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독립 이후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이슬람 극단주의에 관한 연구

        진소영 ( Jin So Young ) 아프리카미래학회 2023 아프리카와 미래 Vol.2 No.0

        아프리카는 18세기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유럽의 식민지 쟁탈전에 높이게 되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아프리카는 영국과 프랑스를 포함한 유럽 열강의 식민정책을 겪게 된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여러 아프리카 국가들이 독랍하면서 큰 전환기를 맞이한 것처럼 보이지만, 프랑스어권 아프리카에서는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에 의한 군사적 갈등과 테러의 위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프랑스어권 아프리카의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는 살라피즘(Salafism)을 기초로 이념하고 있다. 살라피즘은 이슬람 율법을 엄격하게 해석하는 사상으로 이슬람 근본주의다. 본 연구는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의 이념이 되는 살라피즘이 아프리카 지역에 형성된 계기와 과정을 살펴본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아프리카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의 동향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Africa was not only deprived of land and resources by Europe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but was also sold as slaves. As a result, most of Africa experiences colonial policies of European powers, including Britain and France. Since World War II, several African countries seem to have faced a major turning point as they read alone, but in French-speaking Africa, the threat of military conflict and terrorism by Islamic extremist groups continues to increase. Islamic extremist groups in French-speaking Africa are ideological based on Salafism. Salafism is an idea that strictly interprets Islamic law and is Islamic fundamentalism. This study examines the reasons and processes that Salafism, the ideology of Islamic extremist groups, was formed in Africa.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African Islamic extremist groups operating in French-speaking Africa and to present alternatives.

      • KCI등재

        혼돈의 문학사, 프랑스어로 된 아프리카 문학의 역사

        원종익(Won, Jong-i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9 외국문학연구 Vol.- No.35

        ‘프랑스어로 된 아프리카 문학’은 제목 그 자체로 이미 아픔과 모순을 담고 있다. 자신의 언어가 아닌 식민 종주국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아픔과 더불어 타 언어로 자신의 문화와 정신을 표현해야 하는 모순을 전면에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근본적 문제 외에도 아프리카 문학은 특히 문학 연구나 문학사 기술이 상당 부분 프랑스 학자들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자신이 바라보는 자신의 문학 연구가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상황에서 프랑스어로 된 아프리카 문학이 야기하는 혼돈과 엉클어짐을 다루고자 한다. 이는 대략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는데 먼저 ‘아프리카 문학’과 ‘프랑스어’가 어떤 식으로 결합하느냐의 문제이다. 적어도 이 경우 학자나 작가들이 ‘프랑스어 아프리카 문학’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문학’ ‘프랑스어로 된 아프리카 문 학’,의 세 가지 방법을 혼용함을 알 수 있다. 이 세 가지 경우는 얼핏보아 큰 차이를 갖고 있는 것 같지 않지만 프랑스와 아프리카가 공유하고 있는 역사성을 배경으로 살펴보면 이데올로기의 차이를 간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문학’은 전적으로 프랑스 입장에서, 아프리카를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세계 속의 한 지역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언어를 무기로 새로운 방식의 제국주의를 꿈꾸는 프랑스의 야욕이 음험하게 자리 잡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프랑스어로 된 아프리카 문학’은 프랑스어를 단순히 표현 수단으로 보는 것으로 비록 식민 종주국의 언어를 사용하지만 나름대로 아프리카 문학의 독자성과 자주성을 강조하고 있다. 두 번째의 혼돈은 과연 아프리카가 어디를 지칭하느냐의 문제이다. 대략 아프리카 대륙 중에서는 사하라 이남을 가리키지만 종종 카리브 지역과 마다가스카르도 아프리카의 범주에 들어가기도 한다. 또한 용어 자체도 단순히 아프리카라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검은 아프리카, 흑인 아프리카, 니그로 아프리카 등 학자마다 혹은 동일 학자의 저작물들에서도 혼돈 현상이 벌어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혼돈스러운 용어의 정리와 함께 과연 아프리카는 어디를 지칭하는가를 살펴본다. 세 번째는 아프리카 작가의 정체성은 무엇인가에 대한 성찰이다. 아프리카가 어디를 의미하는지 혼돈스런 상황에서 작가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세제르나 다마스 등은 카리브 지역 출신임에도 아프리카 문학사에 흔히 등장한다. 또한 많은 작가들이 아프리카 대륙에서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프랑스에서 활동하고 몇 몇 작가들은 아프리카 흑인이라기보다는 프랑스 사람과 같은 행태의 문학 활동과 삶을 살기도 한다. 게다가 최근의 경우, 이민 문학, 혹은 이주 문학이라 할 수 있는 미그리튀드 migritude 문학은 아프리카 작가의 정체성 추구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그들에게 피부색은 부차적 문제일 따름이다. 그들에게는 작가가 된다는 것이 더 큰 문제로 부각된다. 아프리카 작가란 무엇을 말하는지 심한 혼돈 현상이 벌어지는 경우이다. 이러한 여러 혼돈 현상은 단순한 혼돈과 엉클어짐이 아니다. ‘아프리카 문학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본질적인 질문이기도 하고, 아프리카 문학과 문학사를 아프리카 입장에서 다시 정리하고 성찰해야 함을 요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When we write or read the history of African literature in French, we are sure to be confused ; the fact that the African literature depends on the colonizer's language shows its embarrassed situation and causes some contradictions. First, we have to indicate the irregularity of the title which has at least the three forms : la littérature africaine de langue française, la littérature africaine francophone, la littérature africaine d'expression française. These designations can be explained by the ideological view. In the second place, the use of the term ‘afrique(Africa)’ is also source of ambiguity: afrique, afrique noire, négro-africain, etc. This confusion lead us to the vagueness and the fragility of the limits of the field of research. To make clear these difficulties, the cultural, racial and geographical criteria must be mobilized. Finally, the identity of the African author is obscure and inconstant. For example, the authors, as Césaire and Damas, figure often in the history of African literature although they are not of African origin. Furthermore, the more recent concept of migritude designates both the thematic of immigration that is at the heart of contemporary African works, but also the expatriate status of most of the writers. Their inspiration comes from their hybridity and decentered lives, elements that now characterize a kind of French-style world literature. In this way, migritude symbolizes a kind of third space that comes from a questioning of certain prevalent discursive configurations and simultaneous disengagement from both the culture of origin and the receiving culture within a new space of identity.

      • KCI등재

        두 대륙의 깨달음 : 몽고 베티의 『봉바의 불쌍한 그리스도』와 볼테르의『캉디드』

        원종익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8 외국문학연구 Vol.- No.32

        아프리카의 카메룬 작가인 몽고 베티가 쓴 『봉바의 불쌍한 그리스도』와 이보다 약 200년 전인 18세기 중엽 볼테르가 쓴 『캉디드』는 성장소설이란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전자의 경우, 드니라는 아프리카 소년이 백인 선교사인 드뤼몽을 따라 다니면서 겪는 여러 가지 일을 일기 형식으로 적은 소설이다. 드니는 드뤼몽이 아프리카에 온 것은 무지몽매한 아프리카 사람들을 깨우쳐 주기 위해서 온 것으로 믿고 그를 마치 그리스도와 동일시하고 있었지만 약 2주간의 선교 여행을 통하여 기독교의 위선과 백인의 횡포, 그리고 아프리카의 현실에 눈을 뜨게 된다. 볼테르의 경우, 주인공 캉디드는 스승 팡글로스의 낙관론의 영향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 닥쳐도 결국은 모든 일이 잘 될 거라는 믿음을 지닌 인물이다. 그러나 계속되는 난관과 시련은 단순함에 사로 잡혀 있던 캉디드의 마음을 흔들리게 한다. 인간의 진정한 행복은 무엇인지, 캉디드는 방황과 번민을 거듭한 끝에 묵묵히 일을 하는 것이 최선임을 깨닫는다. 두 소설 모두 어린 소년이 현실을 깨달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 중요한 것은 이 두 소년의 성장과정이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드니는 한 개인이 아니다. 그는 기독교의 탈을 쓰고 서서히 아프리카를 집어 삼키려는 서구의 야욕을 모르고 있는 아프리카 대륙을 대변한다. 작가는 서구 사회의 침탈을 고발함과 동시에 아프리카의 자각을 호소한다. 캉디드 역시 개별화된 인물이 아니다. 볼테르가 내세우고 있는 것은 18세기 계몽주의 시대, 무지몽매함에서 벗어나 실천적 이성을 갖춘 유럽의 보편적 인물이다.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은 결정적인 면에서 차별화된다. 이는 볼테르가 전면에 내세웠던 실천적 이성으로 성장한 유럽 세계가 그로부터 2세기 후 몽고 베티에 의하여 공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볼테르가 보편적 세상으로 여겨 왔던 그 세계에 아프리카는 들어가 있지 않은 것인지, 유럽의 식민지 쟁탈전은 더욱 극심하게 이루어져 왔고, 볼테르가 비난했던 인간의 무지몽매한 잔인함은 아프리카에서 절정을 이룬다. 두 소설 모두 어린 소년의 성장과정을 그리고 있지만 이 성장이 개인의 차원이 아니라 대륙의 문제로 인식될 때 두 소설은 이처럼 첨예하게 대립각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대립각은 작가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두 작가가 처한 지리적, 사회적, 역사적 차이에서 기인하는데 이는 문학 연구가 내적 구조 연구는 물론 작가의 정체성, 작품의 역사성을 충분히 고려해야함을 보여준다. First of all, it is vital to point out that Mongo Béti's Le Pauvre Christ de Bomba and Voltaire's Candide can be placed under the category of Bildungsroman. Denis, the hero of Béti's novel, believes that Drumond, the French priest, has been in Africa for the purpose of Christianizing and enlightening the Blacks in Africa. For Denis, Drumond is as great as Christ. But, Denis' journey with Drumond makes Denis to realize his own ignorance of the reality. The Christianity is not for the Africans. It is only a strategyl with that the Whites can control the Blacks more skillfully and dexterously. Candide, the hero of Voltaire's novel, is prepossessed with the optimism that Pangloss, his mentor, has taught to him. He believes that all is for the best in the best of all possible worlds. But, lots of hardships and misfortunes help him to change his opinion of the world. Candide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secret of happiness is to cultivate his own garden. In this context, we must not forget that the problems that Denis and Candide suffered are not restricted to an individual one, but two characters represent respectively Africa and Europe. Denis' innocence corresponds to the purity of Africa. His mental growth can be regarded as a process of the self-knowledge of Africa. It is the same for Candide who looks for the real meaning of life as a typical European in the 18th century. But, what is more important in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novels. Voltaire aimed to show an enlightened citizen by which today's Europe will be established. Voltaire's object, however, is attacked by Mongo Béti. It is such an Europe that Mongo Béti denounces severely. It is true that during the centuries, the European nations scrambled for control over other regions of the world, displacing and oppressing the peoples inhabiting these regions. Although these two novels can be treated under the same category, they are pitted ideologically against each other. This fact shows that the literary critic should understand as fully as possible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from which a given text emerged and ponder how it reveals beliefs and struggles that persist to this day.

      • KCI등재

        현대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시 문학의 새로운 풍경 - 1980년대 이후의 경향을 중심으로

        송홍진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3 비교문화연구 Vol.68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new landscape of contemporary French-language African poetry since the 1980s. A new generation of Francophone African poets, who have shown a distinctly different orientation from the Negritude movement since the 1980s, tried to pay attention to the fundamental issues of endless African traged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his concept of "The Poetry of Interference", Senegalese poet Babacar Sall reminds us that a poet's duty is to resist oblivion. In his poetical work, The Blood of the Hills, he poignantly describes the Rwandan genocide, while achieving a high level of aesthetic perfection. Following Sony Labou Tansi’s insistance on "the act of breathing" against the death and violence rampant in the African continent, Côte d'Ivorian poets Véronique Tadjo and Tanella Boni face the darkness of reality and sing for hope for the African women. Finally, Chadian Poet Nimrod does not openly reveal the death and suffering of Africa, but draws a new poetic landscape that is overlapped in his memory while crossing the borders of the continents with a delicate sense of nature and a keen eye for reality. 본고는 현대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시 문학이 보여주고 있는 새로운 경향을 1980년대 이후 활동하고 있는 시인들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1980년대 이후 네그리튀드 운동과 뚜렷하게 다른 지향점을 보인 현대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시인들은 아프리카적 삶의 근본적 문제들을 다양한 목소리와 다채로운 관점으로 담고자 한다. 세네갈의 바바카 살은 시인의 책무가 망각에의 저항에 있음을 상기시킨다. 그는 “개입의 시”를 통해 아프리카의 비극이 초래한 현재적 고통을 통렬하게 고발하면서도 높은 미학적 완성도를 성취하고 있다. 대륙에 만연한 죽음과 폭력에 대항하여 새로운 호흡을 위한 숨결을 불어넣을 것을 촉구하는 소니 라부 탄시에 이어 코트디부아르의 베로니크 타조, 타넬라 보니는 죽음과 피의 땅인 아프리카 대륙을 새롭게 노래하기 위해 어둠을 직시하기를 피하지 않는다. 죽음을 극복하는 새로운 호흡의 여정에서 이러한 여성시인들의 목소리는 중요한 울림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차드 태생의 시인 님롯은 아프리카의 죽음과 고통을 직접 말하는 대신, 자연에 대한 섬세한 감각과 현실에 대한 예리한 시선으로, 자신이 대륙들의 경계를 종단하는 동안 기억에 중첩된 풍경을 새로운 시적 풍경으로 탁월하게 그려 보인다.

      • KCI등재

        아프리카 망명 작가의 불편한 프랑스어 - 몽고 베티의 언어의식 -

        문성욱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3 프랑스문화연구 Vol.58 No.1

        이 논문은 카메룬 출신 소설가 몽고 베티가 아프리카에서의 프랑스어 사용에 대해 쓴 몇 편의 글을 다룬다. 한 세대 앞서 태어난 생고르가 프랑스어권과 ‘프랑스성’을 네그리튀드의 필수적 보완물로 삼았던 것과 달리 몽고 베티는 결코 외래의 언어에 대한 의심을 거두지 않는다. 현지어를 소외시키면서 프랑스어를 유일한 공용어로 강제하는 정책은 아프리카인의 문화와 정신에 파국적 결과를 가져오며 동시에 프랑스의 신식민주의적 이해관계에 봉사한다. 그러나 몽고 베티는 프랑스어를 즉시, 완전하게 아프리카의 고유 언어로 대체해야 한다는 언어민족주의적 입장에 빠지지도 않는다. 그는 아프리카에서 프랑스어 화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현실을, 근대화의 도구이자 문학의 도구로서 프랑스어의 장점을 인정한다. 프랑스어권이라는 허울을 벗어던지고 그 뒤에 숨은 ‘프랑사프리카’의 수탈 체제를 해체하여 민중의 정치·경제적 해방을 완수할 수 있다면 프랑스어도 아프리카의 언어로서 제 몫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몽고 베티의 이러한 성찰은 일각에서 ‘세계-문학’을 운위하는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없지 않다. Cette étude a pour but d’analyser un certain nombre de textes consacrés par le romancier camerounais Mongo Beti au sujet du français en Afrique. Contrairement à Léopold Sédar Senghor, son aîné d’une génération et qui voulait compléter la négritude par la francophonie et la francité, Mongo Beti sera à jamais resté suspicieux à l’égard de cette langue exogène. En effet, la politique qui impose le français comme la seule langue officielle au détriment des vernaculaires, risque de produire des ravages dans la culture et la mentalité des Africains, tout en servant les intérêts de la France comme puissance néocoloniale. Ce n’est pourtant pas que Mongo Beti tombe dans un nationalisme linguistique prônant le remplacement immédiat et total du français par les langues autochtones. Il tient compte de l’accroissement des locuteurs du français en Afrique, aussi bien que des avantages que présente cette langue comme outil de modernisation et véhicule de littérature. Si donc les sociétés africaines arrivent à déconstruire le système pillard de la Françafrique et à accomplir l’émancipation politico-économique populaire, le français se débarrassera à son tour du joug de l’impérialisme linguistique pour devenir enfin une langue africaine. Cette réflexion n’a rien perdu de son actualité au moment même où d’aucuns affirment l’avènement de la littérature-monde.

      • KCI등재

        사하라 이남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구전문학의 기원과 문학성

        박선아 ( Park Sun Ah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0 비교문화연구 Vol.61 No.-

        본 연구는 사하라 이남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구전문학의 전통 기원에 근간한 장르들 그리고 문학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아프리카 구전문학의 창조적 가치와 전망을 헤아려 보고자 하였다. 우선 예술 양태의 구전전통이 구전문학의 장르로 연결되는 지점을 찾아 문학 장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구전문학이 문자로 채록되는 과정에서 소실하는 문학성의 문제를 제기하였고, 이를 탐색하기 위한 이론적 방향을 이어지는 장들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구전문학에 대한 파라텍스트적 접근으로, 사물 언어, 소리 언어, 몸짓 언어라는 파라텍스트적 소재 연구를 통해 아프리카인들의 서정과 일상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주요 문학적 요소들을 고찰하였다. 셋째 구전문학에 대한 유형학적 접근으로, 연행이 이루어지는 ‘공간’과 ‘스타일’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통해 드러나는 문학성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리오’와 같은 화자와 청자와의 관계를 야우스와 이저의 수용미학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아프리카 구전문학만의 고유한 문학성을 탐색해보았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구술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는 아프리카의 구전문학이 그 어떤 문자 문학보다 선험적이고 입체적인 표현 예술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This study assesses the creative value of African oral literatur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genres and literariness based on the origin of oral literature in sub-Saharan francophone Africa. We first identify the point at which the oral culture tradition evolved into the genres of oral literature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literary genres. In addition, we address the problem of literariness lost in the process of oral literature to literal literature and suggest a theoretical approach to explore it. We next study paratextual materials such as object language, sound language, and body language, as the main literary elements organically connected to African’s lyricism and daily life. Then we take a typological approach to oral literature, analyzing the literariness of “space” and “style” in the performance process. Finally, we explore the unique literariness of African oral literatur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rator, such as “Griot” and the auditor from the perspective of Jauss and Iser's receptive aesthetic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oral literature, rooted in the oral cultural tradition of sub-Saharan Africa, is an art of a priori and stereoscopic expression equal to that of any other written literature.

      • KCI등재

        식민제국에서 포스트식민 권력구조로

        조홍식 ( Hong Sik Cho ) 한국사회사학회 2013 사회와 역사 Vol.0 No.97

        이 글의 목표는 ``구조적 권력의 시각``으로 세계화 속의 아프리카를 분석함으로써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한국 인문·사회과학의 이해를 높이려 한다. 이를 통해 첫째, 세계화라는 거대한 운동에 대해 다극적인 현실을 포착할 것이다. 그리고 둘째, 유럽과 아프리카의 장기 역사적 관계의 견고함을 조망한다. 마지막으로 셋째, 국제정치학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관계적 권력에 기초한 시각의 한계를 극복하려 한다. 구조적 권력의 시각에서 보면 아프리카의 구 식민지와 프랑스 사이에는 매우 견고한 지배 구조가 여전히 존재한다. 민족 공동체의 기본적인 요소 가운데 하나인 언어와 정치의 틀을 모두 프랑스가 아직도 지배하고 있으며, 경제적인 차원에서도 화폐와 제도를 모두 프랑스에서 도입해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장 기초적인 인적 구조 역시 프랑스와 아프리카는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아프리카의 종속적 현실을 개혁하기 위해서는 관계적 권력의 개선뿐 아니라 구조적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Africa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using the structural power approach, improving thus the understanding of this continent by Kore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ur objective is, first, to underline the multipolar nature of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which is too often considered an unilinear movement. Second, we also insist upon the long historical perspective which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nce and Africa. Third, this article wishes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classic International Relations approach based upon relational power. From the structural power perspective, France still maintains a strong domination framework upon her former colonies in Africa. France stands on the linguistic and institutional framework of her own, which forms the national community basis of many African countries.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se countries also depends on France because they use the money defined and managed by France, as well as the regional economic groupings reproducing the European model. Finally, France and her former African colonies are linked by various human networks, at the elite as well as popular levels. Therefore, to solve the dependency problem of African countries, one should go further than simple relational power level, and be more aware of this structural power dimension.

      • KCI등재

        언어식민주의와 아프리카의 언어 수용 양상 – 프랑스어권 아프리카의 이해를 위한 접근

        김병욱 한국프랑스학회 2012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9 No.-

        Ce travail a pour but, d’examiner la situation linguistique où se trouve actuellement l’Afrique francophone. Il s’agit de voir si les Africains ont obtenu réellement leur liberté au niveau de la question des langues depuis leur émancipation des forces colonialistes. Nous avons décrit la situation globale du continent africain du point de vue linguistique. Ce faisant, on a pu avoir la référence par rapport à laquelle on peut juger l’état des choses de l’Afrique francophone en la matière. Après avoir considéré les aspects du colonialisme linguistique, nous avons d’abord examiné la situation linguistique de l’Afrique par ordre chronologique. Ensuite les avis des spécialistes africains (au moins d’origine africaine) sur la question du choix de la ‘langue africaine’. Les Africains estiment toujours ‘une’ liberté totale, plus ardemment qu’avant. La réalité, cependant, ne leur perment pas de réaliser leur rêve contre toute espérance. Il y a toujours dans les sociétés africaines un grand décalage entre le rêve et la réalité. Les fantômes des anciens colonisateurs sont toujours là ; ils exercent encore une grande influence sur toute la société africaine, bien sûr sur la pratique langagière sous forme de néo-colonialisme. Il est vrai qu’il existe en Afrique le conflit entre les langues autochtones et les langues dominantes importées. Il s’agit plus précisément d’une ambivalence entre l’accueil et le refus, la résistance face à la domination des langues européennes, surtout le français et l’anglais. À partir de toutes ces réflexions, nous constatons que défendre sa propre langue, c’est de défendre l’identité et la culture de la nation. Cet effort doit s’accompagner de la prise de conscience de soi-même des nations, et de leur entente mutuelle. Tout cela constituera la base du développement durable du monde.

      • 아프리카에서 수행되는 프랑스의 문화적 공적개발원조 (ODA) 에 대한 연구

        심지영 ( Jiyoung Shim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20 통합인문학연구 Vol.12 No.2

        이 연구는 프랑스의 대(對)아프리카 문화적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사례와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프랑스는 전 세계에서 문화적인 분야의 ODA에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국가로서, 이미 아프리카 식민지배 시기부터 보여온 많은 전례를 통해 프랑스가 ‘문화의 전파’라는 측면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OECD의 통계와 유네스코의 연간 보고서, 프랑스 개발청(AFD)의 문화 ODA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프랑스의 문화 ODA의 주요한 특징 몇 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아프리카에서 프랑스의 문화 ODA사업은 주로 프랑스어권 국가를 대상으로 하며, 현지에서의 오랜 역사적인 경험과 문화적 기반을 전제로 하여 수행 가능한 사업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둘째 프랑스는 문맹퇴치 사업에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데, 수원국 교육의 질을 높여 발전시킨다는 명분을 갖고 있으나 실상 프랑스어를 전파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사업이라는 점에서, 프랑스의 문화 ODA가 프랑스의 국익 추구에도 부합하도록 전략적으로 설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사회적 메시지를 담는 세네갈의 드라마 제작지원 사례나 베냉의 중등교육 지원사업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프랑스 는 문화 ODA사업에 거대 자본을 투입하지 않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을 설계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효율성’과 ‘명분’을 동시에 추구하는 소프트 파워전략을 앞세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rench cultural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s in Francophone Africa. France is the country with the most budget far cultural ODA in the world and it is well known that since colonial times, France has made great efforts in terms of “cultural influence.” This study analyzes OECD statistics on French ODA, the annual reports of UNESCO and the materials of the French Development Agency (AFD) to examin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French cultural ODA in Africa. First, French cultural ODA projects in Africa are mainly targeted on French-speaking countries and focus on projects which can be carried out based on their historical experience and cultural foundation in the region. Second, the French language education support project, which has the highest budget, is justified by the fact that it aims to eradicate illiteracy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beneficiary countries, but in fact it is strategically designed to comply with the pursuit of France for the national interest in this area: the spread of the Francophonie. Third, as shown in the production support project for soap operas in Senegal containing social messages or in the secondary education support project in Benin, it can be concluded that France has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cultural ODA projects in a way to maximize the effect without spending a large amount of budget and also has used a “soft power” strategy which aims at both “efficiency” and “cause.”

      • KCI등재

        쿠루마(Kourouma) 소설에 나타난 속담의 역사성

        원종익 ( Won Jong-ik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1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4 No.-

        쿠루마는 서구의 문학 양식이라 할 수 있는 소설 양식에 의존하면서도 여기에 매우 다양한 아프리카 전통 문학 형식을 뒤섞어 놓음으로써 장르에 있어서 현지화(indigénisation)를 꾀한다. 주목할 것은 여기서의 아프리카 전통 양식은 구전 양식이라는 사실이다. 아프리카의 서사시, 전설, 콩트, 노래, 속담 등과 같은 다양한 구전 양식이 쿠루마 소설 전편에 걸쳐 곳곳에 퍼져 있다. 달리 말하면, 쿠루마의 소설은 아프리카 전통 구전 장르들이 문자장르인 서구의 소설로 변환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구전 장르 중에서 속담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는 우선적으로, 속담이야말로 다른 어떤 구전 장르보다도 가장 많이 쿠루마 소설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속담이 쿠루마 소설에서 가장 자주 나오는 이유는 어찌 보면 당연할 수도 있다. 전설이나 서사시, 콩트 등은 일종의 서사 장르(genre narratif)로서 어느 정도의 분량이 요구되지만, 속담은 짧은 문장으로 되어 있어서 작품 어디에나 쉽게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속담은 비록 짧은 형태이지만, 사회의 관습과 사고를 가장 압축적으로 반영한다. 그러나 이런 일반적인 논거 외에도 쿠루마의 소설에서 속담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본론에서 살펴 보겠지만, 속담이 소설의 서사와 구조에 개입하여 이야기의 근본 축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여기서 우리가 강조할 것은 속담이 각기 소설에서 소설의 주제나 메시지, 혹은 구조와 어떤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작업을 통하여 쿠루마 소설에서 속담이 지니고 있는 문학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과거 전통의 산물인 속담이 쿠루마 소설에서 현대에 맞게 재해석됨을 살펴 보고자 한다. 속담은 아프리카의 비극적 현실을 깨우치는 역할을 한다. 쿠루마는 과거 전통의 산물인 속담을 이용하여 현재를 말하고자 한다. 속담은 결국 과거의 말이 아니라 살아 움직이는 언어가 되어 현재를 직시한다. Kourouma relies on the Western literary style of fiction, but also seeks to localize the genre by mixing a wide variety of traditional African literary forms. It is noteworthy that the traditional African style is the oral style. Various oral forms, such as African epic poems, legends, contes, songs, and proverbs, are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Kourouma’s novel. In other words, Kourouma’s novel is a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African oral genres into Western novels, which are written genres. This study aims to focus on proverbs among these oral genres. This is because, first of all, proverbs exist in Kourouma’s novels the most than any other oral genre. The reason why proverbs are most often found in Kourouma’s novels may be natural. Legends, epic poems, and contes are a kind of genre of narrative, but proverbs are short sentences that can be easily inserted anywhere in the work. Proverbs are also the most compressed reflection of society’s customs and thinking, albeit in a short form. In addition to these general arguments, proverbs take an important place in Kourouma’s novels because they are involved in the narrative and structure of the novel, forming the fundamental axis of the story. In particular, what we will emphasize here is to look at how the proverbs relate to the theme, message, or structure of Kourouma’s novel. Through this work, we will be able to see the literary value of proverbs in Kourouma’s novels. Lastly,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reinterpretation of proverbs, which are the products of past traditions, in Kourouma’s novels, according to modern times. Proverbs serve to enlighten the tragic reality of Africa. Kourouma uses proverbs, a product of past traditions, to tell the present. Proverbs eventually become a living language, not a word of the past, and face the pre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