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학적 프락시스로서의 비즈니스에 대한 고찰

        김선일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1 복음과 실천신학 Vol.59 No.-

        비즈니스는 우리의 사회적, 경제적 삶에 필요한 재화와 용역을 공급하고 유통시키는 행위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자본주의 사회의 지배적인 작동원리인 비즈니스를 실천신학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실천신학적 연구의 초점인 ‘프락시스’(praxis) 개념을 활용하여 비즈니스를 고찰하고, 비즈니스 활동에 수반되는 고유한 가치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와 제언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비즈니스라는 개념이 기독교적으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먼저 고찰할 필요가 있다. 구원 신앙의 확증 도구, 선교를 위한 비즈니스, 윤리적 실천의 장으로서 비즈니스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들은 엄밀히 말해서 비즈니스 외적인 가치에 대한 논의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성경적 내러티브에 기초한 창조적 프락시스, 그리스도적 프락시스, 성령의 프락시스라는 신학적 체계 아래서 비즈니스의 내재적 특성과 가치들을 조명한다. 창조적 프락시스는 하나님과의 교통 아래 있는 인간의 번영을 위한 행위로서 비즈니스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이는 또한 비즈니스는 인간의 공동 협력을 반영하는 영역임을 알려준다. 그리스도적 프락시스는 죄로 인해 오염되고 왜곡된 현실에 대한 대안으로서 풍요와 선물이자, 인간 삶의 조건을 개선하는 구속적 역할로서 비즈니스를 볼 수 있게 해준다. 성령의 프락시스로서 비즈니스 활동은 새 창조에 참여하는 은사공동체를 세워주며, 상호 덕목을 발전시키는 성령의 열매를 맺음으로 이데올로기적 자본주의 체제의 그늘 아래서 종말의 완성을 소망하게 한다. 우리에게는 경제적 이익과 이기적 경쟁 논리를 넘어서, 하나님의 창조 의도와 구원의 역사에 근거하는 비즈니스 원리가 필요하다. 그것은 신학적 프락시스로서 비즈니스를 성찰하는 신중한 과제를 통해서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더 나아가 일의 의미와 일의 신학, 그리고 비즈니스 선교를 포괄하는 기독교 공동체적 책무를 각성케 하며, 인간의 탐욕과 죄성으로 왜곡되는 비즈니스의 해악에 저항하는 선지자적 실천을 위한 발판이 될 것이다. Business is an activity that supplies and distributes goods and services necessary for our social and economic life. This thesis attempts to critically reflect in terms of practical theology on business, the dominant operating principle of capitalist society. To this end, this thesis examines business using the concept of “praxis,” which is the focus of practical theological research, and examines the aspects of Christian values ​​that accompany business activities.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first consider how the concept of business has been used. Christian approaches have been attempts to address business as tools to confirm salvation, to do business for mission, and to encourage ethical practice in marketplace, which are, strictly speaking, discussions of non-business values.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business under the theological system of creative praxis, christo-praxis, and pneumatic praxis based on biblical narratives. Creative praxis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business as an act for human prosperity under communion with God. It also shows that business is an area that reflects human collaboration. Christo-praxis makes it possible to see business as an abundance and gift as an alternative to reality contaminated and distorted by sin, and as a redemptive role in improving the conditions of human life. Business activities as a pneumatic praxis establish a community of gifts to participate in the new creation, and by bearing the fruit of the Holy Spirit that develops mutual virtues, we hope for the completion of the end even under the shadow of the ideological capitalist system. We need business principles based on God's creative intention and the history of salvation, beyond the logic of economic interests and selfish competition. It can be explored through a prudent task of reflecting business theologically. This can further develop as an opportunity to awaken the faith community to reconsider work, develop a theology of work, and implement business mission in the world, and it will serve as a platform for prophetic practice to resist the evils of business that are distorted by human greed and sinful nature.

      • KCI등재

        뉴노멀 시대에 교회가 추구해야 할 십자가 프락시스의 설교 : 기독교 이야기와 비전을 중심으로

        채정명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미디어 생태계의 지각을 바꾸어 놓은 COVID-19 팬데믹과 인공지능(AI),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제4차 산업혁명의 물결 속에서, 교회는 이제 뉴노멀(New-Normal) 이라 불리는 격변의 시대적 상황 가운데 놓여 있다. 회중은 역사적, 사회적 존재로서 그들이 몸담고 살아가는 세상으로부터 영향을 주고받으며 살아갈 수 밖에 없다. 그러 므로 설교에는 복음에 대한 바른 신학적 이해와 함께 회중이 살아가는 현실에 대해서 도 올바른 해석이 담겨져야 한다. 급격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도 변함없이 복음을 수 호하고 교회를 바로 세우며 세상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성도들에게 삶 과 앎의 분리, 무분별한 가치관의 수용, 그리고 성경의 왜곡된 이해와 같은 문제는 신 학적 본질의 상실에서 나온다. 토마스 그룸(Thomas H. Groome)은 이론과 실천, 신앙과 삶, 내용과 경험의 이 분화를 극복하고 통합적인 실천적 앎의 형성을 위해 해석학적 차원을 지닌 공유의 프 락시스(Shared Praxis)를 제안하는데, 이는 성경이라는 텍스트와 오늘날 우리 삶의 현실과 경험이라는 컨텍스트와의 대화를 통해 삶-성찰-삶으로 나아간다. 이러한 프락시 스를 반영하는 설교는 삶의 자리에서 그것을 시작하고 삶에서 이루어진 복음의 경험 적 차원을 이야기하며, 결국 삶의 반성과 변화를 추구한다. 또한 프락시스의 비평적 성찰은 기독교 공동체의 이야기와 비전의 원천이 되며, 오늘날 그리스도인의 삶의 현 실의 이야기와 성경을 중심으로 하는 기독교 전통 안에서 드러난 이야기와 비전과의 변증법적 대화를 통해 전해야 할 진리가 무엇(기독교 이야기와 비전)이며, 무엇을 반 성할 것이며(나의 이야기와 비전), 어떻게 그 삶이 회복되어져 갈 것인지(비평적 성 찰)를 숙고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급변하는 오늘의 상황 속에 서 프락시스로서의 설교 사역 회복을 위한 바른 신학적 기준을 정립하고자, 예수 그 리스도 안에서 드러난 자기계시인 십자가라는 궁극적 이야기와 비전으로서 존 스토트 (John Stott)가 말하는 정체성(제자도)과 자기이해(존재성), 공동체성(타자성), 공공성 (정의)의 회복을 강단회복의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Amid the wav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entered on the COVID-19 pandemic,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Big Data, which have changed the perception of the media ecosystem, the church is now in the midst of a new standard, called New-Normal. As historical and social beings, congregations have no choice but to live by exchanging influences from the world in which they live. Therefore, the Preaching should contain a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reality in which the congregation lives along with a correct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gospel. Problems such as separation of life and knowledge, indiscriminate acceptance of values, and distorted understanding of the Bible arise from the loss of theological essence for saints who are invariably responsible for defending the gospel, building churches, and playing the role of light and salt in the world. Thomas H. Groome proposes a shared Praxis with an hermeneutic dimension to overcome the dichotomy of theory and practice, faith and life, content and experience and to form an integrated practical knowledge. Preaching reflecting this Praxis begins it in the place of life, talks about the empirical dimension of the Gospel made in life, and eventually pursues reflection and change in life. In addition, Praxis' critical reflection becomes the source of the Christian community's Story and the Vision, and it makes us reflect on what truth (the Christian Story and the Vision) to be conveyed through dialectical dialogue with the Story and the Vision of Christian life today and the Bible. Through this process, in order to establish the right theological standard for the restoration of preaching as Praxis in today's rapidly changing situation, this study presents John Stott's ultimate the Story and the Vision of the Cross, self-understanding (existence), community (otherness), and public (justice) as alternatives to the restoration of the pulpit.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교육 프락시스의 관계성

        안성진(Ahn,Sung-Jin)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7 기독교교육논총 Vol.15 No.-

        최근 들어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서구의 근대화 혹은 합리화가 가져다 준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반성이고 비판이며, 그에 대한 반작용이며 또한 그것의 반영이다. 이와 같은 배경을 가지고 프랑스의 위한 사상가이며 포스트모더니스트인 푸코의 사상과 기독교교육학에서의 프락시스적 접근인 크리스토프락시스와의 교육학적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을 단정적으로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일반적인 개념이해를 해 보았다. 즉,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에 대한 반발로서, 모더니즘의 종언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프락시스적 차원을 고대 그리스철학의 개념과 이러한 프락시스 개념을 신학에 접목시킨 앤더슨(Ray S. Anderson)의 크리스토프락시스와 기독교교육에 접목시킨 파울러(James Fowler)의 크리스토프락시스 개념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푸코와 크리스토프락시스의 접근들 시도하고자 하였다. 푸코의 해체주의 이론은 지금까지 우리의 개인적 삶과 사회적 삶에서 작용하였던 이성(신앙)적 준거를 해체하고자 한다. 삶의 중심 원리인 이성(신앙)적 준거는 기독교교육의 목적, 내용, 방식에 반영되어 우리에게 지금까지 전수되어 왔다. 그런데 교육의 핵심이었던 이성(신앙)적 준거가 해체됨에 따라 기독교교육은 여러 측면에서 도전을 받게 되었다. 최근에 들어서 제기되고 있는 교회교육의 문제점은 해체주의적 관점의 탈현대이론과 무관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우리 시대의 기독교교육의 과제는 이러한 해체주의 관점을 어떻게 대응하고 풀어가야 할 것인가와 관련이 깊다. It is well–known fact that interest in postmodernism is rapidly growing in recent time. Postmodernism is self–examination and criticism on the negative results caused by modernization or rationalization of the West, reaction to it, and also its reflection. With such a background, pedagogical study between idea of Michel Foucault, a great philosopher from France and post–modernist, and Christopraxis, a praxis approach in Christian education is to be attempted on this study. Education has alway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issue in human life. And human beings have been strived multilaterally to pursue educational lif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such educational activities have not only functioned as a positive role, but also functioned in negative way as well. And this also is related to the growth of Christian education. Although it difficult to define the concept of postmodernism conclusively,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general concept of postmodernism. In other words, postmodernism starts from the end of modernism as a resistance against modernism. Here, Ray S. Anderson’s Chirstpraxix concept, a concept combined praxis level with con-cept of ancient Greek, then combined such a praxis concept to theology and James Fowler’s Christopraxis concept, a concept combined Christopraxis to Christian education were compared. And for last, Foucault and Christopraxis approaches were attempted in Christain education. Foucault’s deconstruction theory is to deconstruct rational (faith) conformity functioned in our individual and social life. Rational(faith) conformity, life’s central principle, is reflected in purpose, contents, method, of Christian education and has been inherited to us until now. However, as the rational(faith) conformity, the core of education, was deconstructed, Christian education faced challenges in many sides. Issues of Christian education raised recently are related with postmodernism theory in deconstructional point of view. Thus,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of our time is deeply related to how to encounter such a deconstructional viewpoint and solve it. As claimed in deconstruction theory, what could be left when rational (religious) conformity is deconstructed? When rational(religious) conformity, valued much of in Christian education is deconstructed, will Christian education’s reason for being be also deconstructed? Thus, critical task of Christian education in our time is not unconditional deconstruction of existing being, but is in how to reconstruct what functioned as a limit, and the process of such reconstruction should be Christopraxis. Thus,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reconceptualized with transforming work to form individual within faith community to be participated in Christopraxis. And, Christian education should conduct Christopraxis to lead participation to Christopraxis, and such a work itself is Christopraxis. In the end, all Christian edu-cational aim of Christopraxis can be said ‘becoming witness.’

      • KCI등재

        하버마스의 프락시스론과 교육실천

        김태오(Kim, Tae-Oh)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6 敎育思想硏究 Vol.20 No.-

        이 논문에서는 교육실천 면에서 하버마스의 프락시스론를 논의하였다. 먼저 하버마스의 프락시스 개념형성의 발생학적 토대와 논리 및 그 지향점을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첫째, 의사소통적 프락시스의 개념은 하버마스가 사상사적 접근(고전적 실천학과 근대 사회철학)을 통해서 변증법적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둘째, 하버마스는 규범성과 객관적 엄밀성을 토대로 의사소통적 프락시스를 개념화하였는데, 프락시스는 사회합리화와 의사소통능력발달을 지향한다. 그리고 교육실천에 있어서 함의와 적용가능성을 논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적 교육실천이란 교사와 학생의 상호교육이며, 보편적 심층적 규범성으로 나아가는 활동이다. 둘째, 의사소통적 교육목적의 특성은 내재적이고, 전인적 성장과 성숙한 자율성 함양과 다르지 않다. 셋째,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교수학습관은 교육발전의 준거로 가치를 지닌다. 담론교실의 구현은 전통교실과 방법교실의 교화적 무반성적 교수학습을 해결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praxis in Habermas and to find its implication for educational practic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abermas examined the concept of praxi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Western thought and identified two meanings of the concept. One is the classical/ Aristotelian social philosophy's meaning of ethical-political actions or practical prudence. The other is modern social philosophy's meaning of norm and isolated actions or political technique which pursues technical utility. Second, the meaning and orientation of communicative praxis in Habermas was clarified. Its meaning is dialectically reconstructed with norm and scientific rigor. Its orientation is the rationalization of social system and life-world,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ability. Thirdly, the characteristics and aims of communicative praxis in educational practice were discussed. It implies equally interactive educ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process of respecting educational norm and scientific rigor. Also, it implies the intrinsic aims of education pursuing intersubjective understanding, the realization of growth of the whole person, and the development of autonomy of responsible action-agent. Finally, it was argued that Habermas' communitive teaching/learning could be the model of educational development in the view of the normalization communication in classroom. Reflective and non-indoctrinated teaching/learning is possible under the recognition of ideal speech situation in the discursive classroom.

      • KCI등재

        프락시스(praxis) 관점에 있어서 아렌트와 마르크스간의 횡단성(transversality)

        채진원(Chae, Chin-Weo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3 No.-

        본 논문은 프락시스(praxis) 관점에 있어서 아렌트와 마르크스 사이의 ‘횡단성’(transversality)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프락시스(praxis)를 보는 시각에 있어서 아렌트와 마르크스간에 서로 이질성이 존재하는 데, 이것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있도록 ‘횡단성’(transversality)의 다리를 놓고자 하는 것이다. 이로써, 서로간의 관계를 상호보완관계로 보다 진전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마르크스주의로부터 탈피하여, 마르크스의 정치사상을 실천행위(Praxis)의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아울러 아렌트의 정치행위(praxis: action)의 관점에서 ‘마르크스’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nsure the ‘transversality’ between Arendt and Marx in Praxis. In other words, it i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mutual relations into complementary relations by building a bridge of transversality which enables Arendt and Marx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n a problem that seems to be different. In order to make this possible, it is necessary to see Marx’s political ideas under the view of Praxis as getting out of Marxism. And it is also needed to understand ‘Marx’ in the perspective of Arendt’s Praxis.

      • 하버마스의 프락시스론과 교육실천

        김태오(Kim, Tae-Oh )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6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 Vol.33 No.-

        이 논문은 먼저 하버마스의 프락시스 개념 형성의 발생학적 토대와 논리 및 그 지향점을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첫째, 의사소통적 프락시스의 개념은 하버마스가 사상사적 접근(고전적 실천학과 근대 사회철학)통해 변증법적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둘째, 하버마스는 규범성과 엄밀성을 토대로 의사소통적 프락시스를 개념화하였으며, 프락시스의 지향점은 사회합리화와 의사소통능력발달을 포함한다. 그리고 교육실천에 있어서 함의와 적용가능성을 논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적 교육실천이란 교사와 학생의 상호교육이며, 보편적 심층적 규범성으로 나아가는 활동이다. 둘째, 의사소통적 교육목적의 특성은 내재적이고, 전인적 성장과 성숙한 자율성 함양과 다르지 않다. 셋째,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교수학습관은 교육발전의 준거로 가치를 지닌다. 담론교실의 구현은 전통교실과 방법교실의 교화적 무반성적 교수학습을 해결할 것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praxis in Habermas and to find its implication to educational practic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abermas examined the concept of praxi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western thought and identified two meanings of the concept. One is classical/Aristotelian social philosophy's meaning of ethical-political actions or practical prudence. The other is modern social philosophy's meaning of norm and isolated actions or political technique which pursues technical utility. Second, the meaning and orientation of communicative praxis in Habermas was clarified. Its meaning is reconstructed with norm and scientific rigor dialectically. Its orientation is the rationalization of social system and life-world,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ability. Thirdly, the characteristics and aims of communicative praxis in educational practice were discussed. It implies equally interactive educ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process of respecting educational norm and scientific rigor. Also, It implies the intrinsic aims of education pursuing intersubjective understanding, the realization of growth of whole person, and the development of autonomy of responsible action-agent. Finally, it was argued that Habermas' communitive teaching/learning could be the model of educational development in the view of the normalization communication in classroom. Reflective and non-indoctrinated teaching/learning is possible under the recognition of ideal speech situation in discursive classroom.

      • KCI등재

        메타프락시스 관점에서 본 실과교과 내 농업생명과학교육의 의미와 가치

        고인규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3

        이 연구는 메타프락시스 관점에 터해 교과교육으로서 농업생명과학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논의한 것이다. 메타프락시스는 가르치고 배우는 사태 속에서 교과의 의미와 가치를 찾는 사상으로 교과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인간의 심성함양으로 정의한다. 실과에서 농업생명과학교육 역시 최근 인지적, 사회적 관점에서 그 의미와 가치가 부각되고 있는바 그것의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 사태를 메타프락시스 관점에서 재해석함으로서 교과교육차원에서의 농업생명과학교육의 당위성과 타당성을 논의하고자 했다. 이 연구를 통해 메타프락시스 관점에서 본 농업생명과학교육의 의미와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과 기능을 통합하는 교육, 둘째, 지성의 현시로서의 절차적 행위교육, 셋째, 세계의 실재를 드러내는 교육, 넷째, 윤리적 선을 이끄는 교육, 다섯째, 사회적 품성을 기르는 교육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그동안 실과교과 내 농업생명과학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실험적 데이터와 네러티브적 관점에서 규명한 것에 더해 교육철학적 측면에서 규명한 것으로 이를 통해 ‘심성함양’이라는 교과교육의 근원적 가치에 농업생명과학교육이 부합함을 증명하고 교과교육 영역에서 농업생명과학교육의 독자성 확보를 정당화 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meaning and value of agricultural life science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meta-praxis. Meta-praxis is the idea of finding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subject in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ultimate goal of subject matter education is defined as cultivating human mind. In recent years, agricultural life science education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terms of cognitive and social viewpoi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e viewpoint of meta-praxis and to discuss the justification and validity of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education in term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with the viewpoint of meta-praxis. The meaning and value of agricultural life science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meta-praxis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education to integrate knowledge and function. Second, procedural behavior education as manifestation of intellect. Third, education to reveal reality of the world. Fourth, education to lead ethical good. Fifth, education to raise social person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eaning and value of agricultural life science education have been clarified in terms of educational philosophy in addition to the experimental data and the narrative point of view. Through this, it proved that the education value of agricultural life science education is in conformity with the fundamental value of subject matter education called 'cultivation of mind', and justified securing the uniqueness of agricultural life science education in subject matter education.

      • KCI등재

        철학 프락시스를 통한 철학교육과 철학치료 방법론 연구

        김선희 ( Sun Hye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9 No.-

        이 논문에서 논자는 규율사회와 성과사회의 중첩 속에서 피로사회, 우울사회, 분노사회라는 복병을 끌어안고 있는 우리사회를 진단하고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포월적 프락시스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자신의 삶에 대한 비극적 의식을 실천하고자 하는 최근의 철학적 시도들 중에서 ‘철학 프락시스(Philosophische Praxis)’를 주목해보고자 한다. 철학 프락시스와 관련하여 오늘날 대표적으로 실천되고 있는 방법은 바로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이다. 소크라테스는 특히 니체에 의해서 평가절하 되었다. 그리고 일반적 수용사에서 소크라테스는 독자적인 위상 속에서 평가되기보다는 플라톤과 혼융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소크라테스 수용사에서 혼용되었거나 왜곡되었던 모습은 최근에 재평가되고 있다. 오늘날 플라톤과 독자적인 위상 속에서 수용되는 그러한 결과 중에 하나가 바로 ‘소크라테스적 문답법(socratic Dialogue)’이다. 이것은 플라톤의 그림자를 벗어난 소크라테스 철학의 진면목을 철학 교육, 철학 상담, 철학 치료의 영역에서 기본적이고도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다. 논자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과연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소크라테스적 문답법의 정체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우선 소크라테스에 의해서 구사된 문답법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는 문답법이 오늘날 철학과 삶의 관계에 있어서 지닐 수 있는 구체적인 역학관계를 짚어볼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 속에서 우선 2장에서는 단지 학문적인 이론 활동만이 아니라 삶의 차원으로의 철학의 확장을 드러내는 소크라테스의 프락시스 활동으로서 문답법을 살펴볼 것이다. 3장에서는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을 엘렝코스, 산파술 그리고 변증술로 세분화하여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4장에서는 이와 같은 소크라테스 문답법이라는 철학방법을 통해서 얻고자 하는 내용을 무지-애지-지에 대한 자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논의는 주로 『소크라테스의 변론』, 『테아이테토스』, 『국가』를 중심으로 다루고자 한다. In this thesis this writer is going to take note of ``Philosophische Praxis`` out of recent philosophical attempts to practice the tragic awareness as to our life in order to grope with the possibility of encompassing practice to diagnose, prevent and heal our society embracing an ambush of so-called fatigue society, gloom society, anger society in the overlap of disciplinary society and outcome society(Leistungs- gesellschaft). The method to be practiced typically today in relation with Philosophische Praxis is just Socratic Dialogue. Socrates was depreciated specially by Nietzsche and was evaluated in a general reception theory mixed with Plato instead of an independent status. However, such a shape mixed or twisted in the adoption of Socrates is being reassessed recently. Today, one of the results to be accepted in the independent status from Plato is just ‘Socratic Dialogue’. This is used to show the real worth of Socratic philosophy escaping from Plato`s shadow basically and intensively in the realm of philosophical education, philosophical counseling, philosophical therapy. This arguer intends to analyze the Dialogue commanded first by Socrates to review the identity of Socratic Dialogue of varied forms used today in such a context. This provides a ground to witness a concrete relation of dynamics which the Dialogue can have in the relation of philosophy and life today. In such a background of this research, we`ll first check the Dialogue as Socratic Praxis activity disclosing the extension of philosophy as the dimension of life instead of only an academic theory activity in Chapter 2. In Chapter 3, we are going to study Socratic Dialogue by segmenting it into elenchus, midwifery and dialectics. And in Chapter 4, we will check the content to get through the philosophic method as such Socratic Dialogue focused on ignorance/love of knowledge/self-awareness of knowledge. In this argument we`ll cover it mainly centered on Apology, Theaitetos, Polite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