close analysis of La Re?publique des girouettes(Paris, 2005), written by Pierre Serna. He chooses the figure of “weathervane (girouette)” embodying political turncoats as a key to reinterpreting French modern political history. His book discovers that this figure, both real and fictional, was omnipresent in nineteenth-century French politics and culture. Serna goes back to the French Revolution to find its origin. Those turncoats became conspicuously visible in political space because a group of elite politicians-cum-bureaucrats continued to hold the executive power in spite of the rise and fall of the successive regimes from 1789 to 1815. They repeatedly turned their backs on what they had said, but kept the high offices in the name of political moderation. Serna labels them as ‘extreme centre’, because they condemned and repressed all kinds of political opposition as anarchism and extremism, which suffocated the newborn democratic parliamentary system. By such an insight, Serna’s book not only provokes important questions about the French Revolution, but also suggests useful comparative perspectives to 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