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arles-Paul Landon의 「박물관 연보와 오늘날의 화파」와 ‘과거 프랑스 화파’의 미술사적 의의

        김한결(KIM Hangyul) 프랑스학회 2019 프랑스학연구 Vol.0 No.89

        혁명 이후 프랑스의 과거 미술에 대한 서술은 이전과 달리 이탈리아, 홀란드 등 외국 미술의 헤게모니에 맞서 자국의 화파를 재조명하고 가치롭게 하려는 의도를 드러낸다. 이는 미술관이라는 지식과 문화유산의 공유를 위한 새로운 공공의 장소의 탄생과 함께 등장한 소장품 도록을 통해 뚜렷이 관찰되는데, 더욱 객관적이고 설득력 있는 분류와 목록화의 필요성에서 주로 연유한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Landon의 「박물관 연보와 오늘날의 화파」는 혁명 이후 프랑스 사회가 품고 있는 여러 역설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새 시대의 미술을 격려하는 한편 과거 프랑스 화파의 일관되고 지속적인 예술 전통의 계보를 정립하여 이를 국가와 민족의 우수성을 대변하는 하나의 근거로 삼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Landon은 프랑스 미술사에서 부재하다시피 했던 18세기 이전의 미술 전통을 대변하고 정당성을 부여하는 주체로서 ‘과거 프랑스 화파’École française ancienne을 정의하고 이를 작품 설명과 비평을 통해 설파하였다. 이 러한 관점에서 이 책을 분석하여 19세기 초 프랑스의 과거 미술 서술의 특징을 정리하고 과거 자국 미술에 대한 인식이 자리 잡은 정황을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Au premier XIXe siècle en France, les idéaux révolutionnaires et d’un nationalisme s’immiscèrent en matières d’art et de critique artistique. À part l’exposition inédite des oeuvres d’art anciennes grâce à l’espace nouvellement créé sous le nom de “musée”, les catalogues s’opèrent comme un support visuel supplémentaire s’adressant à distance à un public plus large. Parmi les publications contemporaines, les Annales du musée et de l’école moderne des beaux-arts de Charles-Paul Landon sont remarquables pour leur accessibilité et l’analyse riche des oeuvres qui contribue à la mise en valeur de l’École française ancienne. Dans les volumes nommés l’“École française ancienne”, à côté de l’encouragement sans réserve de l’“école moderne des beaux-arts” dont dépendra l’avenir de la jeune France, se trouve l’éloge des maîtres anciens français. En reconnaissant chez ces derniers un mérite artistique sûr et une tradition continue, le catalogue de Landon ouvrit un spectre de goût plus divers quant à l’esthétique de l’art ancien. Aussi observons-nous ici une nouvelle définition du terme d’“école”: plus qu’un rassemblement d’artistes appartenant à une même nation, à un même atelier, ou pratiquant un style similaire, celui-ci incarne désormais l’image d’une généalogie, filialité sanguine de père à fils. Cette idée de parenté renforce un discours national dans l’histoire de l’art, qui privilègie la continuité et l’entité culturels et participe à la fabrique d’une identité nationale. À travers l’expérience visuelle et intelligente de l’art ancien offerte par Landon et ses contemporains, l’École française est interprétée, non sans difficultés et paradoxes, comme emblème de l’excellence universelle de la France.

      • KCI등재

        프랑스 예술가들의 공간,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

        신상철(Shin, Sangchel) 서양미술사학회 2016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4 No.-

        프랑스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의 종신 감독관이자 루이 14세 궁정의 수석화가였던 르 브룅이 활동했던 17세기 프랑스 미술계는 중대한 변화의 시기였다. 몽테뉴의 자아에 대한 철학적 탐구에서 비롯된 근대적 합리주의 정신이 확립되던 이 시기 미술의 영역에서는 이탈리아 화단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난 프랑스 미술의 독자성이 수립되기 시작했다. 1648년 설립된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는 이러한 변화의 구심점이었다. 왕립 아카데미 설립을 주도했던 샤를르 르 브룅은 아카데미를 통해 프랑스 작가들에게 미술의 기본 법칙과 조형 기법을 전수하고자 했다. 그의 목표는 프랑스 예술의 보편적 법칙과 규범을 수립하는 것이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예술 창작 과정의 표준을 정립하는 것이었다. 르 브룅은 프랑스의 동시대 화가들에게 역사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회화의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가독성이라고 생각했다. 이것은 예술적 독창성이나 진정성보다 훨씬 중요한 요소였다. 그는 회화의 가독성은 시각적 기호에 의해 형성된다고 믿었다. 따라서 회화를 구성하는 시각적 기호는 정확하게 표현되어야만 했으며 이러한 그의 생각은 과학적 방법을 기반으로 한 감정표현 기법을 만드는 토대가 되었다. 르 브룅에게 예술적 표현은 인간이 인지하고 경험한 것의 본질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것이었다.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감정의 원형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는 작업은 궁극적인 의미에서 그림 속 환영에 리얼리티를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동시에 서사적 구조를 지닌 역사화의 설득력을 높이는 수단이 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르 브룅의 회화규범은 이론과 실천을 동시에 강조하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그의 방침은 자신이 감독하고 있었던 왕립 아카데미를 통해 17세기 프랑스 화단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The 17<SUP>th</SUP> century which Charles Le Brun, the first painter of King Louis XIV and director of the Royal Academy of Painting and Sculpture worked in artistic field actively, was a time of great changes in the French art world. That period was the time to have established the modern rationalist spirits derived from the philosophical quest for the ego of Montaigne and in the artistic area it began to be established, the uniqueness of the French art outside from the influence of the Italian art world. The Royal Academy of Painting and Sculpture, founded in 1648 was the cornerstone of these changes. Charles Le Brun, who had played the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the Royal Academy, had a strong will to educate the basic rules of art and the techniques of formative arts to the French artists through the Academy. His main goal was to set down the universal norms of art and furthermore to establish the canons of France arts, ultimately which, should be said, was to introduce the fundamental rules in creative arts courses. In a way of specifying his plan, Le Bru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history paintings to contemporary French painters. Placing emphasis on the history paintings, he highlighted the manner of delivering and demonstrating convincingly the fundamental subjects which the history paintings universally would imply. He placed stress on the exact mathematical ratios, geometric laws and anatomical details in realizing the individual elements and the overall compositions of the painting. With standing on his belief, he built up the proper foundation of his own geometric systems for producing history paintings. Le Brun was strongly convinced that readability valued most frabjously in the field of paintings, as more significant factors than the creativity and authenticity in artistic view. He considered the readability of paintings should be formed by well performed visual signs, which accordingly led to the foundations of properly expressing ones emotions grounded on the scientific basis of geometry and anatomy to produce a well-proportioned outcomes. Painting norms proposed by Le Brun is consistent with pointing out the significances of the theory and practice should be well balanced equally, which ultimately resulted in becoming the main policy that had enormous influences on the French art world through the Royal Academy in the 17<SUP>th</SUP> century.

      • KCI등재

        1970-90년대에 개최된 프랑스 미술전과 기획 주체 연구

        전유신 미술사학연구회 2020 美術史學報 Vol.- No.55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organizers and the content of the French art exhibitions held in Korea from the 1970s to the 1990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xhibitions of famous French paintings held in Korea during the 1970s were largely hosted by Korea’s leading newspaper companies, such as Chosun Ilbo, according to government policy on mass media implemented by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Throughout the next two decades in the 1980s and 1990s, the art exhibitions were mainly hosted by art institutions such as museums and galleries that specialized in French contemporary art, printing in particular. The main discussion of this study traces the background of the exhibitions to help explain why French art was dominantly favored by the Korean exhibition organizers from the 1970s to the 1990s as well as how this contributed to the acceleration of artistic exchanges between Korea and France. 본 연구는 1970-90년대에 프랑스 미술전을 개최한 핵심 주체가 시기별로 변화했고, 각 주체별로 전시의 내용도 차별화되었음을 고찰했다. 1970년대에는 박정희 정부의 언론 정책에 따라 『조선일보』와 같은 신문사가 프랑스 명화전을 개최하는 핵심 주제로 성장했다. 1980-90년대에는 미술관과 화랑이 프랑스미술전의 주요한 기획 주체였고, 각각 프랑스 현대미술전과 프랑스 판화전을 주로 개최했다. 본 연구는 1970-90년대에 프랑스 미술전이 다른 해외 미술전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개최된 배경을 추적하고, 이러한 전시가 한국과 프랑스 양국의 미술 교류를 가속화하는 매개가 되었음을 고찰했다

      • 한국과 프랑스 미술교육 비교 연구

        송선영(Song Sun Young)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4 초등교육연구 Vol.- No.18

        미술 교육은 인간의 정서를 순화하고 삶의 질을 높이며 현대 사회에서 중요시 여기는 창의성과 상상력을 기른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교과목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미술교육의 문제는 입시제도나 수업환경의 열악함, 인식의 부족 등으로 인해 미술교육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발달에 아주 중요한 시기인 초등학교의 미술교육을 모든 교육의 기본이며 견인 수단으로 여기는 프랑스의 미술교육과 비교 연구함으로써, 국내 미술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프랑스 미술교육에 대한 객관적인 비교 분석을 통하여 장점은 받아들이고, 단점은 보완하여 한국 미술교육의 현실에 맞는 이론을 정립하여야 한다. 스스로가 창조자로써 나아가야할 방향을 정하고 그것을 목표로 재능을 키워나가도록 고양시켜주어야 할 것이며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스스로 찾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야 말로 진정한 의미의 미술교육이라 할 것이다. Art education is an important course that refines human emotions and improves quality of life,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bring creativity and imagination which are considered significant in modern society. However, the current issue of Art Education in Korea is that it has not been performing the role of art education properly due to poor entrance system or learning environment and lack of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uture direction of national art education with the comparative study on art education of domestic elementary school which is a very important period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of French art education which is a basis and driving means of all education. Also, by conducting an objective analysis and research on art education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France, a theory of art education in Korea which fits the reality will need to be established, accepting the benefits and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Art education will need to present a better way to go as a creator, and provide students with a guidance to grow their talent. Helping them to find what they really need will be the true meaning of education.

      • KCI등재후보

        프랑스 미술과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이은적 한국교육학회 2002 敎育學硏究 Vol.40 No.4

        미술교육은 현대미술현상을 수용하면서 그의 다양하고 모호한 특성으로 교육 내용과 교수방법을 구성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 이런 관점에서 프랑스 미술과 교육과정 연구에서 미술세계, 특히 현대미술과의 관계 속에 교육내용과 방법이 구성되는 양상과 가능성에 대한 설명을 찾아보며, 아울러 변화되는 교과의 개념 및 특수성도 살펴본다. 프랑스 미술교육학의 활발한 연구는 현대미술이 안고있는 불명확성, 모호함에 침체되고 무력해지기보다는, 오히려 반전하여 그 특성을 미술교과 목표 수립에 이용하고 있다. 현대미술문화의 이해, 문제제기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자기 판단과 비평의식, 열린의식의 신장을 강조하면서 프랑스 미술교육은 미술교과의 특수성을 강조하면서, 따한 다른 교과에 상응하면서 일반교육목표에 접복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 KCI등재

        전후(戰後) 프랑스 체재 외국인 미술가들과 문신

        박신영 미술사연구회 2023 미술사연구 Vol.- No.45

        문신은 한국과 일본에서 회화 작업을 하다가 마흔에 가까운 나이에 도불하여 구상에서 추상으로 이행하고, 조각을 시작했으며 전후 프랑스에서의 경험을 통해 국제적인 미술가로 부상한다. 본 연구는 문신의 조형적 변화에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던 프랑스 체류 기간에 주목하여 국제적으로 복잡다단했던 전후(戰後) 프랑스 문화예술계의 외국인 예술가들의 정황과 문신이 교류하고 목격했을 미술가들을 살펴, 문신의 예술을 국제 미술사의 맥락에서 읽어내 보고자 시도한다. 20세기 초의 ‘에콜 드 파리’보다 한층 더 다양한 국적의 작가들이 프랑스 미술계에 진출하여, 전후 파리의 외국인 미술가들은 ‘누벨 에콜 드 파리(Nouvelle École de Paris)’라는 이름으로 수식되었다. 본고는 문신과 직간접적으로 교류한 ‘누벨 에콜 드 파리’ 작가들을 구체적으로 살피고 1960~70년대 문신의 주요 활동들이 전후 프랑스 미술계의 역동적인 변화들과 맥을 함께 했다는 것을 밝혔다. 그를 통해 문신이 국제 미술계의 조류를 기민하게 번역하고 능동적으로 해석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독창적인 조형 세계를 구축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신이 목격하고 취사선택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그를 ‘누벨 에콜 드 파리’ 작가들과 같은 선상에 두고 국제적 관점에서 살핀 본 연구는 문신의 예술을 한층 더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한다.

      • KCI등재

        켈뤼스 백작의 미술비평을 통해 본 18세기 중반 프랑스 미술비평과 애호가

        김한결 한국미술이론학회 2021 미술이론과 현장 Vol.- No.31

        18세기 중반 프랑스 미술계는 ‘대중’의 탄생, 고전고대 예술에 관한 새로운 시각의 태동, 왕립회화조각아카데미의 이론적·교육적 재편성에 따라 전환기를 맞이한다. 여기서 풍부한 교양, 학식, 그리고 ‘안목’과 더불어 때로는 기예까지도 갖춘 애호가(amateur)라는 특수한 직업군은 동시대 예술 창작뿐만 아니라 서술의 영역에서도 점차 고유의 영향력을 확대해간다. 켈뤼스 백작(Comte de Caylus)는 본래 고고학자, 판화가, 작가로 더 잘 알려진 인물로서 답사 여행과 유물 수집, 그리고 유럽의 여러 고문헌학자·수집가·감식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획득한 고전고대에 대한 지식, 열정적 강연과 집필 활동을 바탕으로 아카데미라는 제도적 틀 안에 애호가로서 안착한다. 본 논문은 애호가이자 미술이론가로서 켈뤼스의 초상을 그려보고, 그의 주요 강연과 출판물을 미술비평이라는 새로운 글쓰기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어서 과연 애호가가 미술비평의 정당한 주체가 될 수 있는지, 또 미술비평의 관점에서 과거를 대하는 방식을 논의하는 데 켈뤼스라는 ‘보편적 지식인’이 이바지한 바를 그의 아카데미 강연과 저작을 통해 탐구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과거를 파악하고 활용하는 일련의 지적 작업의 변천을 추적하는 데 미술비평이 어떠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지를 가늠해보고자 한다. The artistic world in the 18th century France experienced a turning point due to the doctrinal and educational reconstruction of the Académie, the emergence of the “public”, and a new perspective on ancient art. A group of amateurs, endowed with rich culture, knowledge, and taste, gradually spread their influence as much in the writings on art as in the creation of art. Le comte de Caylus, an archaeologist, engraver, and novelist, entered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the Académie as an honorary amateur where he displayed his extensive knowledge of antiquity. We set out to the goal of sketching a new portrait of Caylus and analyzing his conferences and writings in the light of the then emerging art criticism. Then we will question the legitimacy of art criticism by amateurs and investigate the contributions by Calyus, an all-embracing intellectual, in the debate on how to appropriate the past in art criticism.

      • KCI등재후보

        어린이를 위한 미술 · 디자인 감상 이론과 실제 연구 : 바르브-갈의 연령별 접근 분석을 중심으로

        유재길(Yoo, jae-kil),김조은(Kim. Jo-e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3 조형디자인연구 Vol.16 No.4

        최근 국내의 초대형 미술전시에 많은 관객이 몰리고 있다. 특히 어린이를 동반한 젊은 부모들의 적극적 참여는 예술작품에 의한 우리의 미적제험 확장과 행복감,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의 삶과 정신세계를 풍요롭게 한다는 절대적 믿음에서 시작되는 느낌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난해하다고 하는 현대미술을 어린이에게 어떻게 설명할까하는 의문에서 시직된다. 현재 이에 대한 구체적 연구로 가장 주목되는 것은 프랑스 미술교육가 프랑스와즈 바므브-갈(Francoise Barbe Gall)의 어린이 미술감상볍이다. 그는 2002년 이후 CORETA(COmment REgarder un TAbleau)라는 문화단체를 설립, 운영하며 일반인과 어린이들이 미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저작과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현대미술 감상법 연구는 난해하다고 생각하기 쉬운 오늘날 미술감상에 있어서 나이별로 알맞은 질문과 담변 등이 만들어져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목적 역시, 어린이 현대미술 감상을 위해 바르브-갈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그 실례들을 소개하는 동시에 프랑스의 현대 미술관에서 실행되고 있는 효과적인 어린이 미술 감상 교육 프로그램을 집중 소개하고 분석하여 우리 현실에 어린이 미술 감상법으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어린이를 위한 현대미술 감상법으로 본 연구결과는 첫째, 단계별 미적 체험 활동을 지속적으로 체험하게 하고 둘째, 미술작품에 대한 감동과 지적 호기심을 환기하여 주체적으로 감상하도록 하며, 셋째로는 미적대상에 대한 어린이들의 직감을 인정하고 계발하도록 북돋아 주는 목표를 갖는다. Recently, there are so many 'Blockbuster' Art and Design Exhibitions in korea and these kind of exhibitions draw a large audience. maybe there is some kind of strong belief that the expansion of the art experience makes our life more affluent As a result of this belief, we can see many enthusiastic young parents going to the art gallery with their children. In this circumstances, 'How to explain the esoteric contemporary art work to our children.'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Lately, 'Art appreciation method for children' of french art educator Françoise Barbe-Gall is very noteworthy as a concrete study in this field. In 2002, she founded CORETA(COmment REgarder un TAbleau) and tried to improve accessibility to art appreciation for children and general public through writings and researches. Especially, Franç oise Barbe-Gall's art appreciation method for children is very well regarded. Because this method produces proper questions and answers in accordance with their ages. Illustrating Franç oise Barbe-Gall's method by giving a real application examples and analyse effective programs of the contemporary art museum of France, I want to find out the proper method for our actual situation That is the object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this study by the art appreciation method for children, it is recommended to continually provide the art experiences stage by stage and help the children to appreciate the art work more autonomously. And also, it is important to accept children's intuition for every aesthetic objects around them and trying to develop it.

      • KCI등재

        전례 공간으로서의 교회를 현대미술 전시 공간으로 보게 하는 예술적 순례들에 대한 연구

        김행지 ( Haengji Kim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7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9 No.-

        프랑스 혁명(1789-1799) 이전 가톨릭교회는 국가의 종교로서의 사상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정치적, 경제적으로까지 지배적인 영향력을 휘둘렀다. 이러한 가톨릭교회의 폐쇄성은 정통적 제도, 국가에 대한 우월권 등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이미 18세기 중반에 나타난 교회에 대한 집단적 반발과 비그리스도교화라는 혼란스러운 분위기가 프랑스 혁명을 더 고조시키는 결정적 역할을 했다면, 혁명 이후에도 이어지는 반란과 무질서의 여파는 프랑스 가톨릭교회의 재건과 교회 개혁을 열망하게 했다. 나폴레옹 1세(Napoleon Bonaparte, 1769-1821, 재위 1804-1815)는 교회재산의 사유화 정책을 관철시킨 것은 물론이며 프랑스뿐만 아니라 전 유럽에서는 교회 조직과 제도도 완전히 붕괴시켰다. 이는 종교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교회의 시각적 이미지의 변화를 불러온 역사적 현상이었다. 그리스도교역사에서 시각적 이미지는 그리스도교 전례, 성서, 교리, 도상 등과 결부된 매우 중요한 신앙의 실천이었다. 그러나 혁명 이후 그리스도교 전통과 가톨릭교회의 권위에 도전하는 반그리스도교적 감정과 운동의 영향으로 많은 사람들이 가톨릭교회로부터 멀어진 결과 그리스도교적 주제의 미술보다는 예술가의 자율성을 추구하는 경향을 나타내면서 그리스도교 미술은 위기에 빠지게 된다. 본 논문은 프랑스 혁명 이후 현대미술을 교회 안에 수용하여 교회를 쇄신하고자 했던 1930년대 성 미술 운동(L`Art Sacre)을 통한 프랑스 도미니크 수도회의 현대건축에 주목하였다. 마리에-알랭 쿠투리에 신부(Marie-Alain Couturier, 1897-1954), 피에-레이몽 레가메(Pie-Raymond Regamey, 1900-1996) 신부 등을 비롯한 진보적인 도미니크 수도회 성직자들은 거룩한 전례 공간인 대성당, 교회, 수도원 건축 안으로 살아 있는 미술을 수용하기에 이른다. 쿠투리에 신부는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 1869-1954), 페르낭 레제(Fernand Leger, 1881-1955), 마크 샤갈(Marc Chagall, 1887-1985), 조르주 루오(George Rouault, 1871-1958), 피에르 보나르(Pierre Bonnard, 1867-1947), 조르주브라크(George Braque, 1882-1963), 자크 립시츠(Jacques Lipchitz, 1891-1973), 장 뤼르싸(Jean Lurcat, 1892-1966), 장 바젠(Jean Bazaine, 1904-2001)과 같은 현대미술의 거장들의 실험적인 작품들을 교회미술로 이끌어 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1980년대 독일 뤼벡의 성 페트리 성당(St. Petri), 쾰른의 트리니타티스 교회(Trinitatiskirche), 크레펠트의 팍스 크리스티 교회(Kirche Pax Christi), 쾰른의 성 베드로 성당(Sankt Peter), 오스트리아 빈의 성 슈테판 성당(Domkirche St. Stephan), 영국 세인트 폴 대성당(St. Paul`s Cathedral), 일리대성당(Ely Cathedral), 노르위치 대성당(Norwich Cathedral), 솔즈베리 대성당(Salisbury Cathedral), 글로스터 대성당(Gloucester Cathedral), 윈체스터 대성당(Winchester Cathedral), 더햄 대성당(Durham Cathedral), 캔터베리 대성당(Canterbury Cathedral), 성 요한 교회(St. John`s Church), 성 매튜 교회(St. Matthew`s Church) 등에서 종교적 지도자나 진보적인 사제들을 중심으로 계승되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issues of contemporary art and ecclesiastical space focusing on L`Art Sacre Movement led by Dominican priests Marie-Alain Couturier (1897-1954) and Pie-Raymond Regamey (1900-1996), who sought to reconfigure and reconcile the relationship between ecclesiastical spaces of Christianity and modern art, challenging the Western visual and religious traditions. Couturier has been recognized as a pioneering patron of living art in French churches, as he separated the church from traditional Christian art that used to promote and uphold theological, biblical and liturgical values, and redefined French ecclesiastical spaces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art. In his commissions for Notre-Dame de Toute Grace du Plateau d`Assy, L`Eglise du Sacre-Coeur d`Audincourt, La Chapelle Notre-Dame du Rosaire des Dominicaines de Vence, Notre Dame du Haut, Ronchamp, and the Rothko Chapel, Houston, Coututier cooperated closely with important modern artists such as Henri Matisse (1869-1954), Fernand Leger (1881-1955), Marc Chagall (1887-1985), George Rouault (1871-1958), Pierre Bonnard (1867-1947), George Braque (1882-1963), Jacques Lipchitz (1891-1973), Jean Lurcat (1892-1966), and Jean Bazaine (1904-2001). Focusing on the images of St. Dominique, the Virgin and Child, the Stations of the Cross in Matisse`s mural paintings, and stained glass in the chapel of the Rosary at Vence, I explore the visual embodiment and transformation of Dominican spirituality in Matisse`s late years. This paper will illustrate how contemporary arts, which might be rejected as religious art of Christianity, could coexist with sacred spaces. Finally, I aim to reconsider the conflicted relationship between contemporary art and church, and propose to expand the notion of suitable space and art to be experienced in Christian churches.

      • KCI등재

        고전의 타자 : 1760년대 조셉-마리 비엔의 신고전주의 미술

        신상철 한국미술이론학회 2016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22

        18세기 프랑스 지식사회에서 신앙의 자리를 대신하여 철학과 과학 그리고 예술이 새로운 관심과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이성주의 관점에서 예술은 인간 정신 활동의 산물로 간주되었고 각 시대의 문화를 대변하는 상징물로 인식되었다. 이 시기 프랑스의 지식인들은 예술을 통해 인류 문명의 발전 과정을 분석하려 했으며 예술이 인류 문명사를 조망하고 각 시대의 지적 단계를 판가름하는 주요한 근거가 된다는 생각 하에 미술을 학술적으로 접근하는 태도를 출현시켰다. 특히 18세기 이탈리아 남부에서 이루어진 고고학적 발견은 고전 미술에 대한 전반적인 시각의 변화를 가져오며 고전 시대와 고전 미술에 관해 연구하는 고고학과 미술사학의 성립을 유발하였다. 이와 더불어 1760년대 프랑스 미술계에서 고전 취향의 확산과 고전 미술의 해석을 둘러싼 다양한 논쟁들은조셉-마리 비엔으로 대표되는 당대 그리스 스타일의 화가들, 즉 신고전주의 1세대 작가들의 출현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성주의 세계관과 연계되어 형성된 프랑스 지식 사회에서의 고전에 대한 관심과 1760년대 파리 화단에 등장한 고전 취향을 반영한 예술 작품들 간의 연관성에 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Philosophy, science and art have newly gained attention among 18th-century French intellectuals. In a rationalist perspective, art has been closely associated with human mental activities and considered as symbols that represent the culture of the time. The French intellectuals saw art as an icon that bears testimony to a level of progress in each civilization. It was this growing intellecutualism that facilitated the academicization of art. In 1760s, a great controversy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s of classical art was directly linked to the broadening taste for classical art and the arrival of the first generation of Neoclassicisists including Joseph-Marie Vien. This paper will explore the influence of rationalism and the birth of academic disciplines in art of the 1760s’ Frenthe French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